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원의 근대적 특징이 뭔가요?

대한의원의 근대적 특징이 뭔가요?

작성일 2023.06.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출처와 함께 근대적인 특징을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러한 격변기, 서양의학의 수용과 성공적인 성과가 날로 높아가던 시대에 한국정부는 무엇을 하였던가. 팔짱 끼고 가만히 방관만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고종(高宗) 31년 개화당에 의한 갑오개혁(甲午改革)은 모든 그간에 쌓인 폐해를 개혁해 가는 가운데 의료제도에서는 서양의학적 지식에 의한 개혁을 추진하면서도 전통의학을 남겨 두는 방식을 취했다. 개화당 정부가 최종적으로 개혁한 정부의 행정기구는 내(內)·외(外)·탁지(度支)·군(軍)·법(法)·학(學)·농상공(農商工)의 칠부(七部)였고, 의약은 내무위문(內務衞門)의 위생국 소관이었다.

비록 기술직이라 천시를 받았으나 고려(高麗)조에서 조선(朝鮮)조에 이르기까지 육학(六學)의 하나로 과거의 취재(取材) 과목이었던 의학이 칠부의 한 국(局)으로 바뀐 것은 중요성의 순서가 후퇴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생국의 업무는 매우 조직적으로 분담되어 1차로 전염병의 예방, 공중위생 사항, 검역을 관장하던 위생과, 의사, 약제사 업무, 국가고시 등을 담당한 의무과가 있었고, 융희 2년(1908)에는 위생연구소를 두어 두묘(痘苗) 제조, 세균검사, 혈청제조, 음식물과 식기의 검사 등을 하였다. 각종 전염병 예방법이 고종 32년부터 광무(光武) 4년에 걸쳐 규정되고 종두소가 설치되었으며 각종 정부 산하 병원이 설립되었다.

관립병원의 첫 시작은 고종(高宗) 22년(1885)의 왕립(王立) 제중원(濟衆院, 초기에 광혜원이라 칭한 적이 있음)이다. 알렌의 공적이 크게 인정되어 그의 요청을 한국의 왕이 받아들여 국가재정으로 병원을 세웠고, 알렌은 한국정부로부터 월급을 지급받는 주무의사로서 임용된 것이다. 북장로교파(北長老敎派) 등이 의사파견의 지원을 하였지만 속칭 ‘광혜원(廣惠院)’은 알렌의 병원도 북장로교파의 병원도 아닌 조선조 고종왕 집권하의 왕립병원이다. 이것이 왕실의 손을 떠나 미국 북장로파선교회로 넘어간 것은 창립 10년 뒤인 1895년의 일이다. 제중원은 나라에서 세운 최초의 서양의료병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러나 서양 의학의 정착이라는 점에서는 이미 앞에서 기술한 대로 광무 3년(1899)의 에비슨에 의한 정규 의학교인 제중원의학교의 설립과 같은 해 나라에서 설립한(관립)‘의학교’가 역사적으로 더욱 의미가 깊다. 이 ‘의학교’는 광무 3년(1899) 3월 28일 칙령 제7호로 ‘의학교’ 관제를 반포하여 설립되었는데 3개년의 과정으로 학부(學部) 직할이었다. 광무 6년(1902) 의학교 부속의원을 설치하기로 하여 교장에 지석영(池錫永)을 임명했다. 한편 광무 3년 4월에는 내부직할병원(內部直轄病院) 즉 내부병원의 설립 관제가 발표되고 다음 해에 광제원(廣濟院)으로 개칭되었는데 일반환자, 감옥의 죄수, 전염병 환자의 격리 병원인 피병원(避病院) 등을 운영하게 되어 있었고, 의사는 외과의, 소아의, 침의, 대방(大方)의 등 양의(洋醫)와 한의(漢醫)가 함께 진료에 임하도록 조치되었다.

1899년 ‘의학교’가 생기기 전 고종 32년(1895) 11월 종두의양성소(種痘醫養成所) 규정이 공포되어 서양의학에 근거를 둔 종두 전문의의 교육기관이 처음으로 생기게 되었다. 이것은 1개월의 단기양성이지만 종두의 양성소를 졸업하고 종두 의적(醫籍)에 등록된 사람들은 전국의 종두소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광무 3년 반포된 의학교 관제가 마련될 때 종두의 양성소는 의학교의 학과로서 편입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종두의 양성소와 의학교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간주된다. 더불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뿌리를 여기서 찾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나라의 병원 중에는 군부 소관의 병원, 특히 육군병원의 의료진용이 매우 강력했던 것 같다. 이것은 광무 6년(1902) 일본에서 의학교를 나와 의학교 교관으로 있던 김익남(金益南)이 주관하고 독일 여의사, 영국, 미국의(醫), 에비슨, 일의(日醫) 등이 임시의사로 위촉되었다가 3년 뒤에 개정되어 의학교 교관이나 의학교 출신의 한국인 의사가 군의(軍醫), 군의장이 되었다. 궁중의 의료를 담당하던 내의원은 여러 번 명칭이 바뀌었고 융희 원년 경까지 주로 전의(典醫)들은 한의(漢醫)로서 전통의료를 실시했으나 고종 22년부터 알렌을 위시한 미국, 독일, 일본의 여의(女醫), 또는 의사들이 궁내부(宮內府) 촉탁으로 있었다. 융희 연대에는 동경 자혜의학교 출신 의사 안상호(安商浩)도 궁중의 촉탁으로 있었으므로 고종 22년 뒤부터는 서양의료가 동양의료와 함께 궁내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나라의 병원으로서 왕립제중원, 내부병원과 광제원에 이어 설립된 것이 대한의원(大韓醫院)이다. 광무 11년(1907) 3월 10일 칙령 제9호로서 의정부(議政府) 직할병원으로 관제가 공포되었다. 여기에는 치료부 이외에 교육부와 위생부를 두었으며 치료부는 진료와 빈민 시료를 목표로 하였고, 교육부는 의사·약제사·산파·간호부 양성과 의학 교과서의 편찬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광무 7년(1903) 1월 제1회 졸업생 19명을 배출한 의학교는 폐지되고 대한의원 교육부에 병합되었다. 대한의원은 초대 원장을 설립 당시 내부대신(內部大臣) 이지용(李址鎔)이 잠시 맡았으나 곧 일본의 귀족이며 군의총감(軍醫總監)인 사토오 스스무(佐藤進)가 임명되었다. 교관에는 많은 일본인 의사가 임명되고 한국인 서의(西醫)의 수는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

