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영역 사자성어

언어영역 사자성어

작성일 2012.02.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언어영역에서 자주출제되는사자성어
많으면많을수록 내공많이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작년도 EBS 교재에 실린 사자성어를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각골난망(刻骨難忘) : 은혜를 입은 고마움이 뼈에 깊이 새겨져 잊히지 않음

각골통한(刻骨痛恨) : 원한이 뼈에 사무쳐 잊히지 않고 깊이 한탄함

각주구검(刻舟求劍)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간난신고(艱難辛苦) :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

간담상조(肝膽相照) :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고 친하게 사귐

감탄고토(甘呑苦吐)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고 유리하면 하고 불리하면 하지 않는 이기주의적인 태도

갑남을녀(甲男乙女) : 평범한 남녀. = 장삼이사(張三李四) = 필부필부(匹夫匹婦)

갑론을박(甲論乙駁) :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박함

강구연월(康衢煙月) : 태평(太平)한 세상(世上)의 평화로운 풍경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거안사위(居安思危) : 편안할 때도 위태로울 때의 일을 생각하라는 뜻

격화소양(隔靴搔癢) : 신 신고 발바닥 긁기. 무슨 일을 애써 하기는 하나 요긴한 곳에 미치지 못하는 감질나는 마음을 비유하는 말

견강부회(牽强附會) :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

견리사의(見利思義)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결자해지(結者解之) : 매듭을 묶은 자가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이 일을 해결해야 함

고립무원(孤立無援) : 고립되어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

고육지계(苦肉之計) : 적을 속이기 위하여 자신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계책

고장난명(孤掌難鳴) :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고진감래(苦盡甘來)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

곡학아세(曲學阿世) : 자기가 배운 것을 올바르게 펴지 못하고 그것을 굽혀가면서 세속에 아부하여 출세하려는 태도나 행동을 가리키는 말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

괄목상대(刮目相對) :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생각보다 부쩍 진보한 것을 이르는 말

광음여류(光陰如流) : 세월(歲月)이 흐르는 물과 같이 빠름

교각살우(矯角殺牛) :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교언영색(巧言令色) :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

군웅할거(群雄割據) : ①많은 영웅들이 각각 한 지방에 웅거하여 세력을 과시하며 서로 다투는 상황을 이르는 말 ②여러 영웅이 세력을 다투어 땅을 갈라 버티고 있음

궁여지책(窮餘之策) : 궁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계책

권불십년(權不十年) : 권세(權勢)는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권력(權力)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함

권토중래(捲土重來) : 어떤 일에 실패한 후 힘을 가다듬어 다시 시작함

근묵자흑(近墨者黑) : 먹을 가까이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는 뜻으로,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한 말.

금란지교(金蘭之交) : 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

금상첨화(錦上添花) :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의야행(錦衣夜行) :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닌다는 뜻으로,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혹은, 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 : 비단옷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이르는 말

난공불락(難攻不落) : 공격하기가 어려워 쉽사리 함락되지 아니함

남부여대(男負女戴)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우외환(內憂外患) : 안의 근심 밖의 환난. 인간은 항상 근심 속에 살고 있다는 말

노심초사(勞心焦思) :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당랑거철(螳螂拒轍) :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다는 말로, 자기 분수를 모르고 상대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사물과 대적한다는 뜻

대경실색(大驚失色) :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변하는 것을 이르는 말

동량지재(棟梁之材) :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

동병상련(同病相憐) :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동분서주(東奔西走) :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동상이몽(同床異夢) :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①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②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 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 ③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두문불출(杜門不出) : 집 안에만 있고 바깥 출입을 하지 않음

막무가내(莫無可奈) :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

막상막하(莫上莫下) :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음

만대유전(萬代流傳) : 길이길이 전하여 내려옴

만사휴의(萬事休矣) : 만 가지 일이 끝장이라는 뜻으로, 모든 일이 전혀 가망이 없는 절망과 체념의 상태임을 이르는 말

망양보뢰(亡羊補牢)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망양지탄(亡羊之歎) :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망연자실(茫然自失) : 제 정신을 잃고 어리둥절한 모양을 이르는 말

