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싯다르타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작성일 2003.04.1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기요..싯다르타에 대해서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많은 내용 상세하게 부탁드립니다..오늘 까지요..싯다르타 조사하기가 숙제걸랑요..많은 내용과 상세한 정보!!그게 지식인 네이버 잖습니까?빨리 답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싯다르타는 석가모니(부처) 입니다

불교의 개조.
본명 : 고타마 싯다르타
별칭 : 석가모니 ·석가문 ·능인적묵 ·석존 ·부처 ·붓다 ·여래 ·세존
국적 : 인도
활동분야 : 종교
출생지: 카필라성


본문


석가모니(釋迦牟尼) ·석가문(釋迦文) 등으로도 음사하며, 능인적묵(能仁寂默)으로 번역된다. 보통 석존(釋尊) ·부처님이라고도 존칭한다. 석가(kya)는 민족의 명칭이고 모니(muni)는 성자라는 의미로, 석가모니라 함은 석가족(族) 출신의 성자라는 뜻이다. 본래의 성은 고타마(Gotama: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rtha:悉達多)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Buddha:佛陀)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사찰이나 신도들 사이에서는 진리의 체현자(體現者)라는 의미의 여래(如來:Tathgata), 존칭으로서의 세존(世尊:Bhagavat) ·석존(釋尊) 등으로도 불린다.

【출생】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부근인 히말라야산(山) 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迦毘羅城)을 중심으로 샤키야족[釋迦族]의 작은 나라가 있었다. 석가모니는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uddhodna:淨飯王)와 마야(My:摩耶)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샤키야족은, 그 왕호가 정반왕, 그리고 정반왕의 동생이 백반(白飯) ·감로반(甘露飯) 등으로 불리고 있는 점에서 미작(米作) 농경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석가모니는 크샤트리야 계급출신이라고 하지만, 샤키야족 내부에 카스트의 구별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또한 그가 순수한 아리아인(人)이라는 것도 확실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네팔계(系) 민족에 속하는 종족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러나 압도적인 아리아 문화의 영향하에 있었던 것만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마야 부인은 출산이 가까워짐에 따라 당시의 습속대로 친정에 가서 해산하기 위해 고향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Lumbin) 동산에서 석가를 낳았다. 이는 아소카왕[阿育王]이 석가모니의 성지를 순례하면서 이 곳에 세운 석주(石柱)가, 1896년에 발견 ·해독됨으로써 확인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히말라야산에서 아시타라는 선인(仙人)이 찾아와 왕자의 상호(相好)를 보고, “집에 있어 왕위를 계승하면 전세계를 통일하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될 것이며, 만약 출가하면 반드시 불타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고 한다. 그의 생몰연대에 관하여는 이설(異說)이 많으나, 그 중 유력한 것은 스리랑카의 《도사(島史) Dpavasa》 《대사(大史) Mahvasa》에 근거하여 불교학자 W.가이거가 주장한 BC 563∼BC 483년 설이다. 이 설은 중국의《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에 전하는 중성점기(衆聖點記), 즉 불멸(不滅) 후 최초의 율장(律藏)이 결집되었을 때 제1점을 치기 시작하여 매년 1점씩 쳐서, 제(齊)나라의 영명(永明) 7년(AD 490)까지 975점에 이르렀으므로 불멸이 BC 485년이라는 설(BC 565∼BC 485년)과도 대략 일치된다. 그 외에 BC 624∼BC 544년설, BC 463∼BC 383년설 등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전자를 채용하고 있다.

【출가와 성도】 석가모니는 생후 7일에 어머니 마야 부인과 사별하였다. 그것은 석가모니에게는 슬픈 일이었다. 그 후 이모에 의하여 양육되었는데, 왕족의 교양에 필요한 학문 ·기예를 배우며 성장하였다. 그 생활은 물질적으로는 매우 풍부하였을 것이다. 당시의 풍습에 따라 그는 16세에 결혼하였다. 부인은 야쇼다라[耶輸陀羅]라고 하며, 곧 아들 라훌라[羅羅]도 얻었다. 이같이 안락하고 행복한생활을 보내던 중 석가모니는 인생의 밑바닥에 잠겨 있는 괴로움의 문제와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전설적으로 새가 벌레를 잡아 먹는 모습, 또는 생로병사(生老病死)와 사문(沙門)을 목격한 이른바 사문출유(四門出遊), 또는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써 설명된다.

