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고려시대

선사시대~고려시대

작성일 2022.07.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의 역사,인물,왕, 그리고 왕의 업적,그 인물의 업적,몇대의 왕인지 정확하고 자세하게 적어주세요 그리고 순서대로 장리해서 알려주세요내공 1500


#선사시대 고려시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선사시대는 무슨 왕이나 있었나요

군장국가 군장이나 읍차 신지 이런게 마을 지도자 입니다

이정도분량질문 하고 답변확정은하는분인가

업적은 워낙 분량이 많아 답변답변확정하고 질문자 메일주세요 메일로 보내드리지

부여의 역대 국왕

부여 국왕

왕호

이름

재위기간

비고

동명왕(東明王)

또는 해모수

동명(東明)

또는 해모수

? ~ ?

부여를 건국한 사람은 동명왕이라는 설과 해모수라는 설이 있다.

해부루왕(解夫婁王)

해부루(解夫婁)

해모수의 아들로서 단군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금와왕(金蛙王)

금와(金蛙)

해부루의 아들이자 대소왕의 아버지이다. 주몽의 양아버지이다.

대소왕(帶素王)

대소(帶素)

기원전 20년 경 ~ 서기 22년

금와왕의 6남 중 장남이다. 고구려대무신왕에게 패하여 죽음을 당했다.

갈사왕(曷思王)

갈사(曷思)

서기 22년 ~ ?

금와왕의 6남 중 막내이다. 대소왕이 사망이후 부여를 벗어나 새로 갈사부여를 세웠다.

기록 없음

기록 없음

?

갈사왕의 아들이자 도두왕의 아버지이다. 갈사부여의 2대왕이다.

도두왕(都頭王)

도두(都頭)

서기 68년 전후

갈사왕의 손자이다. 갈사부여의 3대 마지막 왕이다. 고구려태조대왕에게 나라를 바치고 우태라는 벼슬을 받았다.

부태왕(夫台王)

부태(夫台)

?, 2세기

후한과 직접 무역을 하다가 마찰이 생겨 서기 167년 현도성을 공격했다.

위구태왕(尉仇台王)

위구태(尉仇台)

?, 2세기

후한 요동태수 공손탁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했다. 대방 땅에 백제를 처음 세웠다는 설도 있다.

간위거왕(簡位居王)

간위거(簡位居)

?, 2세기 ~ 3세기

위구태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마여왕(麻余王)

마여(麻余)

?, 3세기

간위거왕의 서자로서 왕이 되었다.

의려왕(依慮王)

의려(依慮)

? ~ 285년

마여왕이 일찍 사망이후 6살의 어린 나이에 왕이 되었다. 서기 285년 선비족 모용외의 침략을 받아 크게 패하여 자진했다.

의라왕(依羅王)

의라(依羅)

286년 ~ ?

모용외를 피해 옥저로 피신해 있다가 의려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현왕(玄王)

(玄)

? ~ 346년

부여의 실질적인 마지막 왕이다. 의라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서기 346년 전연 모용황에게 패하여 포로로 끌려갔다.

여울왕(餘蔚王)

여울(餘蔚)

? ~ 384년

부여의 왕자이다. 전연에 끌려와 후연에서 재상을 지냈으며 이름뿐인 부여의 왕이었다.

잔왕(孱王)

(孱)

? ~ 494년

부여의 마지막 왕으로 기록된 인물이다. 고구려 문자명왕 3년(서기 494년) 나라를 고구려에 바치고 투항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서(晉書)에 의거

가락국을 다스렸던 역대 국왕

대수

재위 년도

비고

1

수로왕(首露王)

가락국의 시조.

2

거등왕(居登王)

수로왕의 아들.

3

마품왕(麻品王)

마품왕(馬品王). 거등왕의 아들.

4

거질미왕(居叱彌王)

금물왕(今勿王). 마품왕의 아들.

5

이시품왕(伊尸品王)

거질미왕의 아들.

6

좌지왕(坐知王)

김질왕(金叱王), 김토왕(金吐王). 이시품왕의 아들.

7

취희왕(吹希王)

김희왕(金喜王), 질가왕(叱嘉王). 좌지왕의 아들.

8

질지왕(銍知王)

김질왕(金銍王). 취희왕의 아들.

9

겸지왕(鉗知王)

김겸왕(金鉗王). 질지왕의 아들.

10

구형왕(仇衡王)

구해왕(仇亥王). 겸지왕의 아들. 가락국의 마지막 국왕.

