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 본존상과 피에타의 차이점(내공있음)

석굴암 본존상과 피에타의 차이점(내공있음)

작성일 2004.12.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석굴암 본존상과 피에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석굴암의 본존상: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동양:서양
화강암:대리석
얼굴 ,전신 단순 절제,생략표현:섬세한 근육, 머리카락까지 세세하게 표현함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표현재료 주제-석굴암 본존상-경상 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에 있는 석굴암 본존 불상으로 우리 나라 조각상 중 가장 탁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751년 김대성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자연스러운 선과 생명력이 나타나 있으며, 오른손은 악마의 유혹을 물리치고 부처의 영광을 증명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 불상은 석가모니의 상으로 추정되며, 부드럽고 풍만한 간다라 양식의 화강암 조각 작품이다. 본존상 뒤 전면에는 지름 2.24m의 둥근 두광이 있으며, 본존상을 둘러 십일면 관음 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서양 조각, 미켈란젤로의 나 상 같은 것은 얼마나 섬세하면서도 깊게 파내었는지 마치 살아있는 사람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그에 비해 석굴암 석불은 당초 사람과 같은 생생함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피안의 부처, 현실로부터 다른 세계의 이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기교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넘치는 기교를 장인의 정신력으로 절제하며 한겹 한겹 무념의 돌에서부터 부처의 미소를 뽑아내었을 것이다.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id=rkgmlkiss&bno=29362&nid=9160&page=1 내용발췌
신라의 불교조각 사상 최고 아름다움의 걸작으로 일컬어지는 이 본존여래좌상은 석굴의 주실 중심에서 약간 뒤쪽으로 연화대좌를 안치하고 그 위에 안치되었다. 이 본존상은 나선형 머리카락 위에 육계가 표시되었고 나발을 새기고 있다. 얼굴 전반에 풍기는 인상은 온화하고 우미하다. 넓은 이마 밑으로 양 눈썹이 두개의 반달형을 이루었으며 그 아래로 반쯤 뜬 두 눈이 무한한 자비로움을 느끼게 한다. 넓게 벌어진 양 어깨와 가슴의 알맞은 융기는 당당한 장부의 자태이며 불신의 왼쪽 어깨에서 내려진 얇은 옷은 가슴과 두 발 위에 아름다운 옷무늬를 새겼다. 이루 다 설명할 수 없을 만큼 조각의 정교함과 생명감이 용솟음치는 이 본존불은 한국불상의 정수이며 이미 세계 조각의 걸작이 아닐 수 없다.

본존불은 연꽃잎을 엎어놓은 화대석과 팔각중대석, 연꽃을 위로 떠받드는 상대석이 갖추어진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는데, 오른손 검지 손가락으로 살포시 땅을 짚어 부처의 영광을 증명함으로써 악마의 유혹을 물리치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연화대좌는 높이 1.6m,기단 최하부는 직경 3.7m이며, 본존불의 높이는 3.4m이다.

통일 이전의 부처들이 주로 입상으로 다정하게 웃고있는 모습이었던 것과는 달리 석굴암의 본존불은 높은 단위에 앉아 우아하고 위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그것은 지혜와 능력이 극치에 달한 승리자의 모습이다. 본존불은 성냄도 없고 뚜렷한 미소도 없으나 명상과 깊은 침묵이 감도는 무(無)의 세계를 만들어 범인이 감히 가까이할 수 없는 위엄이 흐른다.

인공적인 부자연스러움 없이 부드럽게 넘치는 생명력을 표현한 어깨선, 가부좌한 두 다리와 무릎, 두 팔과 손, 반쯤 내린 눈, 온화한 눈썹, 양미간에 서려 있는 슬기로움, 자애로운 입가, 그리고 백호. 이 모든 선들이 조금의 허점도보이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돌 위에 마치 얇은 천의를 걸친 듯 옷 주름도 아름답게 조각되었다.

본존불 뒤 벽에 깊숙이 새겨놓은 소박하고도 빼어난 연화문 광배는 본존불의 영광을 드러낸다. 광배를 불상에 직접 붙이는 일반적 방법과는 달리 간격을 두고 멀리 배치하여 더 입체적인 조화를 느끼게 한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광배의 둘레를 돌아가며 장식한 연꽃잎을 위로 올라 갈수록 크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작게 한 것이다. 이는 아래에서 기도하는 사람의 착시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불두의 크기가 몸의 크기에 비하여 크게 만들어진 것도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존불은 주실의 한가운데에 자리하지 않고 뒤로 약간 물러난 위치에 있다. 이는 앞을 향해 전진하는 듯한 동적인 이미지의 본존불을 만든다. 만약 본존불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었다면 주실이 비좁고 답답한 느낌이 들었을 것이다.

