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에 대하여 아는사람 와주세요 빨리요~

한국역사에 대하여 아는사람 와주세요 빨리요~

작성일 2012.12.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 초등4인데요 한국역사에대하여 조사숙제인데 지금빨리  사진 하고  해석부탁합니다 (내공100걸었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간추린 한국 역사

 

 

1.고조선

고조선의 건국자:단군왕검(환웅과 웅녀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고조선의 수도:불분명하나 왕검성으로 추정됨

 

2.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자:동명성왕(본명은 주몽이며 유화와 해모수(?)사이에서 태어남)

고구려의 수도:졸본성다음 국내성(평양)

고구려의 대표적인인물:광개토왕,장수왕 등

 

3.백제

백제의 건국자:온조왕(본명은 온조이며 소서노와 우태 사이에서 태어남

백제의 수도:위례성(지금서울 송파구지역)-웅진(공주)-사비(부여)

탑:현재 부여의 정림사지 5층석탑,익산의 미륵사지 석탑

대표적인 인물:계백 장군 등~

 

4.신라

신라의 건국자:혁거세왕(박혁거세 알에서 태어난 설화가 있음)

신라의 수도:금성(경주)

탑:분황사 석탑

대표적인인물:김유신,김춘추(태종무열왕)

 

5.통일신라

통일신라의 건국자 :당연히 혁거세왕

통일신라의 수도:금성(경주)

대표적인인물:김유신,김춘추(태종무열왕)

탑:월성 장항리사지서9층 석탑,서악리3층석탑,효현리3층석탑 등

 

6.발해

발해의 건국자:대조영(원래이름은 걸걸조영이나 성을 바꿈 대중상과 부인? 사이에서 태어남)

발해의 수도:상경용천부

발해의문화재:보상화무늬 벽돌 등

 

7.고려

고려의 건국자:태조왕건(세조 위무대왕(왕륭)과 위숙왕후사이에서 태어남 =추존인물임)

고려의 수도:송악(개성)

고려의 문화재:봉선홍경사 사적갈비,봉정사 극락전등이 있다

 

8.조선

조선의건국자:태조 이성계(환조(이자춘)와 의혜왕후 사이에서 태어남)

조선의 수도:한양(서울)

조선의 문화재:숭례문,경복궁 등

 

 

좀더 자세한 한국사

 

 

 한국사 개요

 

(1) 원시사회

세계의 모든 민족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역사도 처음부터 국가가 형성되었던 것이 아니라, 선사시대 즉 원시사회의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선사시대는 구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로 발전하였다. 한국사도 같은 과정을 밟았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역사는 5,000 년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발전해 온 것으로 우리는 알아내었다.



한반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60만년 전의 전기구석시대부터이다. 이러한 사실은 공주 석장리의 구석기유적과 상원 검은모루동굴, 단양 금굴의 구석기유적으로부터 확인된다. 이밖에도 연천 전곡리, 제천 점말동굴, 덕천 승리산동굴, 상원 청청암동굴, 청원 두루봉동굴 등 20여곳에서 구석기유적이 발견되었다.



이때에 살았던 구석기인들은 나무열매를 따먹기도 하고, 고기잡이와 사냥 등 단순한 채집경제에 머물러 있었다. 이때에 사용된 도구는 조잡한 타제석기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생산력이 낮아 계급이 없는 평등사회를 이루고, 무리를 지어 떠돌아다니는 군사회(群社會,bands)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한반도의 구석기인이 오늘날 한국인의 직접 조상이었다고는 단정할 수 없으나 일부연구자는 이들이 우리 조상이라고 하고 있다.



기나긴 구석기시대를 지나 서기전 6000년경부터는 한반도에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다. 신석기유물의 특징은 종래의 타제석기와 마제석기(磨製石器)로 발전하고 새로이 토기가 출현한 것이다. 토기는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한반도의 신석기시대는 일반적으로 토기를 기준으로 하여 선즐문토기기(先櫛文土器期) · 즐문토기Ⅳ기 · 즐문토기Ⅱ기 등의 세 시기로 구분된다.



선즐문토기는 즐문토기에 앞서 만들어진 원시무문토기(原始無文土器)와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를 말하는 것으로, 부산 동삼동과 함경북도 웅기 굴포리의 패총 및 강원도 양양 오산리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즐문토기 Ⅰ기는 서기전 35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이때의 즐문토기는 밑이 뾰족한 반란형(半卵形)에 어골문(魚骨文)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주로 강가나 해안지방에서 출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즐문토기Ⅱ기는 서기전 2000년경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때 만들어진 토기는 바닥이 평평해지고 무늬도 종래의 어골문에서 점렬(點列)에 의한 파상문(波狀文)이나 뇌문(雷文)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토기의 변화는 새로운 문화담당자, 즉 종족의 이주와 변화를 뜻한다. 이와같이, 신석기시대에는 세 차례에 걸친 종족의 이동이 있었으며, 그때마다 선주민과 새로 이주해온 종족 사이에 혼혈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오늘날 한국인의 모체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신석기시대에는 경제생활면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즉, 농경이 시작되었다는 사실이다. 신석기시대의 초기 · 중기에 해당하는 선즐문토기기와 즐문토기Ⅰ기에는 고기잡이와 사냥을 위주로 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점차 농경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는 이전의 식량채집단계에서 식량생산단계로 발전하였음을 뜻하는 것으로, 역사의 발전단계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사회조직도 변질되었으니, 종래의 군사회(群社會)에서 혈연관계가 보다 확산된 부족사회(部族社會,tribes)로 발전하였다.



이 부족사회는 종래의 청동기사회라고 인식된 사회가 아니라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없는 씨족공동체(氏族共同體) 위에 형성되었는데, 그 사회원리는 역시 평등사회였다. 서기전 10세기 북방으로부터 청동기가 새로이 수용됨으로써 청동기시대가 도래하였다. 우리나라의 청동기유적에서 출토되는 대표적인 유물은 무문토기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다뉴조문경(多뉴粗文鏡) 등이다. 이 가운데 특히 비파형동검은 중국에서 출토되지 않고 랴오닝(遼寧)지방과 한반도에서만 독특하게 출토되어, 이 지역이 중국과는 구별되는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에는 앞서 신석기시대 후기에 시작되었던 농경이 더욱 발달하여 주산업으로 정착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를 나타내주는 유물로서 반월형석도(半月形石刀)와 유구석부(有溝石斧)가 출토되고 있다. 그리고 농경에 따른 생산력의 발달로 빈부의 차가 나타나고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생겨 정치적 지배자로서 군장(君長)이 출현하였다. 이것이 최초의 정치사회인 군장사회(君長社會,chiefdoms)로, 종래의 평등하였던 부족사회는 붕괴되고 지도자로서의 부족장이 이제 지배자로서의 군장으로 변질하였던 것이다. 이를 표시하는 유물이 바로 지석묘이다. 지석묘는 군장의 가족묘로 보이는데, 이처럼 거대한 지석묘를 축조할 수 있었다는 것은 곧 그만큼 강력한 권력의 소유자가 출현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군장사회는 뒤에 철기의 사용과 더불어 국왕이 출현하면서 초기국가로 발전하여 갔다. 뒷날 초기국가로 발전한 고조선 · 부여 · 옥저 · 동예 · 삼한 등이 처음에는 모두 이 단계를 경유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 국가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는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은 3세기 경의 것으로서 이미 초기국가단계로 발전한 뒤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으며, 군장사회의 모습은 유제(遺制)로서 나타나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이들 사회는 왕이 출현하였고, 여러 형태의 관직명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왕은 절대권이 없으며 귀족연방적 성격을 띠었으니, 천재지변의 책임으로 왕이 교체된다는 사실에서 엿보인다.



