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동아(김)영어3학년10과,11과해석부탁이요ㅠㅜ

두산동아(김)영어3학년10과,11과해석부탁이요ㅠㅜ

작성일 2013.11.2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The Ig Nobel Prizes: Laughing and Thinking

 

Have you heard of the Ig Nobel Prizes? They are awarded to imaginative scientists whose research “First makes people laugh and then think.” The prizes were established in 1991 by a science humor magazine to introduce science in a fun way. Every October, ten prizes are presented by Nobel Prize winners at Harvard University. Research projects that have won Ig Nobel Prizes are real, serious scientific work, although they sound very funny when you first hear about them. Here are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projects that have received the prizes so far.

  

The Prize for Bird Science

 

Woodpeckers hit their heads against trees 12,000 times a day, but they don’t get headaches. How is this possible? An American scientist, Ivan Schwab, found the answer. Woodpeckers’ brains are protected by spongy bone that can reduce the shock from hitting their heads. Dr. Schwab also found why woodpeckers’ eyes do not pop out. They have special eyelids that close a millisecond before each hit.

 

The Prize for Peace

 

A British man, Howard Stapleton, invented a device that produces special sounds. These sounds can be heard only by teenagers and not by adults. The device was named the Mosquito because it sounds similar to the buzz of a mosquito.

Some shop owners in England found the Mosquito very useful. It could drive away teenagers who were hanging out late around their shops. Once the device was on, teenagers covered their ears and ran away from the shops, but people over the age of 30 could not hear the sounds at all.

 

The Prize for Chemistry

 

Do you like vanilla-flavored ice cream? What if the flavor were made from cow droppings? Mayu Yamamoto, a Japanese scientist, invented a way to make vanilla flavor from cow droppings. An ice cream shop near Harvard University made ice cream with this flavor and served it at the 2007 Ig Nobel Prize ceremony. Everyone at the ceremony had to try it.

What do you think about the scientific work introduced above? Science doesn’t always have to be so serious, does it?

 

      해석부탁합니다ㅠㅜ내공100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3두산(김성곤) 10과

 

The lg Nobel Prizes: Laughing and Thinking

Have you heard of the lg Nobel Prizes? They are awarded to imaginative scientists whose research "first makes people laugh and then think." The prizes were established in 1991 by a science humor magazine to introduce science in a fun way. Every October, ten prizes are presented by Nobel Prize winners at Harvard University. Research projects that have won lg Nobel Prizes are real, serious scientific work, although they sound very funny when you first hear about them. Here are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projects that have received the prizes so far.

 

lg Nobel 상: 웃으며 생각하며

lg Nobel 상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가? 그 상은 ‘처음에는 사람들을 웃기고 그 다음에는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를 하는 상상력이 풍부한 과학자들에게 수여된다. 이 상은 재미있는 방식으로 과학을 소개하기 위해서 한 과학 유머 잡지에 의해 1991년에 제정되었다. 매년 10월에 하버드 대학에서 노벨상 수상자들에 의해 10개 분야의 상이 수여된다. lg Nobel 상을 수상한 연구들은 처음 들을 때는 매우 웃기게 들리지만 실제적이고 진지한 과학 연구이다.

여기에 지금까지 그 상을 받은 가장 재미있는 연구들 중 몇 가지가 있다.

 

 

 

The Prize for Bird Science

Woodpeckers hit their heads against trees 12,000 times a day, but they don't get headaches. How is this possible? An American scientist, Ivan Schwab, found the answer. Woodpeckers' brains are protected by spongy bone that can reduce the shock from hitting their heads. Dr. Schwab also found why woodpeckers' eyes do not pop out. They have special eyelids that close a millisecond before each hit.

 

 

조류 과학상

딱따구리는 하루에 12,000번 나무에 자기 머리를 부딪치지만, 머리에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미국의 과학자인 Ivan Schwab은 그 해답을 발견했다. 딱따구리의 뇌는 머리를 부딪치는 데서 오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푹신한 뼈가 보호하고 있다. Schwab 박사는 또한 딱따구리의 눈이 튀어 나오지 않는 이유도 알아냈다. 그들에게는 나무에 매번 부딪치기 1,000분의 1초 전에 감기는 특수한 눈꺼풀이 있기 때문이다.

