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단어 문제입니다...급해요..ㅋㅋㅋ

국사 단어 문제입니다...급해요..ㅋㅋㅋ

작성일 2007.08.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조선 총독부,헌병 경찰 통치, 토지 조사 사업, 동양 척식 주식회사, 산미 증식 계획, 문화 정치, 민족 밀살 정책, 군대 위안부, 2∙8 독립 선언, 3∙1 운동, 민족 자결주의, 대한 민국 임시 정부, 구미 위원부, 연통제, 손병희, 유관순, 이승만, 김구, 대한 독립군, 북로 군정서군,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의열단, 한인 애국단, 한국 광복군, 카이로 회담, 포츠담 선언, 홍범도, 김좌진, 강우규, 김원봉, 나석주, 이봉창, 윤봉길, 지청천, 민족 실력 양성 운동, 물산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6∙10 만세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조선어 학회, 최현배, 박은식, 신채호, 한용운 ,나운규,,,,

 

46개입니다,...부탁드립니다...중3학년 국사책

                                       아주 간단하고 짧게...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 총독부: 일제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우리나라를 지배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최고 행정 관청. 식민지 통치의 중추 기관으로 입법, 사법, 행정 및 군대 통수권을 집행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였다.

 

헌병 경찰 통치: 일본은 한국을 강제 병탄한 후, 강력한 식민지 탄압정책을 채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른바 ‘헌병경찰정치’라 하여 헌병경찰을 전국에 배치하여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고 통제를 강화하였다

 

지 조사 사업: 일제가 우리나라의 토지를 빼앗기 위하여 벌인 대규모의 조사 사업. 1910년부터 준비하여 1912년에서 1918년까지 시행하였다.

 

동양 척식 주식회사:1908년에 일본이 한국의 경제를 독점·착취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책 회사. 주로 토지를 강점, 강매하여 높은 비율의 소작료를 징수하고 많은 양곡을 일본으로 반출하다가, 1917년부터 본점을 일본 도쿄로 옮기고 동양 각지로 사업을 확대하였으나, 일본이 제 2차 세계 대전에 패전하면서 문을 닫았다.

 

산미 증식 계획: 일제가 조선을 일본의 식량공급지로 만들기 위해 1920∼1934년 실시한 농업정책. 1920년∼1925년, 제2기 계획은 1926년∼1934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었다. 산미증식계획은 조선 쌀의 일본 유출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식민지 지주제를 강화하였다.

 

문화 정치: 3·1 독립운동이 발생한 후로는 정책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유화정책을 폈다. 즉, 한국인의 문화생활이나 교육 등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정책을 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모두가 식민통치의 한 수단일 뿐, 그들의 식민지 통제정책의 근본에는 변함이 없었다.

 

민족 밀살 정책: 우리 민족의 전통과 문화의 뿌리를 말살하려 한 일본의 식민지 지배정책. 창씨개명을 하고 우리말과 우리 글을 못쓰게 하였다. 이 밖에도 우리 역사를 왜곡 날조하였고 신사참배를 강요하여  한국인의 혼을 말살하고 일본인의 정신을 대신 심으려는 한국혼 말살정책이었다.

 

군대 위안부: 태평양 전쟁 때 일본 제국주의 군대의 종군 위안부로 끌려간 여성들을 이르는 말. 일본 정부가 전쟁을 수행하는 일본군의 성적 욕구를 풀어 주기 위하여 강제로 동원하였다.

 

2∙8 독립 선언: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을 선언한 운동. 3·1운동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독립선언운동으로, 도쿄 유학생들에 의해 일제의 심장부인 일어난 민족해방운동이었다.

 

3∙1 운동: 1919년, 곧 기미년 3월 1일에 한국이 일본의 강제적인 식민지 정책으로부터 자주독립할 목적으로 일으킨 민족 독립 운동. 제일 차 세계 대전 후 민족 자결주의에 입각하여 손병희 등 33인이 주동이 되어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민족의 자주독립을 선언하였다

 

민족 자결주의: 민족 자결의 원칙을 실현하려는 사상. 1918년에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제창하고 파리 평화 회의에서 답변확정되어 3∙1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 1919년 4월에 중국 상하이에서 이승만, 김구 등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광복을 위하여 임시로 조직한 정부. 광복 때까지 항일 민족 운동의 중심 기관이었다.

