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히라가나

일본어 히라가나

작성일 2020.02.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히라가나에 つ [tu] て [te] と [to] 이런거 옆에 트테토
이건 일본어 발음이져? 나는 행복하다 이런 문장은 히라가나로 쓰나요?? 어떻게 쓰죠ㅠ


#일본어 히라가나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일본어 히라가나 표 #일본어 히라가나 번역기 #일본어 히라가나 외우기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표 #일본어 히라가나 단어 #일본어 히라가나 퀴즈 #일본어 히라가나로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히라가나에 つ [tu] て [te] と [to] 이런거 옆에 트테토

이건 일본어 발음이져?

발음을 나타내는데 정확하게는 "츠, 테, 토" 라고 발음합니다.

나는 행복하다 이런 문장은 히라가나로 쓰나요??

히라가나와 한자를 섞어서 표기합니다.

한국어는 자음이 14개이고 모음이 10개 여기에 이중모음까지 합치면 꽤 되지요.

이를 바탕으로 글자를 만든다면 산술적으로는 200개 이상의 글자가 있는 셈입니다. 여기에 받침이 들어가서 뜻을 구별하고,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등등에 이중받침까지 합하면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한편 일본어에는 모음이 5개 자음이 반자(모)음까지 쳐서 10개입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글자가 50개(이 중 중복된 것 4자를 빼면 46자) 정도이고, 탁음자 20개, 반탁음자 5개, 요음, 35개, 요음(탁음)20개, 요음(반탁음)5개를 넣으면 151개가 되네요.

따라서 글자 수를 늘릴 필요가 있지만 현실성이 없기 때문에 かたかな、ひらがな、한자 등으로 문자의 종류를 다양화하게 된 것입니다.

게다가 일본어문장은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 이외에는 띄어쓰기가 없습니다.

문장이 ひらがな로만 쓰여 져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문절이 어디이며 단어가 어디까지이며 알기가 힘들 것입니다.

한자를 쓰면,

공간 활용도가 좋아지고

“어제 나는 토쿄의 백화점에서 한국 화장품인 설향수를 몇 개 구입했다”에 대응하는 일본어문장을 살펴보면 B가 훨씬 짧습니다.

A: きのうわたしはとうきょうのデパートでかんこくけしょうひんのソルヒャンスをいくつかこうにゅうした。

B: 昨日私は東京のデパートで韓国化粧品の雪香水を幾つか購入しました。

또 문장해독력이 좋아집니다.

A와 비교할 때 B는 훨씬 문장의 의미파악능력(해독력)이 빠르겠죠.

따라서 만약 한자를 쓰지 않으면

그야말로 “유치한 문장”이 되어버립니다.

또 동음이의어(같은 발음 다른 뜻)가 많습니다.

예)동사 はかる:計る,図る、測る、量る、諮る、謀る

위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하려고 한 대안이 ひらがな、かたかな, 한자를 병용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A:たかはしはしらないのか。

라는 문장은

1.타카하시는 모르는 건가?

2.타카하시, 안 달릴 거냐?

3.타카는 시(詩)는 모르는 거냐?

처럼 세 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B:にわにはにわとりがいる。

라는 문장도

1.뜰에는 닭이 있다.

2.뜰에는 새가 두 마리 있다.

처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의 A, B 두 문장을 한자를 병용해서 표기했다면 두 가지로 해석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겁니다.

한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한자의 탁월한 표의성을 살려서 문장을 쉽게 해독하기 위해서, 그리고 공간성을 살리기 위해서입니다.

외래어도 かたかな로 표기하면 히라가나나 한자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금방 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C:せかいさいこうのえりいとはなぜきほんにしょうてんをあわせるか

D:世界最高のエリートはなぜ基本に焦点を合わせるか

한자.....히라...카타.........히라 히라......한자..히라...한자...히라..한자+히라..히라

처럼 한자와 히라가나, 카타카나를 써서 표기하면 훨씬 문장해독이 간단해집니다.

일본어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를 혼용해서 문장을 표현하는 언어입니다. 띄어쓰기가 없기 때문에 모양이 다른 글씨체가 있으면 해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ひらがな、カタカナ、한자 등으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기본적으로 한 글자가 한 음을 나타냅니다. 이 글자와 음을 과학적으로 배열해 놓은 표가 50음도이지요.

