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국사/9주5소경-9서당10정! 설명좀ㅠㅠ

중2 국사/9주5소경-9서당10정! 설명좀ㅠㅠ

작성일 2005.09.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9주 5소경으로 나뉘잖아요, 통일신라때.

 

 

 

신문왕이 펼친..... 국사제도를 펼쳤잖아요,    [ 문무왕때엿나 ㅡ ㅡ ]

 

 

 

 

 

 

 

근데 군사를 9서당 5정이라고해서............

 

그게 어떻게 된거죠?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나뉜건 알겠는데......

 

 

 

 

 

 

 

제가 짐작/아는바론

 

중앙군 - 9서당이 있으므로, 한서당에 한군씩 넣어두엇다?

 

 

지방군 - 5소경인데 각 소경에 2정씩 넣어 두엇다?

 

 

 

 

 

 잘모르겟는데요ㅠㅠㅠ 설명좀 부탁드리구요//

 

 

뭐 국경쪽에는 어떻게 햇다는데

 

 

 

 

 

헷갈려 죽겟는데요;

설명 부탁드리겟습니다 (__)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9주 5소경과 9서당 10정은 신라의 통일 이후 신문왕에 의해 정비된 지방제도와 군사제도를 말합니다.

 

지방제도 : 9주 5소경

 

9주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도(ex 경기도)라고 보시면 되구요,

5소경은 오늘날 우리나라의 광역시(ex 부산광역시)라고 보시면

이해가 될 겁니다.

 

군사제도 : 9서당 10정

 

9서당은 수도와 궁궐을 지키는 중앙군입니다.

당시는 경주(금성)를 지켰겠죠.

10정은 지방군으로 9주에 각 1정씩, 즉 1개 부대씩 설치되었습니다.

오늘날로 보자면, 경기도에 1개 부대, 강원도에 1개 부대 이런 식으로요.

다만 9주 가운데 중부지방에 있던 한산주는 다른 주에 비해 훨씬 넓어서

2정, 즉 2개 부대가 설치되었답니다.

그러니 모두 10정이 되었던 거죠.

 

이해가 되셨나요?

이해가 잘 안되시면 질문에 추가해주세요. ^.^

 

중2 국사/9주5소경-9서당10정! 설명좀ㅠㅠ

... 지방군 - 5소경인데 각 소경에 2정씩 넣어 두엇다? 잘모르겟는데요ㅠㅠ설명좀... 설명 부탁드리겟습니다 (__) 9주 5소경9서당 10정은 신라의 통일 이후 신문왕에 의해...

신라시대의 주,부,경,서당, 이런...

... 부,주,소경,사당, 다 구분이 모호합니다.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실분.. ㅠㅠ 그리고 통일 신라 시대에는 9서당 10정으로 바꼈다고 하면서 9주 5소경은 또 뭔지.. 길지...

[중2국사]정리가 안되요,정리 ,,(내공20)

... 안되요,,ㅠㅠㅠ, 이것들 알기쉽게 정리해 주세요,, 1,신라의 삼국통일 2,살수대첩 3,안시성싸움 4,통일신라 5... (9서당 10정), 9주 5소경제도 실시,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

중2 국사문제 어려운게있어서요 ^ ^ ;

... 통일신라말기의 사회 현상을 설명한 글 중 잘못된 것을... 구 : 9주 5소경, 혹은 9서당 10정(군사제도)을 알려줍니다.... : 정전. 일반 백성들에게 지급한 토지입니다. 진...

중2국사문제답만알려주세요...

... 13.1 14.5 15.4 16.그림않보임; 주1)골품제 주4)골품제 주2)상대등 주3)화백회의 단답형 순서대로입니다. 시중 5소경 9주,촌주 9서당,10정 관료전 울산항 신라촌,신라소,신라원...

중2국사 3단원 요점정리좀요 정말급함,,

... 등의 10개 관청 ③ 화백 회의 기능 축소 : 상대등의 세력 약화 (4) 지방 제도 ① 9주 5소경 : 전국(9주), 지방... 9서당 : 중앙군, 수도 왕궁 수비, 고구려, 백제, 말갈인까지...

중2국사요점정리좀(내공20겁니다)

... ① 9서당 : 중앙군으로 신라인 외에 고구려, 백제, 말갈인 까지 넣어 편성(민족 융합) ② 10정 : 지방군 ㉮ 지방의 각 주에 1개의 설치 ㉯ 국경 지대인 한주에는 2개의 ...

중2 국사 서술형문제 질문

... 9서당 각 주에 하나씩 파견(9정, 현재로 치면 '사단' 정도) 그중 한주는 국경지대라 예외로 한''을 더 파견하여 10정이 성립. ** 4.5.6.7은 국가의 효율적 국토관리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