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의 해결방안과 뜻(감사내공드림)

동북공정의 해결방안과 뜻(감사내공드림)

작성일 2006.09.1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선생님께서 동북공정의 해결방안과 뜻을 조사해오라고 하시던데요

간단하게 생략해서 좀 알켜주세요..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동북공정이란 중국이 고구려의 역사를 자신의 나라 역사로 편입시킴으로서

                                      중국 소수민족인 조선족 그리고 북한의 정치체체 붕괴후 중국이

                                      만주  백두산 간도 그리고 북한땅까지 흡수하려는 계획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는 이에대해

 

일단 동북공정에 대하여 모든 국민이 고루 알수 있도록 하며

우리나라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국제기구나 중국측에 항의를 하는등

여러가지 행동이 필요합니다

 

일단 역사를 제대로 알기위해선

역사 서적이나

역사 카페 가입등 여러가지 행동이 필요하고요

 

그다음 중국측에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가며 반박을 하고 잘못을 인정하도록 해야합니다

 

중국은 오래전부터 동북공정을 준비했습니다 mbc보고 아신분들 죄책감 느끼싶시오

 

어째서 이제 아신겁니까 언제부터 이일이 진행되엇는데

 

 

이만 중2의 허접한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국의 ‘東北工程’ 모색과 그 대응방안


 



Ⅰ. 서론

Ⅱ. 본론

  1) ‘동북공정’과 그 등장배경

  2) ‘동북공정’의 국제질서적인 배경 - 중국의 의도

  3)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측의 다양한 시각

  4) ‘동북공정’의 논리에 대한 대응양태

  5) 고구려는 중국 지방 민족인가

  6) 중국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의 대응

Ⅲ. 결론



I. 서론

  ‘동북공정’이 우리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 중 고구려사를 비롯한 고조선, 발해 등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연구들이 한국사를 크게 왜곡하고 있다는 데 있다. 중국은 고구려를 중국의 소수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이라고 보아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라고 하는 견해를 계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동북공정’은 바로 이러한 주장을 중국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며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중국은 고구려사 뿐만 아니라 고조선사와 발해사까지도 한국사의 영역에서 제외시키고 있는데, 이렇게 된다면 한국사는 시간적으로는 약 2,000년 정도를, 공간적으로는 한강 이남에 국한되게 되어 한국사의 근간은 크게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배경과 진행 과정을 규명해서 우리가 현재 처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표명함과 동시에 대응 방안까지 모색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동북공정’과 그 등장배경

  ‘東北工程’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의 줄임말로서, 죽국 동북 변경지방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일련의 연구 작업을 뜻한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개년 계획의 이 프로젝트는 중국 사회과학원 소속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이 주관이 되어 추진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2001년 6월 長春에서 중국 사회과학원과 중국공산당 길림성위원회가 연합으로 주관한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 연구공작 좌담회’에서 의사일정이 제시되었고, 8개월에 걸친 준비과정을 거쳐 2002년 5월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계열 연구공정’이란 명칭으로 공식 출발하였다.

http://images.google.co.kr/imgresimgurl=http://www.kmib.co.kr/online_image/2005/0310/20050310_06_01.jpg&imgrefurl=http://www.kmib.co.kr/html/kmview/2005/0310/091973125711131100.html&h=701&w=419&sz=99&hl=ko&start=16&tbnid=DJzOz5PwBsVUZM:&tbnh=138&tbnw=82&prev=/images%3Fq%3D%25EB%258F%2599%25EB%25B6%2581%25EA%25B3%25B5%25EC%25A0%2595%26svnum%3D10%26hl%3Dko%26lr%3D%26newwindow%3D1 참조

  ‘동북공정’의 연구내용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동북지역 및 한반도와 관련된 각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중국 당국과 학계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현재 중국사회의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에서, ‘현재가 과거를 이해하는 기준’이라는 관점에서 역사의 범위 설정과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사 이전 시기의 역사 즉 고조선과 고대국가에 대한 연구에서도 기존의 전통적 화이관(華夷觀)에 입각한 ‘중화와 오랑캐’의 대립적 관점을 수정하고, 이들 고대종족 및 고조선의 역사마저 중국사의 일부로 편입시켜 파악하려는 의도를 감추지 않고 있다.

  중국은 오랫동안 고구려사를 이론의 여지없이 한국사로 간주했다. 하지만 1994년부터 중국 내의 역사학자들로부터 고구려는 중국의 변방정권이었으므로 당연히 중국사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반론을 제기하며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고구려 민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이므로 소수민족 역사에 포함되어야 한다고도 주장하였다.