 

구미 위원부: 1919년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이승만 대통령이 워싱턴에 설치한 외교 담당 기관. 유럽과 미국에서 외교 활동을 벌여 한국에 유리하게 국제 여론을 조성하였다.

 

연통제: 1919년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실시한 연락 방법. 국내 각 도에 총판, 각 군에 군감, 각 면에 면감을 두고, 국외에는 민간단체를 통하여, 정부의 명령 전달과 연락 사무를 처리하게 하였다.

 

손병희: 항일 독립 운동가(1861~1922). 자는 응구·규동. 호는 의암. 1882년 천도교에 입교하여 1887년에 제3대 교주가 되었다. 3·1 운동 때는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유관순: 독립 운동가(1902~1920). 여성으로서 18세 때 이화 학당 고등과 1년생으로 3·1 운동에 참가한 뒤, 고향인 천안에 내려가서 아우내 장날을 기하여 만세를 삼창하며 시위하다 왜경에 체포된 후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이승만: 독립 운동가·정치가(1875~1965). 호는 우남. 개화 운동에 투신하여 독립 협회의 간부로 활약하다가 투옥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가서 독립 운동을 하였으며 상하이 임시 정부 대통령을 지냈다. 광복 후 1948년에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선거를 자행하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실각하여 하와이로 망명한 후 병사하였다.

 

김구: 독립 운동가·정치가(1876~1949). 호는 백범. 본명은 창수. 동학 농민 운동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 쫓겨 만주로 피신하여 의병단에 가입하였고, 3·1 운동 후 중국 상해의 임시 정부 조직에 참여하였다. 1928년 이시영 등과 함께 한국 독립당을 조직하여 이봉창, 윤봉길 등의 의거를 지휘하였다. 1944년 임시 정부 주석으로 선임되었고, 8·15 광복 이후에는 신탁 통치와 남한 단독 총선거를 반대하며 남북 협상을 제창하다가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 저서에 《백범일지》가 있다.

 

대한 독립군: 1919년에 만주에서 홍범도를 중심으로 조직한 항일 독립군. 1920년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워 크게 승리하는 등 활약하다가, 뒤에 대한 독립 군단에 편입되었다

 

북로 군정서군: 1919년 만주 길림성에서 서일, 김좌진을 중심으로 조직한 무장 독립 운동 단체. 1920년 10월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에 만주 봉오동에서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 독립군이 일본군 제19사단을 크게 무찌른 싸움.

 

청산리 대첩: 1920년에 김좌진을 총사령으로 한 독립군이 만주(滿洲)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크게 쳐부순 싸움

 

의열단:  1919년 11월에 중국 만주 길림성에서 조직한 항일 무장 독립 운동 단체. 김원봉, 윤세주 등 13명이 주동이 되어 과격하고 급진적인 폭력 투쟁을 벌였다. 일정한 본거지가 없이 각지에 흩어져 일본의 관청을 폭파하고 관리를 암살하여 일본인들의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한인 애국단: 1926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 단체로 일본의 주요인물을 암살하려는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주도하였다.

한국 광복군: 일제 강점기에, 중국에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에 대항하던 군대. 1940년에 중경에서 조직되었으며, 총사령관에 지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이 취임하였다.

 

카이로 회담:  1943년에 카이로에서 미국, 영국, 중국 사이에 열린 회담.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 영국 수상 처칠, 중국 주석 장개석 및 외교 사절들이 일본에 대한 군사 행동과 전후 처리에 관하여 협의하였다.

 

포츠담 선언: 1945년 7월에 미국·영국·중국의 3개국 대표가 포츠담에 모여 일본의 항복 조건과 일본 점령지의 처리에 관하여 발표한 선언. 항복 조건은 제국주의적 지도 세력의 제거, 전쟁 범죄인의 처벌, 연합국에 의한 점령, 일본 영토의 제한, 철저한 민주화 따위이며, 한국의 독립도 이 선언에서 약속되었다.

 

홍범도: 독립 운동가(1868~1943). 1907년에 함경북도 북청 후치령에서 의병을 일으켜 여러 차례의 항일전에서 적군을 격파하였다. 만주로 건너가 청산리 대첩에 참여하였으며, 대한 독립 군단을 조직하여 부총재가 되었다. 1921년에 시베리아로 옮겨 고려 혁명 군관 학교를 설립하였다

 

김좌진: 독립 운동가·장군(1889~1930). 호는 백야. 3·1 운동 때에 만주에 들어가 북로 군정서를 조직하고 총사령이 되어 사관 양성소를 설립하고 병력을 양성하였다. 1920년에 청산리 대첩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뒤에 공산당원에게 저격당하였다.

