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 to부정사를 배우고 있는데

To부정사 to부정사를 배우고 있는데

작성일 2019.05.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To부정사
to부정사를 배우고 있는데 명사적 용법인지 형용사적 용법인지 부사적 용법인지 구분이 좀 어려운데 잘 구분하는법좀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실분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어, 목적어 등의 명사 위치에 사용되면 명사적 용법,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면 형용사적 용법, 나머지는 부사적 용법입니다. 그러므로 문장의 기초 분석이 되지 않을 정도로 문법 지식이 전혀 없다면 구별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원리로 푸는 영어(상) (하), 원리로 푸는 영작(부제 –유학, 어학연수 오지마세요, 이책 보기전에는)의 저자 강샘의 답글입니다.

------------------------------------------------

님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저의 저서 중에 제가 정립한 한가지 원칙을 보고 나서 함께 답을 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2강.to부정사의 시제(예문79-86)제108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To 부정사구의 기능 판단 - 종합 요약

(1) 명사적 기능

공식1에 의하여 명사가 하는 기능인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놓여 있는 to부정사구는 명사구입니다. 이때 해석은 “것, 기’를 붙여서 해석합니다.

(2) 형용사적 기능

형용사가 하는 기능은 공식2에 의하여 혼보, 명수인데,

(a) 보어 자리에 놓여 있는 to부정사구는

형용사구로 쓰인 것입니다. 그런데 보어가 될 수 있는 단어의 품사는 공식9에 의하여 (대)명사, 형용사이므로 보어 자리에 있는 to부정사는 명사구도, 형용사구도 될 수 있습니다. 명사 기능, 형용사 기능 중 정확히 어떤 기능인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해석상 “것, 기’로 해석되면 명사적 기능을 하는 to부정사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b) to 부정사구가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

으로 쓰일려면 장미공식에 의하여, 반드시 to부정사구의 바로 앞에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합니다. 이때의 해석은 “ㄴ, ㄹ, 의”로 해석됩니다.

(3) 부사적 기능

기타의 경우, 즉, 문장이 완전하여 빈자리가 없고 to부정사구의 바로 앞에 (대)명사도 없을 때는 그 구는 부사구로 쓰인 것이며, 그 해석은 눈치가 있어야 합니다.

# 이같이 to부정사구의 기능을 판단할 때는 항상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의 순서대로 판단하는 것이 요령입니다.

----------------------------------------

예를 들어 다음과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My sister is too young to go to school.

먼저 분석해보면

---------------------------------------

My sister 주어 / is 동사 / too 부사 / young 보어 - 여기까지 제 2 형식 /이하는 부정사구 to go to school.

- 이 부정사의 기능이 문제됩니다 .

(1) 명사구일까요 ?

명사구란 좀 길기에 구라고 할 뿐 명사의 기능을 하므로

우선 명사가 하는 기능을 다 아시는 것이겠지만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하여 보고갑니다

------------------------------------

{1} 공식 1 <명 - 주 , 보 , 목 , 전목 >

(해설 ) 명사란 책 , 사람 , 고양이등 사물의 이름을 말하며 , 명사가 문장중에서 하는 기능은 주어 , 보어 , 목적어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가 됩니다 .

위에서 본대로 명사구는 명사가 하는 기능 - 주어 , 보어 , 목적어 , 전치사의 목적어 - 로 쓰여야하는데

1) 주어는 my sister 로 나왔고 ,

2) 보어는 young

3) 목적어는 동사가 be - 2식동사라서 불필요하고 ,

4) 전치사는 없으니 전치사의 목적어는 문제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이 부정사구가 명사구로 쓰일 일이 없습니다 .

(2) 형용사구인가요 ?

우선 형용사가 하는 기능을 다 아시는 것이겠지만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하여 보고갑니다

{2} 공식 2 <형 - 혼보 , 명수 >

(해설 ) 형용사는 혼자 , 즉 뒤에 아무 것도 없거나 명사 이외의 품사가 있으면 보어가 되고 , 뒤에 명사 (대명사가 아니고 순수한 명사여야 합니다 )가 있으면 그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합니다 .

----------------------------------

1) 보어일까요 ?

이미 보어는 young – 나와있습니다 .

2) 명사수식일까요 ?

그러려면 위 기능 판단에 따라 바로 앞에 있는단어 young 이 명사여야합니다 .

따라서 형용사적 용법도 아닙니다 .

(3) 따라서 부정사의 3 가지 용법 중 명사적 , 형용사적 용법이 아니니 , 부사적 용법입니다 .

