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조선시대 계급들이 쓰던 신발을 뭐라고하죠?

옛날 조선시대 계급들이 쓰던 신발을 뭐라고하죠?

작성일 2010.03.3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보통사람말고요.. 보통사람은 뭐 나막신이나 고무신, 짚신같은거 신었잖아요? 하지만 귀족들

 

은 보니까 군화같이생긴걸 신던데.. 외견상 모습으론? 그리고 멋도 있구..ㅎ_ㅎ 신기도 편한것처럼

 

보이구... 귀족들은 어떤 신발을 신었죠?


#옛날 조선시대 이름 #옛날 조선시대 옷 #옛날 조선시대 음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시대 상류계급 신발

조선시대 상류계급에서는 신발로 화(靴)를 허용하였고, 대표적인 신으로는 이(履)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문헌에 의한 화(靴)와 이(履)의 설명

 

1. 화(靴)

후당(後唐) 마고(馬稿)의 ≪중화고금주 中華古今注≫에는 조무령왕(趙武靈王)이 신목이 붙은

화를 처음으로 착용하였는데, 말탈 때 편리한 서호(西胡)의 것이라 하고 있다.

심괄(沈括)의 ≪몽계필담 夢溪筆談≫ 권1에도 활동에 편한 호복(胡服)이 북조(北朝) 이래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착용된 것으로 되어 있어, 화는 중국의 것이 아니고 호풍(胡風)을 수입, 모방해서

착용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 상대에 있어서는 고구려의 쌍영총(雙楹塚) 후실(後室) 북벽과 동벽 벽화의 구인행렬도

(九人行列圖) 가운데 3인이 화를 착용하고 있으며, 무용총(舞踊塚)의 벽화 무용도(舞踊圖)에는

백화를 신은 여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어 이미 당시에 화가 일반화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화는 수렵할 때를 제외하고는 주로 천인계급에서 착용된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때의 화는 삼국시대에서는 볼 수 없었던 화대(靴帶)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사기≫ 권33 복색조(服色條)에는 화대의 재료로 은문백옥(隱文白玉)·무노뿔·상아·놋쇠·철·

구리 등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화대의 귀금속장식이 유행하였음을 알려준다.

통일신라시대의 화는 귀족·평민을 가리지 않고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의 신종(神宗)이 화를 보내온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1품에서 9품까지 공복(公服)에 흑피화를, 당상관은 평상복에 협금화를 신는다는

기록이 ≪경국대전≫ 의장조(儀章條)에 있다.

조선 말기에는 흑피화 대신 목화가 많이 착용되었다.

흑피화는 이후에 목화로 대신하게 되었는데, 목화는 그 모양새가 흑피화와 흡사하여 반장화

(半長靴)와 비슷하고 목이 길면서 넓다.

장화 모양을 내기 위하여 발목까지 나무를 대었다.

바닥은 나무이고, 목은 전(氈), 가죽, 융, 금단(錦緞) 등으로 겉을 싸고 솔기에는 붉은빛의 선을 둘렀다.

 

 세종8년(1426년) 1월과 12년(1430) 5월에 무공과 7품 이하의 악공은 음악을 연주할 때 이외에는

신는 것을 금했으며 후에 목화로 대체되었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목화를 일정한 신분계급만 신도록 하였으며, 조선 중기와 후기에는

상복(常服), 말기에는 공복(公服) 차림에 신었다.

그러나 혼례와 같은 특별한 예식에는 서민들도 신었다.

 

 

2. 이(履)

목이 짧은 신의 총칭으로 혜(鞋)·비(扉)·구·극·석·갹답 등 모든 단요를 말하는 것으로 오늘날의

고무신과 비슷한 형태이다.

재료로는 혁(革)·포백(布帛)·사(絲)·마초(麻草)·금속 등이 쓰였다.

역사가 오래된 남방족계의 신으로,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 부여·마한에서 초리(草履)를 신었다는

기록이 《통전》 <변방동이조>에 나타난다.

고구려 때는 상류계급에서 황혁리(黃革履)를 신었고, 백제에서는 왕복에 오혁리(烏革履)를 신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화와 이가 병용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고려사》 《고려도경》에 의하면

초기에 이만을 사용하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화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의 종류로는 삼국시대의 황혁리·오혁리·피리(皮履)·혁리, 통일신라시대의 망혜(芒鞋)·피사리(皮絲履)·우피리(牛皮履)·금라리(錦羅履), 고려시대의 오혁영리(烏革鈴履)·오혁구리(烏革句履)·혁리(革履), 조선시대의 운혜(雲鞋)·당혜(唐鞋) 등이 있다.

 

조선시대는 인조 때 왕비 법복에 흑피화를 신었으며, 세종 때에는 왕세자 공복에 흑화를 신은

기록이 있다.

유물로는 조선 말 순종이 어렸을 때 신은 목화가 있다.

또한, 1품에서 9품까지 문무백관의 공복에 흑피화를, 당상관은 상복(常服)에 협금화(挾金靴)를

신었다는 기록이 ≪경국대전≫의 장조에 기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에는 흑피화 대신 목화가 많이 착용되었다.

 

옛날 조선시대 계급들이 쓰던 신발을...

... 보통사람은 나막신이나 고무신, 짚신같은거 신었잖아요? 하지만 귀족들 은 보니까... ◆조선시대 상류계급 신발 조선시대 상류계급에서는 신발로 화(靴)를 허용하였고...

조선시대 계급과 호칭 (내공 100)

... 양반들의 계급과 호칭 알려주세요. 양반의 딸이나 아들, 그 양반의 하인들 이런?) 2. 조선시대 집의 구조 3.... 옛날에는 자신을 뜻하는 '이쪽'이란 의미의 1인칭으로...

조선시대 양반 편지 말투

... 있어라 이런 느낌을 옛날 조선시대 양반들이 편지 주고받는 그 말투..? 느낌으로... 그떼부터 쓰던겁니다~ ㅡ 조선+고려+삼국시대+고조선~ 동일~ ㅡ 대명절+설과 추석도...

조선시대쓰던 물건좀..................

... 사회숙제로 조선시대 물건의 사진과 쓰임새를... (4) 물레 : 물레는 실을 뽑을 때 쓰던 도구입니다. (5) 맷돌... *짚신 옛날 사람들은 볏짚으로 신발을 만들어 신고 다녔다. 먼...

조선시대 계급

조선시대 때 전쟁터 나가는 장군(군인) 중에서 제일 높은 계급을 뭐라하죠 그냥 장군님이라 하나요 정1품:도제조(참모총장급) 종1품:제조(군사령관급) 정2품:도총관...

북한은 조선시대 어케생각함

... 반증이기도 하죠. 예를 어기면 가정에서부터 엄청난... 천민(賤民)은 고려, 조선 시대의 신분 계급 가운데 가장... 하였다.] 이건 아는 거니 넘어가구요. [이후 6.25 전쟁으로...

내공(有)조선시대 한옥만드는장인을...

... 됩니다 조선시대에 쇠로 연장을 만든다라 하면 대장쟁이. 나무로 뭘 만든다라 하면 대목쟁이 한옥 지을 대에 흙으로 벽을 바르면 토수(土手)쟁이. 무당을 당골내미. 신발을...

★★조선시대쓰던 물건 좀...

조선시대 사람들이 썼던 물건은 뭐가 있을까요? 알려주세요~ 장 신 구 필 낭 붓을 넣는... *짚신 옛날 사람들은 볏짚으로 신발을 만들어 신고 다녔다. 먼 길을 떠날 때는 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