이순신에대해

이순신에대해

작성일 2004.11.1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순에대해 알려주세요~!!
이순신은 어떤사람이다~!!
이순신이 갖는 역사적특징, 사회적특징
이렇게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kbs 불멸의 이순신 홈피에 보면 작가 송우혜씨의 글이 있습니다.
김탁환의 '불멸의 이순신'은 아무근거없는 원균 명장균으로 이순신의 공을 빼앗고 이순신 모함의 축을 미화 하고 있죠.. 한마디로 김탁환씨의 소설은 역사 소설 이라기 보다는 추리소설 이라 할수 있죠..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어떤 사료를 보더라도 원균 명장론은 아무런 근거가 없는 원씨가문등의 지원으로쓴 몇몇 우매한 작가의 주목 받으러는 저질 도서 입니다.
이하 kbs 이순신 게시판...

'불멸의 이순신' 원작 소설의 근거없는 원균 명장론을(원씨 가문에서 하는 근거없는 주장) kbs드라마 에서도 그대로 인용한다면... 전국민적인 불시청 운동과 시청률 하락을 피하지 못할것이다.

침묵만하는 김훈의 '칼의노래', 원균을 재조명 한답시고 요란하게 떠드는 김탁환씨의 '불멸의 이순신' 모두 역사 왜곡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이에 무지한 kbs 제작진 마져 근거없는 원균 명장론으로 이순신의 공을 빼앗고 이순신 모함의 축을 옹호하는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등의 역사적 자료도 확인안하고 한 우매한 작가의 추리만으로 원작을 삼고 이를 그대로 드러내는 저질 3류 드라마로 전락하지 않기를 바란다. 오히려 이광수의 '이순신'이 제대로 역사를 인식하고 연구하여쓴 실존 인물 중심의 참모습의 '이순신'일 것이다.

kbs는 지금이라도 역사를 연구하고 공부하고 제대로 알아 역사왜곡의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글쓴이 : 송우혜(宋友惠, 소설가)

I.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문학적 형상화의 변천상

이순신(李舜臣) 장군은 한 사람의 무장인 동시에, 우리 민족이 지닌 '위기관리능력'의 극대치를 가장 극적으로 강렬하게 보여준 영웅이었다.
그 모습이 얼마나 찬연했던지, 적이었던 침략자 일본의 무사들과 그 후예들조차 숭앙하는 우상이자 전설이 되었다. 풍전등화와도 같았던 국가적 위기에서 그가 보여준 '이순신적'인 힘과 의지와 순발력은 어려울 때마다 우리 민족을 격려하고 일으켜 세운 긍지이며 재산이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평가는 한결같지 않았다. 우리 역사와 문학에서 이순신이 어떻게 평가되어 왔는가. 시대에 따라 변해간 평가의 주요 흐름을 짚어본다.

1. 당대: '명장 원균의 전공을 가로챈 이순신'

"이순신은 원균을 모함하고 원균의 전공을 가로챘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 일본 사이에 화의 교섭이 진행되고 있어 전쟁이 소강상태에 들어갔을 때, 느닷없이 이런 주장이 나타나 삼도수군통제사인 이순신을 깎아내리면서 기세를 얻기 시작했다. '원균 명장론'을 전제로 한 이런 주장은 원균이 살아 있는 동안 계속 원균 및 그를 지지하는 서인들에 의해 줄기차게 제기되었고, 화의가 깨어져서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타오르는 불이 바람을 얻은 듯이 기세를 얻었다. 독자적으로 거둔 뛰어난 승첩이 없는 무장인 원균을 '명장'으로 만들려면, 직접간접으로 이순신을 폄훼하고 그의 공을 빼앗아 원균에게 넘겨야 했다. 그래서 당시 원균과 그의 지지파들이 계속 내세웠던 "이순신이 원균의 공을 빼앗았다"는 주장들이 현재 에 도처에 그대로 기록되어 있어, 당대에 이순신이 원균측으로부터 어떤 식의 괴롭힘과 폄훼를 당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결국 그런 주장들이 선조에게 받아들여져서 이순신의 체포와 투옥 및 원균의 삼도수군통제사 임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원균이 최초의 대전투에서 삼도 수군 전부를 무너뜨리고 본인도 전사함으로써, 또한 그 뒤에 이순신이 단지 13척의 전선을 가지고 명량대첩의 신화를 이룩함으로써, 그런 주장은 일시에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이순신을 내치고 원균을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함으로써 삼도 수군이 일시에 무너진 원인을 제공한 당사자인 선조만은 원균이 전사한 뒤에도 계속 원균을 두호하고 "원균은 지혜와 용맹을 갖춘 무인"이라고 칭송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선조가 그런 무리한 오기를 부린 까닭은, 당시의 조선사회의 관료문화와 제도 때문이었다. 조선시대는 인물 천거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엄혹했다. 누군가의 천거를 받아 관직에 임명된 자가 죄를 범할 경우, 그를 천거한 인물에게도 연좌제를 적용하여 처벌하도록 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던 사회였다. - 吏典 薦擧

그렇기 때문에, 선조는 끝까지 "내가 사람을 잘못 쓴 잘못을 범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싶었던 것이다. 선조의 무리한 보신책은 난 후에 공신도감에서 공신들을 선정할 때도 이어져서, 신하들의 강력한 반대를 억누르고 원균을 일등공신으로 책정하도록 강요하여 결국 관철시켰다.

2. 임란 이후의 조선시대 : '희대의 영웅 이순신'

임진왜란이 무수한 생령을 죽음으로 내몰고 이 강산을 초토화하고 막을 내린 이후, 종전된 지 2년만인 1600년에 임진왜란을 다룬 최초의 문학작품이 세상에 나왔다. 곧 윤계선의 인데, 현재 이 작품은 '한일 양국에서 임진왜란을 문학화한 최초의 본격적인 창작소설'로서 자리매김되고 있다. - 최관, ,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4쪽

은 27명의 임진왜란의 순국 충장들을 다루고 있는데, 가장 먼저 크게 다루어진 영웅이 곧 '대장군 이순신'이다. 전 국민이 전쟁의 진상과 참화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시기에 나온 작품인만치, 그것은 당시 민중들의 평가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된다. 이후 을 비롯하여 임진왜란을 다룬 작품들이 계속 나왔는데, 이순신을 한몸으로 국난을 막아낸 희대의 영웅으로 묘사하는 점에서는 모두 일치한다. 정조 시대에 가서는 왕실에서도 이순신에 대해 최고 최상의 예우를 하고 왕명으로 가 발간되는 등 이순신 현창에 적극 나섰다.

3. 일제시대 : '하늘이 내신 성웅 이순신'

일본에 의해 나라가 멸망하게 되자, 한민족의 들은 새삼 '이순신'에 대해 주목하고 이순신을 민족에게 널리 알리기에 나섰다. 3백년 전에 일본을 통쾌하게 이긴 이순신을 상기함으로써 민족 정기를 북돋으고 사기를 진작시키려는 의도였다.

현재 남아 있는 자료만으로 고찰해도, 당시의 절박감이 생생하게 전해진다. 1905년의 을사늑약으로 일본의 보호국이 되어 독립을 잃자, 박은식 선생은 1907년에서 1908년에 걸쳐서 서우학회(西友學會)의 에 에 대해 썼고 국망 이후에 망명지인 상해에서 이란 제목의 단행본으로 발간했다. 신채호 선생은 1908년에 에 을 연재했다. 나라가 망한 지 3년 만인 1913년에는 수교사(水交社)에서 자신들이 편집한 을 출판했다. 친일파란 비난을 들었던 춘원 이광수조차 지면에 장편소설 을 연재했다.(1931. 6~ 1932. 4)
이 시대에 쓰여진 '이순신전'에 나오는 이순신은 문자 그대로 '성웅'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4. 해방 이후 70년대 말까지 : '하늘이 내신 성웅 이순신'


일제의 잔혹한 식민통치의 고통의 여진이 남아 있던 해방 공간에서도 이순신에 대한 관심과 열기는 여전했다. 일제시대에 쓰여진 여러 저자 여러 판본의 들이 속속 간행되었을 뿐 아니라, 해방 뒤에 새로 쓰여진 이순신전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은상의 (1946), 박태원의 (1948), 김태진의 희곡 (1948), 강남형의 (1953), 최석남의 (1961), 최인욱의 (1970), 강철원의 (1972), 이원수의 (1973)…. 이런 저작물의 공통점은 이순신을 '성웅'으로 자리매김하는 점에서 모두 일치한다. 이러한 흐름은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대통령이 매우 적극적으로 '이순신 현창'에 나선 것과 궤를 같이 하여 더욱 크게 확산되었다.

5. 현대 : 다시 등장한 '명장 원균, 원균의 공을 가로챈 이순신'


박정희 정권이 무너진 직후인 1980년대 초반에 돌연 390년 전에 이순신을 폄훼하던 소리들이 그대로 다시 세상에 나타났다. 울산대 교수인 이정일이 논문 및 잡지 기사를 통해 '원균 명장론'을 제기한 것이다. - , 89집, 1981년 역사학회. , 1982년 12월 - 그는 에 실려 있는 원균 지지파들이 이순신을 폄훼했던 발언들 및 선조가 원균을 극력 두호한 발언과 난 후에 원균이 '일등공신'으로 선정된 사실 등을 근거 삼아 원균은 '불 같은 성미의 저돌적인 용장' 으로서 이순신과 쟁공하던 사이였고, 이순신을 신격화시키는 과정에서 부당하게 악역을 맡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균은 논리적인 타당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순신이 민족적 영웅으로 부각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점 더 악인으로 되어 갔던 것이다"고 주장했다.

