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 1000)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배경,...

내공 1000)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배경,...

작성일 2023.04.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배경, 전개과정, 결과를 좀 길게 서술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확정은 하시려나

16~17세기 조선의 북방 대외 전략과 동북아 정세 변화

왜란, 호란, 후금․청 건국 등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는 19세기 서세동점 이전 동아시아 대륙 질서 후반부의 서막이자 최근 동북아 지역의 역사 갈등, 특히 한중 간 역사 문제의 연원에 해당

왜란은 10만 이상의 일본군이 조선에 들어와 조선 전역을 유린했고, 이에 맞서서 조선군과 명의 대군이 맞붙은 ‘전면전(全面戰)’이었다. 반면에,호란은 단 시간 내에 조선의 항복을 받아내고, 명과의 전쟁에 집중하려는의도를 가진 일종의 ‘제한전(制限戰)’이었다

한국사에 있어서 17세기에 주목되는 변화상 중 하나는 ‘가족제도’이다.

17세기 초부터 장자 상속권의 강화와 양반가문에 있어서 4대봉사의 일반화,입양의 성행, 적장자 중심의 친족질서 확립이 이루어져 갔다. 또한 결혼제도에 있어서도 남성이 여성의 집(처가)에 있는 기간이 줄어들기 시작했고,여성의 시집살이가 일반화 되었다. 여성에 대한 사회・경제적 차별 등이 양반 지배층 사회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시점에 호란이 발생 합니다 .

정묘호란

배경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내정과 외교에 그의 비범한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임진왜란 뒤의 사고 정비, 서적 간행, 호패의 실시 등으로 눈부신 치적을 올렸다. 밖으로는 1616년 여진족 누르하치가 세운 후금이 만주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국제 정세에 대처하여 현명한 외교 정책을 써서 국제적인 전란에 빠져 들어가는 것을 피하려 노력하였지만

1619년 명나라가 후금을 치기 위하여 만주로 출병하였을 때는 그 요청에 못 이겨 강홍립으로 하여금 1만여의 군대를 거느리고 원조케 하였으나, 광해군은 강홍립에게 형세를 보아 향배를 정하라는 밀지를 주었다. 《사르후 전투》에서 명은 대패를 하고, 이어 《아부달리 전투》에서도 연패한 명군이 불리한 상황에서 《부차 전투》에서 포위 공격을 당해 고립된 강홍립은 후금에 항복하였고, 이 때문에 후금의 조선에 대한 보복적 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양국 간에 별 사단이 일어나지 않았다.

본래 홍타이지(청 태종)는 즉위 전부터 조선에 대한 화평 방침에 반대하여 주전론을 주장하여 왔는데, 이는 청나라의 남진 정책에 대한 배후의 우려를 제거하기 위함에서였다.

그러나 광해군이 재위하고 있는 동안은 조선에는 전의가 없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1622년 명나라 장수 모문룡이 광해군의 권유로 평안북도 철산의 가도에 주둔하여 요동의 회복을 획책하며 후금을 자극하였고

후금 정책변화

광해군은 국경의 경비에 유의하여 군비를 게을리하지 않아 성지(城池)와 병기를 수리하고 군사 훈련을 실시하는 등 국방에 힘썼다. 그러나 광해군은 임해군, 영창대군, 능창군 등 많은 왕족들을 숙청하였고, 인목대비를 폐하는 등 당시 사회에서는 치명적인 도덕적 결함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1623년 인조 반정을 일으킨 서인에 의하여 물러나게 되고 인조가 즉위하게 되자, 인조를 옹립한 서인은 국제 문제에서 광해군의 관망적 태도를 버리고 향명배금(向明排金)의 정책을 뚜렷이 내세웠다. 조선의 이러한 정책의 변화에 대하여 후금에서 신경을 날카롭게 한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때에 1624년 인조 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결국 진압은 되었지만, 이괄과 함께 난을 일으킨 한명련의 아들, 한윤이 후금으로 도망가 정묘호란의 명분이 되기도 했다.

이에 후금은 명나라를 치기 위해서는 우선 모문룡을 원조해 주며 후금의 배후를 위협하고 있는 조선을 쳐서 모문룡을 고립시킬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또한 1626년영원성 전투에서 청나라가 패배를 하고 누르하치가 사망을 하자, 후방 안정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게 된다.