예를 들어 '아'는 히라가나로 あ 카타카나로 ア입니다. 히라가나는 한자를 뭉뚱그려서 만들었고(예; 安→あ)、가타카나는 한자의 일부를 그대로 떼 내어 만들었습니다.(예; 伊→イ)

용도를 보면,

ひらがな: 일반적인 단어에 많이 쓰이고, 조동사, 조사, 접속사, 부사는 거의 히라가나로 표기합니다. 동사와 형용사의 끝부분도 반드시 ひらがな로 표기합니다. 말꼬리 부분을 활용시켜야 하기 때문에 ひらがな표기를 하는 것입니다.

예)させる、たい、は、も、だけ、ゆっくり、いきなり、読む、話す、見る、食べる、勉強する、ぞっとする、びっくりする、寒い、冷たい、静かだ、真面目だ...

...

カタカナ(가타카나): 외국의 인명, 지명,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주로 씁니다. 한국인의 성명은 한자로 표기하되 한국어에서의 발음을 カタカナ로 병기합니다.

예)トランプ(트럼프대통령)、ブッシュ(부시대통령)、ストーリー(스토리)、バス(버스)、コンピューター(컴퓨터),テレビ(TV)...

한자(漢字かんじ): 일본어학습의 70%비중이 한자공부이지요. 명사의 대부분이 한자로 표기하고 동사와 형용사의 전반부도 대부분이 한자로 표기합니다. 추상적인 단어는 대부분 한자입니다. 哲学、感想、経済、見学、行く、行う、赤い、大きい...

일본어가 중국어보다 어렵다고 생각되는 점도 있는데 그것은 한자 때문입니다.

중국어보다 쉬울 것은 없다고 봅니다. 잘 아는 중국인 교수가 있는데 일본 상용한자 중에서

읽기가 12가지(下, 生) 있는 것도 있다고 하니까 중국어보다 어렵겠다고 하더라고요.

>>일본어문장의 구성<<

일본어의 음절

- 음성의 단위를 음절(音節)이라고 한다. ex) 「さくら」→ サ ․ ク ․ ラ

- 로마자 표기 하나에 해당하는 음성의 단위를 단음(単音)이라 한다.

ex) 「さくら」 → 「s ․ a ․ k ․ u ․ r ․ a」

◈언어표현단위

문 :  さくらがさく(단문) :벚꽃이 피다

문절: さくらが さく(2문절)

단어: さくら が さく(3단어)

음절: さ く ら が さ く(6음절)

단음: s a k u r a g a s a k u (12단음)

布施39(일본어문법, 한자 전공)

<참고사항>

일본어의 한자는 약자체를 주로 사용합니다.

국어교과서에도 약자체가 등장합니다.

일본어: 校、社育、学、

한국어: 學校、社會、體育、數學、國語

처럼 사용합니다.

ひらがな는 한자의 여러 획을 두루뭉술하게 해서 만들었습니다.

예) 安→あ

カタカナ는 한자의 획 1개를 떼어내어서 만들었습니다.

예) 伊→イ

◆<강조할 경우에는 カタカナ>

毎週、金曜日は燃えないゴミをだす日です。

(매주 금요일은 타지 않는 쓰레기를 내놓는 날입니다)

의 ごみ처럼 히라가나표기를 해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일부러 카타카나 ゴミ로 표기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참고.....................................................

일본인은 한국어의

가, 까, 카 를 서로 구별하지 못하고 동일한 ka로만 받아들입니다.

다, 따, 타 를 서로 구별하지 못하므로 동일한 ta로만 받아들입니다.

바, 파, 빠 를 서로 구별하지 못하고 동일한 pa로만 받아들입니다.

자, 짜, 차 를 서로 구별하지 못하고 동일한 cha로만 받아들입니다.

たすけて 를

타스케테

타스께떼

다스케테

다스께테

4 가지 중 어떤 것으로 발음하더라도 한국어를 모르는 일본인 귀에는 たすけて로 똑같이 들립니다.

참고하세요...................................

한국어의 어두 자음 “ㄱ” “ㄷ” “ㅂ” “ㅈ”은 모두 무성음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k, t, p, ʦ로 발음됩니다. 그러나 발음과 표기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습니다. 한국어의 외래어표기법에 의해 편의상 그렇게 하기로 어두 자음 “ㄱ” “ㄷ” “ㅂ” “ㅈ”을 g, d, b, j처럼 표기하기로 한 것입니다.

“부산”을 예로 들게요. 어릴 때 부산의 표기는 PUSAN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한국인이 “푸산”이라고 표기하지 않았고 발음도 pusan이라고 하지 않았죠. 그런데 지금은 표기가 BUSAN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다고 한국인인 우리에게 실제로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다른 외국어와의 형평을 고려하여 BUSAN으로 한 것입니다. 실제로 한국인이 어두의 유성자음 g, d, b발음을 의식하지 않고서는 발음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good morning을 듣고 영어권 사람이 반응을 보였다고 해서 한국인 자신의 발음이 정확해서 상대방이 알아먹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착각입니다. 때가 아치인데다 뒤에 “모닝”이 붙어있으니까 상대가 그렇게 짐작하는 것일 뿐이죠.

