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총과 석촌동 3호분

장군총과 석촌동 3호분

작성일 2024.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구려 장군총이랑 백제 석촌동 3호분의 공통점과 차이점 길게 설명해주세요
돌지무덤양식 내용 넣어서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장군총과 백제 석촌동 3호분은 모두 삼국시대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귀족들의 무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돌지무덤 양식에서 흥미로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두 나라의 문화적 특징과 사회 구조를 반영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 돌지무덤 양식: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 지하식 돌방: 토굴을 파고 돌로 만든 방을 만들고 그 안에 매장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당시의 높은 기술력과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천장: 돌 판이나 널을 이용하여 천장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무덤의 붕괴를 방지하고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 벽: 다듬은 돌을 쌓아 벽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무덤 내부 공간의 견고성을 높이고 습기를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문: 돌로 만든 문을 사용합니다. 무덤 내부 공간의 밀폐성을 높이고 도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차이점:

  • 지붕:

  • 고구려 장군총: 널을 이용하여 지붕을 만드는 널지붕 방식입니다. 널을 엇갈려 놓아 지붕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단열 효과를 높였습니다.

  • 백제 석촌동 3호분: ㄷ자형 돌 판을 이용하여 지붕을 만드는 돌기둥지붕 방식입니다. 돌기둥을 세워 그 위에 ㄷ자형 돌 판을 얹어 지붕을 만들었습니다. 고구려 널지붕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웅장한 느낌을 줍니다.

  • ▶내부 구조:

  • 고구려 장군총: 다실 구조로, 여러 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는 고구려 사회의 계층적 구조와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역할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각 방마다 벽화나 유물이 다르게 나타나 당시 사람들의 삶과 의식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 백제 석촌동 3호분: 단실 구조로, 하나의 큰 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백제 사회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계층 구조와 중앙 집권 체제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단실 구조는 공간 활용 효율성을 높이고 건축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 ▶벽화:

  • 고구려 장군총: 풍부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신화, 전투 장면, 일상 생활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은 벽화는 고구려 시대의 예술적 성취와 문화적 특징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는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백제 석촌동 3호분: 비교적 단순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주로 기하학적 무늬나 추상적인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만큼 화려하거나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백제 시대의 예술적 수준과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장군총과 석촌동 3호분

장군총과 석촌동 3호분의 모양의 공통적인 특징이 무엇인가요? 석촌동 3호분은 10개 이상의 적석 단위가 연접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런 연접분은 마한의...

석촌동의 돌무지무덤

... 있는 장군총보다 큰 것임이 밝혀졌다. 5호 무덤은 조사가 완전하게 되지 않아 구조와... 석촌동3호분 3호분은 대형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남북 폭은 43.7m...

석촌동 고분에 대해 설명한 책이나...

... 옛 고구려지역이었던 만주 통구에 있는 장군총에 버금가는 것으로, 크기는 동서... 박물관,『석촌동 3호분 발굴조사보고』,1983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논문으로는 - 김원용...

역사 숙제 질문입니다 (내공 100)

... (3줄) 위는 장군총, 아래는 석촌동 3호분의 모습입니다. 1. 두 무덤의 모양을 보고 비슷한 점을 찾아보자(네이버에 이미지 검색해주세요,한 5줄은 적어야됩니다) 둘다 초기의...

석촌동에 있는 무덤에 관한 질문!

석촌동에 있는 무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언제... 옛 고구려지역이었던 만주 통구에 있는 장군총에 버금가는... 제 4 호 분은 정방형으로, 3호분과 그 축조방법이 매우 비슷한...

석촌동 고분이 근초고왕릉입니까?

석촌동고분 3호분이 근초고왕릉이라던데 정말인가요? 근초고왕릉이라고 단정짓는것이... 고구려의 장군총과 비교하자면 규모와 무덤 양식이 석촌동 고분과 비슷하다고...

석촌동 고분

... 칭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石村洞百濟初期積石塚) 류... 없었으며, 3호 무덤은 기원전·후부터 나타나는 고구려... 있는 장군총보다 큰 것임이 밝혀졌다. 5호 무덤은 조사가...

석촌동 고분이 무엇인지, 백제의 왕좀...

... 이와 같은 형태는 고구려 장군총과 흡사하다. 사회에서 무덤 형태는 가장 보수적인... 사진은 석촌동 고분 중에 가장 거대한 3호분이다. 누구의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