전쟁 동기유발

반란에 실패한 이괄의 잔당 중 한명련의 아들, 한윤과 한택은 후금으로 도망하여, 거기서 광해군의 폐위와 인조 즉위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또 조선의 병력이 약하며 모문룡의 군사가 오합(烏合)임을 말하여 속히 조선을 칠 것을 종용하였다. 명나라와의 교전으로 인한 경제단교(經濟斷交)로 심한 물자 부족에 처하여 있던 후금 태종에게, 이괄 잔당의 이러한 종용은 더욱 조선 침입의 결의를 촉진시켰다.

1627년 3월 1일 인조 5년에 후금 홍타이지는 광해군을 위하여 보복한다는 구실을 내세우고, 버일러(beile, 貝勒 : 만주•몽골의 부족장) 아민(Amin, 阿敏)에게 군사 3만 명을 주어 조선을 침입케 했다.

결과

후금군의 일부는 가도의 모문룡을 치고, 주력 부대 3만 명은 3월 3일 의주를 돌파하고 파죽지세로 남하하여 1월 21일에는 능한산성을 함락시켰으며, 3월 11일에는 평양을 함락하였다. 인조는 부랴부랴 3월 12일 강화도로 피신을 였다 안주성에서 남이흥, 전상의, 양진국, 장돈, 김언수, 함응수, 김준, 김양언, 송덕영을 전사시키고 평양을 거쳐 3월 12일에는 황주에 이르렀다. 이에 소현세자는 전주로 피난가고, 인조와 조선 조정은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조선 곳곳에서 의병이 일어나 평안북도 철산의 정봉수와 용천의 이립의 의병이 전투에서 승리하자, 후금은 조선이 배후를 공격할 것을 염려하여 강화를 제의하였다. 1627년 음력 3월 조선과 후금 사이에 강화가 성립하였다.이 후 조선은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었다.

병자호란

시대적 상황(배경)

병자호란은 당시 조선 정부의 외교적 실책과, 약체인 군사력, 무엇보다 명(明)이 기울고 청(淸)이 일어서던 대외(對外)정세에 대한 정보 수집력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그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는, 명청 교체기, 즉 명(明)나라가 쇠퇴하고 만주족(후금)이 강해지기 시작했었죠. 하지만, 조선은 일찍부터 명나라에 조공하며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고, 또 명나라는 이전에 임진왜란 때 군대를 파견해서 조선을 구원해 준 일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이었던 광해군은 국제정세를 읽고,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의 중립외교를 펼칩니다. 그것이 불만인 조선내 신하들은 쿠데타를 감행하고, 광해군을 내쫓은 후 새로이 '인조'를 임금자리에 앉힙니다. 이것을 인조반정이라고 합니다. 새로 들어선 인조정부는 광해군과는 정반대되는 정책, 즉 명나라를 가까이하고 청나라(당시 후금)를 배척하게 됩니다. 그래서 후금의 태종(홍타이치)은 조선을 침략합니다.

주요사건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 1619년

1619년 3월 명나라에 쳐들어오는 후금에 대항하기 위해 명나라, 조선, 여진족까지 참전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명나라가 크게 패해 명나라가 쇠퇴했고 후금은 만주 지역을 차지했으며, 군대를 파병한 강홍립의 조선군 부대는 전체 투항하여 광해군의 중립 정책을 보여준 전투.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

이괄의난

1623년(광해군 15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인조반정 당일에 능양군을 주축으로 해서 반정군을 지휘해야 할 김자점이 예정 시각에 도착하지 않자 자신이 반정군을 진두지휘하여 이를 성사시켰다. 거사하던 날 부서를 나누는 등 온갖 계획을 도맡아 하였으나 인조반정 모의가 알려지자 김유와 이귀 등은 반정군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처럼 행세하였다. 이괄은 바로 병사를 이끌고 한성부를 수색하여 광해군을 체포한다.

인조의 친명배금 정책

명나라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원군을 보내 전쟁에 참여하였고, 이를 계기로 조선은 일본으로부터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비록 참담한 피해를 입었지만 조선은 왕조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명나라에 대한 재조지은(再造之恩)을 느끼고 있었다.