군장사회에는 지배자인 군장 밑에 피지배자인 하호(下戶)가 광범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 하호는 이전의 부족원의 후신으로서, 농업에 종사하면서 군장에 대하여서는 조세와 역역(力役)의 의무가 있었다. 군장사회의 주산업은 농업이었고, 가을에는 제천(祭天)행사가 행하여졌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의 무천(舞天), 삼한의 시월제(十月祭) 등이 그것인데, 이는 씨족공동체의 유풍(遺風)으로 족제적(族制的)인 성격을 가진 것이 없다.





(2) 고대사회

청동기시대에 출현한 군장사회 가운데 어떤 무리는 청동기시대 말기에 이미 국가형태를 이루기도 하였지만, 대부분은 철기를 사용하게 된 뒤에 초기국가의 단계로 발전하였다. 한국에서 철기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서기전 4세기경으로,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출현하였던 철기문화가 이때 전래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생산력이 증가되어 지배자의 부(富)의 축적이 확대되고 철제무기를 사용한 정복전쟁이 전개되었다. 그 결과 우세한 군장사회가 주위의 군장사회들을 병합하여 초기국가로 발전하였다.



한국의 각지에는 여러 초기국가가 성립되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먼저 국가형태를 갖춘 것은 고조선이었다. 고조선은 청동기시대 말기인 서기전 5∼4세기경에 초기국가로 발전하였으며, 그 영역은 라오허강유역으로부터 한반도의 서북부, 대동강유역에까지 미치는 것이었다. 그뒤 고조선은 철기의 수용과 함께 더욱 강성하였으나 한무제(漢武帝)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고 말았다(B.C. 108).



이어서 B.C. 2∼1세기경에는 만주 쑹화강유역에서 부여가, 압록강 중류지방에서 고구려가 각각 초기국가를 이루었다. 그러나 후진적인 옥저와 동예는 끝내 군장사회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남쪽에 있던 삼한 역시 서기전후까지도 군장사회에 머무르다가 점차 그 내부에서 중심세력이 대두하기 시작하였다. 즉, 삼한지역에서는 마침내 한강유역의 백제국(百濟國)과 낙동강유역의 사로국(斯盧國) 및 구야국(狗邪國)이 중심이 되어 백제와 신라 · 가야가 각각 출현하였다.



고구려 · 백제 · 신라로 대표되는 고대국가는 초기국가의 발전된 형태로서,국왕권이 강화되고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마련되었으며, 이전의 반(半)독립적이었던 군장들은 그 독립성을 완전히 상실하고 중앙관료의 지위로 편제되었다. 특히 고구려는 A.D. 372년에 들어온 불교의 뒷받침을 받는 강력한 왕권과 집권적인 정치력을 바탕으로 밖으로 활발한 정복사업을 전개하여 더욱 넓은 영토를 확보하여 나갔다.



고구려는 1세기 후엽 태조왕 때에, 백제는 3세기 중엽의 고이왕 때에, 신라는 4세기후반의 내물왕 때에 각각 전과 다른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었다. 그리고 이들 삼국은 이러한 성장을 기반으로 때로는 서로 충돌하고 때로는 협력하면서 경쟁적으로 발전하여 나갔다. 처음 삼국상쟁의 주도권은 가장 일찍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한군현(漢郡縣) 및 위(魏) · 전연(前燕) 등 중국세력과의 싸움을 통하여 국력을 축적한 고구려가 장악하였다. 특히 4세기말부터 5세기에 걸쳐 고구려는 광개토왕과 장수왕대의 전성기를 구가하여 서쪽으로는 라오둥(遼東)과 지금의 만주를 차지하고 남으로는 한반도의 중부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한편, 백제는 4세기 후반의 근초고왕 때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고구려와 대결하는 등 강성하였으나,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밀려 웅진(熊津:지금의 公州)으로 천도하면서 국력이 위축되었다. 그리고 신라는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국가체제를 갖추었고 그나마 고구려의 군사적 · 외교적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5세기초부터는 자주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5세기에는 고구려가 대단히 강성한 가운데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맺고 이에 대항하는 형세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삼국의 성립과정과는 다르게 낙동강하류의 변한지역에는 농경문화와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가야연맹이 성립되었다. 내륙의 대가야와 해양의 금관가야는 선진문화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결국 고대국가로 성장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그 문화는 신라뿐 아니라, 일본의 고대문화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삼국간의 세력관계는 6세기에 들어 크게 변화하였다. 우선 신라가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을 거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백제도 무령왕 · 성왕 때에 중흥을 이루었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두 나라는 고구려를 공격하여 한강유역을 점령하였으나, 곧 신라가 백제를 몰아내고 한강유역을 독차지하였다. 이로써 신라는 한강유역의 풍부한 자원을 획득하였을 뿐 아니라, 황해를 통하여 중국과 직접 외교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어 삼국통일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한편, 6세기 후반에는 중국에서 남북조(南北朝)의 분열이 수습되고 수(隋) · 당(唐) 등 통일왕조가 들어서면서 3국의 세력판도가 바뀌었으며, 드디어 수 · 당과 고구려의 충돌로 이어졌다. 따라서 고구려는 오랜 전쟁으로 국력이 소모되지 않을 수 없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신라와 당의 연합이 더욱 강화되어 결국 나당연합군에 의하여 백제와 고구려가 차례로 멸망하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신라가 당의 세력을 축출하고 676년에 삼국통일을 완수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이제까지 혈통 · 언어 · 문화를 같이하면서도 서로 다른 국가체제 속에 있던 우리 민족이 하나의 국가 안에 통합됨으로써 민족국가의 출발점이 되었고, 삼국의 문화를 수렴하여 보다 차원 높은 민족문화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우리 역사상 커다란 의미를 가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다만, 그 영토가 대동강과 지금의 원산 이남에 그쳐 고구려의 영토였던 만주지역을 상실하였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었으나, 만주지방에는 곧 고구려의 유민들이 698년 진국(震國), 즉 발해를 건국함으로써 남쪽의 신라와 함께 남북국가의 형성을 보게 되었다. 뒤에 발해가 멸망함으로써 우리 역사에서 이탈하고 신라만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되었지만,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가 발해의 유민을 포섭, 흡수함으로써 민족의 재통일이 완수되었다.



고대국가인 고구려 · 백제 · 신라 삼국은 강력한 왕권을 지닌 국왕이 종래의 군장들을 정치기구 속에 편입시켜 전제정치를 실시하였다. 이에 고구려의 고씨(高氏)와 백제의 부여씨(扶餘氏), 신라의 김씨 · 박씨 · 석씨 등 왕위를 세습하는 왕족이 출현하였으며, 그 아래 귀족세력이 있어 정치를 주도하였다. 또한, 국무를 분담하는 여러 관부들이 설치되었으며, 전국을 통치하기 위한 지방제도는 군사적인 성격으로 조직되었다. 그러나 귀족세력은 여전히 남아 있어, 신라의 화백(和白)이나 백제의 정사암(政事巖)과 같은 합좌기구(合坐機構)를 통하여 재상(宰相)을 선출하거나 국가의 중대사를 회의, 결정하는 데 참여하였다. 이는 왕권의 전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귀족연합적인 정치가 유지되었음을 뜻하는 것으로, 이 때문에 통일을 전후하여 신라에서 전제왕권을 더욱 강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던 것이다. 한편, 삼국의 왕족과 귀족들은 그들의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 특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율령(律令)을 제정하고 신분의 엄격한 구분을 요구하였다.



당시의 신분제도는 신라의 골품제도(骨品制度)로 대표되는데, 이는 신분에 따라 오를 수 있는 관등과 관직의 상한선이 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까지도 제약하는 매우 엄격한 것이었다. 통일후 성골(聖骨)은 무너졌으나, 진골(眞骨)과 6두품(六頭品)은 강고하게 존속하다가 신라의 멸망과 함께 비로소 소멸하였다. 엄격한 신분제도 아래 모든 특권이 귀족층에 의하여 독점되었지만, 이 시기에 가장 광범하게 존재하였던 것은 역시 일반농민들이었다. 이들 농민은 신분적으로는 평민(平民)으로서, 자기 스스로의 토지를 소유하고 경작하면서 조세(租稅)와 공부(貢賦) · 역역(力役) 등을 부담하였다.