망운지정(望雲之情) : 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객지에 나온 자식이 고향의 부모를 그리는 정을 가리키는 말

멸사봉공(滅私奉公) : 사(私)를 버리고 공(公)을 위하여 힘써 일함

명재경각(命在頃刻) : 거의 죽게 되어 곧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름

목불식정(目不識丁)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목불인견(目不忍見) : 차마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딱하거나 참혹한 상황

물아일체(物我一體) : 외물(外物)과 자아가 어울려 하나가 됨

박학다식(博學多識) :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반신반의(半信半疑) : ①반은 믿고 반은 의심(疑心)함 ②믿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의심(疑心)함

백골난망(白骨難忘) : 죽어도 잊기 못할 큰 은혜를 입음

백년대계(百年大計) : 먼 앞날까지 내다보고 세우는 큰 계획

백년하청(百年河淸) :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

백척간두(百尺竿頭) :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위태로움이 극도(極度)에 달함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부화뇌동(附和雷同) :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

분기탱천(憤氣撐天) : 분한 마음이 하늘을 찌를 듯 격렬하게 북받쳐 오름

붕정만리(鵬程萬里) : 전도가 양양한 미래, 또는 머나먼 노정

비분강개(悲憤慷慨) : 의롭지 못한 일이나 잘못되어 가는 세태가 슬프고 분하여 마음이 북받침을 일컫는 말

비일비재(非一非再) : 같은 일이 한두 번이 아님이란 뜻으로, 한둘이 아님

사고무친(四顧無親) :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

사면초가(四面楚歌) : 한 사람도 도우려는 자가 없이 고립되어 곤경에 처해 있음

삼순구식(三旬九食) : 30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

상전벽해(桑田碧海) :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변한다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변함을 비유한 말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선견지명(先見之明)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지혜

선풍도골(仙風道骨) : 선인의 풍모와 도사의 골격이라는 뜻으로, 남달리 뛰어난 풍채(風采)를 이르는 말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 격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연거푸 일어남

설왕설래(說往說來) : 서로 변론(辯論)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

섬섬옥수(纖纖玉手) : 가녀리고 가녀린 옥 같은 손이라는 말로,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

소탐대실(小貪大失) :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함

수구초심(首丘初心) :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수수방관(袖手傍觀) : ‘팔짱을 끼고 바라만 본다는 뜻으로, 간섭하거나 거들지 않고 그대로 버려 둠

수주대토(守株待兎) :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

순망치한(脣亡齒寒) :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말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뜻

식자우환(識字憂患) :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

심사숙고(深思熟考) : 깊이 잘 생각함

아전인수(我田引水) :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악전고투(惡戰苦鬪) : 매우 어려운 조건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고생스럽게 싸움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안하무인(眼下無人) :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암중모색(暗中摸索) : 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은밀한 가운데 일의 실마리나 해결책을 찾아내려 함

양두구육(羊頭狗肉) :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

여필종부(女必從夫) : 아내는 반드시 남편(男便)의 뜻을 좇아야 한다는 말

연목구어(緣木求魚) :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

연하고질(煙霞痼疾)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오리무중(五里霧中) : 오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하여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오매불망(寤寐不忘) : 자나 깨나 잊지 못함

오불관언(吾不關焉) :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함

오비삼척(吾鼻三尺) :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

오비이락(烏飛梨落) : 아무런 관계도 없이 한 일이 우연히 동시에 일어나, 다른 일과 관계된 것처럼 남의 혐의를 받게 됨을 비유하는 말

오합지졸(烏合之卒) : 까마귀가 모인 것 같은 무리. 질서 없이 모인 군중을 뜻함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 것을 익히고 나아가 새 것을 앎

와신상담(臥薪嘗膽) : 섶에 누워 쓸개를 씹는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이르는 말

우공이산(愚公移山) :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

위풍당당(威風堂堂) : 풍채(風采)가 위엄(威嚴)이 있어 당당함

유구무언(有口無言) : 입은 있어도 말은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거나 변명을 못함

