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INSERT INTO `kin_11_111001` (subject, seo_subject, content, page, description, og_image, time) VALUES ('조선시대 한국문화의 퇴보', '%EC%A1%B0%EC%84%A0%EC%8B%9C%EB%8C%80+%ED%95%9C%EA%B5%AD%EB%AC%B8%ED%99%94%EC%9D%98+%ED%87%B4%EB%B3%B4', '
\n \n \n

안녕하세요. 최근에 한국 전통문화에 갑자기 관심이 생긴 대한민국의 청년입니다.

\n

한국 문화를 공부하던 중에 갑자기 궁금 점이 생겼는데요. 다름 아닌 조선 시대가 과연 한국문화의 퇴보를 가져왔는가 아닌가 입니다.

\n

 

\n

고구려나, 백제, 신라, 고려 시대의 유물들을 보면 뭔가 화려하고 웅장합니다.

\n

그런데 조선 시대 유물들을 보면 뭔가 평범합니다. 소박한 멋이라고 쉴드를 치고 십지만 그럴 수가 없을 정도로 비교가 됩니다. 오히려 너무 볼품이 없어서 조선 시대 문화를 변호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소박함의 멋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같습니다.

\n

 

\n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조선 시대는 근대의 시기로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발전의 가능성이 가장 높았을 것이라는 겁니다.

\n

이렇게 되었을까 생각을 해보았는데 크게 가지의 이유인 같습니다.

\n

 

\n

첫째로, 조선 시대에는 귀족문화가 전무했다는 겁니다.

\n

나라의 문화 발전에 있어 귀족의 유무는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n

 

\n

예를 들어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나라에는 귀족들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화려한 문화에 대한 수요가

\n

자연스레 생겨나 문화가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서양의 클래식 음악, 가구들, 프랑스의 요리, 패션 등등 모두 

\n

귀족들의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발전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19세기 부터 그러한 물품들이 대중에게 퍼지기 전까지 모두 귀족들이나 돈이 있는 사람들이 주요 수용 계층이지 않았습니까.

\n

 

\n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말까지 귀족계층이 존재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 비해 문화가 매우 화려 했다고 생각합니다. 신라의 도시 경주, 신라의 황금문화, 고려의 청자문화, 옥으로 만든 기와 등등 건축이나 궁궐들도 조선시대보다 훨신 크고 화려하죠. 예를 들어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단층 건물 밖에 없었는데 고려나 신라 시대에는 복층 건물도 엄청 많았다고 합니다.

\n

 

\n

또한, 조선과 동시대인 일본만 봐도 귀족문화가 존재했기에 같은 시대의 조선보다 문화가 화려하죠.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일본이 아시아에서 문화로서 외국에서 가장 빨리는 이유인것 같기도 합니다. 실제로 19세기에 서양 회화 미술에도 일본 회회가 영향을 주었던 것도 사실이고 (그에 비해 조선은...)

\n

지금 저는 신분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의 말은 귀족문화가 있었다면 현재의 문화가

\n

화려했을 것이라는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이 그렇게 빨아대는 프랑스 문화도 거진 귀족문화에서 출발하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현재 프랑스는 신분이 없는 공화국이죠.

\n

 

\n

둘째로, 사상의 자유가 없었다는 겁니다.

\n

사상의 자유는 문화발전 뿐만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선 시대 전까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모두 사상이 자유로운 나라였습니다. 때문에 불교, 도교 다른 사상도 자유롭게 통용될 있었습니다

\n

 

\n

사상의 자유는 상업의 자유를 가져왔죠. 실제로 통일신라 시대에 동시대 아랍국가들의 기록에는 신라라는 국호가 자주 등장하는 것만 봐도 얼마나 상업이 발달했는지 있죠.

\n

또한 그러한 상업의 발달로 인해 외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도 많아지고 그러한 접촉을 기초로 문화를 발전시킬 기회도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n

 

\n

고려 또한 상업이 발달하여 외국에 우리나라의 로마자 이름이 Korea 알려지게 만들죠. 그에 반해 조선 시대는 아랍과는 교류도 해보고 끽해봐야 일본이나 잘하면 동남아 류큐... 조선 중후기 까지도 서양에서는 우리나라를 Chosun 아니라 Corea 알지 않습니까?