C.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요령27 – to 부정사구가 나오면 먼저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 중 무슨 용법으로 쓰였나를 먼저 판단하여야 합니다. 이는 정확한 해석과 영작을 위해서입니다.

# 요령28 - 부사적 용법의 해석과 눈치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는 “것, 기”를 붙이고, 형용사적 용법 중 명사수식일 때는 “ㄴ, ㄹ, 의”를 붙여서 해석하며, 형용사적 용법으로서 보어가 될 때는 동사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지만, 부사적 용법의 해석에는 전후 관계로 봐서 눈치가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눈치"라고 하니 애매모호 하게 보이지만, 사실은 누구라도 그렇게 해석할 수밖에 없는 확실한 해석이 나옵니다. 즉, 눈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해석이 막연하다는 뜻이 아니고 오히려 확실하며, 단지 다양하여 한번 생각할 여유를 가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그 해석은 90%가 다음 중 어느 하나임이 보통입니다.

(1) 결과 ; --하여 그 결과

– 나의 누이는 너무 어려서 그결과 학교에 갈 수 없다 - 말이 됩니다 .

더 좋은 것이 있나 봅니다.

(2) 방법 ; --하여 , --에 의하여

– 나의 누이는 학교에 감 으로서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3) 양보 ; 비록 --하지만 , 설사 —하더라도

- 설사 학교에 가더라도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4) 시간 ; --할 때 , --하기 전에 ,--한 후에 ,--하자마자 ,--할 때까지 ,--하는 동안

- 학교에 갈 때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5) 조건 ; 만약 —한다면

- 학교에 간다면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6) 목적 ; --하기 위하여 , --하려고

– 학교에 가려고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7) 이유 , 원인 ; --하기 때문에 , --하므로 ,--해서

– 학교에 가기 때문에 너무 어리다 - 말이 안됨

# 머릿자를 따서 <결 , 방 , 양 , 시 , 조 , 목 , 이원 >으로 외우시기 바랍니다 .

--------------------------------------------

이상에서 결과가 가장 적당합니다 .

-----------------------------------------

제가 이렇게 간단히 말씀드렸지만 이 부분 - 부사적 용법에 대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예문과 함께 저의 저서 중에서 요약하여 인용해 드릴 테니 한번 보시면 앞으로는 이 부분에 대해 자신을 가지시게 될 것입니다 .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9강-2/2.부정사의 부사적용법/기본원리.목적-1/3(예문65)제95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가) 00

(예문65) I came here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 문장분석의 예17 - to부정사가 부사구로 쓰인 예문 (1)

위 예문을 다음의 물음에 답하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물음1) 본문는 몇 형식인가요?

본문은 I came here이고 제1형식입니다.

(물음2) 부정사구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는 명사구가 될 수 있나요?

(답) 명사구가 되려면 명사로서의 기능인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여야 합니다(공식1). 그런데 이 문장의 주어는 이미 I가 나왔고, 이 문장은 1형식 문장으로서 보어나 목적어가 필요 없으며,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려면 앞에 전치사가 있어야 하는데, here는 전치사가 아닙니다. 따라서 명사구로 쓰일 수가 없습니다.

(물음3) 다음으로 이 부정사구는 형용사구인가요?

형용사구로 쓰일려면 형용사가 하는 기능(공식2 – 형 - 혼보, 명수)을 해야 하는데, 먼저 혼자 보어는 - 이 문장은 1형식이어서 보어가 필요 없고, 다음으로 명사수식을 하려면 장미공식(공식5)에 의하여 구는 뒤에서 앞을 꾸며야 하고, 또 형용사구가 되려면 명사나 대명사를 꾸며야 하기 때문에, 이 부정사구의 바로 앞에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하는바(#요령26), 앞에 있는 here는 명사나 대명사가 아니고 부사이기 때문에, 이 부정사구는 형용사구가 될 수 없습니다.

(물음4) 그렇다면 이 부정사구 to learn ~ English는 무슨 구로 쓰였나요?

to 부정사구가 할 수 있는 기능은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의 3가지인데, 위에서 명사구나 형용사구는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면, 이제 이 구가 할 수 있는 3가지 기능 중 두 가지 기능을 할수 없으니, 한 가지 남은 기능인 부사구로서의 기능뿐입니다. 따라서 이 구는 부사구가 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 부정사구는 문장의 끝 부분에 있는 부사구이니, #요령2 에 의하여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인 came을 수식합니다.

