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와 우리나라 (위 촉 오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임금 혹은 왕, 황제...

삼국지와 우리나라 (위 촉 오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임금 혹은 왕, 황제...

작성일 2010.04.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국지와 우리나라 (위,촉,오와 고구려,백제,신라)의 임금 혹은 왕, 황제의 제위기간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볼 수 있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대의 상황까진 설명해주실 필요 없고 기간을 표같은 그림으로 한눈에 볼 수 있게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좀 방대한 듯 하지만 부탁드립니다.

 

기준은 위, 촉, 오 이 세 나라가 확립되는 시점부터 위나라가 중국을 통일 시키는 해 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연대표 만드느라 1시간이 걸렸네요. 덕분에 저도 공부 잘 했습니다. 역사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삼국지를 좋아하는 분들께도 좋은 자료가 될듯합니다. 연대표 퍼가실 분은 답글 달고 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냥 가져가시면 화낼겁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선 워키백과에서 인용한 것을 올리니 참고하세요.

아래 검색하세요.

http://100.naver.com/100.nhn?docid=147547 <촉나라>

http://100.naver.com/100.nhn?docid=114709  <오나라>

 

위 (삼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역사  v  d  e 


신화와 고대
선사 시대
신화·삼황오제
황하장강 문명
기원전 2000?~기원전 1600?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기원전 1122~기원전 256
  서주
  동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제국의 시대
기원전 221~기원전 206

기원전 206~서기 220
  전한
  8~23
  후한

삼국 시대 220~280
  위, ,
265~420
  서진
  동진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남북조 시대 420~589
581~618

618~907
무주 690~705

오대십국 시대
907~960

916~1125

960~1279
  북송 서하
1038~1227
  남송
1115~1234
1271~1368

1368~1644


1644~1912

현대의 중국
중화민국 1911~현재
중화인민공화국
1949~현재

중화민국 (타이완)

위(魏, 220년~265년)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 하나로 삼국 중 가장 강대했던 나라였다. 천부적인 전략과 재능을 가진 조조는 삼국 시대의 군웅들 가운데 두각을 일찌감치 드러내었고, 후한 헌제를 옹립함으로써 협천자 영제후(挾天子領諸侯) 즉, 천자를 끼고 제후를 호령하여 천하쟁패의 시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하였다.

당대의 숙적 원소와의 회전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중원 일대를 평정하여 최강 세력으로 발돋움했다. 조조 사후 그의 아들 조비가 후한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한나라를 멸하고 위나라를 세웠다. 그러나 조씨 세력은 촉한 제갈량과의 대결에서 급격히 성장한 사마의에게 정권을 내주었고, 그의 손자인 사마염에 이르러 제위마저 내주고 말아 46년의 역사로 그 끝을 맺는다. 중국 대륙이 삼국으로 분할되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위나라의 영토가 당시 중국 영토의 3분의 2를 차지하였고, 병력과 인구 면에서도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역사 [편집]

삼국지》에서 정통으로 삼고 있는 위나라는 220년(황초 원년) 후한 왕조에게서 제위를 물려받으면서 265년(진시 원년) 사마염에게 선양하기까지 5대 황제 46년간에 걸친 왕조로, 실제 건국은 조조가 죽은 이후에 일어난다

189년(중평 6년) 조조는 여러 제후와 함께 동탁 토벌을 위해 군사를 모집하는데, 이때 조인, 하후돈, 하후연 등 조조의 일족이 그를 따른다. 191년(초평 2년)에는 일찍이 청류파 이었던 순욱이 조조의 진영에 가세한다. 순욱은 곽가, 순유, 종요 등 국방과 내정 면에서 활약하는 여러 명사들을 천거했다. 192년에는 황건적의 잔당을 굴복시켜 자기 군사로 흡수한 다음 정예를 선발해 ‘청주병(靑州兵)’으로 부른다. 이 정예 부대가 대륙 각지에서 맹활약하게 된다.

조조는 원술, 여포, 원소 등을 쳐부수고 세력을 확대하는 한편, 적장이었던 장료, 장합, 가후와 같은 인재를 얻는다. 조조는 옛 원한을 잊고 재능만 있다면 투항한 자를 기꺼이 받아들였다. 그들도 그 뜻에 감복하여 조조에게 충성을 맹세했다고 한다. 이 ‘재능제일(才能第一)’이라는 인재등용 방침은 210년에 ‘구현령(求賢令)’으로 공포되는데, 여기에 기라성 같은 인재가 모여들어 크게 활약하게 된다. 이것이 세간에서 흔히 말하는 조조의 수집벽인데, 알고 보면 조조의 뛰어난 통솔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후한 왕조는 이미 쇠퇴하고 있었지만 조조는 황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196년(건안 원년)에 헌제낙양으로 돌아오자 조조는 그를 받들어 허창으로 천도한다. 이때 원소의 참모도 황제를 영입할 것을 진언하지만 원소가 주저하는 사이 조조에게 선수를 빼앗기고 만다. 조조는 황제를 봉대함으로써 대의명분을 얻어 관군이 되고, 자신에게 대적하는 자는 조정의 적으로 간주했던 것이다.