 

 

 

 

The Prize for Peace

A British man, Howard Stapleton, invented a device that produces special sounds. These sounds can be heard only by teenagers and not by adults. The device was named the Mosquito because it sounds similar to the buzz of a mosquito.

Some shop owners in England found the Mosquito very useful. It could drive away teenagers who were hanging out late around their shops. Once the device was on, teenagers covered their ears and ran away from the shops, but people over the age of 30 could not hear the sounds at all.

 

평화상

영국 사람인 Howard Stapleton은 특별한 소리를 내는 장치를 발명했다. 이 소리들은 십 대들에게만 들리고 성인들에게는 들리지 않는다. 이 장치는 Mosquito(모기)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그 이유는 이 장치가 모기가 윙윙거리는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영국의 몇몇 가게 주인들은 Mosquito가 아주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장치는 밤 늦게까지 자신들의 가게 주변을 배회하던 십대들을 쫓아버릴 수 있었다. 일단 장치가 켜지면 십 대들은 귀를 막고 가게에서 도망쳤지만, 30세가 넘는 사람들은 전혀 그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

 

 

 

The Prize for Chemistry

Do you like vanilla-flavored ice cream? What if the flavor were made from cow droppings? Mayu Yamamoto, a Japanese scientist, invented a way to make vanilla flavor from cow droppings. An ice cream shop near Harvard University made ice cream with this flavor and served it at the 2007 lg Nobel Prize ceremony. Everyone at the ceremony had to try it.

What do you think about the scientific work introduced above? Science doesn't always have to be so serious, does it?

 

화학상

여러분은 바닐라 맛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가? 그 맛이 소의 배설물로 만들어졌다면 어떻게 될까? 일본인 과학자인 Mayu Yamamoto는 소의 배설물로 바닐라 맛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발명했다. 하버드 대학교 근처의 한 아이스크림 가게가 이 맛이 나는 아이스크림을 만들어서 2007년 lg Nobel 상 시상식에서 사람들에게 제공했다. 시상식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그것을 먹어 봐야 했다.

위에 소개된 과학 연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과학이 언제나 그렇게 진지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중3두산(김성곤) 11과

 

Fair Trade Chocolate

Outside the village of Niveneso in Ghana, Naki is sitting on the ground, working with cocoa pods. Next to her is her little brother, Madi. He is picking up a cocoa pod with one hand and cutting it open with a knife with the other. He has a scar that covers most of his whole left hand. It is the middle of the school day, but Madi says their parents can't afford to send him to school. "I hate this work." he says. "I want to go to school, but I have to do this."

 

공정 무역 초콜릿

가나의 Niveneso 마을 변두리에서, Naki는 땅에 앉아 카카오 꼬투리를 까고 있다. 그녀의 옆에는 남동생 Madi가 있다. 그는 한 손으로 카카오 꼬투리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칼을 사용해 꼬투리를 잘라 벌리고 있다. 그에게는 왼손 전체를 뒤덮다시피한 흉터가 있다. 학교 수업이 한창일 시간이지만, Madi는 부모님이 자신을 학교에 보낼 수 있는 여유가 없다고 말한다. “난 이 일이 싫어.”라고 그가 말한다. “학교에 가고 싶지만, 난 이 일을 해야만 해.”

 

 

 

Many people love chocolate. They often give and receive chocolate on Valentine's Day. However, few people know that a lot of chocolate is made from cocoa beans harvested by child workers like Naki and Madi. They spend their days cutting cocoa pods and carrying heavy buckets filled with cocoa beans. They are badly treated, and they are always hungry.

Cocoa trees grow in rain forest countries such as Ghana and Cameroon. Cocoa farmers in these countries are very poor since they do not get paid much for their cocoa beans. On some farms, the workers are mostly children. Their parents can't afford to hire people to work on the farm, so the children have to do the work.

 

많은 사람들이 초콜릿을 매우 좋아한다. 그들은 종종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을 주고받는다. 하지만, 많은 초콜릿이 Naki와 Madi와 같은 미성년 노동자들이 수확한 카카오 열매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아고 있는 이들은 거의 없다. 미성년 노동자들은 카카오 꼬투리를 자르고 카카오 열매가 가득 담긴 무거운 양동이를 운반하는데 하루하루를 보낸다. 그들은 학대받고, 늘 배고파한다.

