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임진왜란에관해서....

조선시대 임진왜란에관해서....

작성일 2011.01.0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 왜일어났는지...

임진왜란에 관해서 A4용지2장 채울정도의 관해서 이야기 해주세요....

내공 팍팍 드립니다~!!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임진왜란이 일어난 배경은 일본의 전국시대로 거슬러갑니다.

일본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처럼 각영주들이 서로 영토전쟁을 벌이던 혼란그자체의 시대엿습니다.

그중에 오다노부나가가 가장세력이 컷엇고 오다노부나가가 일본을 통일할기세엿으나 나이가 들어 병사하자

그후 도요토미히데요시가 1인자가 됩니다.

도요토미는 다른영주들과 달리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조총을 사용함으로써 주로육탄전이던 전쟁을 효율적으로 이겨냇고 당시도쿠가와는 도요토미의 유리한 병력에 싸워볼만한 병력을 소유햇엇으나 도요토미의 신하가 되고 그후 일본을 통일합니다.

하지만 그후에도 아직도요토미에게 앙금이 잇는 신하들이 많앗고 그신하들에게 줄 영지또한 부족하던터엿고 전국시대가 끝난지얼마지나지않앗던 터라 전투병력또한 갖추고잇엇기때문에 일본은 조선침략을 발판으로 여러신하들은 서로 공을 세우기위해 참전합니다.

이상황에 조선은 고려때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으로 조선건국후 무신보다 문신위주엿으며 거의 200년간 전쟁이 없엇기에 병참고의 무기들도 낡고 구식이엿습니다.

그러다이순신은 일본이 대마도로 다수의 배를 이동시키는사실을 알고 몇년간 거북선건조에 힘썻습니다.

그리고 1592년 일본은 20만의 병력을 가지고 조선을 침략하기에 이릅니다.

일본은 부산을 함락그후로 한양까지 각개격파로 쳐들어갑니다.

선조는 평양까지 피신해야햇고 일본이 한양까지 함락하자 선조는 신의주까지 피신햇습니다.

그러다 선조는 명나라에게 군사파병을 요청햇고 군사7만을 조승훈이 데리고 옵니다.

수군상황은 이순신의 지휘하에 일본-조선간의 보급이 완전히 차단되고 육군의 상황은 보급미달과 조선내의 의병활동으로 전세가불리해지자 일본은 잠시 후퇴하기에 이릅니다.

그후또다시 일본이 쳐들어 오고 이를 정유재란이라합니다.

그러나 얼마못가 도요토미가 병사하자 일본은 혼란에 빠지고 조선내에 잇던 고니시와 와카자키는 이걸 탈출이라 해야하나 일격이라 해야하나 모르겟지만.300여척의 함대가 조선군의 함대와 싸웁니다.

일본군은 이순신의 지휘하에잇던 거북선,판옥선에게 처참히 무너지고 마지막 명량대첩에서 12척의 이순신함대와 300여척의 일본함대가 맞붙으나 100여척이 침몰되고 일본군은 완전히 패퇴하고 이순신의 죽음으로 7년간의 전쟁이 끝이납니다.

그후로 일본은 도요토미의 아들이던 미츠나리측과 당시 임진왜란을 참전하지 않아 병력을 고스란히 보유중이던 도쿠가와측이 대치합니다.미츠나리를 서군 도쿠가와를 동군이라 하여 양분화됩니다.

미츠나리의 서군은 오사카를 수도거점으로 하엿고 도쿠가와의동군은 에도(지금의 도쿄)를 수도거점으로 대치하엿고 몇년간 대치하자 미츠나리의 병력이 도쿠가와의 병력을 압도하엿고 도쿠가와는 그후 세키가하라에서 동군-서군간의 전투가 벌어집니다.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이 불리한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어 서군을 멸합니다.그후로 임진왜란이 끝난후 8년이 지난1600년일본은 에도시대로 넘어가 조선과의 화친을 계속하엿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래 제가 오픈백과에 올린 글로 답을 대신합니다.

 

센고쿠 다이묘(戰國大命)와 임진왜란

adcsk
2008.04.05 01:23
 
조회
362

조선 및 명과의 평화적인 외교관계를 무너뜨렸던 것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조선침략, 이른바 분로크(文祿).게이쵸(慶長)의 역(役)입니다. 한국에서는 1592년 임진년에 왜국이 일으킨 난이라 하여 이를 '임진왜란(壬辰倭亂)' 이라고 부릅니다. 한국관광의 필수 코스인 서울의 경복궁이나 경주의 불국사가 임진왜란 당시 불타버린 뒤 재건된 것을 보면, 피해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태합(太閤:다이코) 히데요시가 역사적인 인물로 인기 높은 것과 정반대로 한국에서는 화(禍)를 불러일으킨 가장 부정해야할 인물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입니다.