1980년대 초반에 그런 주장이 등장했을 때 많은 국민들이 "매우 새롭고도 충격적인 이야기"라고 받아들였다. 특히 대학가에서는 이순신 현창에 매우 적극적이었던 박정희 독재정권에 대한 반감과 반발 때문에 그런 주장을 크게 반긴 학생들이 많았다. 그러나 임진왜란사를 제대로 공부한 사람의 눈에는 그것이 전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었다. 원균의 지지파인 서인의 거두들이 선조 앞에서 거듭 되풀이했던 주장으로서 에서 눈에 익도록 보았던 것이다. 그것은 또한 긴 전란기간 중에 가장 뛰어난 수군 장수로서 조선 최대 최강의 군권을 한 손에 장악하고 있던 이순신을 계속 견제하고 싶어 했던 임금 선조가 그대로 받아 야멸차게 활용했던 소리들이기도 했다.


이정일의 주장이 처음 나온 이래, '원균 명장론'은 논문, 잡지 기사, 소설, 1994년에 상영되었던 KBS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최근 진행되고 있는 KBS 대하드라마 제작 등등…, 여러 장르를 망라하여 거듭되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모두 똑같이 치명적인 맹점이 들어 있다. '원균이 명장'이라면, 무엇보다도 먼저 명장의 이름에 걸맞는 전공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원균은 그의 전 생애를 통해서 독자적으로는 '명장'이라고 불릴 만큼 뛰어난 전공을 거둔 전투가 전혀 없는 무장이었던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그들은 단지 '원균은 이순신과 쟁공하던 사이'라는 이유만으로 "원균은 명장"이었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원균은 앞장서서 나가 잘 싸우고도 이순신에게 전공을 가로챔을 당한 것이기 때문에 "이순신의 전공이 곧 원균의 전공"이라고까지 강변한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거둔 뛰어난 승첩은 모두 이순신의 지휘 아래서 거둔 것이기 때문에, 원균을 명장으로 만들자면 필수적으로 이순신을 폄훼하고 그의 전공을 빼앗아다 원균에게 넘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빚어진 결과이다. 결국 4백년 전에 이순신에게 억울하게 뒤집어 씌워져서 그의 운명을 모질게 뒤틀어놓았던 오명이 현재 똑같이 되풀이되면서 다시 이순신을 욕보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그 뿐이 아니다. '원균 명장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원균을 '명장'으로 만들기 위해서 '원균의 전공'을 새롭게 조작해내고 있다. 그들은 임진왜란때 조선 수군 최초의 승첩은 이순신 함대가 경상도 바다로 진격하여 임진년 5월 7일에 거둔 옥포승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보다 먼저 원균이 전란 초에 독자적으로 경상 우수영 수군을 지휘하여 '적선 10척을 분멸' 또는 '적선 30여 척을 격파'함으로써 최초의 승첩을 거두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김탁환은 거기서 더 나아가 그의 소설 에서 함경도의 여진족 관계 전투 양상과 전공을 모두 조작해내고 '당대의 명장'이라고 불렸던 온성부사 신립과 함경 북병사 이일이 세운 전공을 모두 원균의 전공으로 가로채는 황당하고도 치명적인 역사 왜곡까지 감행했다. 이렇듯 원균에 유리한 것이라면 없는 사실도 만들어내고, 이순신에게 불리한 것은 사실이 아닌 것조차 확대 포장하는 것이 현재 '원균 명장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즐겨 쓰는 서술방식이다.

원균이 살아 있던 당대에 시도된 '이순신 죽이기'는 군권 장악을 둘러싼 갈등과 당파싸움이 개제된 정치적 다툼이 그 원인이었다. 그러나 조선의 군권문제와는 전혀 상관 없는 현대인들이 왜 이처럼 다시 '이순신 죽이기'에 나선 것일까. 그 이유는 극도의 '상업주의' 때문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이미 세상에 정립된 평가인 '훌륭한 이순신'을 말해서는 주목을 끌 수 없기 때문에 새롭게 '사악한 이순신'을 내세워서 독자를 모으려 한다는 것이다. 그런 분석과 견해는 정곡을 찌른 근거와 타당성을 지녔다고 보여진다. 만약 요즘의 '이순신 죽이기'가 순수하게 '역사 바로 알기' 차원에서 진행되는 작업들이라면, 절대로 의도적이고 악의적인 역사 왜곡까지 감행하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II. 1980년대 이후 이순신 폄훼에 가담한 소설들

앞에서 보았듯 1980년대 초반에 머리를 든 '원균 명장론'은 1990년대에 들어와서 소설의 형식으로도 소화되기 시작했고, 대표적인 소설가들로 고정욱과 김탁환을 들 수 있다. 이들이 쓴 소설의 공통점은, 원균측이 이순신에 대해 퍼부었던 비난과 모함들을 모두 진실인 것으로 취급하여 소설의 기본 얼개로 삼고 있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새로운 역사 왜곡까지 서슴지 않는다.

1. 고정욱의 (상/하 전2권, 여백, 1994)

이 소설은 출간 당시 책 표지 및 대대적으로 퍼부은 책광고에다 다음과 같은 문구를 큰 활자로 박아 실어서 세상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원균의 4백년 원혼이 우리를 부른다"
"원균의 공을 가로채고 그 아들까지 모함하는 聖雄 이순신… 밝히고 싶지 않은 역사의 사실입니다"

고정욱이 이 소설에서 시도한 것은 문자 그대로 '원균 명장론'이다. 선조때 나온 원균측에서 이순신을 깎아내리고 원균을 추켜세웠던 말과 주장들이 소설의 기본토대이다. 그 목적을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과 전혀 다른 전개도 서슴지 않는다. 그런 사례의 하나로써, 고정욱이 소설책 표지에서까지 강력 주장했던 "원균의 아들까지 모함하는 성웅 이순신"이란 문구와 관련된 대목을 고찰해 본다.

정유재란이 발발한 직후, 이순신에 대해 제기된 비난 중 하나가 "이순신이 원균을 두고 '원균은 자신의 십여 세 된 첩의 아들까지 군공에 참여시켜 상을 받게 했다'면서 불쾌해 했다"는 것이었다. 그 비난은 당시 이순신을 죽일 죄목을 찾기에 혈안이 되었던 선조에 의해서 '이순신을 죽여야 할 죄 3가지' 중 마지막 세번째 죄로까지 꼽혔었다.

(선조 30년(정유년, 1597) 3월에 당시 투옥되어 고문을 받으면서 취조당하고 있던 이순신을 두고 선조가 '이순신을 죽여야 할 이유'로서 직접 3가지 죄목을 지정해 준 것이 에 실려 있다. 이야기가 난 김에 짚고 가자면, 바로 그 죄목들이야말로 '당시 이순신이 얼마나 원통하게 핍박을 받았으며 얼마나 억울하게 죽을 자리에 몰리고 있었는가' 하는 것을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증거인데, 당시 선조의 말은 이러했다.
"이순신은 조정을 속였으니 무군지죄(無君之罪)요. 적을 좇아 치지 않았으니, 나라를 저버린 죄(負國之罪)요. 남의 공을 빼앗기에 이르러 남에게 죄를 씌웠으니(이것은 원균의 나이 많은 아들을 어린아이라고 하여 공을 가린 글을 올린 일을 가리킨다 - 자체의 주, 작은 글씨로 부기되어 있음), 제멋대로가 아닌 게 없고 어려워 꺼리는 게 없는 죄(無非縱恣無忌憚之罪)이다. 이토록 허다한 죄상이 있으니 법에 부쳐야지, 용서할 수 없다. 마땅히 법에 물어 죽여야 한다. 신하된 자로서 속이는 자는 반드시 죽여야지 용서할 수 없다." ( 선조 30년 3월 13일 계묘조)

현재 '원균 명장론' 주창자들 중 많은 이들이 실록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는 이 3가지 죄목의 해석조차 제대로 못해서 4가지 죄목으로 만들고는 제멋대로 네번째 죄상을 창작해 만들어 붙여서 이순신에게 뒤집어 씌우고 있는 실정이다. 아무튼 한때 이순신의 생사를 가를 뻔했던 죄목들인 만큼 여기서 잠깐 살펴보기로 한다.

첫번째의 '조정을 속였으니 무군지죄(無君之罪)'. 석달 전인 선조 29년 12월 12일에 있었던 부산 왜영 방화사건관계이다. 그날 밤에 부산의 왜영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왜군이 큰 피해를 보았는데, 당시 일본으로 건너가는 사신의 짐을 운반하는 공무로 부산에 갔었던 수군 장수인 거제 현령 안위 등이 돌아와서 통제사 이순신에게 그 대화재에 관한 보고를 하면서 자신들이 은밀히 모의하여 그 일을 이루어 내었다고 보고하자, 이순신이 장계를 올려 그 사건을 임금에게 보고하고는 안위 등에게 포상해주기를 청했다. ( 선조 30년 1월 1일 임진조). 그런데 바로 다음날 삼남 도체찰사로 남쪽에 내려가 있던 우의정 이원익의 지시를 받고 올린 이조좌랑 김신국의 장계가 조정에 도착했는데, 장계의 요지는 "부산 왜영의 대화재는 이원익의 군관이 미리 계획하여 성사시킨 것으로서, 이순신은 그런 내막을 모르고 부하에게서 보고 받은 대로 장계한 것이기에 그 장계에 있는 대로 이순신의 부하들에게 상이 돌아가면 안되고, 이원익의 군관에게 포상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선조 30년 1월 2일 계사조). 바로 이것이 이순신이 '조정을 속인 무군지죄'의 전모이다. 이순신 스스로 만들어낸 일이거나 이순신 자신에 대한 포상 요청이 아니요, 부하의 보고를 믿고 그대로 상주했던 것인데도 불구하고 '이순신이 반드시 죽어야 할 죄'로 꼽힌 것이다.
요즘 첫번째의 '무군지죄'라는 죄목을 두고 새로이 '역적죄'라고 칭하는 논자들이 더러 있는데, 전혀 사실과 맞지도 않고 전혀 가당치도 않은 천부당만부당한 과장이다. 역적죄는 임금을 내치고 국권을 잡는 역모를 꾸미거나 그런 역모를 실제로 실행하다 잡힌 경우에만 붙이는 대죄의 명칭인 것이다. 선조 자신이 '조정을 속임으로써 임금을 무시한 죄'라고 명백하게 규정해 놓았던 죄목과 바꿔치기하여 이순신에게 그런 대죄의 오명을 씌운다는 것은 실로 역사 앞에 죄를 짓는 작태이다. 그런데 김탁환 역시 이순신이 잡혀가는 때를 묘사하는 장면에서 다음과 같이 이순신을 아주 비천하고 비루하게 묘사하면서 이순신에게 '역적죄' 운운하는 오명을 씌우고 있으니 읽기조차 참담하다.


