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근친혼

고려시대 근친혼

작성일 2024.05.1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려시대 근친혼은 왕실뿐만 아니라 하층민 (평민)도 했던 제도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왕실에서 족내혼을 한건 권력 재산의 유출을 막기위함입니다 물론 혈통의 순수성을 위한것도 있죠

고려 공주들은 외부로 시집을 가지 않았습니다 모두 왕씨들과 결혼을 했죠

만약 외부로 시집을 가면 외척이 생기고 그들에게 권력이양을 걱정해야 합니다

조선에서 그리고 다른 왕조에서 항상 문제되는게 외척이니까요

그걸 방지하는데 족내혼만한게 없죠

조선처럼 까다롭진 않지만 굳이 가난한 백성들이 족내혼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안한걸 아닐겁니다 고려는 신분제로 철저히 거주지까지 정해지는 반봉건제국가입니다 향소부곡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그러다보면 좁은 면에서 결혼도 할수밖에 없고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그런 시대는 도덕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습니다.

2. 왕실에서도 하는 일이니 하층민도 도덕이나 죄의식의 없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근친혼은 왕족의 수가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니 평민은 굳이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고려시대 근친혼

고려시대 근친혼은 왕실뿐만 아니라 하층민 (평민)도 했던 제도인가요? 근친혼은 왕족의 수가 늘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니 평민은 굳이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고려시대 근친혼의 장단점.

... 왕실의 근친혼(이복남매기리 결혼하는 것)을 왜 고려시대때 하게되었고 그러 얻은 효과는 무엇이며. 지금 우리가 볼때 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갈쳐 주세여. 지금의 관점에서...

동양보다 서양이 왕족근친혼...

... 물론 동양에서도 한때 고려시대 초에 근친혼이 유행하기는 했습니다만 (왕이 되기 위해 도움을 받았던 공신들의 세력 유지를 위해) 서양에서는 더욱, -유럽 왕가들은 고귀한...

근친혼의 역사에 대해서

... 신라는 근친혼을 통해 지배세력으로서의 지위를 지켜나간 사회였고 뒤를 이은 고려도 고려 시대의 혼인는 신라의 계급 내 혼제를 답습하였으며, 동성혼 내지 근친혼이...

고려시대 모친 성씨

... 이는 고려 초의 왕실에서부터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는데 참조해보세요 ▶ 고려시대 여성계보의 중요성에 대해 참조해보세요 ▶ 고려시대 왕실혼은 근친혼과 족외혼...

고려시대때는 왕실에서 근친혼 흔했다고...

... 고려시대 근친혼의 역사를 보면 이자겸은 둘째 딸을 예종의 왕비로 삼았는데, 셋째와 넷째 딸은 예종의 아들인 인종의 왕비가 되었답니다. 자매가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

근친혼에 관해서

... 보통 왕을 조카딸과 내외종 누이에게 장가들였으며, 고려시대에도 왕실에서 근친혼을 원칙적으로 행하여 후에 몽고장가를 들기 전의 20대 임금 가운데 15명의 임금이 모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