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때 여러 무장들에 대하여

임진왜란때 여러 무장들에 대하여

작성일 2012.06.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임진왜란에 관심이 많아서 인터넷으로 자료를 뒤져봤는데

극과극의 평가를 가진 인물들이 있어서

어느쪽이 맞는지 모르겠어서

님들이 좀 도와주세영

1. 권율

제가 블로그나 카페등에서 글을 봤는데

주로 원균명장설에 관한거였는데

어떤사람들은 권율이 무리하게 출전하라면서 원균 막 때려서 원균이 할수없이 무모한 싸움임을 알면서 진격했다가 대패하고 죽었다고 하면서 권율을 왜 사람들이 추켜세우는지 모르겠다그러고

그 반대는 권율은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둔 명장이며 원균이 부산으로 진격한다해놓고는 말돌리기계속하면서 안가서 개빡쳐서 원균 막 팼다는데 어느쪽이 맞는지 구체적인 근거를 대서 답변해주세요

2. 배설

한쪽주장은 배설은 싸우기 무서워서 자기 군사를 데리고 토껴서 군사들의 사기를 깎아먹은 졸장이라하고

한쪽주장은 그 도망친 군사들로 명량해전을 대승으로 장식했으니 배설 잘했다고 하는데

어느쪽이 맞는지 답변을 달아주세요

3.원균

제 질문의 핵심 인물입니다 극과 극의 평가를 받고 있는 사람인데요

원균에 대해 좋은 평가를 하는 사람들의 주장은 원균이 경상우수사가 된지 3개월만에 전쟁이 갑자기 일어나서 병력을 추스를 시간이 없었고 쓸만한 배랑 군사도 거의 없었다. 그래서 원균은 대부분의 쓸모없는 배를 태우고 쓸모없는 병사들을 해산시켰다. 그리고 이순신과 연합작전을 펼치다가 이순신이 상관이 되자 경력이 높았던 원균과 이순신은 불편한 관계가 되고 불화가 일어났다(백과사전 내용도 있었음). 그래서 원균은 육군으로 자리를 옴기다가 이순신이 백의종군하자 수군통제사가 되었다가 권율에게 육군이 먼저 출전안하면 안간다고 하다가 곤장쳐맞고 할수없이 무모한 공격을 하다가 죽었다하고(쓰다보니 권율 욕하는 사람 원균옹호하는사람이었네?)육지전에 능한 장군을 수전에 쓴 정부가 ㅄ이라고 하고

다른 대부분의 주장은 원균이 육지에서 세운 전공도 확실하지 않으며 멀쩡한 배와 군사들을 버리고 왜군에게서 도망만 치다가 이순신과 합류한 겁쟁이라고하고 또 부산을 공격하겠다면서 이순신을 탄핵하다가 삼도통제사가 된다음에 자꾸 말을 바꾸다가 권율이 곤장을 때려서 할수없이 나가서 거지같은 작전으로 군사다잃은 조선 최악의 쓰레기무장이라고 주장하는데

원균 옹호설도 얼토당토하지는 않은거 같은데 어느쪽을 믿어야 할지 모르겠네요

여러분의 주장과 근거를 자세하게 달아주세요

내공은 통크게 100 걸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권율

 

네 권율은 어떻게 보면 명장이고 어떻게 보면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는 사람이죠

사실상 그가 거둔 행주대첩이라는 것은 용병술로 거둔 승리가 아닙니다.

행주대첩이라는 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그 전투는 돌을 실어 나른 아낙네들의 힘이 병사들의

힘보다 컷죠. 게다가 권율과 이순신의 관계도 딱히 좋지는 안았던 것 같습니다.

이순신이 백의종군 후 복직하게 되었을 때 권율이 이순신을 닭보듯 대했다고 나올 정도니까요

장수로서의 권율은 그저 그런 장군이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 배설

 

배설이 만일 후일을 생각해서 도망을 쳤다면 저는 배설을 작전상 후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배설이라는 사람은 겁이 나서 도망을 쳤다가 이순신 장군이 복직하게 되시니

후에 문책을 당할까 두려워 복귀한 것입니다. 나중에 또 전투가 났을 때 다시 도망친 것을 보았을 때

배설은 겁 많은 장군이었을 겁니다.

 

 

3. 원균

 

우리나라에는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원균을 잘한 장수로 보느냐 못한 장ㅅ로 보느냐에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원균도 지금 생각되는 것처럼 그렇게 나쁜 장수는 아니었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이순신 장군을 더 띄우기 위해서는 원균을상대저그로 비하할 수 밖에 없었겠죠

그래서 시대가 지나면 지날수록 그에 대한 평가는 점점 안 좋아 졌을 것입니다.

게다가 그는 전통적인 무인 출신입니다.

오히려 무에 관해서는 충성심 깊은 장수 였을 겁니다.

평판이 그 떄도 안 좋은 것을 보아 그의 성품이 온화하거나 하지는 안았을 겁니다.

하지만 그때 우리의 관리들을 보시면 비리 부정을 저지르지 않으면 평판을 안 좋게 주었기 때문에

오히려 그가 타협할 줄 모르는 인물이었을 수 있습니다.