\n

 

\n

특히, 조선 시대의 독단적인 유고 사상은 남존여비라는 말도 안되는 사상을 가져옵니다.

\n

중국이나 일본의 전통문화와 비교되는 한민족 고유의 문화가 바로 남여에 차별이 없는 문화였는데(실제로 고려 시대까지 남여평등이 매우 강한 세계에서 되는 문명국이었죠) 조선 시대에 완전히 뒤집어 지죠

\n

 

\n

조선은 정말 문화 발전은 커녕 한민족 고유의 문화를 중국의 유교 문화에 팔아넘긴 반민족적인 왕조인 같습니다. 조선 시대에 세조 후부터 소위 유교 탈레반들이라 불리우는 이중적인 선비놈들이 득세하여 송시열 같은 애들이 사문난적 드립 때마다 암걸릴 같습니다.

\n

 

\n

조선이 가치가 전혀 없는 왕조라는 것은 아닙니다. 조선은 단종 때가지 인것 같습니다. 단종이 강제 폐위되어 정통 세종 라인이 붕괴되고 세조라는 민족의 역적이 소위 유교 탈레반들을 득세시키므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는 발전이 멈췄다고 생각합니다.

\n

 

\n

결론을 말하자면, 조선이 고려를 무너뜨리지 않고 고려의 귀족문화와 자유로운 문화가 지금까지 내려왔다면 우리나라의 고유 문화는 발전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고려의 문화가 현재까지 이어진 대한민국과 현실의 우리가 살고있는 대한민국을 비교할때, 전자가 문화적으로 뛰어났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선의 500년은 한민족의 잃어버린 500년인 같습니다.

\n

 

\n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는 특히 학계에서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n

저는 그저 평범한 청년으로서 저의 의견을 피력한 것입니다. 비판이 있다면 달게 받겠습니다.

\n

 

\n

P.S.

\n

고려를 조선이랑 비교하여 고려가 조선보다 했다는 식의 1차원적인 비교는 하지 말아 주세요.

\n

고려는 중세고 조선은 근세입니다. , 시간차에 의한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경제력 차이는 필연적인 겁니다.