통일 이후 성덕왕(702∼737) · 경덕왕(742∼765)을 거치면서 100여년 동안 전성기를 누리던 신라는 8세기 후반에 들어 점차 진골귀족 내부의 분열과 그에 따른 왕위계승전의 격화로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진골귀족들은 통일 이후의 사회발전으로 이들의 유대가 이완되어 여러 족당(族黨)으로 분열되었고, 이들 족당간의 대립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것이다. 그 결과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었고, 지방에서는 호족(豪族)들이 새로이 성장하여 독립적인 세력을 이루었다. 이들 호족은 촌주(村主) 등 지방의 토착세력이나 지방에 내려간 중앙귀족들이 성장한 것으로, 성주(城主) · 장군 등을 자칭하면서 군사력을 가지고 그 지방의 행정을 장악하면서 독자적 세력으로 군림케 되었다.



한편 6두품들은 진골과 함께 신라사회의 지배세력을 이루고 있었으나 역시 폐쇄적인 진골중심의 사회에서 적지 않은 제약을 받아오던 중 드디어 기성체제에 비판을 가하기 시작하였고, 스스로 숙위학생(宿衛學生)으로 입당수학(入唐修學)한다든가, 선종(禪宗) 승려로 변신하여 신라왕조를 벗어나는 운동에 가담케 되었다. 또한, 9세기말부터는 초적(草賊)이라 불리는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호족들은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세력을 확대하려 하였다.



이들 호족 가운데 견훤(甄萱)이 892년 완산주(完山州:지금의 全州)에서 후백제를 세우고, 궁예(弓裔)가 901년 송악(松嶽:지금의 開城)에서 후고구려를 세움으로써 신라와 더불어 후삼국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후고구려는 마진(摩震) · 태봉(泰封)으로 이름을 바꾸다가 역시 송악지방의 호족인 왕건(王建)에 의해서 935년 고려로 교체되었으며, 결국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고 곧이어 후백제가 정복됨으로써 936년 고려에 의한 후삼국의 통일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신라말 고려초의 변동은 단순한 왕조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이 성장한 호족세력에 의해서 진골귀족 중심의 고대적 체제가 붕괴되는 과정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와 함께 사상계에서도 새로이 선종불교(禪宗佛敎)가 풍미하였으며, 주로 6두품 에 의하여 유교적 정치이념이 대두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지방호족과 6두품 및 진골과 더불어 고대적인 신라사회를 극복하고 보다 합리적인 중세사회를 지향하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고려사회의 출발은 유 · 불 · 선의 결합에 따른 사상적 복합이 촉진되어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이라는 커다란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나타난 농민의 지위향상은 종래의 공동체적인 국가파악을 극복하고 고려초에 ‘취민유도(取民有度)’의 합리적인 수취제도(收取制度)를 실시하게 하였다.





(3) 중세사회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뒤에도 지방에는 독자적인 군사력과 경제적 기반을 가진 호족들이 존재하여 중앙의 통치력이 전국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고려왕조는 중앙집권화정책을 추진하여 지방의 호족들을 통제하는 동시에 이들을 중앙관리로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태조 때에는 호족들의 혼인정책을 비롯하여 기인제도(其人制度) · 사심관제도(事審官制度)가 실시되었으며, 958년 광종은 과거제도(科擧制度)를 처음으로 도입하여 신진관료를 채용하는 한편 과감한 개혁정치로 호족세력을 억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려왕조가 건국된 지 약 50년이 지난 성종 때에 가서야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마련되고 국가의 기반이 확립되었다. 즉, 이때 최승로(崔承老)에 의하여 유교정치이념이 답변확정되고 국가제도의 틀이 마련되었으며, 처음으로 지방관이 파견되어 지방의 호족들을 통제하였다. 이에 따라 호족들은 중앙집권체제에 편입되어 중앙의 관리로 전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방에 남아서 향리(鄕吏)로 점차 격하되어 갔다.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가 확립됨과 동시에 사회적인 지배세력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지방호족 가운데 중앙의 관리로 진출한 후 그 자신뿐 아니라 자손들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고위관직에 올라 문벌귀족(門閥貴族)으로 발돋움하였던 것이다. 이들 문벌귀족은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경제적인 부를 축적하였으며, 사회적으로도 제1신분으로서 여러가지 특권을 누리면서 고려사회의 지배세력이 되었다. 또한, 이들은 왕족을 비롯한 귀족 상호간에 폐쇄적인 통혼권(通婚圈)을 형성하여 귀족신분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고려사회는 소수의 문벌귀족이 지배세력이 되어 폐쇄적인 귀족사회를 이루고 있었으나, 신라의 진골체제에 비해서는 휠씬 개방적이었다. 이는 고려사회가 고대적인 신라사회에 비하여 인문이 전진하여 있었음을 말하여 준다.



고려의 중앙정치제도는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채용한 3성(省) · 6부(部)가 중심이었지만, 여기에 송(宋)나라의 제도를 본떠 중추원(中樞院)과 삼사(三司)가 설치되고, 고려의 독자적인 요소로서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이 두어져 이 세 계통의 정치기구들이 운영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 가운데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중추원의 종2품 이상 관원을 재추(宰樞)라 하여 이들이 국가의 중대사를 협의, 결정하는 등 정치운영의 중심이 되었으며, 문벌귀족들이 재추직을 독점하고 있는 6부가 국왕에게 직주(直奏)하는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국왕으로 하여금 정부기구를 통할하는 권한을 가지게 하였다. 이렇게 보면 고려의 중앙정치제도는 국왕과 문벌귀족 사이의 권력의 조화 위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고려의 지방제도는 군현제도(郡縣制度)를 근간으로 하여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중기 이후로는 중앙정부와 군현 사이의 중간기구로서 양광(楊廣) · 경상(慶尙) · 전라(全羅) · 서해(西海) · 교주(交州) 등 5도(道)와 북계(北界) · 동계(東界)의 양계(兩界)가 설치됨으로써 지방제도의 완성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모든 군현에 지방관이 파견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지방관 이 파견되지 않은 군현, 즉 속현이 많았다. 이들 속현은 지방관이 파견된 인근의 주현(主縣)을 통하여 중앙정부의 간접적인 통제를 받았는데, 이는 당시 중앙정부의 지방통제가 불완전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고려의 토지제도는 전시과제도(田柴科制度)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시과란 모든 관리로부터 향리 · 군인 · 한인(閑人)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직역(職役)을 담당한 사람들에게 그들의 지위에 따라 토지를 차등있게 나누어 준 제도이다. 그러나 그것은 토지 그 자체를 준 것이 아니라 그 토지에 대한 수조권(收租權)을 지급한 것이었다. 이 시기에도 대부분의 토지는 백정(白丁)이라 불리는 일반농민들이 조상대대로 이어받아 소유하고 있는 민전이었으며, 전시과는 이 민전 위에 설정되어 농민들이 국가에 내도록 되어 있는 조세를 수조권자들에게 위임한 것이었다. 한편, 일반농민들은 국가에 대하여 조세 · 공부 · 역역(力役) 등의 의무를 지고 있었다.



이와같은 정치 · 경제 제도가 완비된 위에 고려귀족사회는 산업이 발달하고 학술이 진흥되며 귀족문화가 융성하는 등 11세기의 전기간에 걸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귀족사회 내부의 모순이 축적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문벌귀족들은 정치권력을 독점하고 권력에 의한 불법적인 탈점을 통하여 토지를 집적해나갔는데, 이러한 정치권력과 경제력의 특권적 확대는 이를 둘러싼 지배층 내부의 분열을 야기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1126년의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1135년의 묘청(妙淸)의 난이었다.