의학교 초대 교장 지석영은 학감으로 임명되었고, 한때는 서양인 의사도 교관으로 임명된 일이 있다. 때는 이미 국세가 기울 대로 기울어 1905년 일본과 체결한 을사조약(乙巳條約)으로 한국의 통치를 간섭할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한 뒤 1906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초대 통감으로 취임하여 매사를 ‘자문’하던 시대였다. 그런 상황에서 대한의원은 일본의 아시아 제패 야욕과 구미열강에 일본의 힘을 과시하려는 좋은 본보기가 되었다.

그래서 이토는 왕을 움직여 장안이 내다보이는 왕실 소유의 드높은 언덕과 숲을 갈아 최고의 심혈을 기울여 장안의 명물인 시계탑 건물과 입원실을 짓도록 도와 1908년 한국정부가 조야의 명사를 초대하여 개최한 성대한 준공식에 없어서는 안될 하객으로 참여했던 것이다. 태극기와 대한의 이름이 다가올 2년 뒤 치욕적인 한일합방과 조선총독부의원으로 전신될 비극 앞에 할닥거리는 가녀린 촛불처럼 흔들리던 시기였다.

그러나 한일 합방까지 그 뒤에도 몇 개의 병원이 더 생겼다. 대한적십자병원이 설치된 것은 광무 9년(1905)의 일이거니와 융희 3년(1909) 자혜의원관제(慈惠醫院官制)가 발표되었고, 내부대신 관리 아래 전국 10개 지방도시에 설치되었다. 가난한 사람의 치료를 목적으로 했고 같은 해 콜레라 환자 격리수용을 위한 순화의원(順化醫院)이 인왕산(仁旺山) 기슭에 세워졌다.

융희 2년(1908) 10월 대한의원의 일본인 의사들이 계림(鷄林) 의학회를 조직한 다음 해에 서울에 있는 한국인 의사의 발기로 의학 연구회를 조직, 매달 모임을 가졌다. 계림의학회에서 〈한국의학회보〉가 2호까지 발행되었고, 융희 2년에는 한국인에 의해서 〈대한의약신보(大韓醫藥新報)〉가 발행되어 동서고금의 학설과 새로운 약물의 정보를 실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2121&cid=51085&categoryId=51085

근대적인 시간관념이 뭔가요?

... 내일이에요… 근대적인 시간관념은 현대 시대에 발전한 시간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특징이 포함됩니다: 선형적 시간: 근대적 시간관념은...

민주주의의 역사에서 갖는 의미가 뭔가요?

ㅈㄱㄴ 최대한 길게 써주세요! 먼저 조선시대는 신분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만민공동회는 국가의 자주와 민권을 외친 최초의 근대적 민주운동이며...

측우기특징

1.측우기 외형의 특징이뭔가요? 2.측우기의 사용목적과...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조선 왕조의... 정치에 대한 하늘의 평가를 엿보는 점성술의 도구였다. 5. 근대...

사회법이 뭔가요?

... 우리 나라가 근대적 사회법제를 갖게 된 것은 그리... 1948년 7월 17일<대한민국헌법>의 공포는 우리 나라... 주도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산업안전보건법...

의원내각제

... 오히려 '권력의 융화' 또는 '융화를 통한 의존'의 원리에서 국회가 내각을 조직·해산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에 대한 국회의 법적 우위성을 인정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의원내각제

... 의존'의 원리에서 국회(하원)가 내각을 조직ㆍ해산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에 대한 국회(하원)의 법적 우위성을 인정함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국회(하원)의 다수당...

영국식의원내각제가 뭔가요?

... 의존'의 원리에서 국회(하원)가 내각을 조직·해산하는 권한을 가짐으로써 내각에 대한 국회(하원)의 법적 우위성을 인정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국회(하원)의 다수당...

식민지 도시화의 뜻이 뭔가요??

식민지 도시화의 뜻이 뭔가요?? 식민지 도시화와 도시... 대한 일본인들의 동경이 강하게 담겨 있었다. 일본의 영향을 받아 1920년대 초반부터 식민지 조선에서도 근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