(물음5) 예문65의 해석순서를 말해보세요.

전체가 1형식이니 1번이 주어 I, 다음에 동사 came을 하기 전에 수식어부터 해야 하는데, 수식어에 단어 here와 부정사구가 있습니다. 길이가 긴 구부터 해야 하므로(#요령5의3),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를 해석하려고 보니, 이 부정사구의 동사 learn이 3형식을 구성하여 다시 3형식 해석순서의 문제가 됩니다. learn의 주어는 없어서 목적어 English를 해석하려고 보니, 동사 learn을 수식하는 부사구 by Formula English가 목적어 English 보다 길어서 먼저 해석해야 합니다(#요령21의a).

따라서 이 부사구 by Formula English 가 2번, 3번이 English, 4번이 learn, 긴 구가 끝났으니, 짧은 단어인 here가 5번, 마지막으로 본동사 came입니다.

(물음6) 부사구라면 해석은 어떻게 할까요?

(답) #요령28에서 부사구의 해석은 눈치가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제 <결, 방, 양, 시, 조, 목, 이원>에 따라서 각 경우로 해석을 해보면

(1) 결과 - 나는 여기 와서 그 결과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웠다. - 전혀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더 좋은 해석이 있나 알아보겠습니다.

(2) 방법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움으로서 여기 왔다. - 말이 안 됩니다.

(3) 시간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울 때 여기 왔다. - 약간 이상합니다.

(4) 조건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운다면 여기 왔다. - 말이 안 됩니다.

(5) 목적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우기 위하여 여기 왔다. - 말이 됩니다.

(6) 이유, 원인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웠기 때문에 여기 왔다. – 말이 안 됨.

# 이상의 각 경우 중에서 누가 보아도 (5) 목적 - 나는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우기 위하여 여기 왔다. - 가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될 것입니다. 이같이 부사적 용법의 해석에는 눈치가 있어야 하지만, 그 눈치란 많은 경우 중 가장 적당한 것을 골라야 한다는 의미이지, 막연하고 애매하거나,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될 수 있는 주관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극히 객관적이고 명백합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0강-1/3.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2/3(예문66)제99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예문66) To ride this thunderbolt you have to reach this rope.

# 문장분석의 예18 - to부정사가 부사구로 쓰인 예문의 분석(2)

위 예문을 다음의 물음에 답하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 여기서 thunderbolt는 번개란 뜻이지만, 우리나라 서울 대공원 등에서 탈 수 있는 청룡열차 정도 되는 놀이기구를 이렇게 부르며, 이 문장은 호주의 Goldcoast에 있는 놀이터의 입구에 쓰여 있는 문구입니다.

(물음1) to ride로 시작하는 부정사구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답) 이 문장은 TO부정사로 시작하니, 두 번째 동사 앞까지가 to부정사구의 한계라 생각하고 (#질문5), 두번째 동사를 찾으니 ride가 첫 번째, 두 번째가 have to입니다. 그런데 have to는 must와 같은 조동사이므로 본동사가 reach(공식8), 그래서 본동사 앞이 주어자리이니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 you 를 주어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요령16에 의하여 - 문장분석의 기본은 몇 형식인가를 따져보는 것이고 동사있는 곳에 5형식 있으니 - 그 부정사구가 몇 형식인가 봅니다. 그 구 안의 동사 ride 뒤에 두 개의 (대)명사 thunderbolt와 you가 있어서, ride를 제4형식이나 5형식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먼저

ride를 제4형식 동사로 보려고 하니

you가 인칭대명사라서 간접목적어가 되고 직접목적어가 thunderbolt라고 봐야 할 텐데, 이경우 간접목적어인 you는 직접목적어인 thunderbolt의 앞에 와서 you thunderbolt가 되야 하니, 제4형식의 일반 원칙과 #도표1에 모순되고

ride를 5형식으로 보려 했더니

thunderbolt와 you는 동일하지 않고(#구별법3), ride를 3형식으로 보고 해석하니 - 번개(청룡열차)를 타다 - 가 되서 you를 빼고도 부족한 것이 없으니, 이 to 부정사구의 한계는 to ride this thunderbolt까지임을 알 수 있습니다.

To ride this thunderbolt you를 주어로 볼 수 없는 다른 근거

영어의 모든 구나 절은 3인칭 단수로 보므로(#요령18), 만약 이 부정사구가 주어라면 have가 has로 돼야 할 것입니다.

(물음2) 이 문장의 주어는 무엇인가요?