 

강우규: 독립 운동가(1855~ 1920). 자는 찬구. 호는 일우. 1911년에 만주로 건너가 길림성에 동광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였다. 1919년 9월에는 조선 총독으로 부임하는 사이토 마코토를 죽이기 위하여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김원봉: 독립 운동가·정치가(1898~1958). 의열단을 조직하여 국내의 기관 파괴,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적 투쟁을 하였다. 광복군 부사령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의원 및 군무부장을 지냈다. 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하여 노동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나석주: 독립 운동가(1892~1926). 3·1 운동 후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12월 28일에 동양 척식 주식 회사와 식산 은행에 폭탄을 던지고 자결하였다.

 

이봉창: 독립 운동가(1900~1932). 1932년 1월 8일 도쿄 사쿠라다몬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오는 일본 천황 히로히토에게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검거되어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윤봉길: 독립운동가(1908~1932). 3·1 운동이 계기가 되어 애국 운동을 벌이다가 탄압을 받게 되자 1930년 상해로 가서 김구의 한인 애국단에 가입하였다. 1932년 4월 29일 홍구 공원에서 열린 일본 천황의 생일을 기념하는 천장절 축하식장에 폭탄을 던져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을 죽이고 기타 요인에게 부상을 입힌 뒤 일본 경찰에게 붙잡혀 오사카에서 순국하였다.

 

지청천: 독립 운동가·정치가(1888~1959). 본명은 대형. 호는 백산. 중국 망명 때의 이름은 이청천 이었다. 일본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만주로 망명하여 1938년 광복군을 조직하고 1940년 광복군 총사령관을 지냈다. 광복 후 귀국하여 대동 청년단을 창단하여 청년 운동에 힘쓰다가, 제헌·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민족 실력 양성 운동: 우리 민족의 실력을 길러서 일제에 대항하자는 운동. 민족 산업의 육성, 신교육의 보급, 농촌 개량, 민중 계몽 등을 내세우는 운동을 전개한다.

 

물산장려 운동: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이 펼친 경제 자립 운동. 1922년 조만식을 중심으로 평양에 설립한 조선 물산 장려회를 계기로 서울의 조선 청년 연합회가 주동이 되어 전국적 규모의 조선 물산 장려회를 조직하고, 국산품 애용·소비 절약·자급 자족·민족 기업의 육성 따위를 내걸고 강연회와 시위·선전을 벌였다. 1932년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명맥만 유지하다가, 1940년 조선 물산 장려회가 강제로 해산되어 끝났다

 

민립 대학 설립 운동: 1922년 일제가 발표한 조선교육령에 따라 경성제국대학 설립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상재를 비롯한 민족주의자들이 민족교육과 민족 간부 양성을 목적으로 민립대학(사립대학)을 설립하려는 운동.

 

6∙10 만세 운동: 1926년 6월 10일에, 순종의 인산일을 기하여 전개된 민족 해방 운동. 침체된 민족 운동에 새로운 활기를 안겨 주었으며, 3·1 운동과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교량적 구실을 하였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년에 전라남도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들의 항일 투쟁 운동. 광주에서 기차 통학을 하던 한일 중학생 사이의 싸움이 도화선이 되어 광주의 2,000여 학생이 궐기하여 항일 투쟁을 하였는데, 3·1 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 투쟁이었다.

 

조선어 학회: 1931년 11월에 조선어 연구회를 고친 이름. 국어의 연구·발전을 목적으로 한 민간 학술 단체로, 일제의 탄압 아래 꾸준히 우리말을 연구·보급해 왔으며, 뒤에 한글 학회로 이름을 고쳤다.

 

최현배: 국어학자·국어 운동가·교육자(1894~1970). 호는 외솔. 일본 교토 대학을 졸업하였으며 1942년에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겪었다. 한글 학회 이사장, 연세 대학교 교수·학장·부총장을 지냈으며 국어 연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저서에 《우리 말본》, 《한글갈》, 《나라 사랑의 길》, 《글자의 혁명》 따위가 있다.

