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많이 쓰이는 동사,명사 좀 알려주세요

일본어 많이 쓰이는 동사,명사 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8.08.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동사, 명사좀 알려주세요..

 

프린트해서 들고 다니면서 볼라고 하거든요..

 

부탁드립니다..


#일본어 많이 #일본어 많이 쓰는 한자 #일본어 많이 쓰는 표현 #일본어 많이 드세요 #일본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많이 쓰는 일본어 #많이 좋아해 일본어 #많이쓰는 일본어 단어 #한국인이 많이쓰는 일본어 #한국에서 많이쓰는 일본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너무 질문이 막연하고.. 질문자분의 수준을 알수 없지만..

우선 하나 올려드려 봅니다.

 

 

일본어 능력시험 필수 2급 문법인데요.

솔직히 동사나 명사는 들고다니시면서 보기엔 집중도 안되고

머리에도 안들어온답니다.

 

 

문법은 그냥 형태를 외우시면 되니

들고다니시면서 보기엔 딱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

 

 

1. ~について [~에 관하여;~에 대하여] 다루고 있거나 관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지시한다. 언어활동이나 사고에 관계되는 말言う,聞く,考える,書く,調べる등이 뒤에 오는 경우가 많다

 

2.~に關して․~に關する [~에 관하여․~에 관한] 다루고 있거나 관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지시한다. について보다 격식 차린 표현

 

3. ~に對して․~に對する [~에게;~을 상대로;~에 대하여․ ~에 대한] 동작이나 감정이 향해지는 대상을 나타낸다. 상대방에게 직접 동작이 미칠 때 사용한다 뒤에는 대립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 오는 경우가 많다.

 

4. ~にこたえて․~にこたえる [~에 따르도록; ~에 따라(부응하여)․~에 따른(부응하는)] [ ~ ]에는 질문, 기대 요청 등을 나타내는 명사가 온다

 

5. ~をめぐつて․~をめぐる [~을 논의나 논쟁의 중심점으로 하여; ~을 둘러싸고(~과 관련하여)․~을 둘러싼] 「~」을 중심으로 하여, 어떤 논의나 대립관계가 발생했는지 말할 때. 의견 의 대립 여러 가지 논쟁 ,논의 등의 뜻을 가진 동사가 뒤에 오는 경우가 많다.

 

6. ~向けに․~向けの․~向けた [~을 위하여;~용으로․~을 위한;~용의․~용이다] 「~에게 적합하도록」이라는 의미로 말하고 싶을 때.

 

7. ~にかかわる [~와 중요한 관계가 있는;~에 관계된;~에 관련된] 단순히「관계가 있다」는 뜻을 넘어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뜻으로 쓰인다.

 

8. ~ように [~라는 목적이 실현되기를 기대하여;~하도록] 소원․원망․목적을 나타낸다. [~]에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와는 무관한 동사 (의지를 내포하지 않은 동사나 가능의 뜻을 가진 동사) 가 온다.

 

9. ~上で [~하는 데에(있어서);~(상)에;~할 때]「~」라는 중요한 목적을 나타낸다.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이나 중요한 것 등을 나타내는 문장이 뒤에 온다. .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은 오지 않는다.

 

10. ~べく [~하려고(생각하여);~하기 위해] 어떤 목적을 가지고 그렇게 했다고 말하고 싶을 때. 의뢰. 명령. 사역을 나타내는 문장은 뒤에 올 수 없다.

 

11. ~んがため(に)․~んがための [~하려는 목적으로;~하기 위해․ ~하기 위한] 「반드시 실현시키고자 하는 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하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의뢰. 명령. 권유를 나타내는 문장은 뒤에 올 수 없다. 문어 적이고 격식 차린 표현.

 

 

13. ~によって․~による [~에 의하여;~로(써)․~에 의한]「~」라는 수단․방법 등을 통해 어떤 일을 행한 다고 말하고싶을 때. [~によって] 는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신변의 도구나 수단에는 쓸 수 없다.

 

14. ~によって [~에 의하여] 수동태 문장에서, 수동태 동사의 동작 주체를 나타낸다. 수동태 문장에서, 수동태 동사의 동작 주체는 보통 [ に ]로 표현되나, 문장의 주어가 생물 이외의 것으로 특정 동작주를 강조하고 싶을 때에는 [~によって]를 쓰는 경우가 많다.

 

15. ~によると․~によれば [~로는;~에 의하면;~에 따르면] 전해 들은 말이나 문장에서 그 내용의 출처를 나타낸다.

 

16. ~を通じて․~を通して [~을 수단으로 하여;~을 중간 매개체로 하여;~을 통하여] 어떤 일이 성사되거나 행해질 때, 그 매개나 수단이 되는 것 또는 사람을 나타낸다. [~を通じて]․[~を通して]는 거의 구별없이 쓰이나~を通じて는[~]라는 수단 매개로 인해 어떤 일이 성 사됨을 나타내며~を通して는[~]을 중간에 세워 어떤 일을 행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によって]보다 간접적인 표현.

 

17. ~もって[~으로;~로써] 「~」라는 수단․방법․재료를 이용하여 어떤 일을 행한다고 말하고 싶을 때. 일상 회화, 특히 신변의 구체적인 도구나 수단에 쓰이는 경우는 드물다.

 

18. ~をはじめ(として)․~をはじめとする[~을 첫째로 하여;~을 비롯하여․~을 비롯한] 대표적인 것을 예로 들어, 「그것을 비롯하여 그 밖의 것 모두」라고 말하고 싶을 때.

 

19. ~からして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에서부터;~부터가;~에서 시작하여] 「~をはじめ」와 의미 용법은 매우 비슷하나 「~ をはじめ」 는 대표적인 것을 예로 들어 그것을 포함 한 전체를 가리키는 반면,~からして는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 것을 굳이 지적하여,[그것부터가(그렇고 나머 지도)라는 뜻으로 부정적인 기분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20. ~から~にかけて [~부터~사이(에);~부터~에 걸쳐]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나타낸다. [~から~まで]는 시작과 끝이 분명하며, 그 동안 죽 같은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에 반해 [~から~にかけて]는 시작과 끝이 그다지 분명하지 않으며, 뒤에는 한번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연속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이 온다. 21. ~にわたって․~にわたる [~전체에~에 걸쳐서․~에 걸친] 장소․기간․어떤 사항 등이 어떤 범위 전체에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21. ~にわたって․~にわたる [~전체에~에 걸쳐서․~에 걸친] 장소․기간․어떤 사항 등이 어떤 범위 전체에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22. ~を通じて․~を通して[~동안 계속;~을 통하여; ~내내] 장소나 기간이 어떤 범위 전체에 미치는 것을 가리키며, 나아가 어떤 사항이 일정 기간 계속해서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を通して]는 적극적이며 의지가 담긴 내용의 문장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23. ~だけ․~だけの [~의 범위는 전부;~만큼․~만큼의] 정도․범위의 한계를 나타낸다.

 

24. ~かぎり․~かぎりの [~의 한계까지;~하는 한․ ~하는 한의] 정도․범위의 최고 한계를 나타낸다.