바로 그때 원균이 나대용의 따귀를 올려붙였다. 그리고 백발이 성성한 이순신의 머리를 틀어쥐고 좌우로 흔들어댔다.
"꺼억꺼어억."
이순신이 가래 끓는 소리를 냈다. 천하를 호령하던 통제사의 면모는 사라진 지 오래였다. 지금 그는 그냥 두어도 곧 숨이 넘어갈 것만 같은 시골 촌부에 다름 아니었다.
원균은 이순신을 개처럼 질질 끌고 운주당 섬돌 위로 올라섰다. 오른손에 상방참마검을 쥐고 살이 두툼하게 오른 양볼을 실룩이며 주위를 노려보았다. 장졸들은 얼어붙은 듯 꼼짝도 하지 않았다. 요동하는 것이라곤 그들의 검은 눈동자 속에서 이글거리는 작은 횃불뿐이었다. 원균은 상방참마검을 높이 들고 격문을 읽듯이 어둠에 묻힌 한산도 앞바다를 향해 소리치기 시작했다.
"잘 봐라. 이놈은 임금을 속인 역적이다.(하략)"
( 3권, 340~341쪽)

조선시대에는 반좌법(反坐法)이 엄중하게 시행되었었는데, 그것은 바로 위증이나 무고로 남을 죄에 빠지게 한 자에게 대하여, 피해자가 받은 또는 받을 해와 동일한 정도의 해를 형벌로써 시행하는 제도였다. 그래서 남을 역적죄로 몰았다가 사실이 아님이 들어나면 그 자를 역적죄를 범한 것과 동일한 형량으로 처벌했던 것이다. 지금이 조선시대였다면, '이순신이 역적죄를 지었다'고 주장하는 자들은 모두 역적죄를 처벌하는 극형으로 처벌되었을 것이다.

두번째의 '적을 좇아 치지 않았으니, 나라를 저버린 죄(負國之罪)'는 널리 알려진 대로 적군인 '요시라의 반간계'에 기인한 누명이다.

세번째의 '제멋대로가 아닌 게 없고 어려워 꺼리는 게 없는 죄(無非縱恣無忌憚之罪)'가 바로 고정욱이 말하는 '원균의 아들까지 모함하는 성웅 이순신 운운'에 관련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새롭게 등장한 사건도 아니었다. 이미 삼년 전인 선조 27년 11월에 경연에서 거론되어 "그 일은 원균이 잘못한 일이었다"는 호조판서 김수(金?)의 보고까지 있었던 사건인데( 선조 27년 11월 12일 병술조), 이때 재론되면서 이순신의 죄로 둔갑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사건 또한 이순신으로서는 매우 원통한 오명에 해당했다. 이순신이 문제를 제기했던 것은 분명 '원균의 첩이 낳은 어린 아들'까지 군공자로 올려 상을 받게 한 것이었다. 그런데 당시의 원균측이나 현재의 '원균 명장론' 주장자들은, '원균의 본처가 낳은 장성한 아들인 원사웅'을 내세워서 그 문제 제기를 이순신의 죄악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원균의 공을 가로채고 그 아들까지 모함하는 聖雄 이순신"이라 하여 이순신을 저열한 인격을 가진 자로 모질게 매도하고 야유하는 빌미로 삼고 있다.

고정욱이 에서 이 사건을 다룬 대목은 이렇다.
"이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러 내려간 사람은 이덕형이었다. 그는 공명정대하기로 유명했고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가득한 자였다. …(중략, 주:이 부분에서, 이덕형의 훌륭한 임품을 말해주는 유명한 ‘제호탕’의 일화를 소개)… 그런 이덕형인지라 남쪽으로 내려와 원균과 이순신을 불러다 대질을 할 때 두 사람은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권, 175~176쪽).

고정욱은 "원균의 아들 원사웅은 아버지를 닮아 날카롭고 사나운 용모를 하고 있는 홍안의 용사였다"면서, 이덕형(李德馨) 앞에서 이순신과 원균이 '원균의 아들 문제'로 대질신문을 받고 있는 자리에 원균의 아들 원사웅이 들어오자 이덕형은 "오, 대단한 헌헌장부요"하고 감탄한다. 고정욱은 원사웅까지 등장하여 이순신의 모함을 명백하게 증명해낸 장면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한 뒤에 이렇게 서술했다.

"(이덕형과 원균과 원사웅 앞에서) 이순신은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아무 할 말이 없었다. 확인도 안 해본 소문을 진실로 알고 언급했다가 화를 자초한 것이었다." ( 하권, 177쪽).

이로써 고정욱은 선조 당시 해당 사건에 대한 엄정한 진상조사를 거쳐서 '원균의 아들까지 모함'한 이순신의 죄상이 명백하게 밝혀졌었음을 아주 설득력 있게 보여준 셈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이순신은 원균과 함께 이덕형에게 불려가서 대질심문을 받기는 커녕, 이덕형과 단 한번도 만난 적이 없었음이 다음 해에 이덕형 자신이 쓴 장계의 내용에 의해서 극명하게 밝혀져 있다. 다음은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뒤에, 체찰사(體察使:지방에 전쟁이나 군란이 있을 때 왕을 대신하여 그 지방에 나아가 군사관계 업무 전체를 두루 총찰하던 군직(軍職), 재상이 겸임함)로서 당시 전라도에 내려가서 머물고 있던 좌의정 이덕형이 현지에서 선조에게 올린 장계의 일부이다.


"이순신의 사람됨을 신이 직접 확인해 본 적이 없고 한 차례 서신을 통한 적 밖에 없었으므로, 그가 어떠한 인물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전일에 원균이 그의 처사가 옳지 못하다고 한 말만 듣고, 그는 재간은 있어도 진실성과 용감성은 남보다 못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신이 본도에 들어가 해변 주민들의 말을 들어 보니, 모두가 그를 칭찬하며 한없이 아끼고 추대하였습니다. 또 듣건데 그가 금년 4월에 고금도(古今島)에 들어갔는데, 모든 조치를 매우 잘하였으므로 겨우 3~4개월이 지나자 민가와 군량의 수효가 지난 해 한산도(閑山島)에 있을 때보다 더 많았다고 합니다. 그제서야 그의 재능이 남보다 뛰어난 줄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신은 유제독(劉提督, 주:명나라 육군 제독)이 힘을 다해 적과 싸우려는 뜻이 없다는 걸 간파한 뒤에는, 국가의 대사를 전적으로 수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신이 주사(舟師:수군)에 자주 사람을 보내어 이순신으로 하여금 기밀의 일을 주선하게 하였더니,그는 성의를 다하여 나라에 몸바칠 것을 죽음으로써 스스로 맹서하였고, 영위하고 계획한 일들이 모두가 볼 만하였습니다. 따라서 신은 나름대로 생각하기를 '국가가 주사의 일에 있어서만은 훌륭한 주장(主將)을 얻어서 우려할 것이 없다'라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가 전사하였으니 앞으로 주사의 일을 책임지워 조치하게 하는 데 있어 그만한 사람을 구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참으로 애통합니다. 첩보가 있던 날 군량을 운반하던 인부들조차 이순신이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무지한 노약자라 할지라도 대부분 눈물을 흘리며 서로 조문하기까지 하였으니, 이처럼 사람을 감복시킬 수 있었던 것이 어찌 우연한 것이겠습니까."
( 선조 31년 12월 7일 무오조).

2. 김탁환의 (전4권, 미래지성, 1998)

김탁환은 고정욱보다 한 차원 더 심화된 악의적인 부당한 역사 왜곡을 통해서 '원균 명장론'을 내세우고 있는데, 당연한 결과로 이순신을 매우 비루하고 비열하며 초라하고 유약한 인물로 만들었다. 김탁환의 경우는 다음 장에서 상세하게 고찰한다.


Ⅲ. KBS 대하 드라마 '이순신'의 원작소설들이 지닌 문제


현재 KBS 텔레비전에서는 '이순신이 주인공인 100회짜리 대하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다고 한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그 드라마는 이순신을 다룬 두 개의 소설, 김탁환의 과 김훈의 (전2권, 생각의 나무, 2001)를 원작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이번 KBS의 이순신 드라마 제작작업은 여러 모로 걱정스럽기 그지 없다. 원작인 두 소설 모두 이순신과 원균의 행적과 업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데다가, 더구나 의 경우에는 매우 악의적인 역사 왜곡까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이미 김탁환의 이 원작 중 하나로 선정된 사실 자체에서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바였지만, 보도에 따르면 담당 제작진은 이 드라마에서 "원균은 명장"임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KBS에서는 이미 1994년에도 '원균 명장론'을 기본구조로 한 다큐멘타리를 만들어 방영한 데 이어서, 이번에는 대하 드라마를 통해서 다시 '원균 명장론'의 확산에 나선 것이다.