이 두 반란은 일단 수습되기는 하였지만 이로부터 고려 귀족사회는 그 근저로부터 동요하기 시작하였으며, 뒤이어 일어난 1170년의 무신란(武臣亂)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붕괴되었다. 무신란은 문신중심의 귀족정치 아래서 무신들에 대한 차별대우와 거란 및 여진과의 전쟁이나 이자겸 · 묘청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신들이 현실적인 지위를 상승시켜갈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문벌귀족들의 토지탈점에 대한 일반군인들의 불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의 귀족사회는 붕괴되고 새로이 무신정권이 성립되어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으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으니, 무신란은 고려사의 흐름에 있어 일대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무신정권은 그 형성기에는 집권무신간의 치열한 정권다툼이 전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혼란은 결국 최충헌(崔忠獻)의 집권과 함께 수습되고 정권의 기반이 확립되었다. 이로부터 최씨정권은 최고집정부로서 교정도감(敎定都監)을 두고 이를 통하여 국가의 서무(庶務)를 관장하였으며, 정방(政房)을 두어 관리들에 대한 인사를 처리하였다. 또한, 사병집단(私兵集團)으로서 도방(都房)을 더욱 확대하여 독자적인 무력기반을 마련하였고, 국가의 공병(公兵)인 야별초(夜別抄) 역시 사병처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기구와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토지를 겸병하여 막대한 경제력을 축적하였다. 한편, 최씨정권은 정국이 안정됨에 따라 정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학문적 소양과 행정실무의 능력을 고루 갖춘 문신들을 다시 기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등장한 문신들은 주로 지방의 향리출신으로 과거를 통하여 중앙정계에 진출한 사람들이었다.



무신집권기에는 12세기 이래 지배층의 토지탈점에 의한 사회경제적 모순에 저항하는 농민 · 천민들의 반란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무신란이 일어나기 전에도 사회모순은 야기되었지만 무신란 이후로는 집권무신들에 의한 토지탈점이 더욱 심해지고, 거기에다가 무신들간의 권력싸움으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된 틈을 타서 각지에서 농민들과 부곡민과 노비 등 천민들의 신분해방을 위한 봉기도 일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농민 · 천민의 봉기는 최충헌의 집권과 함께 무신정권의 강력한 진압으로 그 기세가 꺾이게 되었다. 그러나 무신집권기의 이러한 민란(民亂)은 귀족중심의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체제로 넘어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최씨정권이 확립되어 있던 시기에 고려는 밖으로부터 몽고의 압박을 받아 커다란 시련을 겪게 되었다. 즉, 1232년부터 1259년까지 약 30년 동안 6차에 걸쳐 몽고의 침략을 받았지만, 고려는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대항하였다. 그러나 항전을 고수하던 최씨정권이 붕괴되자 강화가 성립되었고, 그 뒤로도 김준(金俊) · 임연(林衍) 등에 의하여 무신정권이 계속되었으나 오래지 않아 몽고의 군사적 압력에 의하여 붕괴되었다. 이때 삼별초(三別抄)가 몽고와의 강화에 반대하여 남해의 진도와 제주도를 근거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고려와 몽고의 연합군에 의하여 진압되고 말았다.



이로써 고려는 약 100년간에 걸친 무신정권이 종식되고 왕정이 복고되었으나, 이제는 원(元)의 정치적 간섭을 받게 되었다. 원간섭기에서는 고려의 관제가 격하 개편되었고, 일부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였으며, 그밖에도 경제적 수탈이 매우 심하여 큰 고통을 당하였다. 그러나 고려의 주권은 엄연히 존속하였으니, 비록 정동행성(征東行省)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고려의 국내정치는 자주적으로 수행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고려는 정치 · 경제 · 사회적으로 커다란 타격을 받게 되었다.



고려후기의 지배세력으로는 권문세족(權門勢族)과 신흥사대부계층(新興士大夫階層)이 있었다. 권문세족은 무신집권기와 원간섭기를 거치면서 새로이 형성된 사회세력과 원과의 관계를 통하여 대두한 세력, 그리고 고려 전기 문벌귀족 가운데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권문세족은 대체로 친원적인 성향을 띄었고, 도당(都堂:都評議使司)을 중심으로 정치권력을 장악하였으며, 경제적으로는 대토지소유자로서 농장(農莊)을 경영하였다. 또한, 이들은 고려 전기의 문벌귀족이 가문 자체의 권위로써 귀족적 특권을 누렸음에 비하여, 이들은 현실적인 관직을 통하여 정치권력을 행사하였다는 점에서 관료적 성격이 농후하였음을 볼 수 있다.



신흥사대부계층은 무신집권기에 등장한 새로운 관인층과 마찬가지로 지방의 향리출신으로 원간섭기에 과거를 통하여 중앙의 관리로 진출하였으며, 보수적인 권문세족과 정치적으로 대립하였다. 특히, 이들은 원으로부터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을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정치이념을 마련하였고, 이와 더불어 중국의 선진적인 강남농법(江南農法)을 받아들여 농업생산력의 발달을 이룸으로써 경제적 기반을 확충할 수 있었다. 이들 신흥사대부의 정치활동은 1298년 충선왕의 개혁정치와 반세기후 충목왕의 정치도감(整治都監)의 활동에서 보이듯이, 주로 권문세족의 토지탈점 등 불법행위를 비판하고 이를 개혁하려는 개혁정치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개혁들은 원과 결탁된 권문세족의 반발로 말미암아 성공하지 못하였다.



1356년에 공민왕은 원이 쇠퇴하는 틈을 이용하여 대대적인 반원개혁을 추진하였고, 결국 원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성공하였다. 즉, 이때 원에 부종하는 자들을 제거하고 원이 점령하고 있던 쌍성총관부(雙城總管府)를 무력으로 탈환하였으며, 원의 간섭으로 변형되었던 관제를 고려 전기의 3성 · 6부 체제로 복구하였다. 그리고 뒤에는 신돈(辛旽)을 기용하여 권문세족을 제거하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라 신흥사대부의 세력도 점차 강화되어 갔다. 이에 반발하여 권문세족이 공민왕을 죽이고 우왕을 옹립하여 정권을 장악하기도 하였지만, 신흥사대부는 이성계(李成桂) 등 신흥무장세력과 결탁함으로써 마침내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정권을 잡고 사전개혁(私田改革)을 단행하여 권문세족을 도태시기는 데 성공하였다. 특히, 사전개혁은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을 붕괴시키는 과전법(科田法)의 공포였다. 이에 신흥사대부 계층은 이미 위화도회군에서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였으므로 조선왕조 개창이 가능하였다.





(4) 근세사회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건국의 주체가 되었던 고려말의 신흥사대부들은 새 왕조의 양반관료(兩班官僚)가 되어 국왕을 도와 유교정치의 이념을 구현하는 데 진력하였다. 특히, 조선 초기에는 민족의식이 고취되고 부국강병이 매우 강조되었으니, 그 결과 1443년 세종대왕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는 등 민족문화가 발흥하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에 4군(郡) · 6진(鎭)이 설치되어 영토가 확장되었다. 그리고 건국 후 80여년이 지난 15세기 후반에는 《경국대전》이 반포되어 통치조직과 사회구조 등 국가체제가 완성되었다.