석가모니는 29세 때 고(苦)의 본질 추구와 해탈(解脫)을 구하고자, 처자와 왕자의 지위 등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하였다. 남쪽으로 내려가 갠지스강(江)을 건너 마가다국(國)의 왕사성(王舍城:Rjagha)으로 갔다. 여기에서 알라라칼라마와 우다카 라마푸타라는 2명의 선인(仙人)을 차례로 찾아,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이라는 선정(禪定)을 배웠다. 그것은 일종의 정신통일에 의하여 하늘에 태어나 보려는 것이었는데, 석가모니는 그들의 방법으로써는 생사의 괴로움을 해탈할 수 없다고 깨닫자, 그들로부터 떠나 부다가야 부근의 산림으로 들어갔다. 여기에서 그는 당시의 출가자의 풍습이었던 고행(苦行)에 전념하였으나, 신체가 해골처럼 되었어도 해탈을 이룰 수는 없었다. 고행은 육체적인 면의 극소화를 통하여 정신의 독립을 구하는 2원적 극단론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는 6년간의 고행 끝에 고행을 중단하고, 다시 보리수(菩提樹:Bodhi-tree) 아래에 자리잡고 깊은 사색에 정진하여 마침내 깨달음을 얻었다. 이 깨달음을 정각(正覺:abhisambodhi)이라고 한다.

그 깨달음의 내용에 대하여 《아함경(阿含經)》에는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사제(四諦:苦 ·集 ·滅 ·道의 네 진리, 즉 현상계의 괴로움과 그 원인 및 열반과 그에 이르는 길) ·십이인연(十二因緣) ·사선삼명(四禪三明) 등을 깨달았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선정에 의하여 법(法:dharma)을 깨달았다고 하겠다. 즉 선정은 강렬한 마음의 집중이며, 여기에서 생긴 지혜는 신비적 직관(直觀)이 아니라 자유로운 여실지견(如實知見:있는 그대로 옳게 봄)이다. 이 지혜가 진리를 깨달아 진리와 일체가 되어 확고부동하게 되었는데, 공포에도 고통에도, 나아가서는 애욕에도 산란을 일으키지 않는 부동(不動)의 깨달음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마음이 번뇌의 속박에서 해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탈(解脫:moka)이라고하며, 이 해탈한 마음에 의하여 깨우쳐진 진리를 열반(涅槃:nirva)이라고 한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해탈은 참 자유, 열반은 참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설법】 석가모니는 성도 후 5주간을 보리수 아래에서 해탈의 기쁨에 잠겨 있었는데, 범천(梵天)의 간절한 권청(勸請)이 있어 설법을 결심하였다. 악마의 유혹, 설법주저(중생이 이해 못할 것을 염려), 범천권청 등은 마음속의 일을 희곡적으로 표현한 것으로도 보이나, 깊은 종교적 의미가 담겨 있다. 석가모니는 베나레스 교외의 녹야원(鹿野苑:Madva)에서, 일찍이 고행을 같이 하였던 5명의 수행자에게 고락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中道)와 사제에 관하여 설하였다. 이것을 특히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고 하는데, 그들은 모두 법을 깨달아 제자가 되었다. 여기에 최초의 불교 교단(sagha:僧伽)이 성립되었다. 이렇게 하여 불교는 그의 설법을 통하여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석가모니는 적극적으로 설법을 계속하여, 그 교화의 여행은 갠지스강(江) 중류의 넓은 지역에까지 미쳤다. 제자의 수도 점차 증가하였으며, 각지에 교단이 조직되었다.