임진왜란으로 조선과 명나라가 일본의 침략에 신경을 쏟고 있을 때 만주지역에서는 새로운 금나라가 건국되었다. 이후 금나라는 세력이 팽창되면서 명나라를 중원에서 몰아내고 중원의 패자로 들어서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금나라는 명나라와 친밀한 외교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조선을 굴복시킬 필요가 있었고, 그 결과가 병자호란으로 나타났다. 이때 광해군은 명나라와 금나라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표방하면서 어느 쪽의 편도 들어주지 않았다. 이러한 광해군의 태도를 조선의 유학자들은 명과의 재조지은을 버린 행위라고 비판하였고, 이것은 광해군이 쫓겨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하였다.

이후 반정에 의해 왕위에 오른 인조는 반정세력들에 의해 금나라를 배척하고 재조지은을 입은 명나라와는 친밀하게 지내는 형태의 외교기조를 추구하였다. 이와 같이 명나라와 친밀하고 금나라를 배척하는 정책을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이라 합니다

병자호란의 원인

병자호란은 당시 조선 정부의 외교적 실책과, 약체인 군사력, 무엇보다 명(明)이 기울고 청(淸)이 일어서던 대외(對外)정세에 대한 정보 수집력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그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는, 명청 교체기, 즉 명(明)나라가 쇠퇴하고 만주족(후금)이 강해지기 시작했었죠. 하지만, 조선은 일찍부터 명나라에 조공하며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고, 또 명나라는 이전에 임진왜란 때 군대를 파견해서 조선을 구원해 준 일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이었던 광해군은 국제정세를 읽고,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의 중립외교를 펼칩니다.

인조반정이후. 새로 들어선 인조정부는 광해군과는 정반대되는 정책, 즉 명나라를 가까이하고 청나라(당시 후금)를 배척하게 됩니다. 그래서 후금의 태종(홍타이치)은 조선을 침략합니다.이것이 병자 호란입니다

양란 원인 배경 결과 비교

정묘호란

구 분

병자호란

1627년 1월~3월

발생연도

1636년 12월 28일~1637년2월24일 (총56일)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주요전장

평안도 경기도

서인 정권의 친명배금 정책, 이괄의 난

인조반정으로 즉위하자

광해군의 실리외교를 포기하고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의추진 이에 후금과의 외교정책 실패로 발생한 전쟁

배경,원인

적색은

핵심원인

청의 사대 요구 → 조선의 거부

청의 홍타이지가 명을 공격하기 이전에 배후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조선을 침공

인조는 3월 12일 강화도로 피신

소현세자는 전주로 피난가고,

조선 곳곳에서 의병이 일어나 평안북도 철산의 정봉수와 용천의 이립의 의병이 전투에서 승리하자, 후금은 조선이 배후를 공격할 것을 염려하여 강화를 제의

과정

병자호란의 경과

1차적으로 쳐들어온 후금군은 명나라를 의식한 후금은 조선과의 형제(兄弟)관계만 맺고 돌아갑니다. 이후 조선왕조는 이를 거부하고, 후금과의 전쟁에 대비하라는 격문을 전국에 배포합니다.

이것에 분노한 홍타이치는 국호를 청(淸)으로 고친 후에 16만 대군으로 조선을 침략합니다.이에 인조와 신하들은 남한산성으로 피신합니다. 이에 청군은 본국에서 증원한 4만명의 군대를 더해 20만대군으로 남한산성을 겹겹이 포위

그리고 강화도로 도망쳤던 왕비와 세자등을 몽땅 잡아와서는 남한산성앞에서 조선왕에게 항복을 요구 남한산성에서 항전하였으나 청의 포위로 인한 굶주림과 추위, 왕실이 피난한 강화도의 함락, 남한산성의 포위를 풀기 위한 근왕병의 작전 실패 등으로 말미암아 항복

1627년 음력 3월 조선과 후금 사이에 강화가 성립

이 후 조선은 후금과 형제관계를 체결

결과

청 제국의 승리, 삼전도의 굴욕

50만명의 부녀자가 청으로 끌려갔습니다

1649년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효종은 삼전도의 치욕을 씻기 위해 조심스럽게 북벌을 추진하나 결국