대가야의 역대 국왕

대수

재위 년도

비고

1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

42년 ~ ?

대가야의 건국 시조.

3

금림왕(錦林王)

? ~ ?

4

? ~ ?

6

하지왕(荷知王)

? ~ ?

7

가실왕(嘉悉王)?

? ~ ?

가실왕(嘉實王), 가보왕(嘉寶王).

9

이뇌왕(異腦王)

494년 ~ ?

이부리지가(已富利知加).

10

? ~ ?

16

도설지왕(道設智王)

? ~ 562년

대가야의 마지막 국왕.

탐라국역대국왕

부족국가(部族國家)

을라왕(乙那王)

건왕(建王)

삼계왕(三繼王)

일망왕(日望王)

도제왕(島濟王)

언경왕(彦卿王)

보명왕(寶明王)

행천왕(幸天王)

환왕(歡王)

식왕(湜王)

욱왕(煜王)

황왕(惶王)

위왕(偉王)

영왕(榮王, 기원전 105년 ~ 기원전 58년)

고대국가(古代國家)

후왕(厚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7년)

두명왕(斗明王)

선주왕(善主王)

지남왕(知南王)

성방왕(聖邦王)

문성왕(文星王)

익왕(翼王)

지효왕(之孝王)

숙왕(淑王)

현방왕(賢方王)

기왕(璣王)

담왕(聃王)

지운왕(指雲王)

서왕(瑞王)

다명왕(多鳴王)

담왕(談王)

체삼왕(體參王)

성진왕(聲振王)

홍왕(鴻王)

처량왕(處良王)

원왕(遠王)

표륜왕(表倫王)

형왕(逈王)

치도왕(致道王)

욱왕(勖王)

천원왕(天元王)

호공왕(好恭王)

소왕(昭王)

경직왕(敬直王)

민왕(岷王)

자견왕(自堅王, 기원후 933년 ~ 938년)

성주시대(星主時대)

고말로(髙末老)

고유(髙維)

고조기(髙兆基)

고정익(髙挺益)

고적(髙適)

고여림(髙汝霖)

고정간(髙貞幹)

고순(髙巡)

고복수(髙福壽)

고인단(髙仁旦)

고수좌(髙秀佐)

고석(髙碩)

고순량(髙順良)

고순원(髙順元)

고명걸(髙明傑)

고신걸(髙臣傑)

고봉례(髙鳳禮)

고구려 왕 연표

고구려 역대왕 계보와 업적

고구려 BC37-서기 668

주요왕계표

재위기간

재위기간

1. 동명성태왕 東明聖太王 37 BC-19 BC

2. 유리명태왕 琉璃明太王, 19 BC-18 AD

3. 대무신태왕 大武神太王 18-44

4. 민중태왕 閔中太王 44-48

5. 모본태왕 慕本太王 48-53

6. 태조호태왕 太祖好太王 53-146

7. 차대왕 次大王 146-165

8. 신대왕 新大王 165-179

9. 고국천태왕 故國川太王 179-197

10. 산상태왕 山上太王 197-227

11. 동천태왕 東川太王, 227-248

12. 중천태왕 中川太王, 248-270

13 .서천태왕 西川太王, 270-292

14. 봉상태왕 烽上太王, 292-300

15.미천태왕 美川太王, 300-331

16.고국원태왕 故國原太王 331-371

17.소수림태왕 小獸林太王 371-384

18.고국양태왕 故國攘太王 384-391

19.광개토호태왕 廣開土好太王 391-413

20.장수호태왕 長壽好太王 413-490

21.문자명태왕 文咨明太王 491-519

22.안장태왕 安藏太王 519-531

23.안원태왕 安原太王 531-545

24.양원태왕 陽原太王, 545-559

25.평원태왕 平原太王 559-590

26.영양호태왕 嬰陽好太王, 590-618

27.영류태왕 營留太王 618-642

28.보장태왕 寶藏太王 642-668

백제연표

백제 (B.C 18~A.D660 , 678년간, 총31대왕)