 

25. ~を皮切りに(して)․~を皮切りとして [~에서부터 시작하여․~을 시작하여(시초로)하여] 「~을 시작으로, 그 후에도 잇달아」라고 말하고 싶을 때.

 

26. ~に至るまで [~까지도;~에 이르기까지] 「일의 범위가 어느 단계에까지 이르렀다」고 말하고 싶을 때. 상한을 강조하는 표현이므로[~]에는 극단적인 의미의 명사가 온다. 문어적 표현

 

27. ~を限りに [~을 마지막으로;~을 끝으로]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일이 앞으로는 더 이상 계속되지 않게 됨을 나타낸다. [~의 한계까지]라는 뜻의 관용 표현도 있다. ex) 聲を限りに

 

28. ~をもって [~(으)로;~을 끝으로] 「~을 시점으로 일단 끊어서」라는 뜻. 공문서 나 인사말 등에 볼 수 있는 표현.

 

29. ~というところだ․~といったところだ [잘해야~다․기껏해야~다] 기껏해야 ~다, 잘해야~다,~이상은 아니다 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쓰는 표현이므로 [~]에는 그리 많지 않게 느껴지는 수량이 온다.

 

30. ~折(に)․~折の [~하는 기회에;~할 때(에)․~할 때의] 시간의 흐름 속에서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별한)때․기회․경우」를 나타낸다. [어떤 좋은 기회]에라는 뜻이므로 ,뒤에는 주로 긍정적인 내용이 온다 또 [~(の)折(に)]의 경우는 현재가 아니라 '앞으로 그 사태가 일어날 때에'라는 뉘앙스임에 주의

 

31. ~際(に)․~際の [~때에;~시에․~때의]

 

32. ~に際して [~할 때에;~에 즈음하여] 「어떤 특별한 일을 시작하는 시점에서」또는 「그 일이 진행중인 시점에서」라는 뜻으로,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때․상황을 나타낸다.

 

 

33. ~にあたって [~할 때에;~을 맞이하여] 「~」라는 특별한 때(시기)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나타내고 싶을 때.

 

34. ~ところ․~ところだ [막~하는 참․막~하는 참이다] 어떤 동작이나 현상의 진행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ところ] 앞에 오는 동사의 활용에 따라 각각 과거, 현재진행, 가까운 미래 등을 나타내게된다.

 

35. ~かける․~かけの․~かけだ [~하다 말다․~하다 만․~하다 말다] 어떤 동작을 하다 만 상태를 나타낸다.

 

36.~うちに [~하고 있는 사이에;~하는 동안에(중에);~하다 보니(보면)] 「~」하는 사이에, 처음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가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에는 계속성을 나타내는 말이 온다.

 

37. ~最中(に)․~最中だ [마침~하는 중에 ;한창~중( 에)․한창~중이다] 「마침~하고 있을 때」라는 뜻.

 

38. ~において․~における [~에서/~(에서)의] 어떤 일이 행해지는 때․장소․장면․상황을 나타낸다.

 

39. ~にあって [~에 (있어서)] 「~라는 특별한 사태․상황에 처하여」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 있는데]라고 하여, 뒷 문장과 역접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40. ~たとたん(に) [~했더니 바로 그 순간;~하자마자;~한 순간] [앞일이 끝남과 동시에 예기치 않던 뒷일이 생겼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앞일과 뒷일은 관련된 경우가 많다.

 

41. ~(か)と思うと․~(か)と思ったら [~하자 곧;~나 싶더니 곧 ;~와 거의 동시에] 앞일이 일어난 직후에 뒷일이 일어남을 나타낸다.

 

42.~か~ないかのうちに [~하자 동시에;~함과 동시에;~하자마자] 「앞일이 일어난 직후, 곧 뒷일이 생기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たとたん(に),

「(か)とおもうと,(か)とおもったら,

「か ないかのうちに」

는 실제사건을 묘사한 다는 점이 특징이므로 일반적 습관이나 필연적인 현상 잠재적 내지는 아직 일어나지 않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명령문, 의지문, 추측문, 부정문 등)이 뒤에 오는 일이 없다.

43.~次第 [~하면 바로;~하자마자] 앞일이 발생하면, 곧바로 뒷일을 하겠다는 의지를 전달하고 싶을 때 많이 쓴다.

 

 

44. ~が早いか [~함과 동시에;~하자마자;~와 거의 동시에] 「앞일이 생긴 직후, 뒷일이 생기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45. ~や․~や否や [~함과 동시에;~하자마자;~와 거의 동시에] 「앞일이 생긴 직후, 뒷일이 생긴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뒷일은 앞일에 반응해서 일어나는 예상 밖의 사건인 경우가 많다.

 

46. ~なり [~함과 동시에;~하자마자] 「~함과 동시에, 평소와는 다른 행동을 했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47. ~そばから [아무리~해도 곧;~하는 족족] 「(아무리)~하고 ~해도, 곧 뒷일이 생긴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48. ~てはじめて [~서야 비로소] 「~하기 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한 후, 그것이 원인이 되어 겨우 그런 상태가 되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49. ~上で․~上の [~하고 나서;~한 후에․~한 후의] 「~을 한 후, 그 결과에 입각하여 다음 동작을 한다」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50. ~て以來 [~한 후,계속;~한 이래;~한 이후] 「어떤 동적이 행해진 후 , 그 상태가 쭉 계속되고 있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한 번으로 끝나는 동사는 올 수가 없다.

 

51. ~てからでないと․~てからでなければ [~한 후가 아니면;~하지 않고서는] 「미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뒤에는 곤란, 불가능 등을 뜻하는 문장이 온다

 

52. ~うちに․~ないうちに [~하는 동안에․~하기 전에] 「~과 반대되는 상태가 되면 실현하기 어려워지므로, 그렇게 되기 전에」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쓴다.

53. ~に先立って~に先立つ [~하기 전에 그 준비로;~에 앞서․~에 앞선] [~에는 중요한 일 등을 나타내는 말이 온다.]

 

54. ~てからというもの [~한 이래, 쭉;~한 이후로] [~] 가 나중 상태의 계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 말하는 사람의 심정이 담겨있다.

 

55. ~―方だ [점점 더 ~해지다;(오로지)~할 뿐이다;~하기만 하다] 오로지「~」의 방향(대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만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에 접속한다.

 

同義異義語 77개 - (1~10)*******************************************************

 

1. あがる,のぼる : 오르다

아래로 부터 위로의 이동을 나타낸다.

 

1) あがる

 

① 순간적인 동작을 나타내며 이동한 목표점에 중점이 있다.

② 전체, 부분 어느 것의 동작에도 사용되고 또한 다른 것의 힘이나 의지에 의해 움직여지는 사물에도 사용된다.

 

2)のぼる

 

①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며 어떤 코스를 경유해서 서서히 이동하 는 경로에 중점이 있다.

② 자체의 이동(전체동작)이며, 또한 자력으로 이동하는 사물에 대 해 한정된다.

③ 무의지 적인 현상에도 사용 할 수 있다.

 

2. あつまる,むらがる,たがる : 모이다

 

1) あつまる

 

산재해있었던 同類의; 사물이 어느 목적이나 원인에 의해 일정한 곳 으로 모이는 행위나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우연히 같은 곳에 많은 同類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다.