\n \n\n \n \n \n \n\n \n \n\n \n \n \n
', '11_111001_250545770', ' 안녕하세요. 최근에 한국 전통문화에 갑자기 관심이 생긴 대한민국의 한 청년입니다. 한국 문화를 공부하던 중에 갑자기 궁금 점이 생겼는데요. 다름 아닌 조선 시대가 과연 한국문화의 퇴보를 가져왔는가 아닌가 입니다.   고구려나, 백제, 신라, 고려 시대의 유물들을 보면 뭔가 화려하고 웅장합니다. 그런데 조선 시대 유물들을 보면 뭔가 평범합니다. 소박한 멋이라고 쉴드를 치고 십지만 그럴 수가 없을 정도로 비교가 됩니다. 오히려 너무 볼품이 없어서 조선 시대 문화를 변호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소박함의 멋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조선 시대는 근대의 시기로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발전의 가능성이 가장 높았을 것이라는 겁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생각을 해보았는데 크게 두 가지의 이유인 것 같습니다.   첫째로, 조선 시대에는 귀족문화가 전무했다는 겁니다. 한 나라의 문화 발전에 있어 귀족의 유무는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나라에는 귀족들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화려한 문화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레 생겨나 문화가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서양의 클래식 음악, 가구들, 프랑스의 요리, 패션 등등 모두  귀족들의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발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19세기 부터 그러한 물품들이 대중에게 퍼지기 전까지 모두 귀족들이나 돈이 있는 사람들이 주요 수용 계층이지 않았습니까.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말까지 귀족계층이 존재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 비해 문화가 매우 화려 했다고 생각합니다. 신라의 도시 경주, 신라의 황금문화, 고려의 청자문화, 옥으로 만든 기와 등등 건축이나 궁궐들도 조선시대보다 훨신 더 크고 화려하죠. 예를 들어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단층 건물 밖에 없었는데 고려나 신라 시대에는 복층 건물도 엄청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조선과 동시대인 일본만 봐도 귀족문화가 존재했기에 같은 시대의 조선보다 더 문화가 화려하죠.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일본이 아시아에서 문화로서 외국에서 가장 빨리는 이유인것 같기도 합니다. 실제로 19세기에 서양 회화 미술에도 일본 회회가 영향을 주었던 것도 사실이고 (그에 비해 조선은...) 지금 저는 신분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의 말은 귀족문화가 있었다면 현재의 문화가 더 화려했을 것이라는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이 그렇게 빨아대는 프랑스 문화도 거진 귀족문화에서 출발하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현재 프랑스는 신분이 없는 공화국이죠.   둘째로, 사상의 자유가 없었다는 겁니다. 사상의 자유는 문화발전 뿐만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선 시대 전까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모두 사상이 자유로운 나라였습니다. 때문에 불교, 도교 밑 다른 사상도 자유롭게 통용될 수 있었습니다.    사상의 자유는 상업의 자유를 가져왔죠. 실제로 통일신라 시대에 동시대 아랍국가들의 기록에는 신라라는 국호가 자주 등장하는 것만 봐도 얼마나 상업이 발달했는지 알 수 있죠. 또한 그러한 상업의 발달로 인해 외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도 많아지고 그러한 접촉을 기초로 문화를 발전시킬 기회도 더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고려 또한 상업이 발달하여 외국에 우리나라의 로마자 이름이 Korea 로 알려지게 만들죠. 그에 반해 조선 시대는 아랍과는 교류도 못 해보고 끽해봐야 일본이나 잘하면 동남아 류큐... 조선 중후기 까지도 서양에서는 우리나라를 Chosun 이 아니라 Corea 로 알지 않습니까?   특히, 조선 시대의 독단적인 유고 사상은 남존여비라는 말도 안되는 사상을 가져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전통문화와 비교되는 한민족 고유의 문화가 바로 남여에 차별이 없는 문화였는데(실제로 고려 시대까지 남여평등이 매우 강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문명국이었죠) 조선 시대에 완전히 뒤집어 지죠.    조선은 정말 문화 발전은 커녕 한민족 고유의 문화를 중국의 유교 문화에 팔아넘긴 반민족적인 왕조인 것 같습니다. 조선 시대에 세조 후부터 소위 유교 탈레반들이라 불리우는 이중적인 선비놈들이 득세하여 송시열 같은 애들이 사문난적 드립 칠 때마다 암걸릴 것 같습니다.   조선이 가치가 전혀 없는 왕조라는 것은 아닙니다. 조선은 딱 단종 때가지 인것 같습니다. 단종이 강제 폐위되어 정통 세종 라인이 붕괴되고 세조라는 민족의 역적이 소위 유교 탈레반들을 득세시키므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는 발전이 멈췄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조선이 고려를 무너뜨리지 않고 고려의 귀족문화와 자유로운 문화가 지금까지 내려왔다면 우리나라의 고유 문화는 더 발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고려의 문화가 현재까지 이어진 대한민국과 현실의 우리가 살고있는 대한민국을 비교할때, 전 전자가 더 문화적으로 뛰어났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선의 500년은 한민족의 잃어버린 500년인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는 특히 학계에서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저는 그저 평범한 청년으로서 저의 의견을 피력한 것입니다. 비판이 있다면 달게 받겠습니다.   P.S. 고려를 조선이랑 비교하여 고려가 조선보다 못 했다는 식의 1차원적인 비교는 하지 말아 주세요. 고려는 중세고 조선은 근세입니다. 즉, 시간차에 의한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경제력 차이는 필연적인 겁니다. ', 'https://cboard.net/sitemap/og_image.php?text=조선시대 한국문화의 퇴보&link=https://cboard.net/k/11_111001_250545770', '2016.04.19')
Data too long for column 'content' at row 1 조선시대 한국문화의 퇴보

조선시대 한국문화의 퇴보

조선시대 한국문화의 퇴보

작성일 2016.04.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한국 전통문화에 갑자기 관심이 생긴 대한민국의 청년입니다.

한국 문화를 공부하던 중에 갑자기 궁금 점이 생겼는데요. 다름 아닌 조선 시대가 과연 한국문화의 퇴보를 가져왔는가 아닌가 입니다.

 

고구려나, 백제, 신라, 고려 시대의 유물들을 보면 뭔가 화려하고 웅장합니다.