또한 같은 해에 ‘전농부 둔전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당시 전쟁은 현지 조달로 식량을 충당했는데, 식량이 남으면 버리고 부족하면 약탈하는 식이었다. 그 때문에 농촌은 황폐해지고 유랑민이 급증했다. 이에 조조는 “천하를 통일하는 일은 강력한 군대와 충분한 식량에 달려 있다”면서 농업의 중요성을 역설, 계획적으로 식량을 생산·저장하려고 시도한다. 이리하여 백성을 모집해 빈농에게는 토지뿐만 아니라 밭갈이 소와 농기구, 그리고 종자까지 대여해 허창 주변에서 둔전시킨다. 이미 둔전제 자체는 한나라 때부터 있었지만 조조의 둔전제는 각지에 전농부를 설치하고 전농관이라는 농업 전업관에게 이를 관리하게 했다. 그래서 사방을 정벌하는 데 식량을 수송하는 노고가 없어져 삼국시대 최대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조조는 헌제를 옹립함으로써 208년에 승상, 213년에 위공(魏公), 216년에 위왕(魏王)이 되어 이미 제위를 넘볼 수 있는 세력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그는 마지막까지 ‘후한의 충신’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황제로 즉위하지는 않는다. 조조가 죽은 지 9개월 후 아들 조비가 헌제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음으로써 황제가 되었다.

조비가 황제에 오른 지 겨우 7년 만에 병사한 후 위나라는 제갈량이 이끄는 촉나라의 침입을 받게 되고, 그 뒤를 이은 조예조차 239년(경초 3년) 34살의 젊은 나이로 죽고 만다. 후계자 조방은 이때 겨우 8살로, 사마의조상이 후견인이 된다. 곧이어 조상은 사마의의 실권을 빼앗고 정무에서 소외시키지만 사마의의 노회환 전술에 말려들게 된다. 249년(정시 10년) 사마의는 쿠데타를 일으켜 조상 등을 실각시키고, 그에게 무고한 반역죄를 씌워 삼족을 모두 멸하고 만다. 이리하여 조씨 일족은 쇠퇴하고 실권이 사마씨에게 옮겨지며, 사마의가 죽은 후에도 그의 아들 사마사, 사마소에게로 권력이 승계되었다.

254년(가평 6년)에는 이풍, 장집 등이 주도한 사마사 제거 계획마저 실패하여 모두 처형되고, 황제 조방도 폐위를 강요받는다. 이때부터 관구검, 문흠에 의한 반란이 일어나고, 257년(감로 2년)에는 제갈탄의 반란이 일어나지만 모두 진압되어 사마씨에 반대하는 세력이 일소된다. 260년에는 조방의 뒤를 이은 조모사마소를 제거하려고 수백 명의 측근을 이끌고 출격하는데, 반격하는 군사들에게 살해되고 만다. 이리하여 마지막 황제 조환이 사마소에게 제위를 물려주려고 하지만, 사마소가 갑자기 죽게 된다. 마침내 265년(함희 2년) 아들 사마염 시대에 선양에 의해 진 왕조로 정권이 교체된다.

역대 황제 [편집]

조위 황제와 연호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 - 고황제
(高皇帝)
(위 문제 추숭)
조등(曹騰) - -
- - 태황제
(太皇帝)
(위 문제 추숭)
조숭(曹嵩) - -
- 위 태조
(魏太祖)
(위 무조<魏武祖>)
무황제
(武皇帝)
(위 문제 추숭)
조조(曹操) - -
제1대 위 세조
(魏世祖)
(위 고조<魏高祖>,
위 태종<魏太宗>)
문황제
(文皇帝)
조비(曹丕) 황초(黃初) 220년 ~ 226년 220년 ~ 226년
제2대 위 열조
(魏烈祖)
명황제
(明皇帝)
조예(曹叡) 태화(太和) 227년 ~ 233년
청룡(靑龍) 233년 ~ 237년
경초(景初) 237년 ~ 239년
226년 ~ 239년
제3대 - 애황제
(哀皇帝)
(소황제<少皇帝>,
제왕<齊王>)
조방(曹芳) 정시(正始) 240년 ~ 249년
가평(嘉平) 249년 ~ 254년
239년 ~ 254년
제4대 - 폐황제
(廢皇帝)
(고귀향공<高貴鄕公>)
조모(曹髦) 정원(正元) 254년 ~ 256년
감로(甘露) 256년 ~ 260년
254년 ~ 260년
제5대 - 원황제
(元皇帝)
(진류왕<陳留王>)
조환(曹奐) 경원(景元) 260년 ~ 264년
함희(咸熙) 264년 ~ 265년
260년 ~ 265년