 

① 모이는 주체가 셋 이상의 복수이어야 한다.

② 대상에 관계없이 모이는 장소만 지정해도 좋다.

③ 몇개 의 목적 또는 원인이 필요하다.

 

3. あまり,のこり : 나머지

 

1)あまり 지금까지 한것과 관계없이 일정한 기준을 넘은 부분에 대해 사용한다.

 

2) のこり 지금까지 사용한 부분에 대한 표현 * 그외의 「 あまり」는 접미어 적으로 「~남짓」「~한 나머지」 등의 뜻도 있다.

 

4. あらかじめ,まえもって,かねて,かねかね : 미리, 사전에, 전부터

 

1) あらかじめ 어떤 일을 일으키거나 일어나는 것에 대비하여 사전에 그 일을 알고 그것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로 미리 준비하는 시기보다 일의 대처에 중점을 둔다.

 

2) まえもって 「 あらかじめ 」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나 그 이전에 어떤 특정의 시점에 있어서 계획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3) かねて,かねかね 현재보다 과거의 어느 시기의 사항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의식 하 고 그것이 현재까지 계속되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5. いう,はな,かたる : 말하다

 

1) いう 내용에 관계없이, 언어 활동을 하는 것이다.

 

2) はなす,かたる 정리된 내용을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6.いじめる,いびる,さいなむ : 구박하다, 괴롭히다

 

1) いじめる 인간 동물 양쪽에 모두 사용하며 비교적 악의가 없는 기분이다

 

2) いびる 대상이 보통 인간에 한정되며 음험하고 악의가 있음을 나타낸다.

 

3) さいなむ 의미적 으로「いじめる」와 거의 동일 하나 그밖에 추상 명사가 주어가 되어 대상을 괴롭힌다는 이미로도 사용한다.

 

7. いちだんと,ひときわ,ひとしお : 한층, 더, 더욱

 

1) いちだんと 여러개 또는 특정의 두 개를 비교하여 한 쪽이 「 훨씬~하다 」의 경우에 사용한다.

 

2) ひときわ 두 개가 아니고 몇 개중「그 중에서 특히」의 경우에 사용한다.

 

3)ひとしお 「ひときわ」보다 가까우나「ひときわ」보다 의미가 한정되어있고 주로 감정적인 것을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8. いっょに,ともに : 함께

 

1) いっょに A와B를 一體化해서 하나의 전체를 간주할 때 사용 한다.

 

2) ともに A 는A, B는B로 각각 독립된 개별 존재이지만 가끔 시간과 상태에 있 어 양자가 공통점을 가지는 점에서 일괄하여 취급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9. いりみだれる,いりくむ : 뒤섞이다,뒤얽히다.

 

1) いりみだれる 둘 이상의 난잡한 상태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 하며 주로 동작 변화와같은 動的인 것을 나타낸다.

 

2) いりくむ 어떤 한가지가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주로 「 いりくんだ~」「 いりくんでいる 」의 형태로 상태를 나타낸다.

 

10.うつ,たたく,なぐる,ぶつ : 때리다, 치다

 

1) うつ, たたく 맨손 혹은 도구를 이용해서 대상에 타격을 가하는 것, 그결과 대상이 손상을 입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2) なぐる

① 인간이 인간이나 동물의 몸에 타격을 가하는 행위인데 주먹,막대기 등을 손에 쥐고 위로부터 아래로 휘두르거나 팔을 옆으로 휘둘러 상대의 몸에 맞히는 경우에 사용한다.

② 성나거나 미운 기분으로 상대에게 육체적으로 쇼크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에 사용한다.

 

3) ぶつ

① 상대에게 정신적인 쇼크를 주면 좋을 정도의 약한 충격이며 장난 삼 아 상대를 치는 경우도있다.

② 막대기 등을 이용해도 좋고 직접 손으로 행해도 좋다. 맨손의 경우는 당수와 같이 손바닥 또는 손가락 볼을 치는 행위이다.

11. うらやましい,ねだましい 다른 사람의 훌륭한 상태를 보고 동경하는 기분이다.

 

1) うらやましい

나도 훌륭한 상태로 이르고 싶다는 善意의 감정이다.

 

2) ねたましい

될 수 있다면 상대를 끌어내리고 내가 훌륭한 상태에 이르고 싶어 하는 惡意의 감정이며 상대를 질투하는 마음이다.

 

12. うれしい,たのしい,よろこばしい,

 

1) うれしい

자신이 기대하고 있던 상황 변화에 대해 느끼는 유쾌함을 나타낸다.

 

2) たのしい

자신의 행동을 통한 쾌감을 나타낸다.

 

3) よろこばしい

「うれしい 」와 거의 동일하나 대개는 타인에 대해 사용하며 또한, 주로 공식적인 인사말로 사용한다.

 

14.うろうろ,まごまご 본인이 어쩔 줄 몰라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1)うろうろ

1.제3자가 보아 목표도 없이 어물쩡 거리는 경우에 사용한다.

2.대개 돌아다니는 경우에 사용하며 그시간 은 길든 짧든 상관없다.

 

2)まごまご

돌아다니는 경우나 또는 앉은 채로 무언가를 찾아 여기저기 허둥지둥 대 는 경우에도 사용하며 그 시간은 대체로 짧다.

 

15.おこなる,さぼる,なまける,ずるける

 

1) さぼる,なまける,ずるける는 의도 .목적을 갖는다

 

 

2) おこたる

당연히 해야 할 것을 깜빡 잊었을 경우에 사용한다.

 

16. おそい,のろい 모두 [속도]가 늦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1) おそい : 시기, 시각, 속도, 등이 늦을 경우에 사용한다.

2) のろい : 속도에 한에서만 사용한다. のろい는 [にぶい] 와 비슷한 의미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17. おりる,さがる,くだる 모두(上)에서(下)로의 이동 변형을 나타낸다.

 

1) おりる

사람 또는 그 이외의 것이 이동하여 아래에 올 때 사용한다

2) さがる

동작으로서가 아니고 객관적으로 위치가 아래에 위치하게 될때 사용한다. 따라서 동작이 아닌 현상은 「おりる」를 사용 할수없다.

3)くだる

어떤 코스를 경유하여 서서히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계속 적인 기분의 경우에 사용한다.

 

18. かう,かいとる,かいこむ,購入する,あがなう: 사다, 사들이다

 

1) かう

가장 폭넓게 사용하며, 추상적인 권리나 사물, 사람에 대한 평가를 할 경우에도 사용한다.

 

2) かいとる

「 かう 」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특히「소유권 이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3) かいこむ

상당량의 물건을 사는 경우나, 본인에게 특별히 가치가 있는 것을 구입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4) 購入する

형식적, 공적, 양적, 금액 적으로 액수가 큰 경우에 사용한다.

 

5) あがなう ?BR>?かう 」와 동일한 의미로 雅語로 사용한다.

 

19. かえる,もどる: (본래의 곳(위치)으로) 돌아(오)가다. 본래의 위치, 최초의 출발점으로 의 이동을 의미한다.

 

1) かえる

도착이라는 면보다 원래 위치로 출발(되돌아간다)한다는 면에서 중점을 두고 사용한다.