(답) you는 주격과 목적격이 같은 형태이지만, 동사 reach 앞에 있어서 목적어로는 볼 수 없으니(목적어는 동사reach 앞으로 못 오므로 – #주의3 - 동사는 건널 수 없는 강), you를 주어로 볼 수 있겠는데, 한편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도 문장 첫 머리에 있어서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어느 것이 주어인지 판단해야 하는 바, you는 reach라는 동사의 앞에 있으니, 대명사 주격으로서 주어나 주격보어가 아니면 설 자리가 없는데, 동사 reach 앞에 보어는 올 수 없으니, you가 주어 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편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는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의 3가지 기능이 있으니 꼭 주어가 아니라도 다른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이 문장의 주어는 you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물음3)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는 명사구인가요?

(답) 명사구라면 명사가 할수 있는 기능(공식1 – 주, 보, 목, 전목)을 해야 하는데, 앞에서 봤듯이 주어는 you이므로 주어는 될 수 없고, 목적어나 보어는 본동사 reach 뒤에 와야 하므로(#주의3) 보어나 목적어도 될 수 없습니다.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려면 앞에 전치사가 와야 하는데, 전치사가 없으니 전치사의 목적어도 될 수 없어서, 결국 명사구가 아닙니다.

(물음4)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가 형용사구로 쓰였나요?

(답) 형용사가 하는 기능 두 가지 중(공식2) 혼보로 보자니, 보어는 동사 reach앞에 올 수 없어서 혼보가 아니고, 명사수식으로 보자니 장미공식(공식5)에 의하여, 이 부정사구 바로 앞에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하는데, To ride ~ 앞에 아무것도 없으니 (#문장분석의 예16참고), 결국 형용사구가 아닙니다.

(물음5) 그렇다면 부정사구 To ride this thunderbolt는 무슨 기능을 할까요?

(답) 부정사구가 하는 기능 3가지 중 명사적, 형용사적 기능이 아니니, 결국 부사적 용법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 요령29 -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올 수 있는 것들

문장에서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올 수 있는 요소는 감탄사(oh, wow등), 호칭(이름을 부르는 것) 그리고 부사적 요소(부사, 부사구, 부사절 등)뿐입니다. 이같이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오는 부사적 요소는 원래는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적 요소인데, 강조하기 위해서 문장 앞으로 나온 것이므로 해석도 가장 먼저 해줍니다.

이 경우에 문장 첫머리의 부사절에는 그 절이 끝난 곳에 콤마(,)를 찍는 것이 원칙이고, 부사구 뒤에도 찍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 예문66에서도 thunderbolt뒤에 ,를 찍으면 더욱 이해하기가 쉽지만, 꼭 찍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음6) To ride this thunderbolt처럼 문장의 앞부분에 있는 부정사구의 기능을 찾기 위해 꼭 이렇게 하나 하나 따져 봐야 하나요?

(답)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위의 #요령29에 의하여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0강-1/3.부정사의 부사적용법/목적-2/3(예문66)제99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예문 66)의 해석

주어를 하기 전에 강조하기 위해서 주어 동사보다 먼저 나온 To ride this thunderbolt를 먼저 해석해야 하는데(#요령29), 이것이 3형식이고 주어는 없으므로 this thunderbolt가 1번 - 이 번개(놀이기구)를(부정사구 안에서는 이것이 목적어이므로), ride가 2번 - 타다, to를 부사적으로 해석 – 결방양시조목이원 - 에서 눈치로 판단하니 목적이 좋겠고 - 타기 위하여, 3번은 본문의 주어 - 당신은, 4번은 3형식인 본문의 목적어- 이 밧줄에(을), 마지막으로 동사 have to reach - 닿아야 한다.

종합하면

이 번개(놀이기구)를 타기 위해서는 당신은 (키가) 이 밧줄에 닿아야 한다. (너무 어린 사람이 타면 위험하기 때문에 키가 입구에 붙여둔 밧줄의 높이보다는 더 커야 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문 67) In order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you should review hard.

# 요령30 - in order to, so as to – 목적표시

#요령28에서 부사구의 해석에는 눈치가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부정사를 이루는 to 앞에 in order나 so as가 붙으면 꼭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됩니다.

(예문67의 해석) 공식영어에 의하여 영어를 배우기 위하여, 당신은 열심히 복습해야 한다.

(예문68) I got up early so as to get a good seat.

- 나는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하여 일찍 일어났다.