그의 가르침은 《아함경》《율장》 등의 원시불교 경전을 통해 전하여지고 있다. 구전(口傳)되어 오던 것을 후세에 편집한 것이지만, 후세에 정형화된 다음의 교설을 통하여 석가모니의 가르침의 원형 또는 그 핵심을 알 수 있다. 삼법인(三法印:一切皆苦 ·諸行無常 ·諸法無我 또는 一切皆苦를 빼고 涅槃寂靜을 넣기도 한다) ·사제 ·팔정도(八正道:正見 ·正思 ·正語 ·正業 ·正命 ·正精進 ·正念 ·正定) ·무기(無記:일체의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답하지 않음. 실천을 지향함을 말한다) ·법(法:모든 존재를 일관하는 보편적 진리) ·오온(五蘊:色 ·受 ·想 ·行 ·識의 다섯 가지 존재의 구성요소) ·육근(六根:법의 분류로서 眼 ·耳 ·鼻 ·舌 ·身 ·意의 주체. 이에 대응하는 色 ·聲 ·香 ·味 ·觸 ·法의 객체, 즉 6境을 더한 十二處와, 거기에 眼識 등의 6식을 추가하여 十八界를 말하기도 한다) ·연기(緣起:존재는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다른 것과의 관계에 의하여 성립함을 말함. 12연기가 특히 유명하다) ·열반 ·일체중생의 평등 등이 그것이다.

【입멸(入滅)】 혹서의 중부인도(印度) 각지를 45년의 긴 세월에 걸쳐 설법 ·교화를 계속한 석가모니는, 80세의 고령에 이르렀다. 여러 차례의 중병에도 불구하고 교화(敎化)여행을 계속하였다. 이때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여러 가지 유언을 하였다고 한다. “자신을 등불로 삼고 자신을 귀의처로 하라. 법을 등불로 삼고 법을 귀의처로 하여 수행하라” 또한 자기가 죽은 뒤에 “교주(敎主)의 말은 끝났다. 우리의 교주는 없다고 생각하여서는 아니된다. 내가 설한 교법(敎法)과 계율이 내가 죽은 후 너희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등이 그것이다. 마침내 쿠시나가라(Kuinagara)의 숲에 이르렀을 때,석가모니는 심한 식중독을 일으켜 쇠진하였다. “나는 피로하구나. 이 두 사라수(沙羅樹) 사이에 머리가 북쪽으로 향하게 자리를 깔도록 하라”고 말하자, 제자들은 석가모니의 운명이 가까웠음을 알고 눈물을 흘렸다. 석가모니는 “슬퍼하지 마라. 내가 언제나 말하지 않았느냐. 사랑하는 모든 것은 곧 헤어지지 않으면 아니되느니라. 제자들이여, 그대들에게 말하리라. 제행(諸行)은 필히 멸하여 없어지는 무상법(無常法)이니라. 그대들은 중단없이 정진하라. 이것이 나의 마지막 말이니라”고 설한 후 눈을 감았다.

석가모니의 사후 그의 유해는 다비(茶毘:화장)되고, 그 유골[舍利:arra]은 중부 인도의 8부족에게 분배되어 사리탑에 분장(分藏)되었다. 이 사리탑은 중요한 예배대상으로 되어 후에 불탑신앙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대승(大乘)불교에서는 불타에 관한 철학적 고찰이 가해져 불타에는 법신(法身:진리로서의 불타) ·보신(報身:보살의 願 ·行에 의하여 성취된 불타) ·응신(應身:중생구제를 위하여 상대방에 상응하게 나타나는 불타)의 3신이 있다고 말한다. 이에 따르면, 석가모니불은 2,500여 년 전의 인도라고 하는 특정의 지역 ·시대에 나타난 응신의 불타로서, 시방삼세제불(十方三世諸佛)의 일부가 되고 있다. 그러나 신앙의 입장에서 석가모니불은 위의 3신을 모두 갖추고 있는 분으로 숭배되고 있다. 그의 탄생지 룸비니 동산, 성도지 부다가야, 최초의 설법지 녹야원, 입멸지 쿠시나가라는 4대 영지(靈地)로서 중요한 순례지가 되고 있다.