  2000년부터는 고구려사 연구자를 양성하는 사업을 벌여 100여명의 학자가 자료수입 또는 유적 발굴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고구려의 역사를 국내성을 수도로 정한 시기는 중국사, 평양 천도 이후는 한국사에 포함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2002년 2월부터 동북지역의 역사와 현황에 관하여 학술작업으로서의 ‘동북공정’을 대형 국책사업으로 지정해 고구려 편입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들은 사업의 기본목적을 고구려와 발해에 관련된 자료의 수집, 유물 유적의 발굴 보존에 두었다. 이 프로젝트에 따라 먼저 集安縣의 광개토대왕비와 장군총 등의 정비 사업을 벌였다. 주변에 널려있는 수천 채의 민가를 헐어내고 내부를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 또 요령 (遼寧)지방과 심양(瀋陽)지방의 고구려 성곽을 수리하고 동경성 등에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였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는 근거로서 “첫째,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이 중국의 고대역사에 등장하는 고이족과 고양씨(高陽氏)의 후손이다. 둘째, 고구려가 중국에 조공(朝貢)하였기 때문에 고구려는 중국의 속국이다. 셋째, 고구려가 벌인 수 ․ 당 과의 전쟁이 국가와의 전쟁이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 정부가 벌인 통일전쟁이다. 넷째, 고구려가 멸망 뒤 그 유민들이 거의 당나라로 끌려가 한반도에서 고구려의 혈연적 계승은 단절되었다. 다섯째, 고구려의 왕족은 고씨, 고려의 왕족은 왕씨이므로 계승성이 단절되었다.”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면서 개진해나가고 있다.1)

 

  중국은 1980년대 개혁 ․ 개방정책을 추진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내세워 소수민족들-위구르 자치주, 雲南省 등- 국경지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중국은 1983년 국경지방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이라는 연구센터를 건립하였다. 이후 중국은 1989년 동구권이 붕괴하고, 1991년 소연방이 해체되면서 국경지방의 소수민족의 민족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이후 동북지방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특히 한국인들이 이 지역에 와서 고구려와 발해의 유적을 답사하면서 한국역사와 관련된 발언을 할 때 매우 긴장하였으며, 한국인들의 출입을 감시하고 통제하기도 하였다. 더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탈북자들이 대거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동북지방의 정체성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고민을 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때부터 동북지방의 연구기관들을 통하여 동북지방의 역사와 지리 및 민족문제와 관련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하였으며, 본격적으로 고구려를 중국의 소수민족 정권으로 규정하고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보려는 연구결과물들이 다량으로 발표되기에 이르렀다. 그 후 2001년 북한이 고구려의 고분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을 신청하자 중국이 국가적 프로젝트인 ‘동북공정’을 기획하고 추진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북한이 신청한 고구려 고분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을 받게 되면 중국이 고구려사를 중국의 역사로 주장하는 명분이 사라질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북한이 신청한 고구려 고분군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방해하고, 2003년 봄 집안시 주변의 고구려 고분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해줄 것을 신청한 것이다. 



2) 동북공정의 국제질서적인 배경- 중국의 의도

  첫째, ‘동북공정’은 고구려 유적 유물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데,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 고구려 문화 여행절 행사가 진행중인 중국 지린성 지안(集安)시의 한 시장입구에 고구려 유적의 세계문화 유산 등재를기념하는 플래카드가 걸려있다. /조선일보 DB사진

  둘째, ‘동북공정’은 ‘신중화제국주의’를 실현시키기 위한 명분축적 작업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中華’란 중국을 중심에 두고, 다른 종족과 문화에 대해 배타적인 우월감을 표현하는 말이다. 중국에게 이러한 중화제국주의는 여전히 필요하고 실현되어야 할 과제이며 실천하는 구체적인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역사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동북공정’은 주변 국가들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특히 만주 지역에 대한 한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실제로 만주지역에서 각종 형태의 경쟁과 충돌이 발생하고, 이 경쟁에 일본, 러시아, 미국 등 강대국이 끼어들 경우에 중국은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므로 만주지역 내부에 대한 지배력을 한층 강화시켜 조선족 및 기타 세력의 움직임을 차단하고자 한다.2)



3)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측의 다양한 시각3)