조선의 지배층은 양반이었다. 양반은 관리가 되어 정치에 참여하였을 뿐 아니라, 사회적 신분이 높고 경제력이 강하며 또한 문화의 주인공이 되어 조선사회를 이끌어가는 최고의 사회계층이었다. 그리고 점차 이들이 지배층으로서의 특권을 향유하고 이를 세습적으로 이어나가면서 신분적인 배타성이 강화되었으니, 드디어 조선사회는 양반 · 중인 · 양인 · 천민으로 구별되는 엄격한 신분구조가 정착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양반사회는 고려의 문벌귀족사회에서 일보 전진한 것이었다. 조선의 양반은 고려 후기에 대두한 신흥사대부의 후신으로 가문의 후광보다는 자기자신의 실력을 중요시하였고, 이들로 구성된 문반 · 무반의 관리는 전제왕권의 정치적 · 행정적 실행자로서 관료적 성격이 강하였다. 또한, 고려의 문벌귀족이나 권문세족에 비하여 훨씬 많은 가문이 조선의 양반으로 진출하고 있었는데, 이는 지배층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발전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와함께 농업생산력이 크게 향상되고 토지에 대한 사적 소유가 보다 진전됨에 따라 양인자작농(良人自作農)이 많아져 전체적으로 농민의 지위가 상승하였다. 그리고 천민들이 양인화하고 있었으니, 그 단적인 상황이 향 · 소 · 부곡 등 천민집단의 특수행정구역이 소멸한 점이었다. 이러한 양인의 확대와 그 지위의 상승은 사회신분면에도 발전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밖에도 조선시대에는 사상계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 고려 후기에 수용되었던 주자학이 조선에 들어와 정치이념으로 채용되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규범이 되었다. 이는 고려시대에 훈고학적(訓고學的)인 유교와 불교 신앙이 병립하여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현상이었다. 이와같이, 조선왕조의 성립은 정치 · 경제 · 사회 · 사상 등 모든 면에 걸쳐 커다란 발전을 수반하였던 것으로,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교체를 중세에서 근세로의 전환으로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조선의 중앙정치기구는 의정부(議政府)와 육조(六曹)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조선 전기에는 왕권의 강화에 따라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가 확립됨으로써 실제 정무를 담당한 육조의 권한이 강하였고, 의정부는 국왕의 자문기관에 머물러 있었다. 또한, 사헌부(司憲府) · 사간원(司諫院) · 홍문관(弘文館) 등 삼사(三司)가 두어져 국왕에 대한 간쟁(諫諍)과 관리들에 대한 감찰(監察)을 담당하였으니, 그 관원들은 언관(言官)이라 하여 특별히 중시되었다. 지방은 경기 · 충청 · 경상 · 전라 · 황해 · 강원 · 함경 · 평안 등 8도(道)로 나누고 그 아래에는 부(府) · 목(牧) · 군(郡) · 현(縣)을 두었다.



한편, 조선왕조의 토지제도는 고려말에 제정된 과전법(科田法)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과전법은 경기도의 토지만을 가지고 전직 · 현직 관리들에게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였다. 그러나 이 제도는 15세기말에 전주(佃主)와 전객(佃客) 사이의 대립이 격화됨으로써 붕괴되어가기 시작하였다. 이에 국가에서는 직전법(職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의 지급대상을 현직관리로 제한하거나 관수관급제(官收官給制)를 실시하여 전주가 농민으로부터 직접 수조하는 것을 지양하였지만 이러한 제도 역시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국초부터 시작해서 《경국대전》 체제로서 일단 정비된 조선의 제도 · 문물은 16세기에 들어 변화를 겪게 되었다. 16세기에는 농업생산력의 향상을 기반으로 유통경제가 자못 발달하였고, 그것은 이러한 경제변동에 편승하여 소수의 훈신(勳臣) · 척신(戚臣) 등 권세가들이 권력을 이용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이들 훈척계열은 특히 제7대왕 세조의 즉위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당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있으면서 토지를 집적하여 농장을 확대하는 등 온갖 비리적 수단을 동원하여 사리를 취하였던 것이다. 이때문에 많은 농민들이 토지를 빼앗기고 유망하거나 권세가의 농장에 들어가 소작농인 전호(佃戶)로 전락하였다. 그리고 공납제(貢衲制)와 부역제(賦役制) 등 국가의 재정제도가 붕괴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농장의 확대와 공납제 · 부역제의 붕괴로 말미암아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져 각지에서 도둑이 창궐하였으니, 황해도에서 일어난 임꺽정(林巨正)의 난행은 그 대표적인 것이었다



16세기 사회변동에 편승한 훈척계열의 특권적인 비리행위를 비판하면서 새로이 등장한 정치세력이 바로 사림파(士林派)였다. 이들은 고려말에 역성혁명에 반대하였던 신흥사대부의 후손들로서 조선왕조에서는 관직참여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지방의 중소지주(中小地主)로서 유향소(留鄕所) 등을 중심으로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들 사림파가 15세기 후반 성종 때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하였고, 주로 언관직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훈척계열을 공격하였다. 이에 수세에 몰린 훈척계열 쪽에서 사림파에 대한 정치적 보복으로서 일으킨 것이 바로 사화(士禍)였다.



이 사화는 4차에 걸쳐 일어나 사림파에게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잇따른 사화에도 불구하고 사림파는 지방에서 서원과 향약보급운동을 통하여 세력을 결집하고 더욱 신장시킴으로써, 결국 16세기 후반의 선조 때에 이르면 훈척계열이 도태되는 가운데 정계의 주류를 이루어 사림정치를 구현하기에 이르렀다.



사림파가 정권을 장악한 뒤에는 구체적, 즉 훈척정치의 척결을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의 분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종전의 훈척계열과 사림세력의 대립이 이제 사림파내부에서 붕당을 이루어 대치하는 양상으로 변모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후로도 정치적 입장에 따라 사림파의 분화가 거듭되어 선조 때에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누어졌고, 17세기말에 이르러 숙종 때에는 서인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였다. 이러한 정치형태를 ‘붕당정치(朋黨政治)’라 하는데, 이는 정치적 주장을 달리하는 붕당의 공존을 전제로 하는 상호비판체제로서 당시로서는 매우 발전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붕당정치가 싹트고 있을 무렵 16세기 후반부터는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에 따라 임진왜란(1592∼1598), 정묘(1627) · 병자호란(1637)이 발발하였다. 먼저 임진왜란의 경우 초기에는 전쟁준비의 부족으로 패배를 면하지 못하였으나, 점차 수군의 승전과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의 활약 및 명(明)의 원병으로 전세를 만회하여 왜군을 물리치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북인 · 서인 · 남인 등의 붕당정치가 계속되는 과정에서 특히 서인정권이 중국의 명 · 청 교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두 차례의 호란을 자초하였고, 항전 끝에 결국 청(淸)에 항복하여 종속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때 조선에서는 청을 공격하자는 북벌론(北伐論)이 제기되어 실제로 준비되기까지 하였으나 실행되지는 못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왜란과 호란은 16세기 이래 해이해지던 조선의 통치체제를 결정적으로 붕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전쟁중과 전쟁이 끝난 뒤에는 문란해진 통치기구 및 수취제도를 개편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먼저 통치기구에 있어서는 비변사(備邊司)의 기능이 확대되어 끝내 의정부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고, 특히 군사제도에 있어서는 종전의 오위제(五衛制)가 무너지면서 훈련도감(訓鍊都監) · 총융청(摠戎廳) · 수어청(守禦廳) · 어영청(御營廳) · 금위영(禁衛營) 등 오군영체제(五軍營體制)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수취제도에 있어서는 우선 전세(田稅)를 개편하여 풍흉에 관계없이 1결(結:10,809m2)당 미(米) 4두(1斗:18l)로 세액을 고정하였으며, 공납제에 있어서는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여 특산물을 현물 대신 쌀(米)로 통일하여 토지 1결당 12두씩을 내도록 함으로써 농민들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세제의 합리화를 꾀하였다. 또한, 군역제에 있어서는 균역법(均役法)을 실시하여 종래 농민들이 1년에 2필(1疋 : 40 yard)씩 내던 군포(軍布)를 1필로 감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개혁은 국가재정의 확충보다 민생의 고충을 가중시켰다.



17세기 이후의 이러한 체제개편은 이 시기의 경제발달과 사회변동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경제의 발달은 우선 농업부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쌀농사에 있어서 이앙법(移秧法)의 보급은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생산량은 배가하는 효과를 거두었으므로 일부농민들이 경영규모를 확대하고 부를 축적하여 지주로 성장하였다. 이들을 경영형부농(經營型富農)이라 한다.



