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큰사전에 역사적 근거 좀 알려주세요ㅠㅠ

우리말큰사전에 역사적 근거 좀 알려주세요ㅠㅠ

작성일 2021.10.3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목 그대로 조선어학회가 편찬한 우리말큰사전에 역사적 근거에 대해 알려주세요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다음 내용 참고하세요.

『우리말큰사전』 머리말

조선어 학회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 말은 우리 겨레가 반만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 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말은 다 우리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이어 보태고 다듬어서 우리에게 물려 준 거룩한 보배이다. 그러므로 우리말은 곧 우리 겨레가 가진 정신적 및 물질적 재산의 총목록이라 할 수 있으니 우리는 이 말을 떠나서는 하루 한때라도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말은 조선 사람에게 너무 가깝고 너무 친한 것이기 때문에 도리어 조선 사람에게서 가장 멀어지고 설어지게 되었다. 우리들이 항상 힘써 배우고 닦고 한 것은 다만 남의 말, 남의 글이요 제 말과 제 글은 아주 무시하고 천대해 왔다. 날마다 뒤적거리는 것은 다만 한문의 자전과 운서뿐이요 제 나라 말의 사전은 아예 필요조차 느끼지 아니하였다. 프랑스 사람이 와서는 프랑스 말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미국 영국 사람이 와서는 각각 영어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일본 사람이 와서는 일본말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었으나 이것은 다 자기네의 필요를 위하여 만든 것이요 우리의 소용으로 된 것이 아니었다.

제 말의 사전을 가지지 못한 것은 문화 민족의 커다란 수치일 뿐 아니라 민족 자체의 문화 향상을 꾀할 수 없음을 절실히 깨달아 이 수치를 씻고자 우리 문화 향상의 밑천을 장만하고자 우리가 우리 손으로 조선 말 사전의 편찬사업을 처음으로 계획한 것은 융희 4(서기 1910)년부터의 일이었으니 당시 조선 광문회에서 이 일을 착수하여 수년 동안 자료작성에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러나 사정으로 인하여 아깝게도 열매를 맺지 못하였고 10여년 뒤에 계명구락부에서 다시 시작하였으나 이 또한 중도에 그치고 말았었다.

이 민족적 사업을 기어이 이루지 않고서는 아니 될 것을 깊이 각오한 우리 학회는, 이에 새로운 결의로써 기원 4261(서기 1928)년 한글날에 조선어사전편찬회를 창립하였다. 처음에는 조선어 학회와 조선어사전편찬회가 두 날개가 되어 하나는 맞춤법 표준말들의 기초공사를 맡고 하나는 낱말을 모아 그 뜻을 밝히는 일을 힘써 오다가 그 뒤에는 형편에 따라 조선어 학회가 사전편찬회의 사업을 넘겨 맡게 되었으니 이는 조선어 학회가 특별한 재력과 계획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까무러져 가는 사전편찬회의 최후를 거저 앉아 볼 수 없는 안타까운 심정과 뜨거운 정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포악한 왜정의 억압과 곤궁한 경제의 쪼들림 가운데서 오직 구원한 민족적 정신을 가슴 속에 깊이 간직하고 원대한 문화적 의욕에 부추긴 바 되어, 한 자루의 모지라진 붓으로 천만 가지 곤란과 싸워온 지 열 다섯 해만에 만족하지 못한 원고를 인쇄에 붙이었더니 애닯도다. 험한 길은 갈수록 태산이라 기어이 우리말과 글을 뿌리째 뽑아 버리려는 포악무도한 왜정은 그 해 곧 기원 4275년(1942)의 시월에 편찬회와 어학회에 관계된 사람 30여명을 검거하매 사전 원고도 사람과 함께 홍원과 함흥으로 굴러다니며 감옥살이를 겪은 지 꼭 세 돌이나 되었었다.

그간에 동지 두 분은 원통히도 옥중의 고혼으로 사라지고, 마지막의 공판을 받은 사람은 열 두 사람이요 끝까지 옥에서 벗어나지 못한 다섯 사람은 그 실낱 같은 목숨이 바람 앞의 등불같이 바드러워 오늘 꺼질까 내일 사라질까 하던 차에 반갑다 조국 해방을 외치는 자유의 종소리가 굳게 닫힌 옥문을 깨뜨리어 까물거리던 쇠잔한 목숨과 함께 흩어졌던 원고가 도로 살아남을 얻었으니 이 어찌 한갓 조선어 학회 동지들만의 기쁨이랴?

서울에 돌아오자 곧 감옥에서 헤어졌던 동지들이 다시 모여 한편으로는 강습회를 차려 한글을 가르치며 한편으로는 꺾이었던 붓자루를 다시 가다듬어 잡고 흐트러진 원고를 그러모아 깁고 보태어 가면서 두 해 만에 이제 겨우 그 첫 권을 박아 5백 한 돌인 한글날을 잡아 천하에 펴내게 된 것이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다시 기움질을 받아야 할 곳이 많으매 그 질적 완성은 먼 뒷날을 기다릴밖에 없지마는 우선 이만한 것으로 하나는 써 조국 광복 문화부흥에 분주한 우리 사회의 기대에 대답하며 또 하나는 써 문화 민족의 체면을 세우는 첫걸음을 삼고자 한다.