소설과 달리 공영방송에서 방영되는 대하 역사 드라마는 매우 직접적으로 국민의 역사의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렇게 때문에 더욱이나 악의적인 역사 왜곡을 동원한 이순신 폄훼 작업을 감행해서는 안된다. 현재 일본이 자행하는 여러 분야의 역사 왜곡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로 우려와 통탄을 금치 못하고 있는 판에, 우리 내부에서 스스로 우리 역사를 마구 왜곡하고 훼손하면서 민족의 진정한 영웅을 추하게 일그러뜨리고 욕보여서야 되는가. 이제 원작인 두 소설에서 잘못된 부분들을 지적하여 검증해 보면서, '이순신'의 참모습과 당시 역사의 실체를 냉철하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를 먼저 살펴본 다음에 을 고찰한다.

1. 김훈의

이 소설은 임진왜란 당시에 이순신이 자신의 내면 풍경과 심정을 독백체로 토로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런 소설구조상 실제 역사에 대한 고증을 치밀하게 하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별로 느끼지 않고 쓴 듯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원균을 '명장'이라고 추겨 세우지도 않고 '무능한 악장'이라고 지칭하지도 않는다. 의도적인 역사 왜곡은 없지만, 중요한 고비마다 있어서는 안될 오류들이 있다.

1) 정유재란이 발발한 뒤 이순신이 체포될 때의 정황이 사실과 전혀 다르다. 김훈은 이순신이 체포된 이유로서 '요시라의 반간계'를 거론하고, "나는 즉각 기소되었다. 권률이 나를 기소하고 비변사 문인 관료들은 나를 집요하게 탄핵했다"( 1, 34쪽)고 썼다.
그러나 이순신은 '즉각' 기소되지 않았고, 기소한 자가 '권률'도 아니었으며, 집요하게 탄핵한 이들이 '비변사(備邊司: 중종시대에 변경지방의 방비 업무를 관장하기 위한 임시기구로 처음 설치되었는데 차츰 전국의 군사관계 업무 전체는 물론 국정까지 관장하는 상설의 최고권력기관으로 변하여 고종시대 초기까지 존재했음) 문인 관료들'도 아니었다. 요시라의 반간계가 현안으로 대두하자 조정에서 이 문제를 크게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선조 30년(정유년, 1597년) 1월 23일부터였다. 여러 날을 두고 임금과 신하들 사이에서 통제사직의 개편 등 여러 갈래의 대책이 논의되다가, 2월 4일에 '사헌부'에서 "통제사 이순신을 잡아오게 명하여 율에 따라 죄를 정하게 하라"고 주청한 것이 체포로 이어졌다. ( 선조 30년 1월 23일, 27일, 28일조. 2월 4일조)


2) 체포되던 당시 이순신의 행적 묘사도 부정확하다.

김훈은 "가덕 방면 전투는 헐거웠다. …가덕 해역으로부터 함대를 철수시켜 한산 통제영 모항으로 돌아오자 미리 기다리고 있던 의금부 도사는 선착장에서 나를 묶었다."( 1, 25쪽) 라고 기술했다.


그러나 당시 이순신은 가덕 해역에서만 전투를 한 게 아니었다. 선조 30년 2월에 함대를 이끌고 부산 앞바다까지 나가서 부산의 왜적들을 치고 돌아오는 길에 가덕 바다에 머물러 그 일대의 적을 소탕하고 있다가 체포되었다 ( 선조 30년 2월조, 하권 46쪽, 충무회 발행, 참조). 체포되기 직전인 정유년 2월 10일에 이순신이 수군 단독으로 감행했던 '부산진공작전'은 뒷날 원균의 죽음에도 큰 영향을 미쳤던 바, 그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고찰해 본다.

또한 이순신을 체포한 관원은 '의금부 도사'가 아니라 왕명을 받고 내려갔던 '선전관'이었다. 에는 당시 선조가 직접 내렸던 체포명령이 사관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어서 당시의 실상을 명확하게 밝혀준다.

"(임금이) 김홍미(金弘微)에게 전하여 이르기를, '이순신을 잡아올 때에 선전관에게 표신(標信)과 밀부(密符)를 주어 보내 잡아오도록 하되, 원균과 교대시킨 뒤에 잡아오라고 일러 보내라. 또한 만약 이순신이 군사를 거느리고 적과 싸우고 있으면 잡아오기에 비편(非便)할 것이니, 전투가 끝난 틈을 타서 잡아오라는 말도 함께 일러 보내라'고 하였다." ( 선조 30년 2월 6일 정묘조)


3) 원균의 마지막 전투의 양상과 장소 및 죽은 장소가 사실과 다르다.

김훈은 (권률은) "원균을 불러들여서 곤장 50대를 때려서 칠천량 바다로 내어 몰았다."(?칼의 노래? 1, 35쪽)라며, "하룻밤 하루 낮의 전투였다. 나중에 들으니, 적선 1,000여 척이 방사대형으로 날개를 펴면서 달려들었고, 한산 통제영에서 거제도 앞바다까지 하루 종일 배를 저어온 피곤한 군사들을 원균은 적의 방사형 대열 중앙부에 일자진(一字陣)으로 집중시켰다는 것이다."( 1, 26쪽)고 했다. 원균의 최후에 대해서는 "갑옷마저 잃어버린 원균은 거제도의 산속으로 달아났다. 그는 칼 한 자루도 지니고 있지 않았다. 그는 나무 그늘 아래 주저앉아서 그 뚱뚱한 몸으로 가쁜 숨을 몰아쉬다가 뭍까지 쫓아온 적의 칼을 받았다."고 썼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 실상은 어떠했던가. 당시 도원수 권률이 곤장까지 치면서 수군통제사 원균을 내몬 곳은 '칠천량 바다'가 아니라 '부산 앞바다'였다는 것은 모든 사료들이 일치하게 증언하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다. 물론 전투기간도 '하루밤 하루 낮'보다 길었다. 지도를 보면 금세 알 일이지만, 한산도와 거제도는 바로 이웃한 섬이라서 '하루 종일 배를 저'을 만한 거리가 전혀 아니다. 원균의 함대는 부산 앞바다까지 갔다가 그대로 배를 돌려서 칠천량 바다까지 '하루 종일' 노를 저어왔기에 지쳐서 전투력을 잃었던 것이다.

또한, 원균은 '거제도의 산 속'에서 '칼 한 자루도 지니지 않고' 죽은 게 아니라, '고성 땅'에서 '칼을 지니고' 죽었다. 당시 전투 현장에는 왕명으로 현지에 내려갔던 선전관 김식(金軾)이 있었다. 김식은 조선 수군이 모두 무너질 때 원균과 함께 상륙하여 달아나서 살았는데, 그가 상경하여 임금에게 직접 보고한 당시의 실상은 이러했다.


"…우리의 주사(舟師, 수군)는 한편으로 싸우면서 한편으로 후퇴하였으나 도저히 대적할 수 없어 할수없이 고성 지역 추원포(秋原浦)로 후퇴하여 주둔하였는데 적세가 하늘을 찌를 듯하여 마침내 우리 나라 전선은 모두 불에 타서 침몰되었고 제장과 군졸들도 불에 타거나 물에 빠져 모두 죽었습니다. 신은 통제사 원균 및 순천부사 우치적(禹致績)과 탈출하여 상륙하였는데, 원균은 늙어서 걷지 못하고 맨몸으로 칼을 짚고 소나무 밑에 앉아 있었습니다. 신이 달아나면서 일면 돌아보니 왜노 6~7명이 이미 칼을 휘두르며 원균에게 달려들었는데 그 뒤로 원균의 생사를 자세히 알 수 없었습니다." (?선조실록? 선조 30년 7월 22일조)


4) 이순신이 '장계에 쓴 적병의 숫자가 죽을 죄목'이 아니었다

김훈은 "임진년에 여러 포구에서 이겼을 때, 매번 적병의 숫자를 장계에 써 보낸 것이 지난 정유년에 조정에서 문제가 되었다. 전공을 허위로 보고해서 …그것이 내가 죽어야 할 죄목의 하나였다. 견내량에서 이겼을 때부터 나는 장계에 적병의 숫자를 적지 않았다."( 1, 135~136쪽)고 썼는데, 이 대목도 사실과 다르다.


이순신이 잡혀와 고문을 당하며 조사 받고 있을 때, 선조는 그의 죄에 대해서 직접 명백하게 '3가지 죄목'을 정해 주면서 "죽여야 마땅하다"고 선언했다. 그런데 위에서 보았듯, 그 3가지 죄목 중에 위와 같은 죄목은 전혀 없었다.( 선조 30년 3월 13일조)

2. 김탁환의

이 소설이 지닌 치명적인 문제점은, 저자가 미리 자의적으로 설정해 놓은 이순신과 원균의 캐릭터에 맞추느라 수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의도적이고 악의적으로 왜곡한 것이다.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황당하고도 해괴한 역사 왜곡이 마구 감행되어 있을 뿐더러, 당시의 제도와 그 운용에 대해서도 어두워서 실제와 전혀 다른 묘사도 자주 등장한다. 이 지닌 문제점을 세 단계(어린 시절, 함경도 시절, 임진왜란)로 나누어 고찰한다.

1) 어린 시절

김탁환은 '원균은 명장'이라는 전제 아래, 그의 캐릭터를 사내답고 씩씩하고 호쾌하고 무용이 뛰어난 무장으로 설정했다. 김탁환은 그런 설정에 맞추기 위해서, 아예 원균의 어린아이 시절부터 왜곡하기 시작했다. 원균은 이순신과 유성룡과 함께 어렸을 때부터 서울 건천동의 한 동네에서 자라면서 아이들의 대장노릇을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열두 살인 원균이 열 살인 유성룡과 이요신(이순신의 형)의 도전을 받아들여 전쟁놀이를 하는 장면을 만들어 넣었다. 전쟁놀이의 결과, 원균은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그 결과 유성룡과 이요신은 원균의 앞에 꿇어앉아 눈물을 훔치고, 추운 겨울날임에도 불구하고 원균이 명에 따라 바지를 벗어 엉덩이를 드러내야 했으며, 바지를 안 벗으려고 버티다가 강제로 옷을 찟기고 있는 일곱살 짜리 약골인 코흘리개 이순신을 구하려 나섰다가 유성룡이 원균에게 죽도(竹刀)로 심하게 맞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 1, 240~242쪽).

