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가 중앙집권국가가 되기 전 국호가 다양하고 하나로 정해지지 못했던...

신라가 중앙집권국가가 되기 전 국호가 다양하고 하나로 정해지지 못했던...

작성일 2022.04.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려 왕건에게 항복하는 935년까지 근 천년동안

56명이 통치하였는데 사로 시라 서나 서라벌 서벌 신라 지증왕때 503년 국호가 신라가 되었다

먼저 마한 54국(진서晉書에는 56국) 중 하나였던 소국小國 백제가 강성하여 마한의 중심국으로 자리했던 월지국(月支國. 또는 목지국目支國)을 장악하면서 54개 소국 대부분을 아우르게 되고 이를 통해 백제가 대국으로 성장하고 변진(弁辰) 12국은 점차 가야伽耶로 발전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관가야(경남 김해) 대가야(경북고령) 소가야(경남고성) 아라가야(경남함안) 고령가야(경북성주) 성산가야(경남진주)이다.

***가야 건국은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18년(후42년)이라고 신라 사신이 말했다-.

이와 함께 진한辰韓12국(처음에는 6국으로 시작했다)은 신라로 발전해 가는데 신라는 처음 외진 곳으로 피난 온 진한辰韓의 유민들로 구성된 진한 6部에서 시작되었고 집단의 명칭도 진한辰韓이라 하고 그 중심이 되는 소국을 사로국斯盧國이라 하고 또 서나벌(徐那伐. 삼국사기)이라 했다. 그곳을 살펴보면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과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취(嘴=口삭제)산山 진지촌珍支村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인데 이들을 진한 6부部라 하기도 했다. 점차 12국으로 확장되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그 과정은 기록에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다. 진한 6부는 그 주변국에서 일어나는 국난과 재난에 의해 발생되는 유민들이 수차에 걸쳐 이곳으로 대거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강한 모습을 갖추어 갔다. 유입되는 외부 세력들 중에는 중국에서 건너온 진秦나라 사람들도 많았는데 이들이 진한 6부 이웃에 거주하다 하나로 합쳐지면서 진한辰韓은 진한秦韓이다 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진한辰韓의 6소국(소국은 지방자치제가 잘 발달된 지금의 도시개념이지만 통치자의 상속권이 상당히 보장되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은 마한을 상국上國으로 하고 6소국은 각자 권한을 나누어 가지는 수평적 형태의 연맹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왜倭와 낙랑樂浪 등 외부의 침략이 잦아지면서 이들 침략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해선 부족을 지킬 수 있는 좀 더 강한 통치체제가 필요함을 느끼고 6부(部. 小國)의 수장首長들은 6부를 아우르는 군사적 통치자를 선출했는데 그가 바로 신라(사실은 진한辰韓)의 초대왕으로 추앙받는 거서간(居西干.도성을 지키는 직책)박혁거세朴赫居世이다.

*박혁거세는 거서간(거세) 박혁이란 뜻이다.

박혁거세는 부여夫餘 제실帝室 소속의 여성 파소婆蘇의 아들이다<태백일사, 고구려본기>.

파소는 부여 제실에 있을 때 지아비도 없는 상태에서 임신하여 사람의 눈을 피해 눈수嫩水를 통해 동옥저(東沃沮. 요녕성 해성海城을 동옥저라 부르고 어떤 사서에는 남옥저라 했다. 북옥저=장춘.)에 이르러 배를 타고 나을촌奈乙村에 이르게 되었는데 이때 고허촌高墟村의 촌장村長 소벌도리蘇伐都利가 그녀를 받아들여 선도산仙桃山의 성모(聖母. 제단에 종사하는 여성 웃어른)로 받들게 하였다. 이후 6부의 촌장들은 그녀의 아들 박혁거세를 거서간으로 추대하였는데 그때 나이는 13세로 그를 사람들은 사로국斯盧國의 시왕始王이라 했다. 도읍은 서나벌徐那伐로 정하고 나라 이름은 진한辰韓이라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 제2도시 외곽=>지방)라 하기도 했다.

***박제상의 <징심록澄心錄>부도지符都誌에 포함된 소부도지(小符都誌=신라에 관한 기록)에 보면 이 지역은 원래 귀양지인 사예벌(斯禮筏. 사례벌)이었는데 이곳에 사람들이 모여 도읍이 되면서 석탈해 이사금이 이 지역 명칭을 서라벌徐羅伐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해서 전한前漢 효선제孝宣帝 오봉五鳳 원년 갑자년인 전57년 4월에 박혁거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처럼 건국 시조의 집안 혈통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석씨와 김씨처럼 새로운 권력이 유입되어 세 성씨가 권력을 나누어 가지는 형태를 보이다가 결국 김씨 권력에 의해 나라가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과정에 국가 명칭도 함께 변하게 된다. 이 나라의 국호가 진한辰韓이나 사로斯盧에서 신로新盧와 신라新羅로 변화는 과정에 실제적 권력 변동이 일어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에 대해서

... 존속했던 고대 왕조. 개설 신라는 고대 삼국의 하나로서... 명칭 유래 국호 신라는 사로(斯盧)·사라(斯羅)·서나... 제3기는 신라가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로서의 통치체제를...

신라의 모든것 빨리요 급합니다

... 국호신라·신로(新盧)·사라(斯羅)·서나(徐那:徐那伐)·서야(徐耶:徐耶伐)... 설치하여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이룩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중국 남조(南朝)의...

통일 신라와 발해

... 중 하나로, 현재의 한반도 동남부 일대를 약 1000여 년... 이래로 국호가 정해지지 않아 혹은 '사라'(斯羅)'라... 이로써 신라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완비하였다. [편집]...

신라의 신분제도와 생활모습

... 존속했던 고대 왕조. 개설 신라는 고대 삼국의 하나로서... 명칭 유래 국호 신라는 사로(斯盧)·사라(斯羅)·서나... 제3기는 신라가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로서의 통치체제를...

신라에대해서...

... 중 하나로, 현재의 한반도 동남부 일대를 약 1000여 년... 이래로 국호가 정해지지 않아 혹은 '사라'(斯羅)'라... 이로써 신라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완비하였다. 신라의 팽창...

고구려의 역사..신라, 발해의 역사좀...

... 가운데 하나로 북쪽을 차지하고 있던 위(魏)나라는 장수... 이 밖에 전에 왕위를 차지했던 소노부의 대가와... 사회·경제 신라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신라의역사에대해서(총정리)

... 존속했던 고대 왕조. 개설 신라는 고대 삼국의 하나로서... 명칭 유래 국호 신라는 사로(斯盧)·사라(斯羅)·서나... 제3기는 신라가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로서의 통치체제를...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대본 내공100

... [19]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었던 이종찬 국가정... 개발되기 전에도 서방과 미국은 조선에서 지연 신관 역할을 했던 심지와 포탄 자체가 파편상을 일으키는 폭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