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문장에 구조좀 파악해주세요 ㅠ

다음 문장에 구조좀 파악해주세요 ㅠ

작성일 2024.03.2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a grand attempt, although it may fail— miserably fail—is fruitful in the end and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위 문장 중 궁금한 부분을 단순화 시켜보면

a grand attempt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위 문장 중
it is true 이 삽입절이 어떻게 연결이 되는 거죠?

아무리 삽입절이라도
접속사가 있로 연결이 되어야 할텐데
위 문장을 단순화 시키면
S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but one~.

으로, 동격콤마에 not A but B 구문인거같기에
결국 it is true 가 접속사 없이 들어간거 같습니다.

위 문장에서 삽입절인 , it is true, 가
본래 어떻게 쓰인건지 설명좀 부탁 드립니다!


#다음 문장에서 틀린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치십시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 grand attempt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위 문장 중

it is true 이 삽입절이 어떻게 연결이 되는 거죠?

아무리 삽입절이라도

접속사가 있로 연결이 되어야 할텐데

--> 아니오.

삽입절은 앞 뒤 콤마를 사용해서 필요한 문장에 삽입합니다.

위 문장을 단순화 시키면

a grand attempt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삽입 문장이 없다고 번역하시길.

으로, 동격콤마에 not A but B 구문인거같기에 결국 it is true 가 접속사 없이 들어간거 같습니다.

--> 아니오.전혀 관계없어요.

위 문장에서 삽입절인 , it is true, 가

본래 어떻게 쓰인건지 설명좀 부탁 드립니다.

--> 쉽게 이해하시길.

우리도 일상 대화에서 삽입절을 많이 사용해요.

예) 그 사람 보았지, (어제 식당에서 보았지, 정말로 기대이상이야), 난 참 해운아야!

대화하면서 부가적인 설명을 많이하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 grand attempt, although it may fail— miserably fail—is fruitful in the end and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위 문장 중 궁금한 부분을 단순화 시켜보면

a grand attempt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it is true, but one which would never have been attained without it.

위 문장 중

it is true 이 삽입절이 어떻게 연결이 되는 거죠?

→ 삽입절이나, 삽입구는 앞 뒤에 위치한 두 개의 comma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접속사 없이 삽입절이 사용됩니다.

아무리 삽입절이라도

접속사가 있로 연결이 되어야 할텐데

→ 아니오,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이 삽입절이 가지는 특권(?)입니다. 접속사를 가지게 되면, 그것은 삽입절이 아니라 종속절이거나, 절 안의 어떤 부분과 동격이거나, 수식하거나, 그런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위 문장을 단순화 시키면

S leaves a result, not the hoped-for result, but one~.

으로, 동격콤마에 not A but B 구문인거같기에

결국 it is true 가 접속사 없이 들어간거 같습니다.

→ 예, 그렇습니다. 그것이 "삽입절"의 특징입니다. 접속사 없이, 단 접속사의 역할을 대신하는 comma가 이 절 앞 뒤에 모두 자리하게 된다는 점이 다릅니다. 절 앞뒤에 comma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은 "이 절은 삽입절입니다"라는 힌트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위 문장에서 삽입절인 , it is true, 가

본래 어떻게 쓰인건지 설명좀 부탁 드립니다!

→ 앞 뒤에 자리한 comma가 있어서 삽입절임을 알리고 있기에, 달리 어떻게 쓰인다고 말할 수는 없겠는데요, 우리말로 하자면, 혼잣말 정도 아니면 추임새 정도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별 큰 의미 없이 자신의 의사를 혼잣말로 이야기 하는 것으로 보아도 되겠고, 상대방에게 주의를 한 번 더 환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앞에 말한 것이 true라는 것을 "환기 시키기 위해서" 사용한 것으로 본다는 것이지요.

아, 그 사람 진국이야. (내가 생각하기에), (내가 보기에)

정말 그 사람이 그랬다구? (난 믿을 수 없어, 사실이 아닐거야. )

우리말로 적자면 위의 괄호 안의 내용같은 그런 의미로 사용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영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삽입절로, I think, I know, he said, I guess, 등등이 있습니다. 삽입절의 동사에 많이 사용되는 동사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문장 구조 파악

이거 구조 파악 주세요 ㅜ claims도 동사고 has seduced도 동사라 어떻게 봐야할지 모르겠어요 이거 구조 파악 주세요 ㅜ claims도 동사고 has seduced도...

다음 문장 구조좀 파악해 주세요..

... After가 이끄는 부사절(구는 아는듯..)의 문장 구조좀 파악해주세요.. 어떤게 주어이고..어떤것이 동사이고.. 어떤 것이 부사구인지.....

영어 문장 구조 좀 파악해주세요ㅠ

... 라는 문장인데요 29th 까지는 대충 주어 동사 알겠는데 when 절 부터... 구조 파악 주세요ㅠ <주절> [주어/동사/부사 수식어] His latest...

문장구조 파악 부탁드립니다

... 버리는상황,, 문장구조 좀 정확히 파악해주세요! The commander ordered... > 로 하지 않고 의문사(구) 다음에 do you think 등이 삽입됩니다. 단...

이 영어 문장 구조좀 파악해주세요

... 되는데 구조를 잘 파악하지 못하겠네요.... 문장구조좀 확실하게 해설해주실분이 필요합니다!! 어설프게 해설해주실분은 삼가주세요...

다음 문장 구조분석좀 해주세요 ㅠ

At the end of its 46-foot-long neck rested a tiny head. 주어가 뭐고 동사가 뭐죠?? 혹시 도치가 된거라면 왜?? 더치가 된거죠?? at the end of its 46-foot-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