이 대목은 그냥 읽는 재미를 주기 위해 만들어 넣은 것이 아니다. 뒷날 유성룡이 원균의 벼슬길을 막아대서 원균이 출세하지 못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일부러 설정되어 있는 장면이다. 에는 유성룡이 어린 시절에 그렇게 당한 원한으로 훗날 원균의 벼슬길을 계속 모질게 가로막았기 때문에 원균의 출세가 늦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런 대목이 나온다.

유성룡, 이놈! 네놈이 나와 무슨 원수를 졌기로 내 앞을 이다지도 가로막는단 말이더냐.
원균의 눈에서 불꽃이 일었다. 참으로 질긴 악연이 아닐 수 없었다.

사십여 년 전, 건천동에서의 나날들이 눈에 선했다.
작고 볼품없는 죽도를 휘두르며 저잣거리를 달리는 아이들, 긴 댕기머리를 휘돌리며 진흙탕을 뒹굴고 감나무를 오르는 아이들, 글공부보다 들판으로 질주하기를 더 좋아하는 아이들, 머리통 하나는 더 큰 체구에 우렁찬 목소리를 가진 원균은 그 아이들의 대장이었다.

찬바람이 쌩쌩 부는 겨울날, 이요신과 유성룡이 원균에게 도전장을 냈다. 열두 살의 원균은 이제 겨우 열 살을 넘긴 그들의 제의를 흔쾌히 받아들였다.
( 1, 240쪽)

그러나 이런 설정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유성룡의 연보에 따르면, 유성룡은 ..년에 경상도 의성의 외가에서 태어나서 고향에서 자라다가 13세때인 갑인년에 서울로 와서 동학(東學: 서울에 있던 사학의 하나로서 동부에 있었음)에서 과 을 강독(講讀:글의 뜻을 설명하고 토론하면서 읽음)했다. 당시 조정에서 처음 과거보는 유생들에게 모두 사학(四學)에서 과 을 강독하게 한 데 따른 것이었는데, 유성룡은 이때 동학에 다니면서 강독에 참여하여 강관(講官)으로부터 "반드시 큰 학자가 될 것이다"라는 말로 크게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니 김탁환의 에 나오는 것처럼, 유성룡이 10세 때 원균과 전쟁놀이를 하다가 져서 바지를 벗기우고 또 죽도로 맞은 것 때문에 원균에게 두고두고 원한을 품은 나머지 원균의 벼슬길까지 막는 일 같은 것은 애당초 있을 수조차 없었다.

그렇다면 유성룡이 서울에 올라온 13세때의 일이라면 가능했을 것인가를 살펴보면, 그래도 김탁환의 식의 그들의 어울림은 불가능하다. 앞에서 보았듯, 유성룡의 경우, 그가 서울에 올라와서 동학에서 강독에 참가하여 과거공부를 하던 중이니 원균과 전쟁놀이를 하며 엉덩이를 까내린다는 일은 전혀 가당치 않다. 또한 원균의 경우라 해도 그 때는 원균의 나이 15세일 때니, 동네 조무라기들과 전쟁놀이를 하며 남의 바지를 까내리게 할 때는 이미 지난 때인 것이다.

더구나, 사료를 살펴 보면, 유성룡이 전쟁놀이에서 져서 모욕을 당하고 죽도로 맞았던 원한으로 원균의 벼슬길을 막았다는 것은 전혀 근거없는 왜곡이다. 그 근거가 명확하게 에 들어 있다. 원균이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바로 전 해에 전라좌수사로 임명되었다가 파면된 일과 관련된 사안이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전라좌수사 원균은 전에 수령으로 있을 적에 고적(考績)이 거하(居下)였는데, 겨우 반년이 지난 오늘 좌수사에 초수(超授)하시니 출척권징(黜陟勸懲)의 뜻이 없으므로 물정이 마땅치 않게 여깁니다. 체차를 명하시고 나이 젊고 무략(武略)이 있는 사람을 각별히 선택하여 보내소서."
하니, 아뢴 대로 하라고 답하였다.
( 선조 24년 2월 4일 신미조)


이런 의 기록으로 보아, 원균은 전에 어느 지방의 수령으로 있다가 평가가 나빠서 파면되었고, 파면 된 지 반년 뒤인 이때에 품계를 뛰어올린 승진인 전라좌수사직 임명을 받았다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간원이 원균의 전라좌수사 임명을 반대한 논거는 '원균 자신이 수령으로서 거둔 나쁜 성적' 때문이었고 그 반대를 선조가 받아들인 것이었다. 그러니, 원균의 출세를 막은 것은 원균 자신의 과거 행적이었을 뿐, 결코 '유성룡이 어렸을 때 맞으면서 품은 원한 때문에 원균의 앞길을 가로막은 탓'이 아니었다.

아무튼 원균의 뒤를 이어 새로 유극량이 전라좌수사직에 임명되었다가 그도 사헌부의 논계에 의해 2월 8일자로 파면되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 다시 임명된 장수가 이순신으로서 그 직을 지니고 임진왜란을 맞았던 것이다.




---------------------------------------------------

조선왕조 실록의 선조 임금 당시 사관이 직접 기록한 내용



사신은 논한다.
한산(칠천량 해전)의 패배에 대하여 원균은 책형(쾛刑)을 받아야 하고 다른 장졸(將卒)들은 모두 죄가 없다.

왜냐하면 원균이라는 사람은 원래 거칠고 사나운 하나의 무지한 위인으로서 당초 이순신(李舜臣)과 공로 다툼을 하면서 백방으로 상대를 모함하여 결국 이순신을 몰아내고자신이 그 자리에 앉았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일격에 적을 섬멸할 듯 큰소리를 쳤으나, 지혜가 고갈되어 군사가 패하자 배를 버리고 뭍으로 올라와 사졸들이 모두 어육(魚肉)이 되게 만들었으니, 그때 그 죄를 누가 책임져야 할 것인가.

한산에서 한 번 패하자 뒤이어 호남(湖南)이 함몰되었고, 호남이 함몰되고서는 나랏일이 다시 어찌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 시사를 목도하건대 가슴이 찢어지고 뼈가 녹으려 한다.




--------------------------------------------------------------------------



이순신 연구가 중에 최석남 장군이란 분이 계십니다. 예비역 육군 장성 출신인데, 수십년간 이순신 연구한 분이죠. 원균의 가장 큰 잘못은 그나마 잘싸우던 다른 장수(이순신)을 모함하고 시기했다는 것이죠. 그런 원균의 잘못을 뒷받침한게 바로 선조이니, 선조에게 불똥이 튄 것이죠. 이 분이 이순신을 연구하다가, 결국 선조를 극도로 혐오하게 됩니다. 결국 최석남 장군의 그의 여러 저서에는 원균 뿐 아니라 선조에게도 거의 저주를 퍼붓게 되지요.



이순신 VS 원균의 대립이, 엉뚱하게 선조로 번지게 되자, 이에 대한 전주이씨(선조도 당연 전주이씨)문중의 반격이 바로 원균정론(이재범 저, 저자는 전주이씨 종약원 전례이사 출신)이죠. 선조를 옹호하기 위해선, 원균을 띄워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된 겁니다.



이런 주장이 나오게돠자, 수백년간 숨죽이고 있던 원주 원씨 문중에서도 조직적으로 원균을 옹호하게 됩니다. 여기에, 국문학자 한명이 이걸로 박사학위 논문을 받은후 언론에 그의 주장이 자주 소개되고, 소설가 한명도 이런 주제로 소설을 쓰게되어 일반인들에게도 원균 재평가론이 널리 알려지게 되죠.



그리고, 이런 재평가론이 쉽게 수용된데는 이데올로기적 문제도 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박정희는 이순신 교도라고 할만큼 열렬한 이순신 숭배자였습니다. 순수한 입장에서 박정희의 독재를 반대했던 민주화 세력, 나아가 현재의 남한의 좌파 및 진보세력까지도 박정희를 너무 혐오하다 보니, 박정희가 존경했던 이순신까지 폄하하고 공격하게 된거죠. 요즘은 마치 이순신을 평가절하하고, 원균을 재평가하는 것이 무슨 영웅화, 우상화를 배격하고, 객관적 역사인식을 위한 옳은 길인것처럼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제대로 공부하지도 않고 하는 이야기들입니다.


역사란 것은 원래 다양한 시각으로 조망해볼 필요가 있지만, 원균 재평가론은 시간 낭비에 가깝습니다. 일반적인 것보단 신기하고 특이한 것을 좋아하는 무리들이나, 광적인 박정희 혐오증에 빠진 인간들의 수작에 불과합니다. (박정희는 물론 잘못된 행동도 많이 했으므로 그를 비난하는 것은 자유이나, 이순신 우상화나 멸사봉공의 강조가 독재 이데올로기로 연결된다고 보고 이순신까지 폄하하려는 것은 지나친 행동입니다)


당초 조선 중기 이후의 역사 기록은 당파적 입장에 따라 사실 서술과 평가가 오락가락합니다. 원균재평가론이란 그런 것들중에 이순신에게 불리하고 원균에 유리한 것 (결국 당시에 원균이 이순신을 모함하던 내용 및 그런 원균의 입장을 지지한 서인 세력 중 일부의 주장)만 편파적으로 긁어모아 이순신을 비난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어차피 이순신 vs 원균 논쟁은 역사가 이미 결론을 내린 주제입니다. 이덕형, 이항복 같은 이순신과 정치적 당파가 다른 인물들까지도 결국 나중엔 이순신을 찬양하게 됩니다. 실록에 따르면 임진왜란 당시 인물중에 사후 일반 백성들이 대성통곡을 하고 문상을 했던 인물은 두명입니다. 한분은 유성룡이고, 또 한분은 이순신이죠. (두분다 굳이 따지자면 남인 계열인데, 선조실록 및 선조수정 실록을 편찬한 인물은 북인과 서인이니 백성들이 통곡했다는 기록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임) 임금을 속이고 역사기록을 조작할 수는 있어도 백성들을 속이지는 못하지요. 결국 정조대에는 이충무공전서가 발행되면서 이 문제에 대한 조선 조정의 공식적 입장도 정리가 되었다고 봐야겠지요.