 

2) もどる

원래 위치로의 이동보다 도착에 중점을 둔다.

 

20. かくれる,ひそむ : 숨다

 

1) 隱れる : 의지적․무 의지적 인 경우 모두 사용하며, 생물, 무생물에도 사용한다.

 

2)ひそむ : 의지적인 동작에만 사용하나 추상적인 것에 대해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는 무 의지적 이 된다.

 

21. かける, はしる : 달리다

의미는 거의 동일하며 「かける」가 약간 구어 적이라고 할 수 있다.

 

1) かける

목적지에 도달하는 속도의 빠르기보다 분발하여 "가능한 한 서둘러 가려는" 의미를 갖고 있다.

 

2) はしる

① 다리․차 등 주행 수단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빠른 이동에 사용된다.

② 속도가 느린 경우와 자신이 주행수단을 보유하지 않은 경 우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

 

22. かさなる : 겹치다, 중복되다

 

1) かさなる

: 물체, 영상, 시간적으로 계속 발생하는 사건 등에 대해 사 용하며, 가장 활용 범위가 넓다.

: 영상이나 사건 (특히 동일한 시간에 2가지의 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에 한해) 에 사용한다.

: 말하고 있는 결론이 동일하여 듣는 사람으로서는 시간 낭 비만 했을 경우에 사용한다.

 

2) 「かさなる?br> : 는 일상어, 「する」는 문장어 「る」는 속어적으로 쓰 인다.

 

23. かよわい,ひよわい,よわよわしい : 허약하다, 가냘프다

 

1) よわよわしい

: 주로 외관, 모습 등에 중점을 두며 사람, 동물 외에 「よわよわしいやなき」와 같은 경우에도 사용한다.

2) ひよわい

: 주로 사람에게만 사용하며 실제로 몸이 약하여 금방 병에 걸릴 것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3) かよわい

: 외관․모습에 중점을 두며 주로 「かよわい女性」와 같은 고정된 문구에 사용된다.

 

24. から,からっぽ,うつろ,がらんどう : 빔, 공(空) 모두, 속이 비어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1) から,からっぽ

: 건물, 탈것, 그릇 등의 속에 아무것도 없는 것을 의미한다.

 

2) うつろ

: 주로 나무 속이 썩어 속이 비어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3) がらんどう

: 상당히 많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것이 비어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4) うつろ는 비유적으로 「うつろな目」등과 같은 표현도 있다.

 

25. かれる,しおれる,しぼむ,しなびる : 시들다, 마르다

 

1) かれる

:식물이 생명을 잃어, 완전히 말라버린 상태의 경우에 사용한다.

 

2) しおれる

:「かれる」의 상태까지는 가지 않은 것으로 물기가 적어져 생기를 잃은 경우에 사용한다.

 

3) しぼむ

: 꽃 등이 저녁에 오므라들었다 아침에 피는 경우로 물기․생기 등과는 관계없다.

 

4) しなびる

: ① 동물․식물 등에 널리 사용하며 물기가 없어 오므라들거 나 주름이 잡히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い

② 때로는 무생물에도 사용한다.

 

5) 「かれる」는 이외에 「木がかれる」「聲がかれる」등과 같은 용법이 있고 또한 「しおれる」는 「의기소침하다」라는 뜻이 있다.

 

27. きめる,さだめる,決定する: 정하다, 결정하다

 

1) きめる

: 公的, 개인적 양쪽에 모두 자유롭고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2) だめる

: 주로 公的으로 결정하는 경우, 즉 국가의 태도, 방침, 정책 등에 사용된다.

 

3) 決定する

: 규약 등을 결정하는 公的인 것에 있어서 여러 가지 논란 끝에 최종적인 순간에 정해진 것에 초점이 있는 반면 「さだめる」는 단지 규약을 만들었다는 의미에 불과하다.

 

28. 急に,にわかに,いきなり,やにわに : 별안간, 갑자기

 

1) 急に,にわかに

: 의지적, 무 의지적 동작 모두에 사용할 수 있고 "지금 곧(즉시) 당면하여 짧은 시간에"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2) いきなり,やにわに

: 의지적인 동작에만 한정하여 사용하며 「いきなり」는 약간 침착하지 못한 느낌을 준다.

 

29. くぎる,しきる : 단락짓다, 구획하다

 

1) くぎる

: 단순히 대상을 분할하는 경우를 말한다.

 

2) しきる : 공간적으로 칸막이 등을 만들어 나누는 경우에 사용한다.

 

30. くらし,生活 : 생활

 

1) くらし

: 주로 경제 생활 수준과 관계하여 말할 때 사용한다.

 

2) 生活 : 삶 전체에 대해 관계한다.

 

31. 心がけ,心がまえ : 마음가짐

 

1) 心がまえ : 어떤 사건을 예상하여 이에 대한 정신적 준비를 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2) 心がけ : 특정한 사건에 대한준비라기보다 일반적인 정신 태도를 의 미 한다.

 

32. このごろ,近ごろ,最近 : 최근 요즘 일정의 상태가 계속된다는 데에 공통점이 있다.

 

1) このごろ

① 날(日)을 단위로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② 과거에 일어난 사항에 대해서 사용 할 수 없다.

 

2) 近ごろ

① 月이나 年을 단위로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② 1회 한정의 순간적 사건에 대해서도 드물게 사용하나 「最近」보다는 적합하지가 않다.

 

3) 最近

① 시간 단위의 폭이 가장 넓다.

② 1회 한정의 순간적 사건 (과거의 한 시점)에 대해서는 가장 적합한 표현으로 사용된다.

 

33. こむ,たてこむ,ごったがえす : 붐비다

 

1) こむ : 전철, 집, 거리등 일정공간에 많은 사람이 꽉 차있는 것을 의미한다.

 

2) たてこむ : 사람이 많이 모여 복잡한 것 외에 건물이 가득 들어선 것이나 일이 바쁜 상태를 나타낸다.

 

3) ごったがえす : 「こむ」에 가까우나 단지 사람이 모여 있을 뿐만 아니라 어수선하게 움직이고 있는 모양을 말한다.

 

34. こわれる,くずれる,つぶれる : 무너지다, 개지다, 찌부러지다

 

1) こわれる : 형태가 있는 것이 그 고유의 형태를 잃어버리는 경우인데, 책상, 자동차 그릇 등의 도구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가많다.

 

2) くずれる : 물체보다 물질의 집합이 조직, 질서를 무너뜨릴 때 사용한다.

 

3) つぶれる : 도구, 물질의 집합 양쪽에 모두 사용하나 어느 정도 평범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35.さけぶ,わめく : 부르짖다,고함치다

 

1) さけぶ:

① 意識的 내지는 반사적으로 큰소리를 낼 때 사용하는데 놀람, 감탄, 공포, 기쁨, 낙담 등에 대한 반사적인 작용이다.

② 일정하지 않은 다수의 상대 또는 조금 거리를 두고 있는 상대 방에 대해서 격한 감정이나 강한 욕구를 터트릴 때 사용하며, 또한 무엇인가 의견을 세상에 강하게 주장하는 행위에도 사용된다.