농업생산량의 향상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을 촉진하였으며, 또한 조선 후기에는 인구가 급증하고 농민의 계층분화가 심화되어 비농업인구의 도시유입이 현저해짐으로써 상업이 더욱 발달하였다. 특히 대동법의 실시와 더불어 나타난 공인(貢人)과 전국적인 시장의 발달에 힘입어 성장한 강상(江商) · 송상(松商) · 만상(灣商) · 내상(萊商) 등 사상(私商)들은 특정물품을 대량으로 취급하여 독점적 도매상인 도고(都賈)로 성장하였으며, 점차 상업자본을 축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공업과 광업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수공업은 종래의 관영수공업이 쇠퇴하고 사영수공업이 성장하는 추세에 있었다. 그리고 광업은 광산의 운영에 있어서 상업자본가인 물주가 시설과 자금을 투자하고 광산개발에 경험이 있는 덕대(德大)가 광산을 경영하는 방식이 나타났는데, 이는 종전과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서 자본주의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



경영형부농의 농업경영이나 새로운 광산경영에 있어서 필요한 노동력은 주로 임노동(賃勞動)에 의하였다. 이러한 경제변동은 종래의 신분제를 붕괴시켰으니, 농민층과 양반층의 분해 및 소작지의 보유관계에서 일어난 것이 특징이다. 한편에서는 경영의 합리화를 통한 경영형부농이 성장하였고, 다른 한편에서는 빈농(貧農) 및 무전농민(無田農民)이 발생하여 유망하거나 임노동자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분해현상은 양반층의 경우에도 심각하여 세를 잃은 양반들이 잔반(殘班)으로 몰락하였는데, 이들 잔반은 자영농 또는 소작전호로 전략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노비와 양인들이 각각 양인 ·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키고, 서얼(庶얼)과 중인이 점차 신분적 차별에서 벗어남으로써 지배신분층은 격증하고 피지배신분층은 격감하는 사태가 야기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신분적 지배 · 예속 관계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고, 노비제 역시 해이되어갔다. 이러한 계층변화 현상은 주자학 일변도의 사상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하였다. 주자학에 대한 비판은 결국 18세기에 이르러 실학(實學)의 발생으로 귀결되었다.



실학은 조선 후기 사회의 제반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집중되었고, 따라서 그것은 우선 농업문제에 촛점이 맞추어졌다. 특히 유형원(柳馨遠) · 이익(李瀷) · 정약용(丁若鏞) 등은 주로 농민층의 입장에서 현실의 토지제도를 개혁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18세기 후반부터는 유수원(柳壽垣) · 홍대용(洪大容) · 박지원(朴趾源) · 박제가(朴齊家) · 이덕무(李德懋) 등에 의하여 상공업을 진흥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특히 이들은 중상론(重商論)과 함께 청나라의 발달한 문물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고, 이 문물은 북쪽길을 통하여 들어왔으므로 북학파(北學派)라고도 한다.



19세기에 들어와서 실학은 현실적인 개혁론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학문적 연구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학풍은 김정희(金正喜)에 이르러 일가를 이루었다. 이들은 청의 고증학(考證學)을 받아들여 객관적인 학문연구의 태도를 정립하였으며, 역사학과 지리학 · 금석학(金石學)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이러한 실학사상은 정약용과 김정희의 제자들에 의하여 초기 개화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니, 이는 곧 실학사상 안에 근대지향적인 성격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았던 붕당정치의 원리가 점차 퇴색함으로써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지 못한 채 퇴보하고 있었다. 즉, 현종 · 숙종대의 정치적 혼란은 붕당정치의 문제점을 노출시킨 결과가 되었다. 이에 영조와 정조는 강력한 왕권을 기반으로 붕당간의 세력균형을 꾀함으로써, 치열한 정쟁을 억제하려는 탕평책(蕩平策)을 실시하여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붕당정치의 병폐를 근본적으로 제거한 것이 아니라, 강력한 왕권으로 붕당간의 정치적 균형을 유지하려는 임시조치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노론의 우세가 두드러졌고, 이러한 노론 일당전제는 정조 이후 왕권이 약화되자 곧 세도정치라는 더욱 파행적인 정치형태로 나타났다.



세도정치란 특정가문이 정권을 독점하는 형태로서 정권의 사회적 기반을 결여하였을 뿐 아니라 붕당정치의 완전한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세도정치는 경제 ·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극심한 부패를 야기하였는데, 그 집약적 표현이 전정(田政) · 군정(軍政) · 환곡(還穀) 등 이른바 삼정(三政)의 문란이었다. 수취체제 · 신분제도의 문란에 따른 농민들의 동요는 삼정의 문란으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농민의 동요는 민란으로 발전되어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비롯하여 1862년에는 진주 등 전국 각지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농민들의 주체적 항쟁은 조선의 양반사회를 결정적으로 붕괴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민간에서는 비기(秘記) · 도참(圖讖) 등 예언사상이 유행하였고, 천주교가 들어와 유포되었으며, 동학(東學)이 창도되어 주로 농민 등 핍박받는 피지배층 사이에서 열렬히 신봉되었다. 이 새로운 종교들은 그 현실부정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당시 빈발하던 민란에 혁명적인 기운을 불어넣는 구실을 하기도 하였다.





(5) 근대사회

동요하던 조선 후기 사회는 1863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집권으로 한 차례 정비될 기회를 맞게 되었다. 즉, 대원군은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자 곧 세도정치를 종식시키고 왕권을 강화하며 삼정의 문란을 개선하는 등 그동안 국내정치에서 나타난 폐단들을 제거함으로써, 그것이 전통적인 지배질서의 재확립이라는 문제점이 있다고 해도 지배체제를 재정비하려는 일대개혁을 추진하였던 것이다.



이무렵 서양으로부터 제국주의열강의 통상압력이 조선에 미쳐왔고, 조선에는 이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었으므로 대원군은 강경한 쇄국정책을 고수하여 척양(斥洋) · 척왜(斥倭)를 표방하면서 서양의 통상요구에 불응하였다. 이 때문에 1866년 프랑스 극동함대가 침입한 병인양요, 1871년 미국 군함이 침입한 신미양요 등 서양열강과의 무력충돌이 일어나기도 하였지만, 이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함으로써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어 갔다.



그러나 이때 정계일각에서는 문호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통상개화론이 대두하고 있었고, 결국 대원군의 실각과 동시에 통상개화론이 답변확정되어 개국정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1876년에는 일본과 강화도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개항이 이루어졌고, 뒤이어 미국 등 서양열강과의 통상조약이 맺어졌다. 이로써 조선은 근대사회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제국주의열강의 침략을 받게 됨으로써 자주권을 유지해야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게 되었던 것이다.



개항이후 조선에서는 적극적인 개화정책이 추진되어 일본과 청으로부터 서양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외세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개화정책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유생중심의 위정척사운동(衛正斥邪運動)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이로부터 개화와 보수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 임오군란(1882) 과 갑신정변(1884)이었다.



임오군란은 개화정책으로 피해를 보게 된 구식군인들에 의하여 일어난 것으로, 그 결과 대원군이 재집권하였으나 곧 청의 군사개입으로 대원군은 청으로 압송되고 청의 내정간섭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는 일본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가운데 청의 경제적 진출이 두드러져 국민들의 반청감정이 고조되기도 하였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개화사상을 가진 젊은 관료들에 의하여 청의 간섭을 배제하고 자주적이며 근대적인 국민국가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으로서 갑신정변이 일어났던 것이다. 그러나 갑신정변 역시 청의 군사개입으로 실패하고 조선에서의 청의 지위는 더한층 강화되었다.



