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 1, 2차 왕자의 난

이방원 1, 2차 왕자의 난

작성일 2022.08.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방원이 1,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배경, 과정, 결과를 순서대로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1차 왕자의 난

1. 배경 : 태조에게는 전 왕비 한씨(韓氏) 소생의 여섯 아들과 계비 강씨(康氏) 소생의 두 아들이 있었다. 태조는 강씨 소생의 아들 방석(芳碩)을 세자로 책봉하고 정도전에게 세자 보도(輔導)의 책임을 지게 하였다. 이에 한씨 소생의 왕자들, 특히 방원과 그의 추종자들의 불만이 대단했다.

2. 과정 : 방원은 사병을 동원하여 정도전과 남은·심효생·박위(朴葳)·유만수(柳蔓殊)·장지화(張至和)·이근(李懃) 등을 갑자기 습격하여 살해했다. 그리고 세자 방석을 폐위하여 귀양 보내는 도중에 살해하고, 강씨 소생의 또다른 아들 방번도 함께 죽였다.

3. 결과 : 왕자 종친과 조준 등 일부 개국공신 및 방원의 심복인 하륜(河崙)·이거이(李居易)·이무(李茂) 등이 실권을 잡았다. 이들은 방원을 세자로 책봉하려 했으나, 방원 자신이 사양해 둘째 방과(芳果)가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실권은 방원 일당이 장악하였다.

출처

제2차 왕자의 난

1. 배경 : 방원은 1차 왕자의 난으로 실권을 장악했지만, 여전히 많은 사병을 거느리고 세력을 키우는 자신의 형제들을 견제해야 했다.

2. 과정 : 1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인정받지 못해 불만을 품은 박포는 이방원이 장차 이방간을 죽이려 한다고 거짓 밀고했다. 이방간은 이 말을 믿고 사병을 동원하였다. 이방원도 곧 사병을 동원해 개성 시내에서 치열한 시가전을 벌였다. 결국 이방원이 승리하고, 두 사람은 체포되었다. 이방간은 유배되었고, 박포는 사형당했다.

3. 결과 : 난이 평정된 뒤, 정종은 상왕 태조의 허락을 얻어 1400년 2월 이방원을 왕세제로 책봉했다. 이어 11월 왕위를 이방원에게 물려주니, 그가 제3대 태종이다.

출처

이방원 1, 2차 왕자의 난

이방원1,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배경, 과정, 결과를 순서대로 알려주세요 제1차... 출처 제2차 왕자의 난 1. 배경 : 방원은 1차 왕자의 난으로 실권을 장악했지만, 여전히 많은...

이방원왕자의난을 일으킨 이유는...

... 정도전이 지금 편하게 술자리를 하고 있다고 하니, 오늘이야말로 정도전을 치기 가장 좋은 날이다.” 2차 왕자의 난은 점점 권력이 커진 이방원과 1차 왕자의 난 당시...

태종(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에대해...

태종(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에대해자세히좀 써주세요... 제 1왕자의 난 태조 이성계는 정비인 신의왕후 한씨... 바로 이 사건이 제2차 왕자의 난 입니다. 그 후에 방원은...

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

... 태종 이방원왕자의 난의 배경 1) 이성계의 세자책봉과 화근의 시작 태조는 둘째... 이것이 '제2차 왕자의 난'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3) 정종의 등극 그리고 퇴위...

이방원왕자의 난! 역사수행평가

... 1. 이방원이 조선건국을 위해,아버지인 이성계를 도와했던 일들이 무엇이 더 있나용? 2. 음 왕자의 난에 대해... 돌아오죠 2차 왕자의 난은 1차 왕자의 난으로 기존왕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