 

2) わめく :

① さけぶ」는 불짖는 이유와 동기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 「わめく」는 동기가 뚜렷하지 않고, 표출하는 말에 내용이 없고, 함부로, 큰고리로 떠들어대는 뉘앙스가 강할 때 사용된다.

 

3) なきわめく :「なきさけぶ」와 같이 「なく」는 어느쪽에나 붙을 수 있다.

 

1) こわれる : 형태가 있는 것이 그 고유의 형태를 잃어버리는 경우인데, 책상, 자동차 그릇 등의 도구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가많다.

 

2) くずれる : 물체보다 물질의 집합이 조직, 질서를 무너뜨릴 때 사용한다.

 

3) つぶれる : 도구, 물질의 집합 양쪽에 모두 사용하나 어느 정도 평범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36. さわる,ふれる:닿다, 손을 대다 사람과 사물이 접촉하는 경우?동일하게 서용하며 문법적으로 다음과 같이 두가지 형태가 있다.

 

1.手でものにさわる(ふれる). 2.ものが手にさわる(ふれる).

 

1) ふれる:1.대상이 고체, 액체, 기체, 전류. 빛 등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1) こむ : 전철, 집, 거리등 일정공간에 많은 사람이 꽉 차있는 것을 의미한다.

 

2) たてこむ : 사람이 많이 모여 복잡한 것 외에 건물이 가득 들어선 것이나 일이 바쁜 상태를 나타낸다.

 

3) ごったがえす : 「こむ」에 가까우나 단지 사람이 모여 있을 뿐만 아니라 어수선하게 움직이고 있는 모양을 말한다.

 

2.물건과 물건의 접촉일 때도 사용할수 있다.

 

2) さわる:

1.대상이 고체,액체인 경우에만 사용한다.

2.물건과 물건과의 접촉일 때는 단지 물건이 사람의 연장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37. しずむ,もぐる : 가라앉다, 잠겨들다

 

1) しずむ : 자발적, 의지적인 경우에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는 자연스럽게 가라앉을 때에 사용한다.

 

2) もぐる : 오직 자발적인 경우에만 사용하며 또는 숨기위해 안(밑)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사용한다.

 

3) 「しずむ」는 그외에「(해․달)지다」「시달리다」「(슬픔에)잠기다」 등의 뜻이 있다.

 

38. にじむ,しみる : 배어들다, 번지다

 

1) にじむ :

① 視覺的인 것에만 한정되어 사용한다.

② 속도가 느린 느낌이다. ?br> 릉했脆욱?И岡릉胥뮌?경우 「しみる」보다 「にじむ」가 사용된다.

③ 「のため外燈がにじんで見える」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2) しみる : 시각적인 것이든 시각적이 아닌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39. じょうぶ,健康, たっしゃ : 건강함, 튼튼함 사람과 동물의 몸의 상태를 나타낼 때는 모두 사용한다.

 

1) じょうぶ :

①계속 근무해도 피로하지 않다든가 날씨가 갑자기 바뀌었는데도 아프지 않다든가 하는 등의, 저항력이 강하다는 의미를 나타날 때 사용한다.

② 물건이 단단하여 부서지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한다.

 

2) 健康 : 아프지않다는 뜻을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하며 정신 상태의 가치 판단으로서도 사용한다.

 

3) たっしゃ :

① 「健康」에 가까우나 어린이에 대해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② 단지 튼튼하다는 뜻 이외에 「걸음이 빠르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たっしゃ」는 그외에 「능숙함」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40. すばらしい,すてきな : 멋진, 근사한

 

1) すばらしい : 내용이나 질의 분석적 판단에 의거하여 上等品일 경우에 사용하며, 따라서 돈이 적게 드는 것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즉 「すばらしい」라고 사용하면 우스꽝스럽다.

 

2) すてきな : 내용이나 질의 분석적 판단과는 관계없이 외견상 멋지고 마음에 드는 경우에 사용하며, 따라서 돈이 안드는 작은 물건이라도 외견상 보기 좋으면 된다.

 

3) 「すばらしい洋服だね!」와 「すてきな洋服だね!」

 

① 前者의 경우 결혼 의상, 이브닝 드레스 등을 연상시킨다. 즉 「すばらしい」는 웬지 쑥스러울 정도의 호화로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② 後者의 경우 반드시 값 비싸고 호화스러운 것이 아니라도 좋다. 세련되고 센스있는 느낌을 주는 것이라면 「すてき」라 할 수 있다.

 

4) 「すばらしい先生」와 「すてきな先生?/font>

 

前者의 경우는 학문이나 교육 기술에 감복했을 때 사용하고 後者의 경우는 용모가 잘생겼다든가 복장 등 외견상의 모습이 멋있는 경우 사용한다.

 

 

41. する,なす,やる : 하다 「하다」의 중심적인 의미로서는 동일하다.

 

1) する : 변화시키는 의미와 자동사로서의 用法이 있다. 2) なす : 변화시키는 의미와 그 외에 「作る, 形作る」의 뜻이 있다. 3) やる : 「 える」의 뜻이 있고, 관용구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42. 相談, 打合せ : 협의 둘 다 앞으로의 계획, 방침을 세우기 위한 행동이다.

 

1) 相談 :

① 사용범위가 넓어 「打合せ」와 동일한 상황의 경우도 좋고 제 3자의 의견을 들을 경우에도 사용한다.

② 구체적 내용도 좋으나 좀 더 대략적으로 5년후, 10년후 등의 내용에 대한 협의, 또는 여행을 갈까 말까 하는 단계에서도 사용한다.

 

2) 打合せ : 무언가를 하는 당사자들만 모여 구체적 내용을 결정할 때에 사용한다. 그러므로 의견 조정의 뉘앙스가 있다.

 

43. そば,ちかく,わき,かたわら,ほとり : 근처, 옆, 곁

 

1) そば : 거리의 차이가 적다는 점은 「ちかく」와 같으나 「ちかく」보다 좀더 가까우며 기준이 되는 쪽을 중심으로 말하고, 전후 좌우의 경우가 많다.

 

2) ちかく : 사물이 있는 위치, 시간, 가치 등의 기준에서 그다지 멀어져 있지 않을 때에 사용한다.

① 거리의 간격(명사적으로 쓰여서)

② 시간의 간격(부사적으로 쓰여서)

③ 수량의 차이(접미어적으로 쓰여서)

 

3) わき :

① 주체가 되는 것 (立體的인 것)의 좌 우측을 가리킨다.

② 「そば」보다 더욱 가까이 붙어 있어 사이에 다른 것이 없을 경우에 사용한다.

 

4) かたわら : 주체가 되는 것의 좌우에 있는 경우이며 「わき」「そば」와 거의 동일하다.

 

5) ほとり : 時語에 가까운 품위있는 말이고, 강, 바다, 호수 등의 물 옆에 한해서만 사용한다.

 

44. たえる,こらえる,しのぶ,がまんする : 참다, 견디다 사람에 대해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 たえる: 물건에 대해서나 또는 고통스러운 일을 참을 때에 사용한다.

 

2) こらえる : 자연히 그렇게 되는 듯한 생리적 현상을 억제할 경우에 사용한다.