유명무실(有名無實) :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음

유방백세(流芳百世) : 향기가 백대에 걸쳐 흐름이란 뜻으로, 꽃다운 이름이 후세(後世)에 길이 전함

유아독존(唯我獨尊) : 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유유상종(類類相從) :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은인자중(隱忍自重) : 마음속에 감추어 참고 견디면서 몸가짐을 신중하게 행동함

의기양양(意氣揚揚) : 뜻한 바를 이루어 만족한 마음이 얼굴에 나타난 모양

이심전심(以心傳心) : 말이나 글을 쓰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말로 곧 마음으로 이치를 깨닫게 한다는 뜻

이열치열(以熱治熱) : 열은 열로써 다스림. 곧 열이 날 때에 땀을 낸다든지, 더위를 뜨거운 차를 마셔서 이긴다든지, 힘은 힘으로 물리친다는 따위를 이를 때에 흔히 쓰는 말

이이제이(以夷制夷) :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으로, 한 세력을 이용하여 다른 세력을 제어함을 이르는 말

일거양득(一擧兩得)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일벌백계(一罰百戒) : 한 사람을 벌줌으로써, 만인에게 경계가 되도록 함

일패도지(一敗塗地) :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는 일어날 수 없게 됨

일편단심(一片丹心) : 변하지 않는 마음

일희일비(一喜一悲) : 한편으로는 기뻐하고 한편으로는 슬퍼함. 또는 기쁨과 슬픔이 번갈아 일어남

임기응변(臨機應變) : 그때그때 처한 뜻밖의 일을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하는 일

자가당착(自家撞着)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자격지심(自激之心) :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기의 언행으로 인하여 자신이 꼼짝 못하게 되는 일

자유자재(自由自在) :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자중지란(自中之亂) :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자초지종(自初至終) :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는 동안 또는 그 사실

자포자기(自暴自棄) :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한다는 뜻

장삼이사(張三李四) : 장 씨의 셋째 아들과 이 씨의 넷째 아들이란 뜻으로, 성명이나 신분이 뚜렷하지 못한 평범(平凡)한 사람들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절차탁마(切磋琢磨) :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절치부심(切齒腐心) :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

점입가경(漸入佳境) : 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조변석개(朝變夕改)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일관성이 없이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조삼모사(朝三暮四)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좌고우면(左顧右眄) : 좌우를 자주 둘러본다는 뜻이니, 무슨 일에 얼른 결정을 짓지 못함을 비유

좌불안석(坐不安席) : 자리에 편안히 앉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음에 불안이나 근심 등이 있어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함

좌정관천(坐井觀天) :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 ①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말함②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

좌충우돌(左衝右突) : 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주객전도(主客顚倒) : 주인과 손님, 앞뒤의 순서가 서로 뒤바뀜

주도면밀(周到綿密) : 자세하고 빈틈이 없음

죽마고우(竹馬故友) : 죽마를 타고 놀던 벗, 곧 어릴 때 같이 놀던 친한 친구

중과부적(衆寡不敵) :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는 뜻으로, 적은 수로는 많은 적을 대적하지 못한다는 말

지기지우(知己之友) : 자기를 가장 잘 알아주는 친한 친구

지록위마(指鹿爲馬) :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지이부지(知而不知) : 알면서 모르는 체함

진퇴양난(進退兩難)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차도살인(借刀殺人) :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음험한 수단을 이르는 말

천려일실(千慮一失) :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失策)이란 뜻으로, ①지혜(智慧)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수(失手)가 있을 수 있다는 말 ②여러 번 생각하여 신중(愼重)하고 조심스럽게 한 일에도 때로는 실수(失手)가 있음

천방지축(天方地軸) : 하늘 방향이 어디이고 땅의 축이 어디인지 모른다는 뜻으로, ①너무 바빠서 두서를 잡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 ②어리석은 사람이 갈 바를 몰라 두리번거리는 모습

천생연분(天生緣分) : 하늘에서 정(定)해 준 연분

천우신조(天佑神助) : 하늘이 돕고 신이 도움

천의무봉(天衣無縫) :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뜻으로, ①성격이나 언동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데가 없음 ②시나 문장(文章)이 기교(技巧)를 부린 흔적이 없어 극히 자연스러움을 이르는 말