석가모니의 탄생 ·성도 ·입멸의 월 ·일에 관하여 최고(最古)의 문헌에는 기록이 없으나, 중국 ·한국 등지에서는 탄생을 4월 8일, 성도를 12월 8일, 입멸을 2월 15일로 한다. 또한 남방불교에서는 탄생 ·성도 ·입멸이 모두 바이샤카월(Vaikha月:4∼5월)의 보름날의 일이라고 하여, 이 날 성대한 기념식을 거행한다. 중국 ·한국 등지에서는 석가모니의 전기를 8시기로 구분하여 팔상(八相:兜率來儀相 ·毘藍降生相 ·四門遊觀相 ·踰城出家相 ·雪山修道相 ·樹下降魔相 ·鹿苑轉法相 ·雙林涅槃相)이라고 부르는데, 회화나 조각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보통 부처님이라고 말하는 석가모니부처님의 본래의 성은 고타마(Gotama, 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artha, 悉達多)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Buddha, 佛陀)라 불리게 되었다. '여래(如來)', '세존(世尊)'·'석존(釋尊)' 등으로도 불린다. 불교의 교조가 되시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통해 그가 이 땅에 오신 까닭이 무엇인지 살피고자 한다.

 

 

 

1.탄생 (팔상도의 도솔래의상과 비람강생상)

 

2600여년전(예수님보다 500여년 앞섬) 인도 히말라야산 기슭의 카필라성 룸비니동산에서 태어나심. 부처님은 도솔천에서 보살로 계시다가 부처님이 되기 위해 세상에 태어나심. 태어나시면서 일곱걸음을 걷고 "하늘위 아래 온 중생에서 위없는 부처가 되리라. 괴로움속에 빠진 삼계를 내가 편안하게 하리라"라는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라는 게송을 읊으셨다고 신화적으로 전함.

 

 

 

2.성장 (팔상도의 사문유관상)

 

 부처님은 왕자로서 유복한 생활을 누렸으며, 왕이 되기 위한 무예수련이나, 당시의 바라문들이 공부하던 베다 같은것을 공부햇습니다. 그렇지만 부처님은 왕자로서의 생활속에서도 매우 사색적이셨고 보통 사람들이 당연하게 생가하는 생로병사에 대한 의문을 크게 깊게 품었습니다. 부처님은 16세에 야소다라왕비와 결혼하여 후에 라훌라라는 아들을 낳았습니다.

 

 

 

3.출가 (팔상도의 유성출가상)

 

 부처님은 인간뿐 아니라 온 생명 온 중생이 생로병사를 고통을 당하는 것을 해결하시고자 한 나라의 군왕의 자리를 스스로 포기하시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출가를 감행하셨습니다. 29살이였습니다. 출가하셔서 알라라칼라마 웃다카 라마풋타라고 하는 두 명상스승에게 당시 최고의 경지를 배우고 곧 증득하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생로병사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완전한 열반에 이를수 없다"고 생각하시고 고행을 하시기로 합니다.

 

 

 

4.고행 (팔상도의 설산수도상)

 

 부처님의 6년간의 고행은 매우 치열하였습니다. 부처님은 당시의 수행법들을 다양하게 닦으셨구요.. 그러한 수행법들로부터도 깨달음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고행당시에도 부처님은 팔정도를 지키는 수행을 하셨습니다. 이렇게 고행을 하셨지만 완전한 열반에 이르지 못하시자 고행을 포기하십니다. 고행을 통해 모든 것을 버리신것은 아니구요. 부처님이 얻으신것도 매우 많습니다.

 

 

 

5.깨달음 (팔상도의 수하항마상)

 

 부처님은 고행을 버리시고 수자타의 우유죽 공양을 드신 후에 보리수나무아래에 앉으셔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수행법을 취하셨습니다. 그것이 깨달음에 이르는 중도수행법인 사성제 팔정도입니다. 계율과 삼매매와 지혜를 완성하셨습니다. 사념처위빠사나를 통해 모든 중생이 윤회하고 있음을, 인과응보의 법칙을 받고 있음을 바로 아셨고, 결국 연기법을 바르게 깨달으셔서 무명과 갈애를 부수고 해탈열반하셨습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은 위없는 바른 깨달음이라고 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도 합니다.

 

 

 

6.가르침 전파 (팔상도의 녹원전법상)

 

 석가모니부처님은 윤회와 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체중생들에 대한 대자대비심으로 첫 설법을 녹야원에서 하셨습니다. 이로써 역사상 부처님 법 스님이라고 하는 삼보가 갖추어져 불교가 세간에 출현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부처님의 위대한 가르침은 큰 빛이되어 많은 제자들을 해탈의 길로 이끌었고, 쉼없는 전법여행을 다니시며 진리를 전파하셨습니다. 이러한 가르침은 인간세상 천신들의 세상을 비롯한 육도에 널리 퍼졌습니다.