 

3) しのぶ : 배가 고픔, 아픔, 부자유, 가난 등 내적인 것에 대해 주로 사용한다.

 

4) がまんする : 「たえる」와 같이 고통스러운 일을 참을 때 사용한다.

 

45. たす,くわえる,つけくわえる,追加する : 더하다, 추가하다. 모두「AにBを~」의 꼴로 사용할 수 있고 같은 물질에 같은 것을 더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1) たす :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물질을 부족부분 많큼 충당 시키는 것으로「AにBをたす」와 같이 사용한다. 여기서A와C는 同類가되며 한 방울도 없는 스토브 탱크에 석유를 새롭게 넣는 것은「たす」가 아니고「いれる」이다.

 

2) くわえる :

① 하나의 물질에 다른 물질이 새롭게 더해지는 것으로 「たす」와 같은 補充意識이 아니고 追加의식, 合算의식이다.

② 한 물질에 다른 이질 적인 것을 더할때에는「くわえる」 만 사용한다.

③ 인간을 대상으로 표현 하는 경우에도 사용한다.

 

3) 追加する : 「くわえる」와 같이 인간을 대상으로 표현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수있다.

 

46. だます,ごまかす : 속이다

 

1) だます : 사람을 속일 때에만 사용하며 어떤 내용(사항)을 속일 때는 사용할 수 없다.

 

2) ごまかす : 사람을 속일 때에도 사용하며 또 어떤 내용(사항)을 속일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だます는 달래다 의 뜻이 ごまかす는 얼버무리다 의 뜻이 있다.

 

47. ちがう,ことなる,相違する : 다르다 모두 어느 특정 대상을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 사용한다.

 

1) ちがう : 어떤 기준이 되는 것과 맞지 않을 때, 그리고 그 기준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ちがう」의 내용이 나뉘어진다.

 

① AとBはちがう

② AはBとちがう

③ Aがちがう

 

2) ことなる : 「ちがう」의①, ②의 비교만을 나타내고③의「正しくない」의 뜻은 없다. 相違する : 「ことなる」와 거의 동일하며 관용적인 「案に~て」와 같은 것에는 「相違する」밖에 사용할 수 없다.

 

3) 「ちがう」는 틀리다 의 뜻이 있으며 또한 부정적인 의식이 속에 내재해 있으나 「ことなる」는 단순한 비교의식이다.

 

48. ちかつく,ちかよる,せまる : 접근하다, 가까이가다, 다가오다

 

1) ちかつく :

① 공간적인 접근 일때는 「ちかよる」와 같이 사용하는 데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을 때는 ちかつく쪽이 더 적합하다.

② 시간적 접근을 나타낼 때 「せめる」와 같이 사용한다.

③ 상호 간격이 접근하는 것을 객관적으로 표현한다.

 

2) ちかよる :

① 공간적인 접근일 때는「ちかつく」와 같이 사용하며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지않을 때 사용한다.

② 한 쪽이 다른 한쪽에 능동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3) せめる :

① 「ちきつく」와같이시간적접근을나타내지만「せめる」 는 긴장한 상태로 시간이 다가올 때 사용한다.

② 어떤 압력이 가해져 온다는 의미도 있다.

 

49. 力いっぱい,精いっぱい : 힘껏 정신적인 노력을 하는 경우에도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1) ちからいっぱい :

① 육체적인 힘나타내는데는「ちからいっぱい」만 사용한다.

② 술어로는 사용할수없다.

 

2) 精いっぱい :

① 「力いっぱい」보다는 자신의 精力을 있는 한 모두 사용한다는 뉘앙스를 동반한다.

② 그외에 어느 분량의 한계까지 물건 따위를 운반하는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力いっぱい」는 사용할수 없다. ③ 술어로는 사용할수없다.

 

50. ちり,ごみ,くず,ほこり,かす : 미세한 입자.

 

1) ちり : 대기 중의 미세한 입자를 말한다.

 

2) ごみ : 빗자루로 쓸어 모아 버리는 것. 그리고 요리 찌꺼기를 의미한다.

 

3) くず : 종이 조각, 천 조각, 대패밥, 요리 찌꺼기를 의니한다.

 

4) ほこり : 책상 위나 선반 위에 쌓인 입자를 의미한다.

 

5) かす : 수분 등을 짠 나머지, 그리고 액체 밑바닥에 쌓인 불순물을 말한다.

 

51. つまれる,くたびれる : 지치다

 

1) つかれる : 극도의, 또는 장시간의 노동이나 긴장의 결과 체력을 소모하여 근육이나 육체가 나른 해진다든가 기분이 저하되어 몸이나 머라를 움직일 기분을 상실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2) くたびれる : 육체적인 피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まちくたびれる와같이 정신적인 권태감에도 사용한다.

 

52. つく,とどく,到着する : 도착하다, 닿다.

 

1) つ く:사람, '타는 것, 짐 등 여러가에 사용된다.

 

2) とどく:짐, 편지 등에 사용되며 단, 사람이 파견되는 경우 사람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3) 到着する:

①사람, 짐 등에 사용된다.

②뻗어나가는 의미에 대해서는「到着する」를 사용할 수 없다.

 

4) 그 외에「つく」는「앉다」의 뜻이,「とどく」는 「(소원 따위가)」이루어지다」의 뜻이 있다.

 

54. つくる,こしらえる:만들다 구체적인 사물, 물건이나 추상적인 것에는 거의 같이 사용한다.

 

1) つくる: 손을 대어 이쪽이 의도하는 대상을 만들어 가는의식인 행위로, 새롭게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變形作業이며 인간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2)こしらえる:

① 겉표면을 정돈하여 보기 좋게 하는 것이므로 「의지적으로 연구하여 만든다」라는 의미가 된다.

② 무의지적인 현상, 즉 자연 발생적인 현상이나 상태변화, 자연이 만들어 내는 사물(농작물 등)은「こしらえる」로 표현 할수 없고「つくる」로 표현해야 한다.

 

55. てれる,はにかむ:수줍어(부끄러워) 하다, 거북해 하다

 

1) てれる:「はにかむ」보다 陽性으로, 부끄러워하는 기분이 행동에 적극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된다.

 

2) はにかむ:「てれる」에 비해 陰性이며 부끄러워하는 행동에 조심성이 많을 때 사용된다.

 

3) 예를 들면, 많은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될 때에 머뭇머뭇 하고 고개를 숙이며 좀처럼 입을 열지 않는 것은「はにかむ」이며, 같은 상황에서 「よわいんで....」라든가, 무엇인가 말을 하고 땀을 닦거나 또는 머리를 긁적거리기도 하고 혀를 내밀기도 하는 것은 「てれる」이다.

 

56.どうぞ,どうか,なにとぞ:부디, 아무쪼록, 제발

 

1) どうぞ:

① 2인칭의 상대에게 어떤 행위를 요구하는 말인데 그 대상이神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사람으로써 정중히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②허락, 권유, 부탁 등에 사용된다.

 

2) どうか:

① 상용하는 대상 은 他人인데 특정 인물이 아니며, 상대를 의식 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② 자신을 위해 어떤 유리한 사황이 실형 되는 것을 희망 하는 말이며 2인칭의 상대에 대해 사용하면 「どうぞ」 와 의미가 같다.