(1) 공세론

  한국의 학계 ․ 언론계 인사들 대부분은 중국의 ‘동북공정’을 공격적 프로젝트로 파악하고 있다. 이 시각은 동북공정이 학술적 성격을 띤다는 중국 정부의 해명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동북공정은 현재의 동북아 질서, 세계 질서를 중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시킬 의도를 가지고 추진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동북공정의 배경에 대한 이들의 시각은 다음의 <표-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표-1> 한국측이 바라본 ‘동북공정’의 공세적 측면들



(2) 방어론

  ‘동북공정’을 방어적인 프로젝트로 파악하는 시각들은 동북공정의 목적이 현 동북아질서의 현상유지나 중국 내부 질서의 유지와 결부되어 있다고 보는 주장들이다. 그러나 여러 시각들 거의 모두가 동북공정은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에 의해 발표되는 논문들이 우리 민족의 역사를 왜곡시키고 있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대부분의 논자들은 중국 측의 패권주의적 경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어론의 논지들은 국제관계에 있어 세력관계의 변화보다는 현 국제질서의 유지나 중국 내부의 불안정 요소의 제거 등을 동북공정의 목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표-2> 한국측이 바라본 ‘동북공정’의 방어적 측면들  


 

(3) 반성론

  일반적으로 동북공정을 중국 팽창주의의 발현이지 고구려사의 왜곡이라는 시각이 한국 학계와 언론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극히 소수이기는 하지만 일부 학자와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편제에 대한 한국 측의 이해 부족과 중국을 자극하는 한국 측의 행태와 관련하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표-3> 한국측이 중국측을 곡해했거나 자극했다고 보는 입장




4) ‘동북공정’의 논리에 대한 대응양태

  ‘동북공정’의 논리에 대한 한국측의 반응은 비판론, 대안론, 자성론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각은 대다수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중국의 논리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대응논리를 제시하고 있으며, 두 번째 시각은 중국과 한국학계의 역사해석상의 잘못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내놓고 있고, 세 번째 시각은 한국학계의 역사연구의 부실함이 중국 측에 역사침탈의 빌미를 주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표-4> 중국측 논리에 대한 한국측의 입장


(1) 비판론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동북아 지역 고대사, 특히 고구려사와 관련된 제반 논의들에 대하여 한국사학계의 대다수 학자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2) 대안론

  한국사학계의 일부 학자들은 중국과 한국 간의 ‘역사전쟁’이 역사 해석상의 잘못된 접근법에 기인한다고 주장하면서 양측 모두를 비판하는 한편, 나름의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로 양국의 역사관과 사실의 해석에서 오는 차이로 인해 한국에서 ‘역사전쟁’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양국간의 역사공유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서 주목하고 있는 사실은 ‘역사전쟁’이 바로 ‘민족주의’의 이름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어떠한 보편적 이념이라 할지라도 자신이 견지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의 틀에 맞추어 사실을 왜곡하거나 침소봉대해서는 안 되며, 민족주의도 마찬가지로 객관성을 상실하고 감상적으로 변해갈 때 민족의 이름으로 민족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기 쉽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중국이 고구려사에 대해 “고구려사는 당연히 조선사의 일부”이기도 하기 때문에 “하나의 역사를 공유하자”고 제안하는 것에 대해 중국이 원대사를 몽골인민공화국과 별다른 마찰 없이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추가적 예로 들어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둘째, 이들은 지금까지의 동아시아론이 국가와 민족 단위로 이루어지면서 국가중심주의로 빠지는 것에 대해 반성을 했으며 이에 다양한 시선으로 동아시아를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서구민주주의에 함몰되지 않고, 자민족주의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동아시아의 민족과 국가를 객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3) 반성론

