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외교 질문

한국사 외교 질문

작성일 2023.12.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시대별 외교 좀 알려주세용
삼국시대정도부터 있으면 좋겠어요
자세하게 쓰거나 관련된 문서 넣어서 답변 달아주세요


#한국사 외교 #한국사 외교정책 #한국사 외교관 #외교관후보자선발시험 한국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국사 대외 외교정책

구분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

조선

정책

자주외교

나당친선외교

공동안보외교

실리외교

사대교린

주요내용

장수왕의

강력한군사력을

뒤바침한 자주적외교

정복전쟁을

위한기반조성

6가야연맹

왜국과협력으로

주변국침공을저지한공동안보

거란 여진

송나라

왜국과

실리교역

사대는명나라에대한외교책교린은

여진족과일본에대한외교책

개괄

삼국은 안으로는 서로 대립하거나 연맹 관계를 맺고, 밖으로는 중국 세력과 평화적 교섭이나 전쟁을 치르면서 통일의 길로 나아갔다.

6세기 이후, 중국을 통일한 수⋅당이 침입해 오자, 고구려는 이들을 격퇴하여 중국 세력으로부터 한반도를 보호하였다.

백제는 중국의 남조와 긴밀한 외교 관계를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고, 중국의 분열을 틈타 해상 세력권을 이루기도 하였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보다 발전이 늦었으나, 한강 유역을 확보한 6세기 후반부터 수⋅당 중국 세력을 적절히 이용하면서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여 갔다.

고구려

장수왕은 5세기 79 집권 기간 북중국에서 여러 왕조들이 명멸하는 오호십육국의 혼란한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여 조공외교를 통해 고구려의 안보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때로는 복종하는 자세로, 때로는 이들의 요구를 회피하고, 때로는 당당하게 맞서 고구려의 위상을 최대한 끌어올린 인물이다. 특히 연의 멸망과 연왕의 고구려 망명을 둘러싼 사건, 그리고 북부의 위와 남부의 남제/남송이라는 남북 왕조 간의 대립을 처리하는 그의 외교적 능력은 한국외교사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외교군주(diplomat king)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신라

성덕왕 이룩된 나당관계는 단순한 조공관계가 아니라, 다양한 사절의 왕래와 문물의 교류가 활발해져 양국간에는 친선관계가 확립. 신라는 빈번한 使行을 통해 漢文化 내지는 서역문화까지 수용하여 민족문화를 개발시켰으며, 대외적으로 민족적 자존과 긍지를 잃지 않았던 것이다

백제

근초고왕 때에 중국의 남조인 동진과 외교 관계를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고, 백제의 이주민들이 많이 거주한 규슈의 왜와 외교 관계를 맺기도 하였으며 신라의 협공을 저지하기위해

. 이를 계기로 하여 백제는 중국의 요서, 산둥 지역과 일본의 규슈 지역을 연결하는 세력권을 형성하여 해상 무역 활동을 활발히 나갔다. , 백제는 중국의 남조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때로는 왜의 세력을 한반도에 끌어들여 삼국 항쟁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신라의 협공을 견제 하기위해 6가야 연맹과 동맹과 결속으로 신라를위협

신라외교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신라외교는 나당관계는 단순한 조공관계가 아니라, 다양한 사절의 왕래와 문물의 교류가 활발해져 양국간에는 친선관계가 확립

고려 대외외교

고려는 실리외교라 합니다

중국은, 만주 지역에서는 거란, 여진 등 호족들이 세력을 다투는 3강 구조가 동아시아 지역을 지배하는 세력이었다. 따라서 고려는 상황에 따라 주변 국가들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실리 외교를 추구하는 것이 외교 정책의 특징

조선의외교

사대교린 정책(事大交隣政策) 이란

조선 전기에 조공 관계로 맺어진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확립된 기본 외교 정책이다. 이때 사대교린은 큰 나라를 받들어 섬기고 이웃 나라와는 화평하게 지낸다는 뜻이었으며, 사대는 명나라에 대한 외교책이며, 교린은 여진족과 일본에 대한 외교책

역사적 배경

한반도 여러국가들의 오랜된 외교방식입니다

고구려도 한나라(32년), 북위, 수나라 등 중국에서 강성한 왕조가 들어서면 조공 책봉관계를 맺고 외교적 이익을 취하였으며, 고려도 송나라나 금나라가 강성할 때는 이러한 외교관계로서 국제적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주변 약소 민족에게 회유와 토벌 정책을 실시

한국사 외교 질문

시대별 외교 좀 알려주세용 삼국시대정도부터 있으면 좋겠어요 자세하게 쓰거나 관련된 문서 넣어서 답변 달아주세요 한국사 대외 외교정책 구분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 조선...

한국사 질문

대미외교업무가 정확히 뭔가뇨?? 미국을 상대로 하는 외교 업무를 말합니다.

한국사 질문(신라)

... 내물왕이 광개토왕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은 신라가 위기 상황에서 고구려와 외교적... 오히려 신라의 외교 정책의 한 사례로 볼 수 있겠죠. 2. 진흥왕이 성왕(백제)과...

한국사 질문

... 중립 외교 정책을 폈다가 틀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네이버 과제 전문가, 과제헬퍼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을 꼼꼼히 읽고 답변 드립니다....

중학교 한국사 질문이요..

... 국가로서 외교문서에 발해를 고구려로 칭하기도 했고(구당서,삼국유사) 일본에선 발해의 왕을 고구려의 왕이라고 칭하기도 했습니다(견고려사) 조금 미흡한 지식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