# 복습확인 - up의 품사는 무엇이며, 몇 형식 문장인가요?

(답) up은 원래 전치사지만 뒤에 명사가 없으니 부사가 되서(#요령25) – 앞중가까동 - 이고, 여기서 get은 1형식입니다. (get, make 등은 1 ~ 5형식 모두 될 수 있습니다.)

(예문69) It takes us 10 hours to go to Sydney by airplane.

# 주의6 - It takes 목적어 + 시간, 거리의 명사 + to do ~ = ~ 하는데(하기 위하여) 시간, 거리가 얼마 걸린다.

여기서 it는 to do에 대한 가주어가 아니고, 비인칭 주어로서 해석을 안 하고, 이때 to 부정사는 부사적 용법으로서 목적을 나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해석) 직역해 보면 – (예문69)는 제 4형식 문장으로서 주어가 It, takes가 동사, us가 간접목적어, 10 hours가 직접목적어, 부정사 to go가 목적표시의 부사구로 takes를 수식, to Sydney by airplane은 구의 끝에 있는 전명구로서 앞중가까동이니(#요령2), go를 수식하는 부사구. 이것은 시드니까지 비행기로 가기 위해서 우리에게 10시간을 요한다.

좋은 해석은 – 우리가 시드니까지 비행기로 가는데 10시간이 걸린다.

# 이상에서 봤듯이 여기서 (가)는 목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0강-3/3.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유,원인(예문70)제103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나) 00

(예문70) I was very glad to see you again.

(1) 문장 분석

본문은 I was very glad, 2형식, to see이하는 부정사구, 부정사구가 나오면 먼저 무슨 용법으로 쓰였나를 판단해야 하며(#요령27),

(2) 우선 명사구로 쓰였나 보니

본문이 2형식 이어서 명사가 들어갈 자리는 주어와 보어뿐인데, 이미 주어 I, 보어 glad가 나왔으니 명사구가 아니고,

(3) 형용사적 용법 가운데

보어도 이미 glad가 나왔고, 명사수식으로 보려하니 수식을 받을 바로 앞의 glad는 명사나 대명사가 아닌 형용사여서 수식할 수 없으니, 명사수식도 될 수 없고, 이제 남은 것은 한 가지, 부사적 용법뿐입니다.

(4) 결국

to see you again라는 부정사구는 문장 끝부분에 있는 부사구로서 앞중가까동 이어서 was를 수식하고, 부사적 용법일 때는 다시 <결방양시조목이원> 중 어느 것인가를 눈치로 판단해야 하는바, 이유원인이 가장 적당하고,

(5) 해석 순서는

1번이 주어 - 나는, 2번인 보어를 하려고 보니, 그 보다 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구 to see you again이 있어서 이를 먼저 해야 하고, 이 부정사구가 또 3형식이니, 부정사구 안의 목적어 you가 2번- 당신을, 다음에 동사 see를 하려고 보니 수식어 again이 있어서, 이것이 먼저니 again이 3번 - 다시, see가 4번, to가 5번 - 보아서(보니), 6번이 very - 매우, 7번이 glad - 기쁜, 마지막으로 본동사 was - 었다.

(6) 종합하면 - 나는 당신을 다시 봐서 매우 기뻤습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1강-1/2.부정사의 부사적용법/조건(예문71-73)제104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예문 71) He must be mad to do such a thing.

- 그가 그런 일을 하다니 미쳤음에 틀림없다.

# 주의7 반항아 - such, all, both

사람의 생애 중 사춘기인 10대는 부모님이나 선생님들 말씀에 순종하지 않고 반항하거나 반항하고 싶어하는 나이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 반항기를 지나면서 성숙해지는데, 위 문장 중 such a thing에서 such는 thing을 수식하는 형용사로서 관사 a와 명사 thing 사이에 와야 할 것 입니다(공식6). 그런데 such가 부정관사 a 앞으로 나왔습니다. 저는 이런 단어들을 10대의 반항아에 비유합니다.

이런 반항적인 단어는 all, such, both, what, many, twice, half(half는 미국에서는 반항아가 아닙니다.) 등이 있으며, 이것 들은 모든 관사류(공식7) 앞으로 나옵니다. all the books, all Tom’s money, all these books, such that book, such my book, both her folks 그녀의 양친 두 사람 모두, what a cute girl she is! 참 귀여운 소녀군!, Manyapickle makes a mickle. – 티끌 모아 태산, twice a day 하루에 두번, half a kilo = a half kilo.

# 이상에서 (나)는 이유, 원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 00

(예문 72) You will be dismissed to be absent again without notice.