  한국의 일부 학자들은 한국 사학계의 잘못으로 인해 ‘동북공정’과 같은 사태가 초래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동북공정’의 논리들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시간상으로는 ‘단군’ 및 ‘단군이전사’까지, 공간상으로는 ‘만주’까지를 우리 민족의 역사로 끌어안지 않은 한국 사학계가 중국 측에 역사침탈의 빌미를 주었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첫째, ‘동북공정’의 논리에 맞서기 위해서는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열국시대-삼국시대-통일신라로 이어지는 고대사 체계부터 고쳐야 한다고 말한다.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한사군을 우리 역사로 인정하면 무려 1400여 년 간 중국의 지배를 받은 것으로 치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고구려의 남진정책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해온 한국 사학계의 관행이 ‘동북공정’에 휘말리게 되는 빌미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는 오랫동안 고구려의 평양 천도가 고구려의 남진정책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어져 왔기 때문에 평양을 천도나 남진정책이 낳은 결실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역사 사실에 대한 가정에 지나지 않는다. 또 삼국의 문화가 주변 세력의 문화와 비교하여 공통성이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삼국의 대립과 항쟁을 강조하는 ‘분단 지향 역사학’을 해왔기 때문에 고구려사가 민족사의 범주에서 제외될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셋째, 반도중심 고대사 인식틀을 극복하고 부여-고구려를 잇는 만주 중심으로 고대사를 연구해야 한다고 한다. 넷째, 단군이전사는 만주 지역에서 흥기했던 요 ․ 금 ․ 원 ․ 청 등의 국가들 및 말갈 ․ 여진 ․ 만주족 등의 민족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동이족들로서 우리 민족에 포함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학계가 이들을 우리 역사에서 제외함으로써 중국 측에 역사침탈의 빌미를 제공했다고 본다.   



5) 고구려는 중국 지방 민족인가

  ‘동북공정’의 2003년 연구과제 중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주제는 ‘고구려 민족과 국가의 연변’, ‘조선반도 민족 ․ 국가의 기원과 발전’, ‘고구려의 족원과 강역’ 등이 있는데, ‘동북변강지구 사회안정문제 연구’라는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 지역의 사회안정에 대한 관심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것을 통해 한국 고대사에 대한 연구는 고조선과 고구려 및 발해에 걸쳐 있지만 가장 핵심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주제는 고구려로서 전문주제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고구려를 고대중국의 일개 지방민족정권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지린성 지안시의 태왕릉. 고구려 기단식 돌무지무덤으로 정상에서 ‘원태왕릉안여산고여구(願太王陵安如山固如丘)’라고 돋을새김한 벽돌이 발견돼 태왕릉으로 불리게 됐다. 과거에는 능 앞에 철책이 있었지만 동북공정 이후 유적 재정비를 하며 관람객의 접근이 어렵도록 철책을 멀리 둘렀다. 취재팀이 사진을 찍자 행인이 다가와 “빨리 가라”고 경고했다.-지안=특별취재팀

  과거에는 고구려정권의 귀속에 대해서 중국 학계에 부정확하고 착오적인 견해가 존재하였으나, 이제는 대다수의 학자들이 공인되었다고 정리하고 있다. 그동안 고구려의 역사에 대해 많은 의견들이 있었으나 국가적 프로젝트인 ‘동북공정’을 통하여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단정하여 공식적인 견해로 확정하여 버린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견해는 사실적으로 수긍하기 힘들 정도의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고구려가 중국영역내의 민족이 건립한 지방정권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하나 고구려의 주민은 분명히 예맥족이다. 활동중심에 있어서 몇 번의 천도가 있었으나 결코 한사군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고 주장하지만 그 이전에 이미 고조선이 있어 한사군이 이 지역을 일시적으로 지배하였다는 것은 중국인들도 인정하고 있는 바이다.

  그들은 또 고구려가 줄곧 중국 역대 중앙왕조와 군신관계를 유지하였고, 중국 밖으로 벗어나기 위해 그 관계를 스스로 끊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조공과 책봉은 당시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적용된 외교형식이기 때문에 고구려만 이를 근거로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규정하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기도 하다. 중국이 백제나 신라, 왜 등과 맺고 있는 조공책봉 관계에서는 하등의 차이가 없으며, 베트남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하겠다.

  또한 고구려가 당나라에 봉역도를 바쳤다는 것은 그 영역을 바친 것이 아니라 고구려의 영역이 어디인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행위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은 고구려 멸망 후에 그 주체 집단이 한족에 융합되었다는 것 등을 내세워 고구려가 고대중국의 지방민족정권이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고구려의 멸망 후 당나라에 강제로 끌어간 사람들도 있지만 신라로 간 사람들도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고구려 지역에 남아 발해의 주민으로 살아가게 되었다. 그런데도 고구려와 고려 및 조선족은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억지 주장을 펴고 있는 것이다.4)

  또 중국은 고구려의 고씨와 고려의 왕씨는 혈연적으로 다르며 시간적으로 250년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역사적 계승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중국의 왕조는 한족과 북방민족의 왕조가 번갈아 가며 중원을 차지하였으며, 한족의 왕조도 모두가 다른 성씨이므로 역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인가? 왕조의 계승은 혈연적 계승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 계승성이 중요한 것이다. 중국이 주장하는 논리대로 한다면 중국의 왕조는 하나도 연결이 되지 않는다. 