대개의 한국인의 발음은 good가 아니고 koot으로 들릴 겁니다.

표기와 실제 발음 간에 갭이 있는 경우로 일본어를 예로 들겠습니다.

“홋카이도”라고 한국어에서 표기하지만 일본인은 이런 발음 못합니다. 실제로 일본인은 “혹-까이도-”로 발음합니다. “삿포로”는 “삽-뽀로”로 발음합니다.

.....................................................................................................................

한국어 성씨 “도”의 초성자음 “ㄷ”은 음성학적으로는 목의 성대를 울려서 발음하는 유성음[d]가 아니고 성대를 울리지 않고 발음하는 무성음[t]입니다. 따라서 일본어로 표기할 때 ど가 아니고 と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か는 발음이 [ka]이고 が는 발음이 [ga]입니다.

한국어의 어두에서 '가( 의식하여 성대를 울리는 경우는 제외)' '카' '까' 는 모두 [ka]입니다.

한국어에서 어두의 頭子音'ㄱ''ㅋ' 모두 일본인에게는 똑 같은 [k]발음으로 들립니다. 다시말해 한국인이 か를 '가'로 발음하나 '카'로 발음하나 일본인에게는 か[ka]로밖에 들리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얼마전 일본인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고기”를 들리는 대로 일본어로 표기를 하라고 하니까 18명이 모두 “ こぎ ”로 표기하더군요. 한국어의 어두의 "ㄱ"은 /k/이고 어중의 “ㄱ”은 /g/로 발음된다는 것입니다. 다른 예로 “부부”는 [pubu]와 같이 됩니다.

반대로 일본어는 어두의 頭子音'k'발음과 'g'발음의 차이로 뜻이 달라집니다.

이상을 종합해서 말하면

일본어의 か를 한국인이 '가'로 발음하든 '카'로 발음하든 일본어에서는 [ka]로 이해되기 때문에 뜻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단, '가'를 발음할 때 영어의 [ga]처럼 성대를 울려서 발음하게 되면 그 때는 か가 아니라 が로 이해하게 됩니다.

한국어는 어두에서 '가''카''까'로 뜻을 구별하는 언어이고,

일본어는 어두에서 'ka' 'ga'로 뜻을 구별하는 언어입니다.

일본어발음을 배울 때 か행을 '가, 기, 구, 게, 고'로 발음하지 말고 약한 '카키쿠케코'로 발음하면 나중에 헷갈리지 않게 됩니다. 心(こころ)를 '코코로'로 발음하면 확실하게 'こころ'로 읽을 수 있지만 '고코로'로 발음하다 보면 'ごころ'로 잘못 발음할 수도 있게 됩니다.

た행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とうきょう의 と를 “도” “토” “또” 어느 것으로 발음하더라도 한국어를 모르는 일반 일본인 귀에는 “と”로 밖에는 들리지 않습니다.

한국어로 표기할 때 위와 같은 배경을 고려하여 “콘-니찌와” “토-꾜-”처럼 표기를 해주면 좋았는데 아쉬운 부분이죠.

이 번에는 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어를 자국어로 100% 정확하게 표기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자국어의 음운체계 안에서 외래어표기를 해야하므로 초성자음과 모음의 종류나 수의 차이, 종성의 유무 등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기 마련이므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표기와 실제 발음과는 갭이 있기 마련입니다.

여하튼 'とうきょう'를 '도쿄'로, 'おおさか'를 '오사카'로 표기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어두에서는 '가기구게고다지즈데도'로 표기하고, 어중이나 어말에서는 '카키쿠케코타치츠테토'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첫째는 같은 글자가 어두와 어중,어말에 왔을 때 그것을 구별하려고 했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바로 'とうきょう'를 '도쿄'처럼 어두에서는 'ㄷ'로, 어말에서는 'ㄱ'이 아닌 'ㅋ'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만약 한국어에서 '도쿄'를 '도교'로 표기하면 한국어의 음운체계상 '도교'는 [togjo]라는 발음이 되어 버리고 말기 때문이라고 추정합니다. 한국어의 음운구조상 어두에 오는 'ㄱ,ㄷ, ㅂ'을 유성음'g, d, b'로 발음을 못하고 'k, t,, p'로 발음을 하게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어두에 오는 'ㄱ'과 'ㅋ', 'ㄷ'과 'ㅌ', 'ㅂ'과 'ㅍ'를 한국어에서는 각각 같은 'k', 't' , 'p'으로 인식한다는 말입니다.