청산유수(靑山流水) : 푸른 산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말을 거침없이 잘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

청천벽력(靑天霹靂) : 뜻밖에 일어난 큰 변고나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초록동색(草綠同色) :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같이 어울리게 마련이라는 뜻

촌철살인(寸鐵殺人) : 한 치밖에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인다는 뜻으로, ①간단한 경구(警句)나 단어로 사람을 감동시킴 ②또는 사물의 급소(急所)를 찌름의 비유

추풍낙엽(秋風落葉) :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落葉)이라는 뜻으로, 세력(勢力) 따위가 갑자기 기울거나 시듦을 이르는 말

측은지심(惻隱之心) : 불쌍히 여겨 언짢아하는 마음을 이름

침소봉대(針小棒大) : 작은 일을 크게 부풀려 말함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토사구팽(兎死狗烹) :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

표리부동(表裏不同) : 겉과 속이 다름

풍수지탄(風樹之歎) : 어버이가 돌아가신 다음에는 효도를 하려 해도 할 수 없다는 뜻

하석상대(下石上臺) :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혈혈단신(孑孑單身) :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호가호위(狐假虎威) :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의 비유함

혹세무민(惑世誣民) :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미혹하게 하여 속임

혼비백산(魂飛魄散) : 넋이 날아가고 넋이 흩어지다 라는 뜻으로, 몹시 놀라 어찌할 바를 모름

화룡점정(畵龍點睛) : 용을 그려 놓고 마지막으로 눈을 그려 놓음, 즉 가장 긴한 부분을 완성시킴

후회막급(後悔莫及) : 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

흥진비래(興盡悲來)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

언어영역 사자성어

언어영역에서 자주출제되는사자성어 많으면많을수록 내공많이드려요 작년도 EBS 교재에 실린 사자성어를 정리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을 가혹하게...

사자성어좀가르쳐주세요^^

... 혹시 언어영역에선 사자성어문제가 많이나오나요? 2. 1번이 해당이 된다면 언어영역에 많이 나오는 사자성어들좀 가르쳐주세요^^ 뜻도 같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1....

[예비고1] 언어영역에 관해서요.

... 사자성어예기가 나오는것은 언어영역 시험 지문등에서 한자나 속담등을 인용해 문제를 내기 떄문입니다. 예를들자면 'A와B는 만나기만 하면 심하게 다툰다. 이런경우를...

수능에 나오는 사자성어가 정해저...

정말 꼭 수능에 나오는 사자성어는 다적어주세요 안나오는거는 빼구요 그리고 언어영역 공부법좀.. 대체로 중요히 되는 사자성어는 시중에 많이 나와 있으니까 살펴 보세요...

언어영역이 최악입니다. 도와주세요!

... 다름이 아니오라 언어영역 때문인데요.. 제가 몇일전에 2004학년도 고1 6월 모의고사를... 책도 많이 읽고, 속독학원도 다녔고, 언어에 관심이 많아 사자성어나 용어같은것도...

2012수능보는 재수생 언어영역질문!

2012수능볼예정인 재수생입니당 지금 전체적인 커리큘럼을 짜고있는데요 언어영역이... 아, 그리고 제가 틀리는 부분은 사자성어나 어휘문제 아니면 고전문학 이나 현대시...

예비고1. 국어. 언어영역 공부에 대해서 ~

... 여기서 중요한 게 국어 상 · 하인데, 수능 모의고사에서 치르게 될 언어영역과... 사자성어(한자성어?)도 하루에 몇개 씩 해서 외울 예정인데요, 이 방법에 대해서...

언어영역 공부법...!!

... 국어공책을 만들어 어휘나 사자성어, 이론등을 정리.... 6. 1~5 항목 꾸준히 반복하기... 여기서 제가 질문하고 싶은게 또 있는데요, 언어영역 문제집은 자기 수준보다 어려운...

언어 영역 고득점 방법 없을까요?

... 그리고 비문학 같은 경우에는 사자성어는 필수적이므로 간간히 외워두는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사자성어는 반드시 출제됩니다) 언어영역이라 함은 우선 해당갈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