6) 중국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의 대응

  중국의 고구려서 왜곡에 대해 대체적으로 두 가지 대응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일부 하계와 정부측의 입장으로 고구려사 왜곡 문제를 감정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이를 역사문제로 보아야 하며, 한 ․ 중간 학술적인 교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둘째로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응방법과 그동안 우리의 역사인식 및 연구에 대한 깊은 반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런데 일부 학계와 들은 이는 엄연한 현실문제이며, 중국의 ‘동북공정’은 정치적인 프로젝트이기에 긴급성을 느껴야 하며, 냉정하고 객관적이지만,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왜냐하면 ‘동북공정’ 진행과정이 한반도 문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첨예한 대립 가능성이 있는 주요 쟁점 및 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1) 고구려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남북한 및 국제공조의 필요

  고구려사 문제는 학술적인 차원에서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철저한 분석과 자료의 준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이고 치밀하게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고구려사가 한국사에 귀속되어야 하는 이유를 생물학적 ․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보면, 한국인의 유전자모집단은 7할 이상이 북방계 아시아인, 2~3할이 남방계 아시아인 및 유럽인 그룹에 속하는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현재의 한국인이 만주족과 유전자가 거의 같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당시 만주족(혹은 말갈)은 고구려와 발해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기 때문에 만주족의 남쪽에 살고 있었던 고구려인의 유전자는 오늘날의 한국인과 같았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비파형동검, 온돌, 지석묘, 적석비 등을 통해 고구려가 한민족과 같은 역사적 공동체였음을 증명할 수 있다.5) 

 


(2) 간도 영유권문제 인식과 간도연구의 활성화 필요

  ‘동북공정’에는 간도문제가 설정되어 있다. 이는 고구려사 못지않게 왜곡의 우려가 되는 사안으로 중국에 의한 간도문제의 왜곡을 막기 위해서도 지금껏 우리 학계에서 큰 관심분야가 아니었던 간도에 대한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간도문제는 한국과 중국간의 영토 및 국경분쟁으로서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의 남만주의 귀속문제를 주된 쟁점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두산정계비를 중심으로 발원하는 토문강 이동지역인 북간도의 귀속문제를 말하나 이뿐만 아니라 압록강 이북의 서간도 귀속문제도 매우 중요하다.

1885년 파리지리학회지에 실린 한반도ㆍ만주 지도. 간도를 조선내 행정구역 표시와 같은 선으로 표시했다.
※ 출처 :http://news.hankooki.com/lpage/life/200404/h2004041919474044390.htm

  남만주 지역이 조선의 세력권 하에 있었다는 사실은 유럽에서 제작된 지도에서 그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청 강희제 때 만든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의 동판도(銅版圖)가 프랑스로 보내져서 유럽에서 이를 모사해서 약 1740년대 이후 많은 중국 및 조선 지도들이 제작되었다. 예를 들면 1740년에 두 할데(Du Halde)가 제작했었고, 1794년에는 윌킨슨(R.Wilkinson)이 중국, 조선 및 일본 지도를 만들었다. 그 외 사람들이 만든 지도들에서도 전부 압록강 이북고 두만강 이북의 남만주지역이 조선영토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만주지역은 조선인들에 의해 선점되어 개간되었고 주민에게서 세금도 징수했다. 이 같은 점들 때문에 압록강 및 두만강 이북지역이 청으로 일방적으로 편입된 일은 당연히 학술적으로 재론되어져야 한다.

  오늘날 간도는 1909년에 간도협약에 의하여 일본이 안봉선 개축과 광업권의 교환조건으로 청에 마음대로 넘겨준 땅이지만, 그 법적 근거였던 을사조약은 이미 무효가 되었다. 이에 앞으로의 과제는 간도문제에 관한 좀 더 많은 제3국 사료들의 발굴 소개도 중요하고 또한 한 ․ 중간에 간도문제에 대한 학술적 공동논의가 있어야 하겠다.6)



Ⅲ. 결론

  ‘동북공정’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는 한중 양국간 역사분쟁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분쟁이 장기화되며 한중간에 국경 및 영토분쟁의 정치적 문제로 확산될 우려가 높다. 이에 우리는 평화적이고 대화로서 해결해야 하는 원칙을 내세우면서도, 현명하고 단호한 대응을 위해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고 본다. 중국과의 관계는 더더욱 서로가 동북아시대에 상호의존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극단적인 문제해결방식 보다는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미주

1) 소치형, 「중국의 ‘동북공정’과 정치적 의도」, (중국연구, 제23집), 2004, pp.47~50.