이순신과의 불화는 이순신에 비해 경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직책이 높아지자 관계가

많이 껄끄러워 졌을 겁니다.

이순신은 나라의 명을 어겨서 어쩔 수 없이 원균이 대타(?)를 뛰죠

자신의 상관이 잡혀갔습니다. 그는 권율의 명에 의해 어쩔수 없이 공격하게 되지만 적의 교란작전에 밀려 패배합니다.하지만 그전에 많은 전투에서 이긴 것을 보아서 나쁜 무장이라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참고로 그는 선무공신입니다. 큰 공을 세운 장군이라는 거죠

원균이 인간으로서는 모르겠지만 , 장군으로서는 결코 작지 않은 장군이었을 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권율은 분명 행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장수입니다 일본군이 물밀듯이 쳐들어오는데, 병사들과 민간인이 힘을 합친 것도 있지만, 그의 리더십과 판단력이 없었으면 승리하기 쉽지 않은 전투였죠 반면, 잘못된 정보와 판단도 있었는데, 원균이 삼도수군통제사였던 때에 원균에게 무리하게 칠천량해전에 나가라고 압력을 가합니다 이에 반해 이순신은 명령에도 불구하고 불리한 싸움은 피했기 때문에 조정(특히 선조)과 자주 마찰을 빚었습니다 권율의 이러한 잘못된 판단은 비난받아야죠

2 배설은 칠천량해전 패전 이후 이순신이 다시 수군을 모아 명량에서 전투를 치르려 하자 도망을 치죠 이순신은 이 사실을 알고 크게 화를 내죠(난중일기에도 당시 그 기분을 나타내는 글이 있습니다) 임란 당시에 도망친 장졸들도 꽤 있기 때문에 배설도 이와 같은 사람 중 하나였죠

3 참 말 많은 게 원균입니다 원균은 뼈대있는 무가 출신이죠 이순신과 더불어 임란 전에는 북방에서 야인들을 소탕하는 데 일조합니다 그 공을 인정받아 경상우수사가 되구요 난중일기에 의하면 원균을 다소 안좋게 평가하는데, 이것은 당시 전공을 두고 이순신과 원균의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당시 전쟁 전공이야 말로 장수의 큰 명예이자 진급의 큰 원인이었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원균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전투에 있어서는 선봉에 섰거든요 후일 이순신이 백의종군하자, 원균이 통제사가 되어 칠천량해전에 참가합니다(이 과정은 권율 에서 말했습니다) 결과는 대패했죠 그렇다고 원균이 도망쳤느냐? 아닙니다 전사한거죠 도망쳤다면, 난중일기에도 원균이 도망쳐서 졌으며, 이순신도 분노에 찬 어조로 얘기했을 겁니다 그러나 난중일기에는 원균이 싸우다 죽었다 애석하다 라고만 나와있습니다 이것으로 봐선 전투 중 전사했다고 봐야 합니다

임진왜란때 여러 무장들에 대하여

제가 임진왜란에 관심이 많아서 인터넷으로 자료를... 무장이라고 주장하는데 원균 옹호설도 얼토당토하지는 않은거 같은데 어느쪽을 믿어야 할지 모르겠네요 여러분의...

임진왜란대하여

... 반대하여 부임도 못하는 수모를 당했다. 그리고... 14.이억기 (1561 ~ 1597, 본관 전주)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은 이순신 장군의 용병, 전술, 무장에 번번이 격파당했다....

임진왜란대하여

... 제가 다음주까지 PPT로 임진왜란대하여 숙제가있는데요,~ 제가임진왜란에 대해 지식인없으니까 여러분에... 무기로 무장한 일본의 20만대군이 쳐들어왔을때 제대로...

임진왜란대하여..(급함)

임진왜란 때 일본이 명나라로 가는 길을 내어달라는... 태국은 여러가지 논란끝에 정말 길을 빌려주고 일본의... 다른 무장들이 보통 대를 이어오던 귀족이거나 최소한...

임진왜란대하여...

... 조선 최고의 무장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장수였는데요... 등 여러 전술을 사용해 이겼습니다. 그러나 잠시후... 임진왜란(1592∼1593) 선봉장으로 조선에 출병하여 평양까지...

.임진왜란대하여..

... 1)임진왜란의 원인. 2)왜군의 침략을 받았을때 조선의... 싸운 무장 부대로 농민이 주축을 이루었고 지도자는 전직... 여러 차례 왜군을 크게 무찔렀으나, 때마침 반란을...

임진왜란대하여..

... 임진왜란의 조선의 승리대가는 대마도[쓰시마]였으며... 싸운 무장 부대로 농민이 주축을 이루었고 지도자는... 여러 차례 왜군을 크게 무찔렀으나, 때마침 반란을 일으킨...

임진왜란3대 대첩에대하여 ,..

... 그중 이순신은 임진왜란 발발 1년 전부터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하여 수군을 훈련시키고 무장을 갖추며 식량을 저장하고 있었다. 특히 그는 돌격선(突擊船)의 필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