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 이유

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 이유

작성일 2015.01.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불교의 수용 목적

토속신앙을 죽임과 동시에 귀족세력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함입니다.('중앙 집권 체제'를 위한 사상적 통일)

 

< 고구려 >

소수림왕

- 체제 정비 : 태학 설립, 율령반포, 관등제 정비& 공복 제정, 불교수용

 

* 고대 국가 : 중앙집권체제 (1,2,3의 내용의 하나의 set)

1. 왕위의 세습화

2. 율령의 반포 --> 관등제 정비 & 공복 제정

3. 불교의 수용 --> 중앙집권, 왕권강화

 

국가의 건설이 있은 후

그리 오래되지 않아서 불교를 수용한 고구려와 백제와 달리

(4c : 고구려 소수림왕 by 순도, 백제 침류왕 by 마라난타 )

신라는 이차돈의 순교가 있은 후에야 불교를 공인합니다.

 

법흥왕 이전에도 불교를 전파하려는 시도는 많았으나 왕권이 약했기에 불교를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신라는 초기에 제정일치 사회였으며, 지방 귀족세력들 역시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제사를 지내고 자신들의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새롭게 들어오는 불교는 민간신앙과 그 격을 달리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세력이 형성되는 계기를 만들어주어, 기존 세력의 경계대상이 되었던 것입니다.

 

스물여섯 살의 젊은 관료 이차돈은 바로 이런 새로운 세력을 상징합니다.

기존 세력이 새로운 불교세력을 경계하는 가장 큰 까닭은 왕이 그들을 비호한다는 데 있었으며,

법흥왕 이후 왕실은 보다 강력한 통치체제를 만들어 기존의 귀족세력보다 큰 힘을 행사하려 했습니다.

불교라는 종교는 새로운 이념을 제공해 주기에 족했기 때문이죠.

그들은 왕족을 부처님의 일족으로 격상시키며 신성한 권력을 만들어 나가려 했고,

특히 법흥왕은 그런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불교를 공식종교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왕은 부처의 신성성을 얻고 이제까지와는

다른 권위로 신하를 다스릴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법흥왕의 불교 공인에는 고도의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 있었다 하겠습니다.

( By 업설, 업보, 윤회(전생,현생,내세) 의 논리로 귀족을 제압)

 

문제는 기존의 세력이 만만하지 않다는 사실이었고,

새로운 젊은 세력은 아직 그들을 대항할만한 힘을 갖추고 있지 못하였습니다.

 

비처왕 때에 궁중에서 향 피우는 일을 맡은 승려가 궁주와 내통하다 적발되어 죽임을 당한 사건이 있었는데, [삼국유사] ‘사금갑(射琴匣)’ 조의 이야기가 그것이며,

실은 힘을 기르지 못한 새로운 세력이 기존의 세력에게 제압당한 일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법흥왕의 때에 이르자 분위기가 어느 정도 갖추어졌습니다.

[체제 정비 : 법령공포, 관등제 정비(6좌평,16관등), 관복제 도입(자,비,청)]

이차돈 같은 충성스럽고 지혜로운 젊은 신하가 나왔던 것입니다.

더욱이 그는 불교에 대한 믿음이 강렬했기에

이차돈의 불심은 정치적인 목적이 깔려 있는 법흥왕의 의도보다 더 높은 것이었죠.

 

불교의 수용은 단순히 하나의 종교가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

왕권 강화, 세력의 힘을 대변하는 하나의 장치적 성격을 지녔기에

고구려, 백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왕권이 약했던 신라는 불교의 수용과 공인이

더딜수 밖에 없었습니다.

 

[Tip]

신라의 율령반포와 관등제 정비가 늦었다는 것만 보아도 왕권이 상대적으로

미약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법흥왕 때가 되어서야 체제 정비를 이뤘고,

불교를 공인할 수 있었습니다.

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 이유

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 이유 불교의 수용 목적 은 토속신앙을 죽임과 동시에 귀족세력의 힘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함입니다.('중앙 집권 체제'를 위한 사상적...

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이유 누구...

고구려가불교를받아들인이유 누구 때문에? 부탁드립니다. 신라,백제도알려주세요내공50 먼저 국가의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불교인데요. 고구려의 경우...

고구려는 어느 왕때 불교를 받아들였는가

... 고구려가 불교를 받아들인 이유로는, 기존의 원시신앙으로는 독립성을 띤 5부를 하나로 뭉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왕실로서는 권한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싶어...

삼국이 불교를 받아들인이유?

제가 초등학교5학년인대 삼국이 불교를 받아들인이유 가 무었인지 빨리 답변해주세요. 고구려 소수림왕 372년 백제 침류왕 384년 신라 법흥왕 527년 불교를 받아 들인 건 평민과...

삼국의 왕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이유

삼국(고구려, 신라, 백제)의 왕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이유 간단하게 아주간단하게는 말고, 음...거의 3,4줄? 지금 빨리용~ 욕설 같은 거 올리면 신고 합니다. 내공은 없지만...

고구려,백제,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인까닭...

님들 죄송한데요 고구려,백제,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인까닭은 뭐에요? 그것은 바로... 즉, 이 윤회사상이 지배계층들의 지배 이유를 더욱 공고히 해주었던 것이었습니다~ 불교는...

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인 이유

... ◈ 신라에서 불교를 전래한 왕 신라 불교의 초기 전래는 눌지왕 때 고구려로부터 무명인에 의해 전래되었으나 성과를 얻지 못하였고 소지왕 때 일선군지방 모례의 집에서...

(사회)고구려, 백제, 신라중 불교를 먼저...

... 불교를 수용한이유 고구려가 받아들인 시기의 불교는 중국의 격의 불교 였습니다. 이후 인도의 중관사상 을 계승한 삼론종에 대한 연구가 발달하였고 유식학과 중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