2) 윤명철,「東北工程의 배경과21세기동아시아 신질서의 구축」, (단국학 연구 제10호), 2004,      pp.259~269

3) 김인성, 「역사적 진실 왜곡에 대한 비판과 반성」, (민족연구 제13호), 2004, 전문 요약

4) 최광식,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대응방안」, 『북한』 통권제388호, 2004, pp.36~37.

5)이인철, 「중국의 고구려사편입과 한국의 대응전략」, (백산학보 제67호), 2003. 참조

 6) 김우준 ․ 김예경, 「중국의 대내외 전략과 동북공정 : 현황과 우리의 대응」, (세계지역연구논총), 2004, pp.12~19 요약

 

※ 참고논문

김성환, 「동북공정을 다시 생각한다」, 『월간말』, 2004.

김성환, 「동북공정은 은폐된 영토분쟁」, 『월간말』, 2004.

김우준 ․ 김예경, 「중국의 대내외 전략과 동북공정 : 현황과 우리의 대응」, (세계지역연구논총), 2004.

김인성, 「역사적 진실 왜곡에 대한 비판과 반성」, (민족연구 제13호), 2004.

소치형, 「중국의 ‘동북공정’과 정치적 의도」, (중국연구, 제23집), 2004.

안병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동북공정」, (국제정치연구 제7회), 2004.

윤명철,「東北工程의 배경과21세기동아시아 신질서의 구축」, (단국학 연구 제10호), 2004

이인철, 「중국의 고구려사편입과 한국의 대응전략」, (백산학보 제67호), 2003.

최광식,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대응방안」, 『북한』 통권제388호, 2004.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먼저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면서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고조선과 부여, 발해사를 자국의 지방정권으로 역사를 왜곡하는 의도와 논리를 파악하고 학술적으로 그 논리를 반박해야 하며, 국제사회에 동북공정의 부당성과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발전, 세계평화를 위협할 수가 있음을 알려야 합니다.

 동북공정에 대응을 하는 데는 외교적으로는 정부의 노력과 학술적으로는 사학자들의 지속적인 연구, 국민들의 꾸준한 관심과 애정이 절실히 필요 합니다. 그리고 우리 같은 이해관계인 몽고나 베트남과의 협력관계를 가지고 북한과의 공조, 티베트와 위그르의 독립운동을 지원해야 하다고 생각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국 동북 지역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대형 학술 과제로 ꡐ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ꡑ의 줄임말이다. 우리말로 ꡐ동북 변강의 역사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프로젝트ꡑ로 옮길 수 있다.
동북공정은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중국사회과학원과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 등 동북 3성이 연합해 추진하는 국책사업으로 2002년 2월 28일 시작됐다. 동북공정의 취지문에는 정치적 의도가 분명히 드러난다.
‘중국 동북의 변강지구(국경지역을 뜻함)는 동북아의 중심에 위치하여 극히 중요한 전략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런 형세 아래 일부 국가의 연구 기구와 학자들이 역사 관계 등의 연구에서 의도적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고… 동북변강의 역사와 현상에 대한 연구 분야 건설 및 발전을 더욱 촉진시키고 이 지역의 안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ꡑ
구체적 연구 과제는 동북 지방사 연구, 동북 민족사 연구, 고조선 고구려 발해사 연구, 중-조(中-朝) 관계사 연구, 한반도 정세 변화 및 그에 따른 중국 동북변강 안정에 대한 영향 연구 등으로 그 중심에 한국이 놓여 있다.
연구비는 5년간 중국 정부에서 1000만위안,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125만위안, 동북 3성에서 375만위안을 조달할 계획. 이는 약 24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고구려가 中 일부라고?=
이같은 해석은 중국의 ꡐ통일적 다민족 국가론ꡑ에 입각해 있다. 중국학자들은 ꡒ중국은 예로부터 다민족국가이므로 현재 중국의 소수민족 역사와 중국 영토에서 이루어진 역사는 모두 중국사ꡓ라는 입장이다. 그 이면에는 중국 정부의 정치적 의도가 짙게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55개 소수민족을 아우르는 현 체제가 흔들려서는 안된다는 강력한 의지와 한국․북한․중국 조선족 등 정세변화를 감안했을 것이다.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움직임은 마냥 감정적으로 대응할 일이 아니다. 단번에 해결될 문제도 아니다. 중국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소수민족 정책과 연계되어 있고, 중국측의 학문적 연구도 병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학계, 시민단체를 아우르는 체계적이고 냉정한 접근이 요구된다. 정부는 우리의 입장과 원칙을 명확하게 표명하면서 다각도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계는 중국학자들의 연구동향과 결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설득력 강한 학문적 대응을 해야 한다. 한국사 바로알리기를 위한 시민․민간단체의 역할도 소중하다.
당면과제는 내년 중국 쑤저우(蘇州)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산하 세계유산위원회 제28차 총회이다. 이 자리에서 북한과 중국이 신청한 고구려 유물․유적의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중국이 신청한 고구려 유적만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다면, 고구려는 ꡐ중국 소수민족의 고대국가ꡑ라는 중국측 주장이 공인되는 상황을 낳을지 모른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고 협력해야 할 이유다.