여기까지 펀글..
~~~~~~~~~~~~~~~~~~~~~~~~~


개인적으로, 조선 왕조 실록의 이순신과 원균 관련 글을 아무리 읽어보아도,

원균 옹호론을 내세울 근거가 없다.



선조가 직접 이순신을 잡아들이고, 원균을 통제사로 명해서 칠천량 패전 이후에도 원균을 옹호하는 발언을 여러번 하는데..



저기 선조를 비난한 예비역 장군의 의견이 아니더라도..

왜란 최고의 무능력자는 첫째, 선조 임금이요. 둘째, 원균이다.



권율을 비난하는 사람도 많은데.. 개인적으로 그의 공은 인정해야 할 것으로 본다.

원균에 대해 아무 생각없이 있었는데, 조선왕조 실록 읽으면 읽을 수록 원균의 무능력함을 알게되는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다만, 선조와 권율이 한산쪽으로 출병을

밀어붙였지만, 적의 계책에 완전히 빠져 독단적으로 쓰시마 섬가까이 들어갔다 도망가다 전멸시킨 원균의 무능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참고로, 조선 후기에 와서도 상소문 등에 원균 무능력자 지칭하는 내용이 계속 나온다. 암행어사 박문수도 상소문에서 원균과 이순신을 비교한 글이 있다.



원균이 같은 병력을 맡으면 연전 연패, 이순신이 맡으면 연전 연승..

요지는 지휘관을 잘 뽑아야 한다는 것..



굳이 이순신과 비교하지 않더라도 원균은 능력에 맞지 않는 보직에 앉은 것 때문에(재대로 기용하지 못한 선조 임금의 실책) 역사적으로 저평가 될 수 밖에 없다


[연합뉴스] 2004-09-01 07:10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싸움이) 한창 급하다.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 지 말라(前方急 愼勿言我死)" 출판가에 '이순신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어수선한 시대, 영웅을 바라는 대중의 심리에다 드라마(KBS '이순신')와 영화( 싸이더스 제작 '천군')의 방영 및 개봉을 앞두고 출판사들의 판매전략까지 가세, 이 순신 관련서들이 잇따라 출간되고 있는 것.

이미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생각의나무刊), 김탁환 한남대 문예창작과 교수 의 '불멸의 신화'(황금가지刊), 현역 해군소령 이민웅(해군사관학교 교수)의 '임진 왜란 해전사'(청어람미디어刊) 등이 시중에 쏟아져나와 대형서점에는 '이순신 코너' 가 따로 마련돼 있을 정도.

이번에는 춘원 이광수(1892-1950)가 지은 '이순신'을 현대어로 풀어쓴 책이 나 온 데 이어 '난중일기'의 번역서 두 권도 거의 동시에 출간됐다.

'이순신'(청포도刊)은 이광수가 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했던 역사소설의 고전.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소설인데도 군관에서 말단 수병에 이르기까지 작품 속 등장 인물이 모두 실존인물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임진왜란은 당연히 조선과 왜국의 대결이었는데, 이광수가 이를 ' 이순신 대 원균 등 이순신을 모함한 장수와 대신들'의 대립구도로 바꾸어 놓았다"는 김탁환 교수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청포도의 최병로 편집위원이 그간 제대로 연구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던 이순신 휘하 직속군관 13명에 대한 인물지(人物誌)를 직접 써 추가했고, 1932년 초간본을 중심으로 난해한 문장을 알기 쉬운 요즘 말로 고쳐쓰는 작업도 맡았다.

출판사 관계자는 "저자가 사망한 지 50년이 지났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는 없다" 고 밝혔다. 374쪽. 9천원.

'임진년 아침이 밝아오다-난중일기'(서해문집刊)와 '평역 난중일기'(행복한책읽 기刊)는 모두 이순신의 생생한 숨결이 스며있는 육필일기 '난중일기' 원문을 최대한 가감 없이 번역한 책이다.

'오래된 책방' 시리즈의 7번째로 나온 '임진년...'은 송찬섭 한국방송통신대 문 화교양학과 교수가 옮겼다. 424쪽. 1만1천700원.

'평역 난중일기'는 김경수 청운대 교양학부 교수가 번역했다. 384쪽. 1만2천500 원. 두 권 모두 상세한 설명과 삽화 등을 곁들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순신 재조명 작업이 활발해지면서 이순신을 전라좌수사로 천거했던 서애 유성 룡(1542-1607)도 덩달아 부각되고 있다.

'憂國(우국)의 향기'(대현문화사刊.전2권)는 조선 시대 명재상으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유성룡을 다룬 역사소설.

실화소설 '실미도' 등을 출간했던 저자 이수광씨는 유성룡의 '징비록'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서애의 일생을 재구성했다. 각권 320쪽. 8천500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제가 하는 이야기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의 정보를 바탕으로 합니다..
선조실록은 북인들이 실세였던 광해군때 편찬되었고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물러난 후 실세가 된 서인정권은 선조실록의 불만스러운 부분을 수정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선조수정실록 입니다. 그런데 수정을 한 사람들이 이순신 집안의 사람이라고 합니다..
보통 우리는 원균이 나쁘고 이순신이 착하다고 배웠죠?
사실은 조금, 아니 많이 너무많이 다릅니다.
원균이 어려움에 처해서 이순신에게 원군을 청하는데 이순신은 도경계를 넘어서 군사이동을 할 수 없다면서 원군을 보내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정에서 명이 떨어져서 두 장수가 합전을 벌여왜군을 이깁니다. 그런데 이순신이 자신과 자기 부하들의 공을 부풀려 보고했다고 하는군요... 이 때부터 두 장수의 감정은 깊어졌다고 합니다. 또 원균은 공격형, 이순신을 지략형으로 싸워서 원균은 이순신이 전투를 피한다고 말하게 되죠.. 이순신이 삼도수군 통제사가 되고서 1597년 정유재란때 까지 별일없이 지내다가... 도원수와 체찰사가 이순신에게 왜적을 공격하라고 재촉하는데 이순신은 왕자가 와서 공격을 하라고 했을 때도 공격을 하지 않습니다... 왕과 대신들의 눈밖에 나기 시작한후 어느날. 일본에는 가등청정과 소서행정이 있었는데 소서행정의 심복 요시라를 시켜서 가등청정이 부산 앞바다를 지날 것인데 그 때를 이용해서 제거하라는 이야기를 경상병사 김웅서에게 흘려서 김웅서가 이순신에게 그것을 보고하는데 이순신은 왜놈들 말을 곧이 믿을 수 없다면서 흘려듣습니다... 그런데 그 정보가 사실이라는 것이 밝혀져서 확실이 찍히고 말죠...
어느날 이순신이 부산왜영을 공격해서 불바다를 만들었다는 장계가 올라온 후 얼마 안 있어 군관 정희원이 자신의 부하와 왜영을 공격한 것이 사실이라는 장계가 올라옵니다.. 공을 가로 챈 거죠... 원균에게는 아들이 있었는데, 원사웅이라고 합니다... 그 원사웅이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는 소식이 들리자 이순신이 원사웅은 12살 밖에 안돼었는데 무슨 공이냐 고 말했는데 원사웅이18살로 밝혀져서 이순신은 완전히 대신들의 눈밖에 나게 되는 거죠..;.

그럼 이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李舜臣

1545(인종 1)~1598(선조 31).

조선 선조 때의 명장.


이순신 영정, 이상범이 제작했으며 1932년 6월 현충사 중건 ...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지내며 임진왜란으로 나라가 존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바다를 제패함으로써 전란의 역사에 결정적인 전기를 이룩한 명장이며, 모함과 박해의 온갖 역경 속에서 일관된 그의 우국지성과 고결염직한 인격은 온 겨레가 추앙하는 의범(儀範)이 되어 우리 민족의 사표(師表)가 되고 있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출생과 가족관계

아버지는 정(貞)이며, 어머니는 초계변씨(草溪卞氏)이다. 그의 가문은 고려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이돈수(李敦守)의 후손으로 조선에 들어와 7대손 변(邊)이 영중추부사와 홍문관대제학을 지내는 등 주로 문관벼슬을 이어온 양반계급의 집안이었으나, 할아버지인 10대손 백록(百祿)이 기묘사화의 참변을 겪게 된 뒤 아버지 정도 관직의 뜻을 버리고 평민으로 지내 가세도 기울어져 있었다. 1545년 3월 8일(양력 4월 28일) 당시 한성부 건천동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나 어머니의 엄격한 가정교육하에서 성장했다. 그의 전몰 후 정경부인(貞敬夫人)의 품계에 오른 보성군수 진(震)의 딸인 부인 상주방씨(尙州方氏)와의 사이에 회()·열()·면() 등 3형제와 딸을 두었고, 서자로 훈(薰)·신(藎) 그리고 2명의 딸을 두었다. 노량해전에 참전했던 회는 현감, 열은 정랑(正郞)이었으며 면은 난중에 왜적과 싸우다 전사했고, 훈과 신은 무과에 올랐다. 두 형이 모두 죽었기 때문에 이순신은 또한 조카들을 친자식과 같이 극진하게 대했다고 한다.

무과급제와 초사(初仕)시절