 

히데요시의 '조선정벌'은 메이지 시대 이래 일본의 국위를 선양한 위업으로 찬양됐습니다. 본격적인 사료집의 효시라 할 수 있는 마쓰모토 아이쥬(松本愛重)의 <풍태합정한비록(豊太閤征韓秘錄)> 1894년과 <홍안문록정전위록(弘安文祿征戰偉錄)> 1905년 간행 연도가 청일.러일전쟁이 일어난 해와 겹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임진왜란에 대한 연구는 근대 일본의 한국 침략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는데도 임진왜란의전모를 분명하게 밝혔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히데요시가 왜 무모한 전쟁을 강행했는지,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등 근본적인 문제 자체에도 명쾌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히데요시의 공명심과 과대망상증으로  설명하는 견해가 있는 한편, 일본이 명과 감합무역(勘合貿易)을 하고자 했는데 조선이 중개를 거절했기 때문에 혹은 명으로 가는 길을 빌려주지 않았기 때문에 응징하기 위해 출병했다는 주장 등이 있습니다.

히데요시가 공명심이 강하고, 과대망상적인 성격이었다는 점은 틀림없는 사실이겠지만, 이러한 점들을 조선침략의 원인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이미 주군인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도 포르투갈인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Luis Frois) 에게 조선과 중국에 대한 침략구상을 말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성격으로 설명해서는 안됩니다. 무엇보다도 수많은 다이묘들이 침략전쟁에 호응했습니다. 또한 감합무역의 재개는 전쟁이 한계에 봉착하고,명과의 휴전교섭이 진행되는 가운데 등장했던 요구입니다.

출병할 때 쓰시마의소씨가 조선에 전달했던 요구는 '가도입명(假途入明:명으로 가려하니 길을 빌려달라)'이었습니다. 그런데 히데요시의원래 요구는 '정명향도(征明嚮導:명을 치려하니 길을 안내하라)'는 것 이었습니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리라 판단한 소씨가 문구를 몰래 바꾸어서 요구했던 것 입니다. 원래 히데요시의 구상은 조선 뿐만 아니라 중국마저 정벌하려는 구상이었습니다. 그래서 명과의 화평교섭 마지막까지 고집했던 것이 조선 남부의 영토 할양이었습니다. 그러므로 히데요시의 최대목적은 영토획득에 있었다고 봅니다.

혼노사(本能寺)의 변으로 1582년 노부나가가 살해된 뒤, 그의 후계자로서 전국통일을 추진하고 있던 히데요시가 조선과 명으로 출병할 구상을 밝히기 시작한 때는 1585년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1587년 히데요시는 규수를 평정한 뒤 쓰시마의 소씨에게 조선에 복종을 요구하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리고 1590년 오다와라(小田原) 성을 함락하고전국을 통일하자 곧바로 조선출병을 시작했습니다.

센고쿠 다이묘는 새로운 전쟁에 대비해 늘 군사 동원 체제를 갖춤으로써 가신을 통제해 왔습니다. 그리고 전쟁에서 새로 획득한 영토를 가신에게 나눠주고, 부하들 역시 그러한 은상(恩賞)을 겨냥해 주군에게 충성하는 것 이었습니다. 히데요시는 더 이상 일본 내에서 정복할 곳도 없고 나누어 줄 영토도 없어 그 분출구로 조선침략을 택한 것 이었습니다.

 

******이 글은 日本의 요시노 마코토(吉野誠)교수의 도카이대학 강의록을 묶어 <동아시아 속의 한일 2천년사>로 동국대학교 한철호교수가 번역한 것을 발췌한 것입니다. 전체번역은 "책과함께"출판사의 동아시아 속의 2천년사가 번역됨.

[기타] 동아시아 속의 한일2천년사 요시노 마코토 | 한철호 | 책과함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실, 우리가 조선시대에 태조시절부터 명종시절까지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과 몇몇 세도가들의 정치싸움을 벌이고 있을 적에

 

일본에서는 전국시대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일본은 각자 지행국을 세워놓고

있었고 대명들은 통일의 소망은 없이 자신의 나라만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통일의 야심을 가진 자가 한명 있었으니 그는 오다 노부나가였습니다.

그리고, 어쩌다가 이 오다 노부나가쪽에 줄을 선 자가 바로 토요토미 히데요시였습니다.

원래 이 시기까지는 하시바 히데요시였습니다. 토미(臣)이라는 성은 아무에게나

수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하급무사출신이었는데요.