=감정보다 학문적 대응을=
2004년 6월 중국 쑤저우(蘇州)에서 열릴 유네스코 산하 세계유산위원회(WHC) 제28차 총회 결과를 앞두고 한국과 중국의 역사학계가 초미의 관심을 쏟고 있다.
내년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올 7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시도했다가 중국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보류된 북한 평양 고구려 고분군에 대한 재심사와 중국이 신청한 지안(集安) 고구려 유적에 대한 심사 결과가 동시에 발표된다. 유네스코가 어느 쪽 손을 들어주는가는 향후 고구려사가 세계사에서 한국과 중국, 어느 쪽으로 귀속될 것인가의 분수령이 된다. 북한의 고구려 유적은 제외되고 중국 것만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경우 고구려사는 중국사로 편입될 우려가 높다. 더구나 중국은 고구려사를 자국사로 편입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국책사업으로 학술 프로젝트 ꡐ동북공정ꡑ을 2002년 2월 이래 진행해오고 있다.
중국은 왜 한국의 고대사를 앗아가려 하는가.

● 역사전쟁에서 이기려면
▽여=학계에서는 중국의 주장을 반박하는 논리를 만들어내야 해요. 그러나 현실은 열악합니다. 중국에서 나오는 자료나 보고서를 학자 개인이 일일이 연락해 수집하고 있습니다. 국내 어디에도 중국의 자료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수집하는 기관이 없습니다. 관련 연구자들을 결집시키고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해요. 반면 중국에서는 ꡐ동북공정ꡑ의 하나로 한국과 일본의 연구 성과를 번역해 중국학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어요.
▽최=북한은 고조선 고구려 발해로 이어지는 역사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움직임에 훨씬 큰 충격을 받았을 겁니다. 북한과 공조를 이룬다면 좋을 것 같군요. 함께 연구를 하고 고구려 고분군 관리나 시설 등에서 우리가 기술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가능하겠지요.
▽전=북한으로서는 고구려사를 잃어버리면 정권수립 후 지금까지 역사연구에 들여온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중국과의 특수한 동맹 관계도 있고 해서 공식적으로 입장 표명을 하기도 어려울 거라고 봅니다.
▽여=우리 자신의 연구 성과를 해외에 알리는 데도 소홀히 했어요. 해외 유명 인터넷사이트에서 한국사를 삼국통일 이후 시작된 것으로 소개하고 있을 정도예요. 우리의 연구 성과를 해외에 홍보하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전=유럽의 경우 역사적 논란이 있는 부분은 공동 집필해 이견을 해소하고 역사 왜곡 시비를 피해가고 있습니다. 독일과 폴란드,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과 프랑스 등이 역사 교과서를 공동 집필했어요. 유럽의 사례에서 해답을 얻을 수도 있을 겁니다.
▽최=가칭 ꡐ한중 역사공동위원회ꡑ 같은 상시적인 협의조직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일반적 외교 분쟁이 아니라 명백한 역사 주권 침해이며 장기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 정부․학계 뒤늦게 ꡒ그건 아니야ꡓ
정부와 한국 학계는 뒤늦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에 나섰다. 정부 쪽에서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이하 연구위)가 대응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위는 2001년 한․일 정상회담 당시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해 양국 정부가 공동대응하기 위해 발족한 한시기구로, 우리쪽 연구위는 교육부에 속해 있다. 연구위는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위탁해 중국 교과서 26종을 포함한 44개국 148책의 한국역사 관련 내용을 분석 중이다. 연구위가 밝힌 정부의 대응전략은, 교육부의 학술진흥으로 학계가 연구성과를 쌓으면 외교부가 이를 바탕으로 대응하되 정당과 시민단체가 감시․후원과 국제연대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당면과제로는 △중국의 역사왜곡 실태 정보 확보 △세계문화유산의 북한지역 유물 등재 누락 방지 등이 제시됐다.

