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목민심서 목민관

정약용 목민심서 목민관

작성일 2022.11.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목민심서에 나오는 여러 내용처럼 청렴한 목민관이었던 대표적인 인물 있나요?


#정약용 목민심서 #정약용 목민심서 내용 #정약용 목민심서 명언 #정약용 목민심서 청렴 #다산 정약용 목민심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런 사람들을 '청백리'라고 하여 따로 선출하기도 하였는데요,

그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태조조의 청백리록(5)

안성: 광주-참찬. 우현보: 단양-찬성사. 류순: 진주-제학

길재: 선산-. 서견: 연일-장령

태종조의 청백리록(8)

경의: 청주-절도사. 김약항: 광산-대사성. 최유경: 전주-참찬

박서생: 비안-대사헌. 이지직: 광주-참의. 이백지: 용인-관찰사

이원: 고성-좌의정. 최사의: 경주-판돈령

세종조의 청백리록(15)

정척: 진주-판윤. 황희: 장수-영의정. 맹사성: 신창-좌의정.

이석근: 전주-익평군. 홍계방: 남양-참의 . 이정보: 경주-관찰사.

황효원: 상주-좌찬성. 김장: 광산-장령. 최만리: 해주-부제학.

류관: 문화-영의정. 류겸: 진주-좌참찬. 민불탐: 여흥-주부.

박팽년: 순천-승지. 이지: 경주-판관. 류염: 진주-이판.

세조조의 청백리록(7)

박강: 반남-판중추. 기건: 행주-판서. 노숙동: 풍천-대사헌.

김종순: 경주-판윤. 정문형: 봉화-우의정. 이언: 흥양-부윤.

곽안방: 현풍-군수.

성종조의 청백리록(20)

정성근: 진양-직제학. 성형: 창년-참찬. 허심: 양천-우의정.

윤석보: 칠원-직제학. 이훈: 한산-참찬. 김겸광: 광산-판서.

양관: 남원-동지돈. 조지서: 임천-보덕. 이신효: 전의-관찰사.

이약동: 벽진-지중추. 임정: 이안-예판. 허종: 양천-우의정.

박열: 밀양-찬성. 구치관: 능성-영의정. 이현보: 영천-판중추.

안팽명: 광주-사성. 박처륜: 고령-부제학. 민휘: 여흥-대사헌.

이순: 우봉-참판. 류훈: 문화-판서.

중종조의 청백리록(8)

정매신: 진주-판관. 조사수: 양주-이판. 최명창: 개성-형참.

권빈: 안동-전직. 김무: 안동-공판. 조치우: 창녕 -사웅전.

오세한: 나주-병사. 송흠: 신평-판중추.

성종조의 청백리록(26)

김전: 연안-영의정. 강숙둘: 금천-사간. 이선장: 한산-군수.

류헌: 전주-대사간. 이화: 전의-병판. 김종직: 선산-형판.

정갑손: 동래-찬성. 정창손: 동래-영의정. 류빈: 진주-이판.

이숭원: 연안-이판. 류희철: 문화-집의. 김은: 연안-공참.

손중돈: 경주-참찬. 표빈: 신창-시정. 조원기: 한양-판중추.

양지손: 남원-예의. 김연수: 안동-첨정. 박상: 충주-이판.

윤사익: 무송-판중추. 이철균: 성주-대사성. 이언적: 여주-찬성.

김정: 경주-판서. 유찬: 기계-수사. 한형윤: 청주-형판.

신공제: 고령-이판. 김양진: 풍산-공판

명종조의 청백리록(45)

정연: 동래-군수. 윤부: 파평-병참. 이세장: 전주-관찰사.

정종영: 초계-찬성. 안현: 순흥-좌의정. 박수량: 태인-참찬.

김순: 경주-정랑. 임호신: 풍천-지돈령. 임보신: 풍천-형의.

이명: 예안-좌의정. 이영: 영천-수사. 홍섬: 남양-영의정.

이몽필: 전주-이참. 홍담: 남양-판서. 성세장: 창녕-호판.

윤춘년: 파평-판서. 윤현: 파평-찬성. 류흔: 문화-부정.

우세겸: 단양-부정. 박영준: 고령-이판. 박민헌: 함양-참판.

이증영: 전의-공정. 김몽좌: 김해-직장. 이준경: 광주-영의정.

주세봉: 상주-찬성. 김개: 광산-판서. 안잠: 순흥-별좌.

이황: 진성-찬성. 송찬: 진천-판중추. 허세린: 양천-좌윤.

김팽령: 경주-사용. 강윤권: 진주-사재정. 오상: 해주-이판.

신잠: 고령-목사. 김우:-부사. 이중경: 광주-이참.

안종전: 죽산-군수. 김광: 영안-부사. 유언겸: 창원-정랑.

변훈남: 초계-현령. 김약묵: 강진-집의. 노진: 풍천-판서

신사형: 영월-목사. 김취문: 선산-대사간. 송익견: 봉화-우의정.

선조조의 청백리록(23)

심수경: 풍산-좌의정. 허잔: 양천-이판. 이기: 한산-이판.

이우직: 여주-예판. 이원익: 전주-영의정. 류성룡: 풍산-영의정.