돌아보건대 스무 해 전에 사전 편찬을 시작한 것은 조상의 끼친 문화재를 모아 보존하며 저 일본의 포악한 동화 정책에 소멸됨을 면하게 하여 써 자손 만대에 전하고자 하던 일에 악운이 갈수록 짓궂어 그 극적 기도조차 위태한 지경에 빠지기 몇 번이었던가? 이제 그 아홉 죽음에서 한 삶을 얻고 보니 때는 엄동설한이 지나간 봄철이요 침침 칠야가 밝아진 아침이라 광명이 사방에 가득하고 생명이 천지에 약동한다. 인제는 이 책이 다만 앞 사람의 유산을 찾는 도움이 됨에 그치지 아니하고 나아가서는 민족 문화를 창조하는 활동의 이로운 연장이 되며 또 그 창조된 문화재를 거두어들여 앞으로 자꾸 충실해 가는 보배로운 곳집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아니한다.

끝으로 이 사업 진행의 자세한 경과는 따로 밝히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다만 이 사업을 찬조하며 후원하여 주신 여러분에게 삼가 감사의 인사를 드리는 바이다.

조선어 학회, 『조선어큰사전』 1권, 1947

이 사료는 조선어 학회가 발행한 종합적인 대규모 국어사전인『우리말큰사전』의 머리말이다. 조선어 학회는 원래 1921년 12월 3일 ‘조선어 연구회’로 출범하였다. 이후 1931년 1월 10일 ‘조선어 학회’로 명칭을 바꾸었고, 1949년 9월 5일 ‘한글학회’로 다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른다. 『우리말큰사전』은 연활자본, B5판, 1책 6권, 본문 3,672면, 기원 132면, 총 3,804면으로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이 사전은 순우리말⋅한자말⋅외래어⋅관용어⋅사투리⋅은어(변말)⋅곁말을 비롯하여 고유명사⋅전문어⋅제도어⋅고어(옛말)⋅이두 등 총 164,125어휘를 수집하여 국어로 뜻풀이하였다.

1929년 10월 31일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어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를 두었고, 사전 편찬의 바탕이 되는 「한글맞춤법통일안」, 「표준어사정(標準語査定)」, 「외래어표기」 등을 제정하는 등 말과 글의 연구 및 정리와 보급에 힘썼다. 1936년 조선어사전편찬회는 조선어 학회에 통합되어 사전 편찬 작업을 계속하였다.

일제가 조선 민족을 한층 더 압박하면서 1941년 「조선사상범 예방구금령」을 공포하자 조선어 학회는 사전 편찬 작업에 박차를 가해 1942년 4월 일부를 대동출판사에 넘겨 인쇄하였다. 그러나 1942년 10월 ‘조선어 학회사건’이 발생하여 조선어 학회 관련자 중 16명이 기소되었고, 12명은 기소유예 되었다. 조선어 학회 관련자들에게는 “고유 언어는 민족의식을 양성하는 것이므로 조선어 학회의 사전 편찬은 조선 민족정신을 유지하는 민족운동의 형태다”라는 판결에 따라 「치안유지법」상 내란죄가 적용되었다.

1942년 가을 무렵 어휘 카드 초벌 풀이를 대부분 끝내고 일부가 조판에 들어갔으나 조선어 학회사건으로 인하여 원고 26,000여 장이 압수되었다. 그러나 이 원고는 1945년 9월 8일 지금의 서울역인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발견되었다. 그 뒤 편찬 작업이 계속되어 1947년 10월 9일 제1권이 간행되었고, 28년 만인 1957년 10월 9일 완간되었다.

출처: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804&tabId=01&levelId=hm_163_0040&whereStr=%40where+%7B+IDX_TITLE%28HASALL%7C%27%EC%9A%B0%EB%A6%AC%EB%A7%90%ED%81%B0%EC%82%AC%EC%A0%84%27%7C100000%7C0%29+or+IDX_CONTENT%28HASALL%7C%27%EC%9A%B0%EB%A6%AC%EB%A7%90%ED%81%B0%EC%82%AC%EC%A0%84%27%7C100%7C0%29+or+IDX_ALL%28HASALL%7C%27%EC%9A%B0%EB%A6%AC%EB%A7%90%ED%81%B0%EC%82%AC%EC%A0%84%27%7C1%7C0%29+%7D

사전에 역사적 근거 좀 알려주세요ㅠㅠ

제목 그대로 조선어학회가 편찬한 우리말큰사전에 역사적 근거에 대해 알려주세요ㅜㅜ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다음 내용 참고하세요. 『우리말큰사전』...

역사적의의좀 빨리 알려주세요ㅠㅠ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의의좀 빨리 알려주세요ㅠㅠ 5... 것을 사전에 알지 못하였으며, 그들이 광주에서 행한... 법적인 근거에 의해서만 행해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경주<신라>의 역사적배경좀 알려주세요

알려주세요~~ -----------------------------사전검색결과... 하면, 우리말의 머리라는 말과 연관시켜 마립간이란 두간... 이론적 근거도 갖추었기 때문에 공인 후 국왕과 귀족세력...

유교를 들여온 이유좀 알려주세요 ㅠㅠ

... 의미도 알려주세ㅇ ㅠㅠ 마니 부처님께 귀의하옵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자, 조선조에 들어 불교를... 출처: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강풀26년 빠삭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 어지러운 댓글들이 많아서 정리가 안되는데 ㅠㅠ 치우치치않고 잘알고계시는분이 딱 정리해서 알려주셨으면... 18은 우리나라의 정체성 그 자체가 걸린 역사적...

알아야하는 상식좀 알려주세요 ㅠㅠ

제발 도와주세요ㅠㅠㅠ 내공 100 드릴게요 ㅠㅠㅠ... 행정구역상 양평균 양서면 양수리를 우리말로 표현... 空中樓閣(공중누각) : 공중에 누각을 지음과 같이 근거가 없는...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 좀알려주세요ㅠㅠ

... 써주세요 또 가능하면 빨리해 주세요 부탁합니다... 순수한 우리말로서 가사(歌詞), 민담, 그림 속에 자주... 또한 궁궐 속에서 자라온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