22세에 무예를 배우기 시작하여, 28세 되는 1572년(선조 5) 훈련원별과(訓鍊院別科)에 응시했으나 달리던 말이 넘어지며 낙마하여 왼쪽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어 등과에 실패했다. 그뒤 1576년 봄 식년무과에 급제하여 그해 12월 귀양지로 여기던 함경도 동구비보(童仇非堡)의 권관(權管)으로 부임했다. 1579년 2월 귀경하여 훈련원봉사가 되었고, 그해 10월에는 충청병사의 막하 군관으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7월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가 되었다. 1582년 1월 군기경차관 서익(徐益)이 발포에 와서 군기를 보수하지 않았다고 무고하여 첫번째로 파직되었으나 그해 5월 다시 임명되어 훈련원봉사가 되었다.

1583년 7월 함경남도병사 이용의 막하 군관으로 전근, 10월 함경북도 건원보(乾原堡) 권관으로 오랑캐 토벌에 공을 세워 11월에 훈련원참군이 되었으나 15일에 아버지가 죽자 휴관했다. 1586년 1월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에 임명되었다가 북방 오랑캐들의 침범이 있자 16일 만에 다시 함경도 조산보병마만호(造山堡兵馬萬戶)로 천거되었다. 이듬해 8월에는 녹둔도둔전관(鹿屯島屯田官)을 겸하고 있을 때 섬의 방비를 위하여 증병을 요청했다. 그러나 병사 이일(李鎰)은 이 청을 들어주지 않았고 오랑캐의 습격을 당하여 패한 죄로 하옥되었다. 1589년 2월 전라도순찰사 이광(李洸)의 군관이 되었고, 또 순찰사의 주청으로 조방장(助防將)을, 이어 11월에는 선전관도 겸직하게 되었으며 12월에는 정읍현감이 되었다. 이듬해 고사리진병마첨절제사(高沙里鎭兵馬僉節制使)·만포진수군첨절제사(滿浦鎭水軍僉節制使)에 임명되기도 했으나, 모두 대간들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591년 2월 진도군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 전에 다시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임명되어, 2월 13일 정읍을 떠나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지금의 여수)에 부임했다. 유성룡(柳成龍)은 이미 이이(李珥)가 이조판서로 있을 당시 이순신의 이름을 소개한 바 있었으나, 이순신은 이이가 자기와 성씨가 같은 문중이라 하여 그의 재직시에 찾아가기를 사양했다 한다. 부임 후 왜구의 내침을 염려하여 바로 영내 각 진의 군비를 점검하는 한편, 후일 철갑선(鐵甲船)의 세계적 선구(先驅)로 평가될 거북선[龜船]의 건조에 착수했다.

임진왜란 때의 행적

전라좌수사의 취임 이듬해인 1592년 3, 4월경에는 새로 건조한 거북선에서 지자포(地字砲)와 현자포(玄字砲)를 쏘는 것을 시험하고 있었다. 이와 거의 때를 같이하여, 1592년 4월 13일 일본군 병력이 도합 2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의 침략전쟁인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그는 "왜선 90여 척이 부산 앞 절영도에 와 닿았다"는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의 통첩과 "왜선 350여 척이 벌써 부산포 건너편에 와 닿았다"는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의 공문을 받은 즉시로 장계를 올리고, 순찰사와 병사, 그리고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등에게 공문을 보냈다(4.15). 경상좌우도 수군은 왜군의 부산 상륙을 보면서도 전혀 싸우지 않았다. 전의를 상실한 원균은 배와 화포와 군기를 미리 바다에 침몰시켜 버렸다고 한다(〈징비록 懲毖錄〉). 원균은 비장 이영남(李英男)의 책망으로 전라좌도 수군의 구원을 청했으나, 이순신은 맡은 바 경계가 있음을 이유로 영역을 넘어 경상도로 출동하기를 주저했다. 그러나 사태가 위급해지자 그는 광양현감 어영담(魚泳潭), 녹도만호 정운(鄭運) 등 막하 장령들의 격렬한 찬반논의와 그들의 소신을 확인한 끝에 출전의 결단을 내렸다. 4월 27일에 올린 〈경상도 구원에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赴援慶尙道狀)〉에서 '같이 출전하라는 명령'(往偕之命)을 내릴 것을 주청했다. 그로부터 전라좌도의 수군, 즉 이순신 함대는 경상도 해역에 전후 4차의 출동을 감행하여 크고 작은 10여 회의 잇따른 해전에서 연전연승했다.

제1차 출전으로 5월 4일 새벽 전선(戰船:판옥선) 24척과 협선(挾船) 15척 등 모두 85척의 함대를 이끌고 출동, 5월 7일 옥포(玉浦)에 이르러 3회의 접전에서 왜선 40여 척을 섬멸하는 큰 승리를 거둠으로써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서되었고, 제2차 출전인 5월 29일 사천해전(泗川海戰)에서 적탄에 맞아 왼쪽 어깨에 중상을 입었으나 그대로 독전(督戰), 6월 5일의 당항포해전(唐項浦海戰) 및 6월 7일의 율포해전(栗浦海戰) 등에서 모두 72척의 적선을 무찔러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승진되었다. 제3차 출전인 7월 8일의 한산해전에서는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安治]의 일본함대를 견내량(見乃梁:지금의 거제군 시등면)에서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 학익진(鶴翼陣)의 함대 기동으로 급선회하여 일제히 포위 공격함으로써 적선 73척 중 12척을 나포하고 47척을 불태워 이 공으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으며, 이어 7월 10일의 안골포해전(安骨浦海戰)에서는 적선 42척을 분파했다 (→ 색인 : 한산도대첩). 일본수군은 전의를 상실하여 바다에서는 싸우려 하지 않았다. 제4차 출전으로, 9월 1일 부산포(釜山浦)를 습격하여 적선 100여 척을 격파함으로서 치명상을 입혔다. 1593년 7월 14일 본영을 여수에서 한산도로 옮겼으며, 8월 15일에는 수사의 직에 더하여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었다. 한편 호남으로 들어오는 피난민들을 돌산도(突山島)에 입주하게 하는 등, 민생문제의 해결과 장기전에 대비한 둔전(屯田)을 조직적으로 추진했다. 1594년 3월 4일 2번째 당항포해전에서 적선 8척을 분파하고 9월 29일의 장문포해전(長門浦海戰)에서는 적선 2척을 격파했으며, 10월 1일의 영등포해전에서는 곽재우(郭再祐)·김덕령(金德齡)과 약속하여 장문포의 왜군을 수륙으로 협공했다.

1595년 2월 27일 조정에서는 이순신과 원균사이의 불화를 염려하여 원균을 충청병사로 전직시켰으나, 이듬해 원균의 중상과 모함이 조정 내의 분당적(分黨的) 시론에 심상치 않게 파급되고 있었다. 11월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막하 간첩 요시라(要時羅)는 경상우병사 김응서(金應瑞)를 통하여 도원수 권율(權慄)에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오래지 않아 다시 바다를 건너 올 것이니, 그날 조선수군의 백승의 위력으로 이를 잡지 못할 바 없을 것인즉……" 하며 간곡히 권유했다. 이 요시라의 헌책(獻策)이 조정에 보고되자, 조정 또한 그의 계책에 따를 것을 명했다. 1597년 1월 21일 도원수 권율이 직접 한산도에 와 요시라의 헌책대로 출동 대기하라고 명을 전했으나, 이순신은 그것이 왜군의 간계(奸計)임을 확신했기 때문에 출동하지 않았다. 도원수가 육지로 돌아간 지 하루 만에 웅천(熊川)에서 알려오기를 "지난 정월 15일에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 장문포에 와 닿았다"고 했다. 일본측 기록에는 정월 14일(일본력 1.13) 서생포(西生浦:울산 남쪽)에 상륙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왜장은 도원수 권율이 독전차 한산도에 내려온 것보다 6일전에 이미 상륙했던 것이다. "왜장을 놓아주어 나라를 저버렸다"는 비열한 모함으로 파직된 이순신은 군량미 9,914석, 화약 4,000근, 재고의 총통(銃筒) 300자루 등 진중의 비품을 신임 통제사 원균에게 인계한 후, 2월 26일 서울로 압송되어 3월 4일 투옥되었다. 가혹한 문초 끝에 죽이자는 주장이 분분했으나, 판중추부사 정탁(鄭琢)이 올린 신구차(伸救箚:구명 진정서)에 크게 힘입어 도원수 권율 막하에 백의종군(白衣從軍)하라는 하명을 받고 특사되었다. 4월 1일 28일간의 옥고 끝에 석방된 그는 권율의 진영이 있는 초계로 백의종군의 길을 떠났다. 아산에 이르렀을 때 어머니의 부고를 받았으나 죄인의 몸으로 잠시 성복하고 바로 길을 떠나야만 했다.