개항 이후 지배층 사이에서 개화와 보수의 대립이 격화되고 그와 더불어 청 · 일본 등 외세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19세기 이래의 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다. 특히, 개항 이후에는 개화정책에 따른 농민들의 수세부담이 증대하였으며, 지방관들의 탐학은 여전하였고, 일본과 청의 경제적 침투로 말미암아 농촌경제는 결정적으로 파탄되어 갔다. 그러나 정부는 자주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였고, 더구나 일본의 경제적 침투로 농촌경제를 좀먹는 일본에 대한 농민들의 반감이 폭발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이 동학혁명이었다.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민란이 발단이 되어 전개된 동학혁명은 동학군들이 전주를 점령한 뒤 정부와 강화를 맺고 지방관의 농민에 대한 수탈의 중지, 신분차별의 폐지, 토지균분제 실시 등 전근대적인 정치 · 사회체제의 개혁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부의 원병요청으로 파견된 청과 일본의 군대가 동학군과 강화가 이루어진 뒤에도 철수하지 않고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려 하였다. 이에 동학군은 다시 봉기하였으나, 일본군과 관군에게 패함으로써 동학혁명은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발된 청일전쟁은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조선침략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동학혁명은 실패하고 말았지만 대내적으로는 전근대적인 사회체제에 대한 밑으로부터의 혁명운동이라는 점에서, 대외적으로는 제국주의의 침략에 반대하는 민족주의적 성격을 나타낸 역사적 의의를 갖게 되었다.



동학혁명을 무산시킨 조선정부는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를 설치하고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것이 1894년의 갑오개혁이었다. 여기에는 일본의 간섭이 없지 않았지만, 당시 일본은 청과 전쟁중이었으므로 이 개혁은 비교적 자주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이때 정치 · 경제 · 사회 각 방면에 걸친 광범위한 개혁이 있었으며, 특히 사회면에서는 양반과 평민의 전통적인 계급을 타파하고 노비제도를 혁파하는 등 신분제도를 완전히 개혁하였다. 그러나 개혁이 진전되면서 점차 일본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쳐왔고, 개혁의 방향 또한 조선의 근대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조선의 사회체제를 변형시켜 일본의 침략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으로 되어갔다.



한편 조선에서는 청 · 일본 · 러시아의 삼국간섭 이후 부상한 러시아에 의지하여 일본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 친러정권이 수립되고 개혁은 중단되었다. 이에 일본은 1895년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등의 을마사변을 일으켜 다시 친일정권을 수립하고 개혁을 계속 추진하였다. 이것을 을미개혁이라 한다. 이 을미개혁은 갑오개혁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의 강요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개혁의 의미는 크게 퇴색한 것이었다. 이때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중 특히 단발령에 대한 반발은 의병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을미사변으로 국민들의 반일감정이 고조된 가운데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난하는 사태(아관파천)가 발생함에 따라 친러정권이 다시 수립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제국주의열강의 기회균등이라는 구실로 금광채굴권 · 철도부설권 등 각종 이권들이 제국주의열강에 의하여 침탈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집권층은 외세에 의존한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자주권확립의 방책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현실에 대하여 국민들 사이에서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고 민족의 독립을 위한 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운동의 중심조직이 독립협회(獨立協會)였다. 이는 구미의 근대사상을 받아들인 과 개혁적인 사상을 가진 유학자들이 주도하였는 바 보수적인 집권층은 이를 탄압하여 강제로 해산시키고 말았다. 결국 독립협회의 활동 역시 실패로 돌아갔으나, 그 개혁운동은 근대적이고 자주적인 국민의식을 형성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민족운동을 펼쳐나갈 수 있는 사상적 기반과 함께 민주주의가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는 것이었다.



한편, 독립협회의 요구에 따라 고종은 러시아공사관으로부터 환궁하였고, 뒤이어 독립국가로서의 면모를 내외에 선양하기 위하여 대한제국(大韓帝國)을 선포하였다. 그리고 1897년 또 한 차례의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것을 광무개혁이라 한다. 이 개혁에서는 황제의 전제권을 법적으로 확립하였다. 이는 독립협회에서 주장한 입헌군주제나 의회정치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그리고 산업과 교육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근대적인 개혁들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성립 자체가 조선을 둘러싼 열강들의 세력이 균형을 이룸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던 만큼, 점차 그 균형이 깨짐에 따라 광무개혁 역시 성공을 거둘 수 없었다.



1900년대에 들어와 일본과 러시아의 대립이 점점 표면화되어 결국 러일전쟁(1904∼1905)이 발발하였고, 여기에서 일본이 승리함으로써 한국에서 일본의 우위는 확보되었다. 이때 일본은 미국 · 영국 · 러시아 등 열강으로부터 한국을 보호국으로 하는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승인을 얻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1905년에는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統監府)를 두어 한국의 내정에 간섭함으로써 대한제국의 국권은 사실상 침탈되고 말았다. 뒤이어 1910년에는 합방조약을 의결하여 일제에 의한 식민통치를 받게 되었다. 일제의 침략에 의한 국권의 침탈은 한국사에 있어 가장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일제의 침략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저항운동은 여러 방향에서 끊임없이 전개되었으며, 국권을 상실한 뒤에는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민족운동으로 확대, 계승되었다. 이러한 민족운동 가운데 특히 뚜렷한 움직임으로 연결된 것이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이었다. 이것은 각각 개항 직후의 위정척사운동 및 개화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었다.



의병운동은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자극받아 일어난 을미사변에서 비롯되었다. 의병장은 대개 지방의 명망있는 유학자들이었다. 그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전국적으로 의병이 확대되었고, 군대가 해산되면서는 무장과 조직이 강화되어 의병운동은 전면적인 항일전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의병운동은 점차 무력의 열세와 일본군의 대규모작전에 의하여 위축되어 갔으며, 특히 국권이 침탈된 뒤에는 대부분의 의병들이 국외로 이동하여 독립군에 합세하였고, 국내에서는 더 이상 활동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의병운동은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일어난 항일운동 가운데 가장 적극적이며 가장 효과있는 운동이었다. 그것은 개항후의 위정척사운동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유학자들이 중심이 되었으나 점차 평민 출신의 의병장도 배출되고, 그 구성에 있어서도 농민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망라됨으로써 전국민이 참여한 범민족적인 항일운동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한편, 애국계몽운동은 국민의 의식을 계발하여 애국심을 기르고 국가의 힘을 축적하여 주권을 회복하려는 구국운동이었다. 사상적으로는 개화사상과 연결되며, 특히 도시의 지식층을 중심으로 하여 근대의 의식을 가진 국민대중에 기반을 두고 전개되었다. 이들의 활동은 민족산업을 육성하려는 경제자립운동을 비롯하여, 국민들의 정치사상과 사회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 신민회(新民會) 등 정치 · 사회 단체들의 활동, 《황성신문 皇城新聞》 · 《대한매일신보 大韓每日新報》 등 언론기관의 국민계몽운동, 사립학교와 각종 학회를 통한 민족교육운동, 국사와 국어를 연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는 국학운동, 기독교 · 유교 · 불교 · 동학 · 대종교 등 종교계의 계몽활동 등을 들 수 있다.



한일합방에 따라 일제는 종전의 통감부를 총독부(總督府)로 바꾸고 무력으로 한국을 지배하였다. 이때 총독부의 무단정치는 한국경제 전반에 걸쳐 수탈정책을 실시하였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토지조사사업(1910∼1918)을 비롯하여, <회사령>(1910) · <조선어업령>(1911) · <조선광업령>(1915) · 임야조사사업(1918) 등을 통하여 한국의 산업을 침탈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민족산업은 위축되어 발전하지 못하였고, 한국은 점차 일본의 식량공급지 · 상품시장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러한 무단통치로 한국의 독립운동은 커다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비록 규모는 작지만 의병운동이 계속되었고 비밀결사를 통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해외로 망명하여 간도 · 시베리아의 연해주 등지에 독립운동기지를 개척하고 중국 상하이(上海)와 미국에서도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918년 말부터는 학생 및 천도교 · 기도교 등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독립운동이 계획됨으로써 1919년에 3 · 1운동이 일어났다. 일제는 3 · 1운동의 평화적인 시위에 대하여 잔인한 탄압을 가하였고, 따라서 3 · 1운동은 성공하지 못하고 말았다.