참고로 한국어의 '부부'는 [pubu]로, '가고파'는 [kagopa]로 발음된다는 것을 기억하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부산'을 영어표기에서 'Pusan'으로 하면 [pusan]으로 발음되고, 'Busan'으로 표기하면 [busan]으로 발음이 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후자를 정확하게 발음하기가 토종한국인에게는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たなか를 왜 타나카가 아닌 다나카로 표기하는 건가요?

'다나카'로 표기하든 '타나카'로 표기하든 [danaka]로 발음하지 않은 이상 일본인에게는 [tanaka]로 들립니다. 다행스럽게도 [danaka]처럼 어두의 [d]음을 토종한국인이 발음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다행이라면 다행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대한민국(だいかんみんこく)의 첫소리 [d]를 제대로 발음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본인은 [d]로 발음했다고 생각했는데 일본인 귀에는 [t]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전후 문맥이 있기에 발음이 이상해도 상대방이 미리 알아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겠죠.

布施39(일본어문법, 한자전공)

‘청주’ 도 チョンジュ 라고 표기하고

‘전주’ 도 チョンジュ 라고 표기합니다.

“조”라는 성을 일본매스컴에서 チョ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한국어의 초성자음 ㅈ,ㅊ은 일본인 귀에는 똑 같이 들립니다.

語頭(단어 머리)에 오는 ㅈ은 ち의 자음으로 인식하고, ㅊ도 ち의 자음으로 인식합니다.

語中(단어 가운데)에 오는 ㅈ은 じ의 자음으로 인식하고, ㅊ는 ち의 자음으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청주’ 도 チョンジュ 라고 표기하고

‘전주’ 도 チョンジュ 라고 표기합니다.

‘전주’의 경우에는 전의 ㅈ과 뒤의 ㅈ이 한국어에서 발음이 다릅니다. 표기만 같을 뿐으로 앞의 것은 무성음이고 뒤의 것은 유성음입니다.

그래서 일본인 귀에는 チョンジュ처럼 앞의 것은 청음(무성음)으로 뒤의 것은 탁음(유성음)으로 들리는 것입니다.

“고기”의 경우도 일본인은 こぎ라고 표기하고, “부부”도 ぷぶ로 표기합니다.

일본어의 げた를 ‘게다’로 발음하고 ばか를 ‘빠가’로 발음하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초성자음 ㄱ, ㅂ는 무성음입니다. 즉 한국인의 일본어의 어두에 오는 유성음 げ[ge], ば[ba]의 g,b의 발음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발음하기 쉬운 게[ke], 빠[pa]의 k, p음으로 바꾸어서 발음하게 된 것입니다.

한편 어중에서는 유성음발음이 어렵지 않으므로 げた[geta]를 게다[keda]로, ばか[baka]를 빠가[paga]로 발음하게 된 것입니다.

일본어 히라가나 질문

일본어 히라가나 읽을 때 '토오'라고 읽는 이 히라가나 뜻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숫자로 들어가는 경우라면, 十(とお) 라는 일본식 개수 세기 (열...

일본어 히라가나

일본어 독학 하고 있는 학생인데요! 제가 책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책에 표시된 히라가나랑 인터넷에 있는 히라가나표랑 다른게 있어서...둘 중 뭐가 맞는지 아니면 둘다...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질문 내공100

제가 일본어 공부를 시작하려고 책을 구입했습니다 일본어 책에 히라가나 가타카나 의미와 뜻을 하나도 모르겠어요 의미와 뜻을 알고싶고 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쉽게 외울수...

일본어 히라가나 글씨체 봐주세요!!

일본어 공부 시작했는데 히라가나 글씨체 좀 봐주세요! 피드백 필요한 부분 있으면 말해주세요! ପ(。ᵔ ⩊ ᵔ。)ଓ 좋습니다. 다만 후에서 양쪽 땡땡이를 좀 아래로...

일본어 가타가나, 히라가나, 한자 쓰임이...

올해부터 학교에서 일본어를 배우는데여 지금 히라가나를 20개 정도 외웠어요 근데 가타가나, 히라가나, 한자 이렇게 세개를 쓴다고 알고 있는데 가타가나는 외래어 표기할 때...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일본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외우기 쉬운가요? 한자 알아야 하나요? 외워야 하는 알파벳이 얼마정도 되나요? 한자도 알아야 한다는데 입문 많이 어려울까요? 일본어 히라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