그런데 조선 시대 유물들을 보면 뭔가 평범합니다. 소박한 멋이라고 쉴드를 치고 십지만 그럴 수가 없을 정도로 비교가 됩니다. 오히려 너무 볼품이 없어서 조선 시대 문화를 변호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소박함의 멋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같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조선 시대는 근대의 시기로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발전의 가능성이 가장 높았을 것이라는 겁니다.

이렇게 되었을까 생각을 해보았는데 크게 가지의 이유인 같습니다.

 

첫째로, 조선 시대에는 귀족문화가 전무했다는 겁니다.

나라의 문화 발전에 있어 귀족의 유무는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나라에는 귀족들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화려한 문화에 대한 수요가

자연스레 생겨나 문화가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서양의 클래식 음악, 가구들, 프랑스의 요리, 패션 등등 모두 

귀족들의 수요가 있었기 때문에 발전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19세기 부터 그러한 물품들이 대중에게 퍼지기 전까지 모두 귀족들이나 돈이 있는 사람들이 주요 수용 계층이지 않았습니까.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말까지 귀족계층이 존재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 비해 문화가 매우 화려 했다고 생각합니다. 신라의 도시 경주, 신라의 황금문화, 고려의 청자문화, 옥으로 만든 기와 등등 건축이나 궁궐들도 조선시대보다 훨신 크고 화려하죠. 예를 들어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단층 건물 밖에 없었는데 고려나 신라 시대에는 복층 건물도 엄청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조선과 동시대인 일본만 봐도 귀족문화가 존재했기에 같은 시대의 조선보다 문화가 화려하죠.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일본이 아시아에서 문화로서 외국에서 가장 빨리는 이유인것 같기도 합니다. 실제로 19세기에 서양 회화 미술에도 일본 회회가 영향을 주었던 것도 사실이고 (그에 비해 조선은...)

지금 저는 신분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의 말은 귀족문화가 있었다면 현재의 문화가

화려했을 것이라는 겁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이 그렇게 빨아대는 프랑스 문화도 거진 귀족문화에서 출발하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현재 프랑스는 신분이 없는 공화국이죠.

 

둘째로, 사상의 자유가 없었다는 겁니다.

사상의 자유는 문화발전 뿐만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선 시대 전까지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모두 사상이 자유로운 나라였습니다. 때문에 불교, 도교 다른 사상도 자유롭게 통용될 있었습니다

 

사상의 자유는 상업의 자유를 가져왔죠. 실제로 통일신라 시대에 동시대 아랍국가들의 기록에는 신라라는 국호가 자주 등장하는 것만 봐도 얼마나 상업이 발달했는지 있죠.

또한 그러한 상업의 발달로 인해 외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도 많아지고 그러한 접촉을 기초로 문화를 발전시킬 기회도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고려 또한 상업이 발달하여 외국에 우리나라의 로마자 이름이 Korea 알려지게 만들죠. 그에 반해 조선 시대는 아랍과는 교류도 해보고 끽해봐야 일본이나 잘하면 동남아 류큐... 조선 중후기 까지도 서양에서는 우리나라를 Chosun 아니라 Corea 알지 않습니까?

 

특히, 조선 시대의 독단적인 유고 사상은 남존여비라는 말도 안되는 사상을 가져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전통문화와 비교되는 한민족 고유의 문화가 바로 남여에 차별이 없는 문화였는데(실제로 고려 시대까지 남여평등이 매우 강한 세계에서 되는 문명국이었죠) 조선 시대에 완전히 뒤집어 지죠

 

조선은 정말 문화 발전은 커녕 한민족 고유의 문화를 중국의 유교 문화에 팔아넘긴 반민족적인 왕조인 같습니다. 조선 시대에 세조 후부터 소위 유교 탈레반들이라 불리우는 이중적인 선비놈들이 득세하여 송시열 같은 애들이 사문난적 드립 때마다 암걸릴 같습니다.