그러나 3 · 1운동의 의의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다. 우선 모든 국민이 하나의 목표 아래 하나의 방법으로 여러 계층이나 신분적 제한을 초월한 민족운동이라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여러 갈래로 전개되었던 독립운동이 3 · 1운동을 계기로 일원화됨으로써 앞으로의 독립운동에 있어 민족의 역량을 하나로 결집시키는 구실을 하였다. 따라서 3 · 1운동은 비록 실패하였으나, 한국독립운동의 흐름에 있어 커다란 방향전환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한편, 3 · 1운동은 일제로 하여금 통치방식을 변환시키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부터 이른바 문화통치가 나타났는데, 이는 무단적 억압을 완화시켜 한국인들에게 어느 정도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부여한다고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문화통치는 한국인들을 회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수탈하려는 고등적인 기만정책에 불과하였다. 오히려 문화통치기에는 경제적 수탈이 더욱 강화되었으니, 특히 산미증식계획을 추진하여 한국의 쌀을 약탈해감으로써 한국의 농민들은 굶주림을 면하지 못하였고, 한국에 직접 자본을 투자하여 상품시장 이상의 수탈을 위한 자본투자시장으로 재편하였다.



1930년대에 들어와 일제가 대륙진출을 위하여 중국과 전쟁을 일으키면서부터는 한국을 전쟁물자를 공급하는 병참기지로 만드는 동시에 철저한 민족말살정책을 강행하였다. 즉, 이때 일제는 물적 자원뿐 아니라 병력과 노동력을 징발해 갔으며, 내선일체(內鮮一體) ·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내세워 우리 민족 자체를 없애려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3 · 1운동 이후 해외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국내에서는 실력양성운동을 비롯하여 학생 및 사회주의자들의 민족운동이 전개되었다. 언론부문에서는 민족언론으로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창간되어 실력양성운동을 적극 추진하였으며, 한국인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을 세우려는 민립대학설립운동, 노동야학을 통한 민중교육운동과 문맹퇴치운동 등 민족교육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경제계에서도 민족산업의 육성과 민족자본의 형성을 통한 경제자립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를 위한 대중운동으로서 물산장려운동이 전개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동맹휴학 등을 통하여 정의와 인도주의에 어긋나는 일제통치에 반대하며 활발한 반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이 6 · 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운동 등으로 폭발하였던 것이다.



한편,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이 조직됨으로써 이로부터 사회주의운동이 전개되었다. 한국의 사회주의는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그 활동 역시 노동쟁의 등 조직적인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당시 사회주의계열과 민족주의계열과는 이념상 대립되고 거부하는 일이 많았다. 이러한 가운데 민족주의계열에서는 그 일부가 일제의 자치론에 동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사회주의계열과의 연결을 모색하였고, 사회주의계열에서도 이에 응함으로써 두 계열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1927년 신간회(新幹會)가 조직되었다. 이후 신간회는 자치론을 기회주의로 규정하여 철저히 규탄하면서 조직적이고 일원화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곧 해체되었다. 이밖에도 1920년대부터는 농민들의 소작쟁의와 노동자들의 노동쟁의가 빈발하여 단순한 경제투쟁을 넘어서 일제에 대한 민족운동으로 발전하여갔다.



3 · 1운동 이후에는 또한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여러 갈래로 분열된 임시정부를 통합함으로써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전민족의 여망에 따른 것이었다. 임시정부는 외교활동을 통하여 한국의 독립문제를 국제사회에 제기하는 한편,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독립자금을 모금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뒤에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광복군을 편성하여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며, 태평양전쟁이 일어난 뒤에는 일본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하고 연합군과 함께 대일전에 참가하였다.



이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공화주의정부이며, 항일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된 단일정부라는 점에서 정통성을 가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민족의 독립운동을 실질적으로 주도하여 나가지 못한 것 등 효과적인 활동을 벌이지 못하였던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만주 간도 · 시베리아의 연해주 등지에서는 독립군들의 무장독립운동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들은 1920년에 봉오동(鳳梧洞)과 청산리(靑山里)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큰 전과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참의부(參議府) · 정의부(正義府) · 신민부(新民府) 등이 설치되어 군정부의 기능을 하였다. 그뒤 1931년에 만주지역에서의 독립군활동이 어려워지자 중국이나 연해주로 흩어졌고, 그 일부는 임시정부에서 조직한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이밖에도 김구(金九)가 조직한 애국단과 김원봉(金元鳳)의 의열단(義烈團) 등이 중심이 되어 애국열사들의 폭력수단에 의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6) 현대사회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연합국에 항복함으로써 우리 민족도 36년간의 식민통치에서 광복되었다. 일제의 식민통치 기간 중 우리 민족은 국내외에서 계속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민족의 항쟁이 광복과 독립을 가져온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일제에 대한 연합군의 승리라는 타력이 개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광복의 이러한 성격이 광복 이후의 현대사를 규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광복 직후 미 · 소 양군의 분할점령과 군정이라는 쓰라린 경험을 맛보았고, 좌우익의 대립 속에 결국 남북한에 두개의 정부가 수립됨으로써 국토와 민족이 분단되고 말았던 것이다.



광복 직후에 가장 먼저 정치활동을 시작한 것은 여운형(呂運亨) 등 사회주의자들로, 이들은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를 조직하여 치안을 유지하는 등 준정부(準政府)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한편, 민족주의계열에서는 중국에 있는 임시정부에 대한 지지를 명분으로 건국준비위원회와 대립하면서 정세를 관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건국준비위원회의 후신인 조선인민공화국(朝鮮人民共和國)과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모두 인정하지 않고 미군정만이 38도선 이남에서의 유일한 정부임을 선언하였다. 그리고는 과거 총독부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한국인 가운데 친일분자들이 미군정에 참여하여 그 세력을 온존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한국역사에 대하여 아는사람 와주세요...

... 초등4인데요 한국역사에대하여 조사숙제인데 지금빨리... 조선 조선의건국자:태조 이성계(환조(이자춘)... 한반도에 처음으로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한국 역사중 전쟁

... 쓰지마시고요 아는데로 많이 써주세요 제발 부탁입니다(잘 알려져있지않은것위주로) 그리고 한국역사중에서... 여진에 대하여 4군6진 설치 및 두만강 확보 * 군사제도: 원칙...

한국힙합의 역사(내공25)

... 적어주세요 그리고 서태지나 드렁큰 타이거, 주석....... 힙합의 역사에 대하여 이야기 하겠읍니다. 1970년대에... 한국사람들은 Puff Daddy의 I'll be missing you의...

발해에 대해 아는데로 빨리 와주세요......

... 발해의 주요사건을 알기 쉽고 간단하게 써주세요. 3.... 발해사는 한국사에서 잊혀져 왔던 역사였다.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은 잘 알아도 발해사를 아는 이는 적었다....

독도의 역사에 대하여 알려 주세요!!

... 대한 역사를 모르겠네요,,, 짧고 간단하게 요약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오늘써야 하니까,,, 빨리... 1910년 한국수산지 제1호 제1편에 한국령으로 표기 1914년...

한국을 빛낸 사람들(내공70)최근에...

... 빨리주세요 최근에 한국을 빛낸 사람들에 대하여... 김연아는 1990년 9월 5일 경기도 부천시에서 아버지인... 피겨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한다. G20 홍보대사...

수원에대하여 빨리요~ 급함!!!!!!!!!

제가 사회숙제로 수원에대하여 조사해야합니다. 수원의 인물, 자연환경, 문화재, 자랑거리를 적지도 않고 많지도 않게 적어주세요, 빨리요~ 내일까지에요ㅠㅠㅠㅠㅠㅠㅠㅠ...

한국역사랑 서양사좀 짧게...

제가 5학년 방학숙제로 한국사와 서양사를 조사해야하는대 a4용지로 3장정도로 해주새요. ............ 역사애대해... 또한 Adkinson이라는 사람은 정보의 증대에 대하여...

백제고분군 의 대하여 특징 역사 유래를...

... 옛날부터 사람들이 살기 좋은 곳이었다. 우리 나라의... 오늘날 한국인의 주류를 이루었던 것이다. 부산의... re: 부산의 역사에 대하여 알켜 주세요~~~!!! s2ac8es2 (2007-04-17 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