 

3) なにとぞ:지극히 정중한 표현으로서 예의 바른 인사말에 첨가되어 희망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4) 그 외에 「どうか」는「어떻게든」의 뜻과「どうかする」 「とうかなる」의 꼴로「좀 이상하다」의 뜻이 있다.

 

57.どう,どんなに,どのように,いかに:어떻게, 아무리

 

1) どう:「어떠한 방법으로」라는 수단의 의미와 假定의 뜻을 나타낸다. どんなに: 「程度」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2) 「どう考えてみても...」 와 「どんなに考えてみても...」 前者는 「어떠한 방법으로 생각해 보아도 ...」의 뜻이 되며, 後者는 「어느 정도 생각해 보아도 .......」 의 뜻이 된다.

 

3) どのように, いかに : 「どう」의 뜻으로도 「どんなに」의 뜻으로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58. とぐ,みがく : 닦다, 갈다

 

1) とぐ :

① 刀物(날붙이)를 날카롭게 하는 것이다. 「刀を とぐ」칼이 잘 들도록 한다는 의미

② 날붙이 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단 「米を とぐ」와 같이 「씻다」의 의미로서 사용할 수 있다.

③ 「鏡をとぐ」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것은 근세기 말까지 사용되었던 오래된 금속제 거울이 경우이고 일반적인 「」에는 「みがく」를 사용한다.

 

2) みがく :

① 윤이 잘 나도록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刀をみがく」- 칼이 잘 빛나도록 한다는 의미

② 날붙이 외에는 모두 사용하며, 추상적인 뜻으로 「연마하다」의 의미로 사용한다. 시험에 모두 합격 하길 빌면서

 

59. どける,のける : 치우다, 제거하다

 

1) どける :

① 주로 물건을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사용된다.

② 논리적으로 어느 범주내에 넣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속어적인 표현이다.

 

2) のける :

① 논리적으로 어느 범주 내에 넣지 않을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② 구체적인 이동에 「のける」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은「どける」에 비해 품위 있고 상냥한 느낌을 준다.

 

3) 「はらいのける」「とりのける」등의 복합어에는 「どける」를 사용할 수 없다.

 

60. とっくに, とうから, つとに:벌써, 훨씬전에, 일찍

 

1) とっくに:과거 어느 시점에 일어난 사건에 대해 사용한다.

 

2) とうから:「とっくに」에 대립하여 과거의 어느 시점부터 현재까지 계속 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3) つとに:「とっくに」「とうから」와 같은 의미이지만, 문어적 표현이어서 일상 생활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4) 그 외에도 「つとに」는 「아침 일찍」「젊은 때 부터」의 뜻이 있다.

 

 

61.留(ま)る, とどまる:머물다, 멎다

 

1) とまる : 움직이는 것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활동 일반에 대해 사용한다.

 

2) とどまる : 이동이나 변화를 않고 머물러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 예를 들면, 「世界一週の途中, かれはドイツにとまって(とどまって)いた」에서는 移動을 시작한 후 그것이 경우이므로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으나 「金さんは外國旅行にいきたいといいながらまだ韓國なとどまってい」에서는 처음부터 한국에 있었기 때문에「とまっている」로는 사용할 수 없다.

 

62. なおす, あらためる:고치다, 개선하다

 

1) なおす:

①부서진 물건을 본래 대로 할 경우에 사용한다.

②추상적인 것에 대해서도 사용하는데 이것은 틀린 것을 바른 상태로 하는 경우이다.

 

2) あらためる : 추상적인 것에만 사용하는데, 이것은 틀려있지 않아도 質的으로 다른 즉, 새로운 것으로 바꾸는 경우에사용한다. 어휴 힘들다. 힘들어 잠도 고프고.......

 

63. なくす,うしなう : 잃다, 분실하다 無意志的인 경우에 둘 다 사용된다.

 

1) なくす :

① 意志的인 경우-본인에게 있어서 그 존재가 바람직 하지 않다고 인식되는 경우이며 주로 추상적인 대상에 대해 많이 쓰인다.

② 無意志的인 경우-타인이나 자연의 힘에 의해서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소멸 또는 박탈 당하는 것으로 "어쩔 수 없다" 라는 무저항의 자세일 경우를 의미한다. 能力試驗은 배先生へ

 

64. なめる, しゃぶる, : 핥다

 

1) なめる : 혀끝으로 쓰다듬거나 어루만진다거나 비비는 것이며 또는 그와 같이 맛을 볼 경우에 사용하는데 대상이 입속에 있거나, 입 밖에 있어도 상관없다.

 

2) しゃぶる : 일반적으로 딱딱하고 단단한 것, 쯕 얼음 사탕, 뼈, 엿등과 같이 입속에 있어도 쉽게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만 사용된다

 

65.似合う,ふさわしい : 어울리다, 잘맞다

 

1) にあう : 단순히 객관적으로 外面的 調和가 이루어졌을 때에 사용한다.

 

2)ふさわしい : 價値的, 質的으로 적합한 상태를 나타내므로 價値評價에 중점을 둔다.

 

3)「似合う洋服」와「ふさわしい服裝」 前者는 입는 사람의 외모에 잘 어울린다는 의미이고 後者는 입는 외모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지위에 비추어 보아도 옷이 잘 어울린다는 의미이다.

 

66.ねこむ, ねいる, ねつく : 잠들다

 

1) ねこむ : 깊은 잠 속에 빠져 있을 때에 사용한다.

2) ねつく : 막 잠이 든 경우에 사용하는 데 어린이에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ねいる : 「ねこる」「ねつく」양쪽에 사용할 수 있다. 보느라고 힘들죠

 

67. のりあわせる,同乘する : 함께 타다, 동승하다

 

1) のりまわせる : 우연히 함께 탄 경우에만 사용하므로 약속해둔 친구와 함께 타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2) 同乘する : 가장 평범한 말로 표현하면 「いらしょにのる」라는 의미로서 의도적이든 우연이든 상관없이 사용된다.

 

68. はぐ,むく : 벗기다

 

1) はぐ :벽에 붙어 있는 종이나, 입고 있는 옷 또는 몸의 부분에 대해 사용하며 붙어 있는 것을 분리한다는 것에 중점이 있다.

 

2) むく : 과일 껍질, 계란 등 내용물의 껍질을 벗길 때 사용한다.

 

69. はじめる,とりかかる,着手する : 시작하다, 착수하다

 

1) はじまる : 일, 놀이, 무의식적인 동작, 무생물 등에 사용한다.

 

2) とりかかる : 인간의 의식적인 동작 중 「일」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사용한다.

 

3) 着手する : 「とりかかる」와 같이 「일」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사용하는데 특히, 큰 일에 대해서만 사용한다.

 

70. はずかしい,てれくさい,きまりわるい : 멋쩍다, 창피하다, 수줍다

 

1) はずかしい :

① 자기 또는 자기측의 사람이 성적, 능력, 기술 등에서 열등감을 인식한 경우, 또는 그 결과 무엇인가 칠칠치 못한 상황을 일으킨 경우에 사용한다.

② 죄악, 반도덕적 행위의 결과 사회나 타인에 대한 죄의식의 경우에 사용한다.