주요왕계표

재위기간

재위기간

1. 온조왕 溫祚王 18 BCE-29 CE

2. 다루왕 多婁王 29-77

3. 기루왕 己婁王 77-128

4. 개루왕 蓋婁王 128-166

5. 초고왕 肖古王 166-214

6. 구수왕 仇首王 214-234

7. 사반왕 沙泮王 234

8. 고이왕 古爾王 234-286

9. 책계왕 責稽王 286-298

10.분서왕 汾西王 298-304

11. 비류왕 比流王 304-344

12. 계왕 契王 344 - 346

13. 근초고왕 近肖古王 346 - 375

14. 근구수왕 近仇首王 375 - 384

15. 침류왕 枕流王 384 - 385

16. 진사왕 辰斯王 385 - 392

17.아신왕 阿莘王 392 - 405

18.전지왕 腆支王 405 - 420

19.구이신왕 久爾辛王 420 - 427

20.비유왕 毗有王 427 - 454

21.개로왕 蓋鹵王 454 - 475

22.문주왕 文周王 475 - 477

23.삼근왕 三斤王 477 - 479

24.동성왕 東城王 479 - 501

25.무령왕 武寧王 501 - 523

26.성왕 聖王 523 - 554

27.위덕왕 威德王 554 - 598

28.혜왕 惠王 598 - 599

29법왕 法王 599 - 600

30.무왕 武王 600 - 641

31.의자왕 義慈王 641 - 660

신라왕연.표

신라

신라 BC57-서기935

주요왕계표

재위기간

재위기간

1. 박 혁거세 (57 BCE–4 CE)

2. 남해 차차웅 (4–24)

3 .유리이사금 儒理尼師今 (24–57)

4. 탈해이사금 脫解尼師今 (57–80)

5. 파사이사금 婆娑尼師今 (80–112)

6. 지마이사금 祗摩尼師今 (112–134)

7. 일성이사금 逸聖尼師今 (134–154)

8. 아달라이사금 阿達羅尼師今 (154–184)

9. 벌휴이사금 伐休尼師今 (184–196)

10.내해이사금 奈解尼師今 (196–230)

11.조분이사금 助賁尼師今 (230–247)

12.첨해이사금 沾解尼師今 (247–261)

13.미추이사금 味鄒尼師今 (262–284)

14.유례이사금 儒禮尼師今 (284–298)

15.기림이사금 基臨尼師今 (298–310)

16.흘해이사금 訖解尼師今 (310–356)

17.내물마립간 奈勿麻立干 (356–402))

18.실성마립간 實聖麻立干 (402–417)

19.눌지마립간 訥祗麻立干 (417–458)

20.자비마립간 慈悲麻立干 (458–479)

21.소지마립간 炤智麻立干 (479–500)

22.지증왕 智證王 (500–514

23.법흥태왕 法興太王 (514–540)

24.진흥태왕 眞興太王 (540–576)

25.진지왕 眞智王 (576–579)

26.진평왕 眞平王 (579–632)

27.선덕여왕 善德女王 (632–647)

28.진덕여왕 眞德女王 (647–654)

29.무열대왕 武烈大王 (654–661)

30.문무왕 文武王 (661–681)

31.신문왕 神文王 (681–691)

32.효소왕 孝昭王 (692–702)

33.성덕대왕 聖德大王 (702–737)

34.효성왕 孝成王 (737–742)

35.경덕왕 景德王 (742–765)

36.혜공왕 惠恭王 (765–780)

37.선덕왕 宣德王 (780–785)

38.원성왕 元聖王 (785–798)

39.소성왕 昭聖王 (798–800)

40.애장왕 哀莊王 (800–809)

41.헌덕왕 憲德王 (809-826)

42.흥덕왕 興德王 (826–836)

43.희강왕 僖康王 (836–838)

44.민애왕 閔哀王 (838–839)

45.신무왕 神武王 (839)

46.문성왕 文聖王 (839–857)

47.헌안왕 憲安王 (857–861)

48.경문왕 景文王 (861–875)

49.헌강왕 憲康王 (875–886)

50.정강왕 定康王 (886–887)

51.진성여왕 眞聖女王 (887–897)

52.효공왕 孝恭王 (897–912)

53.신덕왕 神德王 (913–917)

54.경명왕 景明王 (917–924)

55.경애왕 景哀王 (924–927)

56.경순왕 敬順王 (927–935)

발해

발해 서기 669-926

주요왕계표

1.고왕 高王 대조영 大祚榮 698-718 천통 天統

2. 무왕 武王 대무예 大武藝 718-737 인안 仁安

3. 문왕 文王 대흠무 大欽茂 737-793 대흥 大興

4. 원의 元義 대원의 大元義 793-794

5. 성왕 成王 대화여 大華與 794-중흥 中興

6. 강왕 康王 대숭린 大嵩璘 794-808정력 正曆

7. 정왕 定王 대원유 大元瑜 808-812 영덕 永德

8. 희왕 僖王 대언의 大言義 812-817 주작 朱雀

9. 간왕 簡王 대명충 大明忠 817? -818? 태시 太始

10.선왕 宣王 대인수 大仁秀 818? -830-건흥 建興

11. 대이진 大彝震 830-857 함화 咸和

12. 대건황 大虔晃 857-871 虔晃 건황

13.경왕 景王 대현석 大玄錫 871-894

14. 대위해 大瑋瑎 895-907?