 

조선이 가치가 전혀 없는 왕조라는 것은 아닙니다. 조선은 단종 때가지 인것 같습니다. 단종이 강제 폐위되어 정통 세종 라인이 붕괴되고 세조라는 민족의 역적이 소위 유교 탈레반들을 득세시키므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는 발전이 멈췄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조선이 고려를 무너뜨리지 않고 고려의 귀족문화와 자유로운 문화가 지금까지 내려왔다면 우리나라의 고유 문화는 발전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고려의 문화가 현재까지 이어진 대한민국과 현실의 우리가 살고있는 대한민국을 비교할때, 전자가 문화적으로 뛰어났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선의 500년은 한민족의 잃어버린 500년인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는 특히 학계에서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자들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저는 그저 평범한 청년으로서 저의 의견을 피력한 것입니다. 비판이 있다면 달게 받겠습니다.

 

P.S.

고려를 조선이랑 비교하여 고려가 조선보다 했다는 식의 1차원적인 비교는 하지 말아 주세요.

고려는 중세고 조선은 근세입니다. , 시간차에 의한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경제력 차이는 필연적인 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역사를 보면요..


다음 세대는 이전세대에 대한 반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고려가 화려한 귀족문화를 꽃피우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착취를 했을지 생각을 해 봐야죠.

고려의 권문세가들은 불교와 결탁하여 재산을 늘리고 토지를 겸병하여 고려라는 국가의 존립을 무너뜨렸습니다. 그리고 이후에 나온 숭유억불의 조선은 고려에 대한 반성입니다.


대외교역도 별 토산물도 없던 고려는 쥐어짜듯이 귀족의 사치품조달에 주력했었고, 이에 대한 반성으로 조선은 소박한 문화를 군왕이 몸소 실천하던 나라였죠.

우리가 스파르타를 논할때에 스파르타의 유물이 훌륭하다는 식으로 말하나요. 아니죠. 단지 그 상무정신을 논합니다. 조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유교는 처음에 실용적인 학문으로 출발했는데, 점차 교조주의화 되어가면서 후기 조선사회에 영향을 미친 것이지, 조선이라는 나라 자체가 다분히 문제가 많았던 왕조는 아니었다고 봅니다. 오히려 외국에는 없는 많은 가치관과 문화를 만들어냈고 이 무형의 자산이 오늘날 재조명되기도 하니까요.


단적으로 중국에서 요즘 유교니 공자니 유행하는 것이 정신문화의 부재에서 오는 도덕성 결핍과 금전만능주의의 심각성 때문입니다. 중국의 중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도덕이나 그런 것보다는 돈만 있으면 된다는 생각이 78%였다고 하죠. 심각성을 깨달은 중국정부는 이러한 유교부활을 통한 정신계몽을 하기 위하여 나서는 실정입니다. 우리나라는 그 정도는 아니죠.


화려한 유물의 프랑스 귀족들이 어떤 최후를 맞았나요?

그들은 화려한 삶을 즐겼지만, 민중의 삶에 대한 고민이 없었고 그 결과 대혁명으로 몰죽음을 당하죠.

피의 역사를 기록한 겁니다. 우리가 동경하는 프랑스의 귀족문화라는 것들도 기실 19세기 부르조아풍인 것이 많습니다. 물론 뿌리는 부르봉 왕조시대이지만..  


조선을 규정하는 것은 유교탈레반이라는 부정적 의미도 있으나, 지도층이 민중의 삶에 대해서 고민을 했던 유일한 시대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지도층부터가 검약하여 화려한 유물은 적으나 반면에 조세부담이 적었고 백성들에게는 안정적인 삶을주려는 고민은 했으니까요. (후대에 변질되긴 했지만..)

따라서 조선시대를 평가하려면 정신자산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조선시대 미용문화

조선시대 미용문화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관련 인물이나 유물, 유적도 같이 알려즈세요... 그리고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한국의 미용과 패션에 큰 영향을...

조선시대 경제

... 이를 통해 한국의 고유한 기술과 발명품들이 만들어졌고, 이는 오늘날 한국문화유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화폐 제도 발달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화폐 제도가...

조선시대 기생들이 추는 춤에도 지금의...

조선시대 기생들이 추는 춤에도 지금의 한국무용처럼 아련하고 한서린듯한 느낌의... 승무를 출 때 복장, 승무복에 대해 참조해보세요 https://local.nculture.org/q8jf0 <출처:지역N문화>

한국문화유산

한국문화유산에 직지삼체요절도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직심심체요절은 유네스코... 「불조직지심체요절」이 해외로 유출된 경위는 조선시대 고종때 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