카카오 나무는 가나와 카메룬과 같은 열대우림 국가에서 자란다. 이러한 나라들의 카카오 농부들은 카카오 열매의 값을 많이 받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가난하다. 일부 카카오 농장의 일꾼들은 대부분 아이들이다. 그들의 부모가 농장에서 일할 사람들을 고용할 형편이 안 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 일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Cocoa farmers usually get only about 25 cents for each pound of cocoa beans they sell. This is not even enough to pay for the cost of growing cocoa trees. Since the farmers have no power, they just get what chocolate companies want to pay them. Fortunately, however,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believe that this is unfair for the farmers.

In order to fix the problem of unfair trade, the fair trade movement was started. For example, chocolate companies that support this movement give the farmers at least 80 cents for each pound of their cocoa beans. In return, they demand that the farmers not use child labor. Fair trade chocolate has a special label that tells you that the farmers were paid a fair price and no child labor was used.

 

카카오 농부들은 보통 자신들이 따는 카카오 열매 1파운드당 겨우 약 25센트를 받는다. 이것은 심지어 카카오나무를 기르는 비용을 지불할 만큼도 되지 못한다. 농부들에게 아무런 힘이 없기 때문에, 그들은 단지 초콜릿 회사들이 지급하고 싶어 하는 금액을 받을 뿐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이것이 농부들에게 불공평하다고 믿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불공정 무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정무역 운동이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이 운동을 지지하는 초콜릿 회사들은 농부들에게 카카오 열매 1파운드당 최소한 80센트를 지불한다. 그 대가로, 그들은 농부들이 미성년자 노동력을 동원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공정 무역 초콜릿에는 농부들의 공정한 가격을 지불받았으며 미성년자 노동력이 동원되지 않았음을 말해주는 특별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At present, fair trade chocolate is sold by only a few small companies, and it is generally expensive. However, more and more people are willing to buy it, and more and more companies are expected to join the movement.

Behind sweet chocolate are the bitter tears of many children like Naki and Madi who have never tasted chocolate. Therefore, next time you buy chocolate, think about the poor children working on cocoa farms.

 

현재, 공정 무역 초콜릿은 소수의 소규모 기업들에 의해서만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값이 비싸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이를 기꺼이 구입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이 운동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달콤한 초콜릿의 이면에는, 초콜릿을 한 번도 맛본 적 없는 Naki와 Madi 같은 많은 아이들의 쓰디쓴 눈물이 있다. 따라서 다음에 여러분이 초콜릿을 살 때는, 카카오 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가난한 아이들을 생각해 보라.

 

 

도움되시길

중3 두산영어 본문 10과 11과 해석된...

중3 두산영어 본문 10과 11과 해석된것좀 써주세요 한글 안녕하세요~ 목동최고의영어수학전문학원 길벗아카데미 매력이 넘치는 영어과 박상유 입니다. ^^V 10과 Ig Nobel 상...

두산동아 고2영어 10과 11과 본문...

두산동아 고2영어 10과 11과 본문 해석쫌 해주세요~ 네이버 블로그에 들어 가보니깐 표시할수 없는 창이라면서 그러더라고요... 다음 카페에서 찾아도 없고.......

2학년 본문 해석부탁드려요 10과 11과 12과

... 영어 본문좀 해석부탁드려요;;;; 10과 11과 12과 정확 두산김 <할로윈의 유령들> 만약 당신이 유령[혹은 귀신]... Tomatina'기간 동안에는 다른 사람들에게 토마토를 던질수있다....

영어 두산동아 고1 이병민 9,10과...

9과, 10과 본문 한 줄 해석 부탁드릴게요ㅠㅠ 다른건 필요 없고 본문 해석이요 이메일로도 괜찮습니다!! 부탁드립니다 9과, 10과 본문 한 줄 해석 부탁드릴게요ㅠㅠ 다른건 필요...

두산동아 영어 (장) 10과 부터 12과 까지...

... 저는 지금 중학교 1학년입니다 이거 두산동아 장인데요 11과 부터 12과까지 좀 해석해주세요 복잡하더라도 조금만 수고해주세요 꼭 부탁드립니다 11과characters are eveyw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