한편 원균이 이끄는 조선함대는 7월 16일 칠천량(漆川梁)에서 일본수군의 기습을 받아 참패했다. 배를 버리고 육지로 피신한 원균은 왜병의 추격을 받아 살해되었다 한다. 이번에도 김응서 및 권율을 경유한 요시라의 같은 계략이 적중한 것이었다. 정유재침의 다급한 사태에 엄청난 파탄이 초래되었으나, 조정은 속수무책이었다. 자청하여 수군 수습에 나선 그는 8월 3일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었고, 칠천량에서 패하고 온 전선들을 거두어 재정비함으로써 출전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사대문궤 事大文軌〉 권24의 〈명량대첩 장계초록〉에 의하면 8월 24일 어란(於蘭) 앞바다로 12척을 이끌고 나왔는데, 명량해전(鳴梁海戰) 당일에는 13척이 참전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8월 29일 명량(속칭 울두목)의 문턱인 벽파진(碧波津)으로 이진, 9월 15일에 우수영 앞바다로 함대를 옮긴 후에 각 전선의 장령들을 소집하여 "병법에 이르기를, 죽고자 하면 오히려 살고 살고자 하면 도리어 죽는다(必死則生 必生則死) 했거니와,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킴에 넉넉히 1,000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라고 엄달했다. 9월 16일 이른 아침 명량해협으로 진입한 적선 200여 척과 사력을 다하여 싸워 일본수군의 해협 통과를 저지했다. 일본군은 패전 후 웅천으로 철수했다. 조선수군이 일본수군의 서해 진출을 결정적으로 저지하여 7년 전쟁에 역사적 전기(轉機)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임진년의 '한산도대첩'과 정유년의 ' 명량대첩'은 그 전략적 의의를 같이하고 있으나, 명량해전은 박해와 수난과 역경을 극복한 이순신의 초인적 실존(實存)으로 치러진 것이기에 그 의의가 더 크다. 명량대첩으로 선조는 이순신에게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서훈하려 했으나 중신들의 반대로 중지되었다. 10월 14일 셋째 아들 면이 아산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했다는 부고가 온 뒤로부터는 심신의 쇠약이 더해지며 자주 병을 앓게 되었다. 1598년 2월 18일 고금도(古今島)를 본거지로 선정하여 진영을 건설, 피난민들의 생업을 진작시켰다. 7월 16일에는 명나라 수군도독 진린(陳璘)이 수군 5,000명을 거느리고 와 조선수군과 합세했다.

8월 19일(일본력 8. 18),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죽자 왜군은 일제히 철군을 시작했다. 순천에 있던 고니시 유키나가는 진린과 이순신에게 뇌물을 보내며 퇴각로의 보장을 애걸했으나, 이순신은 '조각배도 돌려보내지 않겠다'(片帆不返)는 결연한 태도로 이를 물리쳤다. 조·명연합함대는 11월 18일 밤 10시쯤 노량으로 진격, 다음날 새벽 2시경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소오 요시토모[宗義智], 다치바나 도오도라[立花統虎] 등이 이끄는 500여 척의 적선과 혼전난투의 접근전을 벌였다. 치열한 야간전투가 계속되는 동안 날이 밝기 시작했다. 이 마지막 결전이 고비에 이른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새벽, 이순신은 독전중 왼쪽 가슴에 적의 탄환을 맞고 전사했다. "싸움이 바야흐로 급하니, 내가 죽은 것을 알리지 말라"고 당부하며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이순신의 전사에는 의자살설[擬自殺說]이 남게 되었다. 즉 그것은 마지막 싸움인 노량해전에서 '투구를 벗고 선봉에 나섰다'는 전설과 더불어 7년 전란에 위태로운 전투를 몇 십 회나 치르면서도 그 뛰어난 전략과 전술로 한번도 패함이 없었던 그가 자기 몸을 보전하려 했다면 얼마든지 가능했을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에서 발단된 것이다). 노량해전의 전과에는 몇 가지 기록이 엇갈리나, 태워버린 적선이 200여 척, 적병의 머리가 500여 급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순신의 상여는 마지막 진지였던 고금도를 떠나 12월 11일경에 아산에 도착, 이듬해인 1599년 2월 11일에 아산 금성산(錦城山) 밑에 안장되었으나, 전사 16년 후인 1614년(광해군 6) 지금의 아산시 음봉면(陰峰面) 어라산(於羅山) 아래로 천장(遷葬)했다. 전사 후 우의정이 증직되었고, 1604년 10월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녹훈되고 풍덕부원군(豊德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1643년(인조 21) 충무(忠武)의 시호가 추증되었고, 1704년 유생들의 발의로 1706년(숙종 32) 아산에 현충사(顯忠祠)가 세워졌다. 1793년(정조 17) 7월 1일 정조의 뜻으로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 1795년에는 역시 정조의 명에 따라 〈이충무공전서 李忠武公全書〉가 규장각 문신 윤행임(尹行恁)에 의해 편찬, 간행되었다.

인품과 문학

이순신은 초상화가 없기 때문에 그의 풍모를 짐작할 수가 없다. 유성룡은 〈징비록〉에서 "순신은 말과 웃음이 적은 사람이었고, 그의 바르고 단정한 용모는 수업근신하는 선비와 같았으나, 내면으로는 담력이 있었다" 하여 그의 인품과 용모를 전하고 있다. 한편 이순신의 진(陣)에 머문 일이 있는 고상안(高尙顔:당시 삼가현감)이 그의 언론과 지혜로움에 탄복하면서도, 그의 용모에서 '복을 갖추지 못한 장수'(非福將也)로 느끼고 있는 것은 매우 인상적이다(〈泰村先生文集〉 권3). 수개월간 진을 같이했던 진린은 '이순신은 천지를 주무르는 재주와 나라를 바로잡은 공이 있다'(李舜臣有 經天緯地之才 補天浴日之功) 고 했으며, 명나라 황제에게 이순신의 공적을 자세히 보고하여 명나라 조정에서 도독인(都督印)을 비롯한 팔사품(八賜品)을 내렸다.

〈난중일기 亂中日記〉에 따르면 그는 찾아오는 막하 장령들과 공사를 논의하며 새벽 닭 우는 소리를 들었고, 출전하지 않는 날에는 동헌에 나가 집무했으며, 틈을 내어 막료들과 활을 쏠 때가 많았다. 그는 이러한 진중생활 속에서도 술로 마음을 달래며 시가(詩歌)를 읊었고, 특히 달 밝은 밤이면 감상에 젖어 잠 못 이루는 때가 많았다. 또 가야금의 줄을 매었고, 음악감상에 심취하기도 했다. 그의 〈난중일기〉는 거리낌없는 사실의 기록, 당일의 날씨, 꿈자리의 음미, 어머니를 그리는 회포와 달밤의 감상, 투병생활, 또 애끓는 정의감과 울분, 박해와 수난으로 점철된 7년 전란의 진중 일기로서, 그 기록내용이 지니는 사료학적 가치는 물론 일기 문학으로서도 극치를 이룬다. 〈난중일기〉는 그 친필원본이 61편의 장계(狀啓)와 장달(狀達)을 담은 필사원본 〈임진장초 壬辰狀草〉와 함께 국보 제76호로 지정, 현재 아산 현충사에 보존되어 있다.

이순신의 문필은 〈난중일기〉와 더불어 몇 편의 시가와 서간문이 남아 있어 그의 문재(文才)를 후세에 전하고 있다. 〈이충무공전서〉의 권1에는 〈수사 선거이(宣居怡)와 작별하는 시〉·〈무제육운 無題六韻〉·〈한산도야음 閑山島夜吟〉, 그리고 말미에 24자로 한역(漢譯)된 〈한산도가〉가 수록되어 있다. 조경남(趙慶男)의 〈난중잡록 亂中雜錄〉에는 한산도의 작품이 20수나 있었는데 그중에 "바다에 맹세함에 고기와 용이 느끼고, 산에 맹세함에 초목이 아네"(誓海魚龍動 盟山草木知)라는 구절이 있었다고 한다. 1937년에 간행된 조윤제(趙潤濟)의 〈조선시가사강 朝鮮詩歌史綱〉은 조선 중기의 시조문학발휘시대에 속하는 대표적 인물 중의 한 사람으로 이순신을 꼽고 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순신에대해

... 정조 시대에 가서는 왕실에서도 이순신에 대해 최고 최상의 예우를 하고 왕명으로 <이충무공전서>가 발간되는 등 이순신 현창에 적극 나섰다. 3. 일제시대 : '하늘이 내신...

이순신에대해......

이순신에대해알려주세여~ 조선시대의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명장. 옥포대첩, 사천포해전, 당포해전, 1차 당항포해전, 안골포해전,부산포해전...

이순신에 대해

... 명랑대첩 이순신이 사망한 것은 명랑대첩입니까? 책에는 임금이 퇴각명령을 내렸는데 이순신은 그 말을 안듣고... 이순신 장군이 사망했다고 기록된것은 노량해전입니다...

충무공 이순신에 대해

... 만약, 이순신에대해 더 알고싶으시다면 저한테 메일 주세요. 제 메일은 : ******@*****.*** 입니다. ===================================================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십니다....

이순신에 대해..

... 제발 이순신에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제발요.. 이순신 업적 조선 시대의 명장. 자 여해(汝諧). 시호 충무(忠武). 서울 출생.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

이순신에대해 잘아시는분 가르쳐주세요

이순신에대해 간략히 요약좀해주세요...ㅜ 잘몰라서...;; 대략 몇년도에 무슨일이 있었고 어떻게대처했는지좀.... 그리고 애니에서는 마지막 이순신이 죽는장면에...

이순신에 대해

이순신의 주요 업적이나 사건 3가지 정도 간단하게 써주세욥 1. 한산도 대첩 (1592년): 임진왜란 초기, 이순신은... 이 전투에서 이순신은 조선 함대를 지휘하면서 일본 함대를...

이순신에대해......

숙제여......이순신에 대해 알아오긴데여....힘들다......최대한 빨리여..... 내공100겁니다.....많이 걸었으니 제발제발 자세하게 머 있단 숙제가 다있져...... 아짱나네여...... 제발...

(위인) 이순신에대해 중간정도 짧게...

이순신에대해 좀 갈쳐주셔요. 학교에서 발표를 해야하니 되도록 짧게됴... 또 너무 짧게 말고 중간정도 짧게요.... 예를 들면 이순신의 업적. 한일. 또 출생지 등등/.......

이순신에대해 알려주세효...

... 이순신 장군에 대해 자세히 좀 알려주세요. 李舜臣 1545(인종 1)~1598(선조 31). 조선 선조 때의 명장. 이순신 영정, 이상범이 제작했으며 1932년 6월 현충사 중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