15. 애왕 哀王 대인선 大諲譔 907?-926

였다.

고려

고 려 서기 918-1392

주요왕계표

재위기간

재위기간

1.태조 (918–943)

2.혜종 (943–945)

3.정종 (945–949)

4.광종 (949–975)

5.경종 (975–981)

6.성종 (981–997)

7.목종 (997–1009)

8.현종 (1009–1031)

9.덕종 (1031–1034)

10.정종 (1034–1046)

11.문종 (1046–1083)

12.순종 (1083)

13.선종 (1083–1094)

14.헌종 (1094–1095)

15.숙종 (1095–1105)

16.예종 (1105–1122)

17.인종 (1122–1146)

18. 의종 (1146–1170)

19. 명종 (1170–1197)

20. 신종 (1197–1204)

21. 희종 (1204–1211)

22. 강종 (1211–1213)

23. 고종 (1213–1259)

24. 원종 (1259–1274)

25. 충렬왕 (1274–1308)

26. 충선왕 (1308–1313)

27. 충숙왕 (1313–1330; 1332–1339)

28. 충혜왕 (1330–1332; 1339–1344)

29. 충목왕 (1344–1348)

30. 충정왕 (1348–1351)

31. 공민왕 (1351–1374)

32. 우왕 (1374–1388)

33. 창왕 (1388–1389)

34. 공양왕 (1389–1392)

선사시대~고려시대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의 역사,인물,왕, 그리고 왕의 업적,그 인물의 업적,몇대의 왕인지 정확하고 자세하게 적어주세요 그리고 순서대로 장리해서...

선사시대~고려시대[영토사진]

선사시대~고려시대[영토사진]과 글도 써주세요 ■ 선사 시대 ㆍ선사 시대는 문자로 기록하기 이전의 시대로, 유물과 유적을 통해 그 때의 생활 모습과 일어난 일들을 알 수...

한국사 연표(선사시대~고려시대)

... 선사시대~고려시대까지 한국사 연표를 찾아야되요,,ㅠㅠ 부탁해요 낼 아침까진데 날짜지나도 원망하지 않을게요 내용만 좋으면 채택입니다, 내공 완전 많이...

선사시대~ 고려시대

안녕하세요 저는 6학년 아이인데요 선생님이 선사시대~ 고려시대까지 문제 15개 주관식으로 만들어 오시라네요.. 그래서 만들어야 하는데 15문제 주관식으로좀 부탁 드립니다....

선사시대~고려시대 급해요!!

선사시대~고려시대까지인데요. 여기 사이에 좀 가르쳐주세요. 헷갈리네요. 꼭 순서대로여야 됩니다!!! 선사시대-○-○-○등등-고려시대. 그니깐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고려시대.선사시대소설

선사시대고려시대소설좀올려주세요 그소설책의 내용을 약간올려주시면더좋고요 우리나라의 소설의 시작은 15세기 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금오신화(金鰲新話)》에서...

선사시대~고려시대

선사시대~고려시대순서좀알려주세요 선사시대,삼국시대,남북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대한제국,대한민국 채택 부탁드려요

선사시대~고려시대에 대한 질문이요

선사시대 ~ 고려시대에서 전으로 시작하는 단어나 관으로 끝나는 단어 아무거나 알려주세요ㅠㅠ 식으로 시작하는 3글자도 있으면 알려주세요 전으로 시작하는건 조선시대...

선사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유물...

선사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유물 한개씩(그림) 설명있으면 ㄳ요 채택 100000000% 질문을 하신 각 시대의 유물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선사시대의 빗살무늬토기 이...

50문제 만들기 - 선사시대~고려시대 까지

선생님이.......선생님이..ㅠㅇㅠ 역사숙제 문제를 50문제를 만들래요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50까지부탁드려요... 재발부탁드림니다 제발요 ㅠㅇㅠ 1.선사시대란?-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