조선군 1만명 이상 전사

피해

조선군 3만5천명 전사

핵심논제

척화론

1명나라 멸망 새로운 세력인 후금(청)의등장으로 기회포착 전쟁승리 가능성 제기

2.정묘조약 불평등 조약이므로 페기하고 승리한 다음 재채결하여야 한다는논리

3.명나라 청나라 혼란기이므로 북벌로 종속관게 단절

주화론

1.명이 약해지고 있으니 명을 도우면 결과적으로 청나라로부터 압력을 벗어 날수없다는것

2.현재 국력으로 전쟁 수행은 불가하다는논리

3.전쟁보다 화평으로 사대 교린정책이 실질적이다란 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글쓰는데 손가락 너무 아팠어요 ㅠㅠ 좋아하는 분야라서 신나게 작성했습니다.

16~17세기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의 명나라가 붕당성 붕당강 유역 지방의 출신인 여진족의 침략을 받았습니다. 이는 정묘호란(1618-1637)과 병자호란(1637-1644)이라는 두 차례의 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정묘호란은 1618년 여진족 군주 노무 혼(努爾哈赤)이 시행한 대략 10년간의 여진족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일어났습니다. 여진족은 중국 북동부에서 국력을 강화하고 있었으며, 명나라는 적극적인 대처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노무 혼은 중국 무장세력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고, 1619년에는 명나라에 대한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정묘호란은 명나라의 지배력 약화와 중국 내부 분쟁으로 인해 여진족이 명나라의 천문제와 관련된 적요를 일으키며 발생했습니다. 여진족은 이를 계기로 명나라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압력을 가해 복종을 요구하였고, 이에 명나라는 여진족을 탄압하여 대치하였습니다.

하지만 명나라는 여진족의 적극적인 침략과 공격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어 전쟁에서 패배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여진족은 명나라의 지배권을 상징하는 재위 명나라 황제인 천제를 포획하고, 명나라 정부를 새롭게 세우고 명나라 황실 인재들을 포로로 잡아갔습니다.

병자호란은 정묘호란 이후 발생한 전쟁으로, 명나라가 강화된 군사력을 보유한 후 차차 여진족과의 군사적 대결에서 패배하여 중국의 명나라가 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전쟁으로 인해 명나라의 국력은 더욱 약화되었으며, 이후 청나라의 신출과 일본의 침략 등으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의 정세가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동아시아국제 정세 변화

16~17세기 임진왜란 이후 동아시아국제 정세 변화와 조선의 외교 정책 변화와 정묘호란의 배경과 결과좀 알려주세요 급합니다 국제정세 변화 -중국: 명나라의 국력 약화...

급해요 정묘호란 병자호란 질문 내공 300

... 나타난 17세기 조선사회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 2.... 그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는, 명청 교체기, 즉 명(明)나라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이었던 광해군은 국제정세를...

발생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 (내공 50)

... 침략 배경: 전쟁의 경과 : 수군의 (이순신) 의활약...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 중국(명) : 16세기에 이르러 환관의... 중심인물: 효종 결과 : 군비강화에도 불구하고 국제정세가...

역사 수행

... 동북아 정세 변화 왜란, 호란, 후금․청 건국 등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는 19세기 서세동점 이전 동아시아 대륙 질서 의 급변 정묘호란 배경 본래 홍타이지(청 태종)는...

중학년2학년2학기동아시아...

중학년2학년2학기동아시아~현데사회까지요점정리좀해주세요 2.... 교역하였다가 17세기에 들어와 네덜란드와 영국이 주도하면서 밀려나 쇠퇴하였다. (2) 에스파냐 : 16세기 이래...

의 원인과 국제적인 정세[내공有]

... 배경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한국은... 및 1000개의 병원이 파괴되었다. 남한은 휴전 직후 집을... ㅋㅋ 제가 이해력이 부족해서요 원인은 당시 국제정세를...

임진왜란의 시대적 배경과 원인

... 내공은 얼마나 드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임진왜란의 시대적 배경과 원인에 대해 꼭 좀 답변 please~~ 부탁... 있었고, 16세기 말 동아시아국제 정세는 크게 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