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부터 통일신라까지의 불교의 수용과 발전

삼국부터 통일신라까지의 불교의 수용과 발전

작성일 2010.09.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까지의 불교의 수용과 발전에 대해 써주세욥;

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 정도로 나눠서요

나라간의 연관성(?)이랄까 불교의 대외관계에 관해서도 써주시면 ㄳ해요 아 분량은 A4 1페이지반정도로부탁드려요 내공이 별로 없어서 얼마 못드리네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구려>

 

한국에 불교가 제일 먼저 전파된 것은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 6월에 진()나라의 순도()와 아도()가 불경과 불상을 가지고 들어와 초문사()와 이불란사() 등을 창건하고 설법을 시작한 것이 그 시초라고 합니다. 이들의 설법과 전도를 공식적으로 허가한 고구려에서는 그후 평양에 9개의 절과 반룡사영탑() 등을 짓는 한편 불교 전파에도 힘써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습니다.

고구려에서는 열반종()과 삼론종() 및 천태종()과 살바다종() 등의 종파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의연()은 불교역사 연구를 통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고, 혜자()와 운총() 그리고 혜편법사(便)와 담징() 및 법정() 등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였습니다. 그리고 도림()과 덕창() 및 혜량()과 신성() 등은 호국불교를 위한 실력배양에 많은 힘을 기울였습니다.

 

<백제>

 

뒤를 이어 백제는 384년(침류왕 1)에 인도의 승려인 마라난타()가 중국의 동진()을 경유하여 입국하여 왕의 우대를 받고 궁중에 머물다가 이듬해 남한산()에 절을 짓고 포교를 시작하였던 것이 계기가 된 것입니다. 그후 왕흥사()와 미륵사 및 한산불사()와 경복사, 수덕사 등 많은 사찰이 건조되고 교파도 삼론종과 계율종 및 성실종의 세 종파가 성립되었습니다. 백제불교는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많은 고승들이 일본에 건너가 불교 전파에 큰 공헌을 하였는데, 일본 성실종의 개조가 된 도장()을 비롯하여 혜총(),도림(),혜미(),도흔() 등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백제 멸망 후 그 재건을 위해 궐기하였던 승장()인 도침()과 인도에 유학하고 귀국 후 율부() 72권을 번역한 겸익() 등도 유명한 승려입니다.

 

<신라>

 

신라는 삼국 중에서 불교가 가장 늦게 전파된 나라로 527년(법흥왕 14)에 이차돈()의 순교가 있은 후 비로소 공인되었는데 그후 급속히 발전하여 국가적 종교로 존숭되고 승려와 사원이 국가의 두터운 보호를 받게 되었다고 합니다. 많은 구법승()이 인도와 당나라에 유학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당나라의 13종이 도입되어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선종은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이른바 구산선문()의 분파를 이루었습니다. 국가 안태()와 왕실의 번영을 비는 호국불교로서의 신라불교는 사상과 정치,문화,외교 및 국민생활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건축과 공예 방면에도 찬란한 예술의 꽃을 피웠습니다.

한편 수많은 고승이 배출되어, 원광()과 같은 대학승()은 세속5계()로 국민도의를 확립하였고, 자장()은 문물제도를 수립하였으며, 의상()은 실천적인 수행()과 사찰의 건립을 통하여 화엄의 교리를 널리 펴는 한편 많은 학승을 양성하였고, 원효()는 80여 부의 논소()를 지어 불교의 대중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쏟았습니다.

의상과 원효는 그 학통이 중국과 일본에도 널리 알려졌으며, 원측()은 유식설()에 통달하여 독특한 견해를 가졌고, 그 때문에 중국의 법상종 정통파에게는 비난을 받았으나 그의 저술인 해심밀경소()는 도리어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전한다고 합니다. 혜초()는 인도에 건너가 불적()을 순례하고 육로로 중앙아시아를 거쳐 귀국한 다음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여 귀중한 자료를 남겼습니다.

 

 


 

통일신라까지의 불교의 수용과 발전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까지의 불교의 수용과 발전에 대해 써주세욥; 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 정도로 나눠서요 나라간의 연관성(?)이랄까 불교의 대외관계에 관해서도...

삼국~통일신라 불교의 변천사

... 불교 5종이 완성되고, 화엄종이 성행하던 때가 통일신라때가 맞나요? 1, 노우노우~ 교종이아닙니다 ㅎㅎㅎ.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372)에 전진으로부터 수용 후 공인 백제는...

1.삼국불교 수용 2.신라의 삼국

1.삼국불교 수용 2.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평가 3.신라 중대의 각 세력의 권력변화 4.통일 신라 시대의... 신문왕의 개혁 정책 6.삼국시대 무덤 양식 7.발해의 발전 과정 8....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 종합적으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불교 문화, 건축, 금속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문화유산이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문화유산은 한국 문화의 근간을...

삼국시대 불교수용한 이유 질문

삼국시대 불교수용한 이유가 영토를 넓히고 또한 왕권을 강화하면서 지방 세력을... - 이러한 불교의 특징은 삶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며,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삼국, 통일신라 중심의 불교미술

삼국, 통일신라 중심으로 불교미술에 대해 설명해... 균형적 발전을 꾀하려는 정치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상과... 한편 문화적인 면에서도 여·제의 문화를 수용하여 전란기...

삼국발전하면서 불교수용했던...

삼국발전하면서 불교수용했던 목적은 무엇이었을까요? 또 불교삼국에 어떤영향을 끼쳤을까요??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우선 불교는 하나의 종교입니다. 종교는...

삼국불교수용한이유

... 5학년 사회중 삼국이(의)불교수용한이유!! 알려주세요!!!...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호국신앙(護國信仰)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원효의 정토종(淨土宗: 아미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