③ 다른 사람에게 알려진 상황에서 실태나,실수를 저질렀을 때와 다른 사람이 아직 알리지못하는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행위 등을 남에게 알리거나 남이 알았을 때 사용한다.

④ 자기 자신의 문제 및 심정, 작품,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칭찬 받을 만한 사항을 남에게 알릴 때 또는 남이 알았을 때 의 기분을 나타낸다.

⑤ 단순히 다른 사람의 앞에서 무엇인가 순진한 행위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2) てれくさい : 사람의 앞에서 무엇인가 행위를 할 때 내용의善惡과 관계없이 단지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목 받는 다는 그 자체에서 오는 감정이며 「はずかしい」의 ④,⑤번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3) きまりわるい :

① 다른 사람으로부터 주목 받은 것 자체에서만 느끼는 부끄러움, 수줍음이 아니라 자신의 실패 또는 꺼림칙한 부분이 남에게 보여질 때 느껴지는 저항감과 같은 감정이다.

② 따라서 굴욕감과 열등감, 다른 사람에 대한두려움을 동반하게 되며「はずかしい」의 어미와 중복되는경우가많으나「はずかしい」의②의경우로는쓸수없고 경우가많으나「はずかしい」의②의경우로는쓸수없고 ①의 경우로 사용하면 타인을 의식하여 타인에 대한열등, 굴욕 의식이 강함을 나타내고 ④ 로 바꿔쓰면 우스꽝스럽다.

 

 

71. ひっくりがえす,くつがえす : 뒤집다, 뒤엎다

 

1) ひくがえす : 주로 구체적인 동작에 많이 사용하는데 추상적인 경우에 사용하며 속어적인 표현이 된다. 얼마안남았다. 후휴

 

2) くつがえす :

① 주로 추상적인 것에 대해서 사용한다.

② 구체적인 동작에느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단, 「てのひらをくつがえしたように」와 같은 관용적인 표현에는 사용할수 있다.

 

72. ひろがる,ひろまる : 넓어지다, 확대되다

 

1)ひろがる : 대상이 구체적, 고간적, 추상적, 사회적인 경우 등 광범위하다.

 

2)ひろまる : 대상의 추상적 ․사회적인 경우에만 사용한다.

 

73. ます, ふやす, ふえる :늘리다, 늘다

 

1) 自動詞로서 「ます」「ふえる」 ます :수량과 정도에 대해 사용한다. ふえる : 수량에 대해서만 사용한다.

 

2) 他動詞로서「ます」와「ふやす」 ます : 수량과 정도에 사용한다. ふやす : 수량에 대해서만 사용한다.

 

74. まったく,すっきり : 완전히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때는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1) まったく : 상태 변화 중 단순히 상태를 나타낼 때만 사용한다.

 

2) すっかり : 변화와 관계없이 어떤 동작이 끝까지 행하여 진 것을 나타낼 경우에만 사용된다

 

3) 그외에 「まったく」「전혀」「정말로」등의 뜻이,「すっかり」는 「모두, 전부 다」의 뜻이 있다.

 

75. まぶしい,まばゆい : 눈부시다.

 

1) まぶしい : 대상의 성질과 주체의 감각, 양쪽에 모두 사용한다.

 

2) まばゆい : 오직 대상의 성질에서만 사용하는데 「まぶしい」에 비해 감각성 이 부족하며 약간 관념적, 수식적인 경우이다.

 

76. 無意識に,ぼんやり(して), うっかり, つい,おもわず : 자신도 모르게,무의식 중에

 

1) 無意識に : 본능적, 습관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위를 할 때 사용한다.

 

2) ぼんやり:사고력이 분산된 무관심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행위를 할 때 사용한다.

 

3) うっかり:(主意를 要하는 事物에 대해)注意力부족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위가 일어날 때 사용한다.

 

4) つい :경계, 억제력 부족으로 인헤 의도하지 않은 행위를 할 때 사용한다.

 

5) 思わず :예상하지 못한 사태에 직면하여 思慮 부족으로 의도않은 행위를 할 때 상용한다.

 

77. やぶる,さく:찢다 종이, 천 등에 대해서 둘 다 사용할수있다.

 

1) さく:

① 결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것으로 나누는 것인데 절단면은 직선에 가깝고 주로 얇은 것에 대하여 사용한다.

② 고기를 찢는 경우에 사용한다.

 

2) やぶる:「さく」와 같은 제한이 없이 아무렇게 또는 많이 찢어도 상관 없으며 어느 정도 두꺼운 것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② '약속' 에 표현은 「やぶる」만 사용할 수 있다.

 

 

 

-------------------------------

 

너무 방대한가요....?

그래도 도움이 되시길 바래요..

일본어 많이 쓰이는 동사,명사 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동사, 명사좀 알려주세요.. 프린트해서 들고 다니면서 볼라고... 일본어 능력시험 필수 2급 문법인데요. 솔직히 동사명사는 들고다니시면서 보기엔...

일본어 명사,형용사,동사에 대해 질문좀...

... 꼭 명사에서만 가능 한지 알려주세요.. 아..그리고 제가... ' 그래서 형용동사란 이름이 붙은 말들입니다. 참고로 우리말의 품사의 종류에선 없는 말입니다. 일본어로 [명사...

일본어 동사,문법 좀 알려주세요 [내공 30]

... 문법 , 동사좀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이 일본어는... 실생활과 비슷한만큼 쓰이는 말들도 평소 회화때 쓸만한... 말들도 많이나오고, 듣다보면 일본어 문법에 어느정도...

일본어 형용사 동사(내공有)

... 일본어 명사가 형용사가 되려면 い가 붙는건가요? 2. 몇가지 자주쓰이는 동사(일어)만 어떻게 바뀌는지 알려주세요 횡성수설 한것같지만 답변부탁드릴께요 내공25 있어요...

일본어 동사명사 질문

... 의 일본어 소리와 글자를 알려주세요 아 그리고... 부분은 길게 늘려서 시요오로 발음하시면 좋아요) ゲーム... 가타카나 많이 있죠? 많이 쓰니까 조금씩 외우시길. 일단 저...

동사 명사 형용사..등좀 알려주세요..

... 구별하는 방법과 동사 명사 형용사...그리고 많은 사..-_-; 들의 뜻을좀 알려주세요..ㅠ.ㅜ ^ㅇ^ 저는... 빈번히 쓰이는 감탄사가 존재한다. 또, 다른 품사를...

간단한 일본어좀 알려주세요.[내공25]

... 자주쓰이는 형용사[낱말] 10.조합법 예를들면 나는 걸었다.는 명사-동사 순이자나요 영어는 순서가 다르고요. 일본어의 순서를 알려주세요. 그래야 단어를조합하죠. 이렇게...

일본어 형용동사의 정의좀....

... 국어사전에 찾아봐도 없더군요 ㅜㅜ 알려주세요... 여러 일본어학자 사이에서 논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형용동사라는 말은 학교문법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현재...

일본어 동사 조사 질문

... 사용하는건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일어나다라는... 있지만 일본어표현은 타동사표현보다는 자동사표현을 많이 사용하므로 그렇지만, 한국어표현은 타동사표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