 

 

 

7.열반 (팔상도의 쌍림열반상)

 

 부처님은 80세에 쿠시나가라의 두그루 사라나무 아래에서 완전한 열반에 드셨습니다. 부처님의 마지막 말씀은 "다른 것을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를 의지하거라. 법에 의지하거라. 즉 사성제팔정도를 닦아 스스로 해탈열반하거라. 법을 등불로 삼고 또 스스로 등불이 되어라. 그러기 위해선 방일하지 말고 노력하거라"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이후에 제자들이 아함경을 결집하고 부처님의 사리는 당시의 여러나라의 왕들이 공경하여 나누어 모시고 탑을 만들어 지금도 인도 전역에 전해집니다.

 

 

 

8.석가모니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은 자비사상입니다. 일체중생을 해치지 않고 연민심으로 보살피는 대자대비의 사상으로 온 중생이 진정으로 평온하고 행복하고 평화를 누릴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셨습니다. 또한 중생들이 진리를 알고 닦으면 누구나 위없고 두려움없는 성인이 될수 있음을 설하셨습니다. 그리고 또한 괴로움을 끊기 위해선 바른 진리와 바른 길을 닦아야 하는 데 부처님은 그것이 사성제이고 팔정도라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사성제와 팔정도를 닦는 분들에겐 평화와 행복이 항상 함께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짧게 말해드릴께요 .. 싯다르타는 고대 인도 종교지도자로

창시자입니다 ... 짧지만 많은 도움 되시길?

싯다르타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저기요..싯다르타에 대해서 자세히 가르쳐 주세요..많은 내용 상세하게 부탁드립니다..오늘 까지요..싯다르타 조사하기가 숙제걸랑요..많은 내용과 상세한 정보!!그게 지식인...

석가모니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석가모니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 탄생,성장,출가,고행,깨달음,가르침 전파,열반,가르침에 대해서요~~ 가르쳐 주시면... 이름은 싯다르타 ⑵ 석가모니의 일생 : 약 2500년 전...

끼친 3대 종교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우리나의 문화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3대 종교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종교의... 3) 전파 : 한국, 일본 ( 2) 불교 1) 기원 : B.C 5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싯다르타 창시 2) 특색...

석가모니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석가모니에 대해서 가르쳐 주세요 최대한 빨리 내공 드림 퍼왔어요 ^^ 간략하게 정리한... 이름은 싯다르타(Siddhartha, 悉達多)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Buddha, 佛陀)라...

불교에 대해서가르쳐주세요~

... 그래서 불교에 대해서가르쳐 주세요... 불교의 기원과 역사, 불교의 시작(시초)... 불교 전통에 의하면, 고타마 싯다르타라는 이름의 한 인도 왕자가 불교를 창시하였는데...

대해서 종교쪽으로 가르쳐 주세요...

석가모니에 대해서 종교쪽으로 가르쳐 주세요!~~ 내공걸어요!~ 참!!!!!종교는 불교에요... 인간이실때 이름은 싯다르타 시구요. 먼 옛날 카필라 왕국에서 태어났습니다. 왕자로요....

대해서 자세희 가르쳐 주세요.

... 본래의 성은 고타마(Gotama: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artha:悉達多)인데, 후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Buddha:佛陀)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사찰이나 신도들 사이에서는 진리의...

업적,명언,교훈,가르침,본받을점,에 대해서

석가모니의 일생,업적,명언,교훈,가르침,본받을점,에 대해서가르쳐주세요.. 빨리부탁 !!!... 이름은 싯다르타 석가모니의 생애 : 탄생부터 성장, 출가, 고행, 깨달음, 가르침전파...

석가모니에대해서 급해서 내공30이요

석가모니의 일생,업적,명언,교훈,가르침,본받을점,에 대해서가르쳐주세요.. 빨리부탁 !!... 이름은 싯다르타, 석가란 족성을 의미함 ③ 성문 밖으로 나가 늙음, 병듬, 죽음을...

과학독후감 쓰는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

과학독후감 쓰는 방법에 대해서가르쳐 주세요ㅠ_ㅜ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ㅠ... 싯다르타?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인명이다. 나는 불교를 믿지 않지만 불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