신비로움을 가득 간직한 본존불의 고요한 모습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그런데 1913년 중수 때 비도와 본존불사이에 있는 좌우 돌기둥을 연결하는 아치형의 양석(梁石)을 가로질러 놓아 동해 바다를 내려다보는 본존불의 시야를 가리고 말았다.

이 본존불이 석가모니불이냐 아미타불이냐 하는 판단을 두고 서로다른 견해가 있으나 우선 석가모니불의 특징인 항마촉지인을 하고있다는 점, 둘째, 본존불 주위에 십대 제자가 있고 문수와 보현 보살이 협시하고 있다는 점, 셋째, 손오공이 나오는 서유기의 현장스님이 부다가야에서 본 석가모니성도상이 당나라 척도로 폭11.8척, 높이 13.2척이라고 「대당서역기」에 적고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석가모니성도상의 크기인 폭 11.8척, 높이 13.2척으로 만들었다는 점 등으로 석가모니불로 판단하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수광전' 이라는 현판 등이 있었던 것은 당시 유행하던 아미타 신앙의 요소를 받아들인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탈리아어로 경건한 마음, 경건한 동정(同情)이라는 뜻으로 “신이여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기도할 때 이 명사가 쓰인다. 고유명사로서는 그리스도교 미술에 자주 표현되는 주제로, 보통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의 시신을 무릎에 안은 구도를 특히 이렇게 표현한다. 그러나 죽은 예수를 마리아가 등 뒤에서 받치기도 하고(미켈란젤로의 론다니니 피에타 등), 예수의 시체를 지상에 눕혀 놓은 것도 있으며(피옴보의 비테르보의 피에타 등), 시신을 둘러싸고 성모 마리아를 비롯해서 막달라 마리아, 아리마타야의 요셉, 니코데모, 사도들, 성자 등이 그 죽음을 애도하는 것(조토의 스크로베니성당의 벽화 등)도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모두 ‘피에타’라고 한다.
이런 주제의 내용은 성서에 나와 있지는 않지만, 이 주제의 출현은 성스러운 금요일에 죽은 예수가 십자가에서 내려지고 그 시신을 매장하기 직전에 먼저 성모 마리아(앞에 기술한 대로 많은 사람일 수도 있지만)가 예수의 시신에 매달려서 통곡했을 것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심정의 시각화로 생각된다.
마리아가 예수의 시신을 무릎에 안은 구도는 13세기 독일의 종교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14세기 독일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며 그 뛰어난 예술적인 표현이나 번안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 예술가들에 의해 많이 다루어졌다. 예를 들면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3부작(로마 산 피에트로대성당, 피렌체대성당, 밀라노의 카스텔로 스포르체스코성의 론다니니피에타)》을 비롯하여 조반니 벨리니(밀라노 브레라미술관), 바르톨로메오(피렌체 피티미술관), 로렌초로트(브레라미술관) 등의 걸작이 속출했다. 루브르미술관의 15세기 패널화 《아비뇽의 피에타》도 유명하다

재료,표현기법의 차이점->화강석:대리석
단단한 재료:부드러고 결이 아름답고 조각에 딱맞는 재료;조각이 잘됨


조형요소와 원리..개인적으로 석굴암의 불상은 관람자의 시선에 맞는 비율로 보여진다.높은위치의 석상인 약간의 큰 두상이 관람자의 눈높이의 낮은위치에서는 균형과 조화의 비율로 다가섬을 느껴볼 수 있다.

본존상과 피에타의 차이점(내공있음)

석굴암 본존상과 피에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석굴암본존상: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동양:서양 화강암:대리석 얼굴 ,전신 단순 절제,생략표현:섬세한 근육...

석굴암본존상과 피에타 작품감상

... 시대,동서양문화특징비교3,재료,표현기법의 차이점4... 석실이 있음을 알렸고, 그 말에 따라 발견했다고 전하여... 오늘날까지도 석굴암본존상에 큰 문제거리를 남기는...

피에타석굴암차이점과 공통점은?

... 피에타석굴암 보존상의 공통저과 차이점을... 일치하고 있음을 보아도 더욱 뚜렷해진다. 동해구란... 주실에는 단독의 원각(圓刻) 본존상(本尊像)을 비롯하여 보살과...

중학교1학년 미술 탐구활동 [내공45이상]

... 설명해봅시다. .석굴암본존상: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동양:서양 화강암:대리석... 《아비뇽의 피에타》도 유명하다 재료,표현기법의 차이점->화강석:대리석 단단한 재료...

중앙중 미술 수행평가 급합니다..

... 추가 내공까지 하겠습니다.. .석굴암본존상: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동양:서양 화강암:대리석 얼굴 ,전신 단순... 《아비뇽의 피에타》도 유명하다 재료,표현기법의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