연대표 [편집]

서력 사건
155년 조조 태어남.
189년 조조, 향리에서 동탁 토벌을 위한 의병을 모집함.
192년 연주목으로 영입되어 정예군 청주병을 조직함.
196년 헌제를 봉대하고 허창으로 천도함. 둔전제 실시.
200년 백마, 관도에서 원소군을 무찌름.
207년 오환을 정복하여 평정.
210년 구현령과 술지령 공포.
213년 조조, 위공이 됨.
215년 조조의 딸, 헌제의 황후로 세워짐. 한중을 평정.
216년 조조, 위왕이 됨.
219년 조조, 한중을 잃음. 손권과 연합, 관우를 격파함.
220년 조조 서거. 조비, 문제에 오름. 후한 황조 멸망.
226년 조비 승하. 조예 즉위.
234년 사마의가 오장원에서 제갈량과 대치.
237년 요동의 공손연이 반기를 듦.
238년 사마의, 공손연의 난을 진압.
239년 조예 승하. 조방 즉위.
249년 사마의, 쿠데타를 일으켜 조상 일당을 처형함.
251년 왕릉의 사마의 타도 계획 실패. 사마의가 죽고 사마사가 뒤를 이음.
254년 사마사 주살 계획 실패. 조방이 폐위되고 조모가 옹립됨.
255년 사마사가 죽고 동생 사마소가 뒤를 이음.
257년 제갈탄이 오나라와 결탁해 반란을 일으키나 다음해 진압됨.
260년 조모가 사마소를 토벌하려다가 살해됨. 조환 즉위.
263년 사마소, 상국지공이 됨. 촉나라 정복.
264년 사마소, 진왕이 됨.
265년 사마소, 죽음. 사마염이 뒤를 이음. 위 황조가 망하고 진 황조 성립.

 

 

 

 

,,오vs신라,백제,고구려,

... 수성대군( 시대 때 포악했으나 무예와 병법에 매우... 위나라의 압승입니다. vs +,+고구려+백제,+신라... 중국과 우리나라의 국력차는 컸지요. (삼국지연의를...

, , 삼국지 시절에 고구려백제...

정말 궁금해서 그러는데요, 우리가 보는 삼국지에서 중국에서 , , 나라로... 제가 생각하기에는 고구려, 백제, , 오나라보다 셌었던 것 같은데, 왜 안나오는지...

삼국지(중국 ,,)과 우리나라의...

... 책에서도 보면 '위나라의 공손술'이란 장수가 고구려를 친 적도 있었다고 하던데요. 과연 우리 나라삼국지연의와의 관계는? 그리고 힘드시겠지만.. 만약에 ,,촉과 대...

모든 나라(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우리나라 옛날 나라들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후삼국)의 (1)신분제 계급과 (2)... 3세기초, 고구려의 모습을 기록한 [삼국지]에서는 왕실인 계루부에는 왕이외에도 왕의...

,,오vs고구려,신라,백제는???

... 당연히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이깁니다. 중국사람 뻥튀기... 우리 나라라서가 아니라 더 오랫동안 지속된만큼 철제기술이나 조선기술 무기등이 훨씬 앞서있는데다 삼국지와...

고구려.백제.신라... 군사수는?

... 삼국지 시대땐 늘상 전쟁이 일어났기 때문에 경제는... 최대 동원된 군대수와 ~ 제가 생각한 각나라최대 동원력.. 고구려 - 30 ~ 50만 백제 - 5만 ~ 20만 신라 - 5만 ~ 20만...

위 촉 오 가 정립된 시기의 우리나라는...

위 촉 오 가 확연하게 정립된 중원 삼국시대에 우리나라 (고구려 백제 신라)는 무엇을 햇나요 조조 가 213년에 위왕에 올라 구석을 받고 , 유비가 221년에 촉을세워 칭제하엿고...

우리나라삼국지와의 관계

... 백제 신라나라가 언급되었나요? 그당시 고구려위 촉 오 에게 적대적이었나요? 고구려백제가 그당시 위 촉 오 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나요? 좀 가르쳐주세요~ 삼국지를...

중국 삼국지 .. 시대에 우리나라는...

... 중국 삼국지가 있었던 ...시대는 우리나라 사국시대에 해당합니다. 고구려로 따지자면 제 10대... 그래서 완전히 등을 돌리게 되구요, 연나라 공손연을 토벌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