오다 노부나가에게 오직 충성심으로 그의 총애를 받게 되었습니다. 한편, 그의

라이벌인 아케치 미츠히데라는자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툭하면 미움을 샀습니다.

그러다가, 혼노지라는 절에서 온천욕을 즐기는 오다 노부나가를 아케치 미츠히데가

기습하였고, 여기에 마음의 상처를 받은 오다 노부나가는 할복하여 생을 마쳤지요.

여기에 이를 복수하기 위해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어났고 이제 일본을 통일하였지요.

 

사실, 이런 기간이 있는 동안에 일본은 통일에 불만을 가진 무사들이 이제 더이상

설 곳이 없어서 명과 우리나라를 상대로 해적질을 하게 된 것이었습니다.바로 그들이 왜구이지요.

 

 

 

자, 이렇게 해서 합하가 된 토요토미 히데요시! 그러나, 여러가지로 불안감이 생겼습니다.

바로 하급에서 그 자리까지 오른 자신의 컴플렉스였지요. 우선 그래서, 무사가 아닌 자에게

무기를 모두 거둬들여서 반란에 대한 불안감을 없앴으며, 그 다음이 바로 조선정벌이었습니다.

사실, 그럴듯했던 것이 그동안 왜구라는 이미지로 자신들을 괄시한 명과 조선에 한번

힘을 보여주자는 것이었는데요. 다행히 잘 먹혀들어갔습니다.

그리하여, 조선으로 그 무사들을 보냈습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그곳에서 무사들이

많이 죽으면 죽을수록 자신은 좋았습니다. 그런데, 나중에는 침략의 장수들은 많이 죽지

않았으며, 또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의도를 꿰뚫고있는 이가 한명 있었으니 바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였습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자신의 영지의 경비를 핑계로 군대를

보내지 않았습니다.나중에 왜란이 끝나고 통신사를 보내서 오랫동안 교류할 수 있게 손을

내밀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조선을 침략했습니다. 우선, 부산까지 들어가는데는 같이 들어갔다가 이제

상주에서 둘로 갈라졌는데요. 고니시 유키나가는 충주쪽에서 신립장군과 맞서서 이겼고

가토 키요마사는 북으로 올라가서 함경도.평안도까지 점령했습니다.

그런데, 가토 키요마사는 그럴듯한 인질을 잡았으니 바로 조선의 두 왕자였습니다.

나중에, 명의 심유경장군이 여러가지 조건을 걸어서 빼올 때까지 잡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에관해서....

조선시대임진왜란이 왜일어났는지... 임진왜란에 관해서 A4용지2장 채울정도의 관해서 이야기 해주세요.... 내공 팍팍 드립니다~!!ㅠㅠ 임진왜란이 일어난 배경은 일본의...

조선시대 특별무과,병학통,임진왜란 질문

1.조선시대의 특별무과는 또,뭔가요? 2.왜 조선시대는 무사가... 하지만 점점 후기로 갈 수록 군사력에 관해서는 소홀해지고 당파싸움만 하게 되죠... 조선이 임진왜란 초기에...

조선시대 비변사와 왕권에 관해서 질문좀

조선시대 임진왜란후 국방문제의논하는 임시기구인 비변사가 강해지고 의정부의 약화와 왕권약화가 되엇다는데 국방문제를 논하는 기구가 강해진거랑 행정기관이랑 왕권이...

조선시대 무과 차별 대우에 관해서..

... 관해서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고려시대 문을 우대하고 무를 차별하던 시대와 별개로 조선시대 주자학... 무과시험문제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환란을...

조선시대의 역사에 관해서

... 포도대장과 포교에 관해 설명좀 해주세요. 4.조선시대에도 전문적인 정보들을... 청은 임진왜란 이후 약해진 명나라를 여진족들이 무너뜨리면서 세운 나라입니다. 처음에는...

조선시대 궁녀와 영조에 관해서 질문이...

우선 조선시대 영조가 몇년에 누구에게서 태어났고 몇살에 황태자에 책봉되고 왕의...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은 훼손이 많이 되어 아마 잠깐 들렸을 수는 있어도...

조선 시대관해서 알고 싶은것이...

... 3ㅣ 조선 시대에도 개천서 용낫다 이런것이 통했나요 지금은 못 그러잖아요 돈... 임진왜란 같은 시기에 군공으로 많이 면천됬죠 뭐 재산이 좀있다면 돈으로 주인을...

역사 속 조선시대 인물들 중에서...

... 그리고 그 인물들에 관해서는 실록에는 정확히 어떻게 기록되어 있나요? 조선시대에는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일을... * 이몽학: 이몽학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전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