 

박은식: 독립 운동가(1859~1925). 자는 성칠. 호는 백암·겸곡. 상해에서 《독립신문》, 《한족 회보》, 《사민보》 등의 주필로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저서에 《한국 통사》, 《한국 독립운동지혈사》 따위가 있다.

 

신채호: 역사학자·독립 운동가·언론인(1880~1936). 호는 단재·단생·일편단생. 성균관 박사를 거쳐,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에 강직한 논설을 실어 독립 정신을 북돋우고, 국권 강탈 후에는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 운동과 국사 연구에 힘쓰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사하였다. 저서에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따위가 있다.

 

한용운: 승려·시인·독립 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 아명은 유천. 법호는 만해. 용운은 법명. 3·1 운동 때의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조선 독립의 서〉 외에, 시집 , 소설 〈흑방 비곡〉이 있고, 저서에 《조선 불교 유신론》 따위가 있다.

 

나운규: 영화감독·배우(1902~1937). 호는 춘사. 한국 영화의 선구자로 23세 때부터 영화계에서 활약하였으며, 작품에 , , 따위가 있다.

국사 단어 문제입니다...급해요..ㅋㅋㅋ

... 중3학년 국사책 아주 간단하고 짧게...부탁드립니다...... 정책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유화정책을 폈다. 즉... 연구·보급해 왔으며, 뒤에 한글 학회로 이름을...

인물 에서요. 단어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지금부터 말하는 단어의 뜻좀 써주세요. (전문적으로좀... 주요 국사를 논의하고 어떤 문제를 결정하기위해 하던... 헥헥 힘드네요 ㅋㅋㅋ 더 궁금한점 있으시면 쪽지하시구요

3학년국사문제입니다!!급해요

... 여러분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학교에서 배운대로여 ~~~~~~ 관련단어(운요호사건... 제목을 보니 국사문제라는 것같은데 아무래도 급하신 거보니 수행평가정도 되는...

고1 국사 문제 풀이! 급해요! 내공검!!

... 문제는 3개 입니다 (많아서 죄송;; 하지만 내공 드림) 1.신라의 삼국 통일에 대한... 다행히 주어진 예문에선느 '정사암'이라는 단어가 제시되어 있고, 정사암회의와 관련된...

국사 정리좀요!!!진짜 급해요!!!!

숙제인데요 모르겠어요 ㅜㅜ *다음 단어를 이용하여 p139... 제발 급해요!! 내공 30걸엇어요! 아마 이건 사화 이후... 성종은 훈구파가 저지를 부정부패의 정치의 문제점이 다른...

2학년 국사 문제좀 풀어주세요[단어에요]...

... [ ]:임긍의 정사를 도움─┘똑같네 한문제만 푸세요.^^ 3.[ ]:곁의 가까운 곳(나는... 부족하지만 잘 바주세요~~ㅋㅋㅋ 몽고와의 전쟁과 자주성의 회복 1.[성과 ]:이루어 내거나...

국사 좀 도와주세용~ 급해요~ 빨리...

국사선생님이 알아오라고 많은 문제들을 내주셨어용~ 도와주세요~ 가로 치고... 들어간 단어들도 하나하나 뭔지 알아야해서 머리가 아프답니당.. 제가 하다가 도저히...

중2국사 삼국시대 주관식30문제부탁드립...

... 국사 숙제가잇는데여.....ㅋㅋㅋ 제목에서보시다싶이 삼국시대문제 30개 내는거에여 ㅎㅎ 여러분도와주세여 !!ㅜㅜ 흐어어어어어ㅣㄴㅁ;ㅓㅇ리ㅏ;ㅓ리ㅏㅇㄴ급해여 .....

국사 방학과제좀 도와주세요 ㅜㅜ급해요...

... 그내용은 국사책에 자세히 적혀있지만 몇가지만 치외법권허용,해양머머조사 저도 잘 ㅜㅜ 간도문제-간도는... 진짜 ㅡㅡ 아 너무 흥분했네요 ㅋㅋㅋ 그럼 도움이 됬길바래요

국사서술형문제내공팍팍

요번 국사 시험 문제 5문제 중에 2문제 낸다고 하셨는데요..... 나머진 조금 간략하게만 서술해 주세요 진짜 급해요... 4번은 님이 제시한 단어를 조합해서 문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