이항복: 경주-영의정. 이직언: 전주-찬성. 백인걸: 수원-참찬.

장필무: 구례-병사. 최흥원: 삭녕-좌의정. 이제신: 전의-병사.

안지유: 순흥-이판. 김쉬: 안동-판중추. 이광정: 연안-참찬.

성영: 창녕-이판. 심희수: 청송-좌의정. 이유중: 덕수-대사헌.

허욱: 양천-좌의정. 김장생: 광산-참판. 최여립: 전주-승지.

오억령: 동복-판서. 이기설: 연안-장령.

인조조의 청백리록(13)

김상헌: 안동-영의정. 민여임: 여흥-참판. 김덕함: 상주-대사헌.

성하종: 창녕-병사. 이시백: 연안-영의정. 신경진: 영월-대사헌.

김신국: 청풍-영중추. 김시양: 안동-판관. 이안눌: 덕수-이판.

이명준: 전의-참판. 최진립: 경주-공참. 홍명하: 남양-영의정.

김신국: 청풍-영중추.

숙종조의 청백리록(22)

이상진: 전의-좌의정. 조경: 한양-판중추. 강백년: 진주-참찬.

류경창: 전주-이참. 최관: 전주-지중추. 성이성: 창녕-부사.

조동: 풍양-진선. 홍우량: 남양-수사. 이태영: 진주-부사.

강세구: 진주-대사간. 강유후: 진주-부사. 윤지인: 파평-병판.

조석윤: 배천-이참. 박신규: 밀양-참찬. 이지은: 공주-좌윤.

이후정: 연안-참지. 홍무: 남양-정랑. 강열: 진주-부사.

이세화: 부평-판서. 윤추: 파평-장령. 최경창: 해주-부사

이제: 전주-우윤.

경종조의 청백리록(6)

류상운: 문화-영의정. 강석범: 진주-도정. 김두남: 안동-헌납.

송정규: 여산-관찰사. 이명준: 연안-부사. 이하원: 광주-판서.

영조조의 청백리록(9)

허영: 양래(천川)-수사. 윤용: 파평-형판. 정형복: 동래-형판.

윤득재: 해평-병판. 이겸진: 덕수-. 이병태: 한산-부제학.

한덕필: 청주-참판. 최유현: 삭녕-세마. 이태중: 한산-호판.

정조조의 청백리록(2)

이의필: 전주-참찬. 이단석: 전주-참판.

순조조의 청백리록(4)

남이형: 의령-부사. 서기순: 대구-판서. 한익상: 청주-관찰사.

심의신: 청송-관찰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목민관이란

백성들을 다스리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청렴한 목민관의 대표적 인물이라면

정조시대인 1794년 경기도 지역으로 암행어사 길을 다녀온 3명의 암행어사 정약용, 홍낙유, 채홍원이 한 목소리로 칭찬한 고양군수 왕도상이 진정한 청렴한 목민관 입니다.

3명의 어사에게 칭찬을 받은 목민관 (naver.com)

정약용 목민심서 목민관

목민심서에 나오는 여러 내용처럼 청렴한 목민관이었던 대표적인 인물 있나요? 그런 사람들을 '청백리'라고 하여 따로 선출하기도 하였는데요, 그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약용(목민심서) 도와주세요

...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란... 있으나 목민관을 하겠다고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 청렴하지 않 고 목민관 노릇을 제대로 한사람은 아직 없다....

정약용 목민심서 궁금해요

...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목민관(牧民觀), 즉 지방 관리들의 폐해를 없애고 지방행정을 쇄신하기 위해 지은 책으로, 1818년에 완성되었다....

정약용 목민심서 줄거리 길게 좀 써주세요

... 이는 목민관의 생활을 총 망라한 것이다. 율기편에서는... 있으니 목민관은 행정에 임하기 앞서 몸가짐부터 바르게... 있으니 목민관의 올바른 정신 자세야말로 밝은 행정의...

정약용 목민심서내용.

... 당시 목민관의 생활을 총망라한 것입니다. 목민심서 구성 및 목차 1.부임육조(赴任六條) 1.제배(除拜 : 사령(辭令)을 받으면서) 2.치장(治裝 : 부임 길의 행장) 3.사조(辭朝...

정약용 목민심서에 담긴 뜻은...

... 정약용 목민심서에 담긴 뜻은 무엇인가요? 정말 궁금해요 답변 : 정약용-목민심서(牧民心書) 정약용(1762∼1836)이 목민관, 뜻 :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고...

정약용'목민심서'내용좀알려주세요......

... (丁若鏞)이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뿐만 아니라 직접 찰방(察訪)·부사 등의 목민관을...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정약용 목민심서

목민심서 어떤 내용 인가요 목민심서는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이며 목민관으로 부르는 지방수령이 지켜야할 지침을...

정약용 목민심서

... 즉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없으면 지방에서 백성을 상대하는 목민관의 일은 하면 안되며 오히려 백성들의 고혈을 쥐어짜는 일만 발생함을 경계한 말이죠.

정약용 목민심서

목민심서 내용과 책을 쓴 이유를 알려주세요 목민심서는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이며 목민관으로 부르는 지방수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