고대사 연구․중국교과서 분석…대책기구 구성 대응나서
한국고대사학회는 지난 8일 경희대에서 열린 월례 연구발표회에서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논리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반박하기 위한 대책기구를 구성한 데 이어, 내년 3월 고구려 고분벽화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를 열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론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신문화연구원 산하 민족문화연구소는 오는 12월15일 세종문화회관 콘퍼런스홀에서 ꡐ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의 방향ꡑ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여는 한편, 고대사 연구자 양성 및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ꡐ고대사연구소ꡑ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역사학자들은 중국의 이런 움직임을 자국 내 소수민족의 독립 및 자결권 요구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한반도 통일 이후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 랴오닝(遼寧) 등 동북 3성(省) 조선인들의 동요를 막기 위한 장기 포석으로 분석한다.
한숨이나 쉬고 있을 때가 아니다. 교육인적자원부 외교통상부 문화관광부 정보통신부 국정홍보처 등 정부 유관 부처는 하루빨리 범정부 차원의 대책과 장기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학계 또한 지난 20년 동안 1000편이 넘는 논문을 통해 고려와 발해사를 중국사라고 주장해 온 중국에 맞서 충분한 사료 발굴과 대응논리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705년간 실존했던 우리 민족의 자존심 ꡐ대(大) 고구려ꡑ를 우리 대(代)에서 한갓 중국의 변방으로 전락시킬 수는 없다.

동북공정의 해결방안과 뜻(감사내공드림)

선생님께서 동북공정의 해결방안과 뜻을 조사해오라고 하시던데요 간단하게 생략해서 좀 알켜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중국의 ‘東北工程’ 모색과 그 대응방안 Ⅰ. 서론 Ⅱ....

부여와 동북공정의 실태와 대안방안에...

... 부여와 동북공정의 실태와 대안방안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내공 팍팍 드릴께요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내공대박;380]동북공정에 대해서...

...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서 우리나라에서 해야 하는 대처방안. 그것도 알고 싶습니다~!! 장난삼아 답변 해주시지 말고 성심성의껏 답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은...

중국의 동북공정이란

... 보내주신다면 감사요 ******@*****.*** 내공30드려요~ 1.동북 공정의 동북공정이란... 4.해결 방안과 우리의 자세 고구려는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천하관을 가지고...

설치로 인한 분쟁과 해결방안(내공드림)

환경기초시설 설치로 인한 분쟁과 해결방안 이상한거 말고 안녕하세요. 위분도 답변을... 마을사람들의 생각을 들어보아 회의 하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사회- 단군신화의 의미 (중국의 동북공정...

... 조금 간추려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 걸어요!!^^ 좋은 답변 부탁 드려요.. Ⅰ. 머리말 중국은 동북공정... 북방지역에 살고 있는 조선족들이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동북공정

동북공정이 왜일어났는가 해결방법과 그이유 등 적어주세여 감사하겠습니당 ㅋㅋㅋㅋㅋㅋㅋㅋ 최대한빨ㄹ... 대응방안을 찾아내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이 글은 저의...

해결방안에 대해서(내공많이드림)

중국의고구려사왜곡의 문제점과 우리나라의 해결방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답변하시는님의 고구려사왜곡에 대한 의견과 생각도 같이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과거...

동북공정이 무엇이고, 동북공정의...

... 내공 100 걸어요 500 걸수 있으면 걸고 싶은데.. 최대... 동북 공정이란 말은..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대한 감사드림과 함께 다음해의 풍년을 기원하였다. 이...

이거좀 알려주세요 내공 있는거 다 드림

... 준비하신 내공에 비하여 답변들이 너무 성의없이... 다른 나라 사람들이 식사를 끼니 해결 차원으로 볼 때... 항주 사람들이 이를 고맙게 생각하여 감사한 마음을 나타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