# dismiss(해고하다)는 타동사지만 be dismissed로 수동이 되서 - 당신은 해고될 것입니다 - 1형식이 됬습니다. 1형식 문장에서 명사가 들어갈 자리는 주어뿐인데 이미 주어 you가 나왔으니, 부정사구 to be absent again without notice는 명사적 기능을 할 수 없고, 1형식이어서 보어도 필요 없으니 형용사적 용법의 혼보도 될 수 없습니다.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은 이 구의 바로 앞에 수식을 받을 (대)명사가 없으니, 될 수 없고

결국 부사적 용법인데, 부사 again과 구의 끝에 있는 전명구 without notice는 앞중가까동 이니 부정사구의 동사 be를 수식, 그 해석을 눈치로 판단해보니, 조건이 적당하고

- 당신은 무단결근을 다시 하면 해고될 것입니다.

(물음) without notice가 be dismissed를 수식한다고 볼 수 없을까요?

만약 be dismissed를 수식한다면 to부정사 앞에 와야 합니다. – You will be dismissed without notice to be absent again.이라고

(예문 73) To hear him speak English, you may think him an Australian.

* 동사 있는 곳에 5형식 있으니(#요령16), hear가 지각동사로서 목적보어에 to없는 부정사 speak가 왔고, think도 5형식 동사로 목적보어에 an Australian이 온 것입니다.

- 그가 영어를 말하는 것을 들어보면, 당신은 그가 호주인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 여기서 (다)는 조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1강-2/2.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결과(예문74-78)제105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라) 00

(예문 74) He studied hard onlyto fail.

# 질문8 타동사는 꼭 목적어를 가져야 하나요?

#요령10에 의하여 동사에 “~ 을, ~ 를”을 붙여보아 말이 되면 타동사지만, 타동사라고 해서 꼭 목적어가 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같이 타동사라도 목적어가 안 나오면 자동사가 됩니다. 위의 예문에서 study는 원래 타동사지만, 이 예문에서처럼 목적어가 안 나오면 자동사가 되는 것입니다.

# 질문9 목적어 대신 보어를 가질 수 있나요?

타동사가 목적어를 안 가지는 경우에 목적어 대신 보어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보어를 가질 수 있는 동사(2형식),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동사(3,4형식), 목적어와 보어 둘 다 가질 수 있는 동사(5형식)등이 처음부터 구별되 있으며, 목적어나 보어 중 아무거나 가질 수 있는 동사가 있긴 있으나 (get, make 등) 극소수입니다.

즉, 위의 예문에서 study가 타동사지만 목적어가 나오지 않아서 목적어 대신 hard(hard는 여기서는 부사지만, 형용사도 있으니 형용사라고 보고)를 보어로 가질 수는 없습니다.

(물음1) to fail이 부사적 용법의 부정사인 것을 논증해 보세요.

(답) studied 가 타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요하는데, to fail을 목적어로 보고 해석하니 - 실패하는 것을 공부했다 - 말이 안 됩니다. hard나 only는 부사이고 (대)명사가 아니여서 목적어가 될 수 없습니다. 결국 studied의 목적어가 될만 한 것이 없습니다. 즉 studied는 타동사지만 목적어가 없으니 자동사로 쓰인 것입니다. 따라서 본문 He studied 는 1형식 문장입니다.

1형식에서 명사가 들어갈 자리는 주어뿐인데 이미 주어 He가 나왔으므로, to fail은 명사적 용법이 될 수 없고, 형용사적 용법 두 가지(형 - 혼보, 명수 - 공식2) 가운데 제1형식 문장이므로 보어는 필요치 않습니다. 명사수식으로 보려하니 수식을 받을 명사가 앞에 없습니다(to fail의 바로 앞에 있는 only는 명사가 아닌 부사 - 장미공식). 따라서 부정사의 3가지 용법 중 명사적, 형용사적 용법이 아니므로, 결국 나머지 하나 남은 기능인 부사적 용법입니다.

(물음2) 부사적 용법의 해석 – 결방양시조목이원 - 중 무엇으로 해석됩니까?

(답) (결방양시조목이원)으로 각각 해석을 해보니

결과 –그는 열심히 공부하였으나 (그 결과) 실패했을 뿐이었다.

방법 –그는 단지 실패함에 의하여 열심히 공부했다.

양보 -그는 단지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공부했다.

시간- 그는 단지 실패했을 때 열심히 공부했다.

조건 - 그는 단지 실패했다면 열심히 공부했다.

목적 - 그는 단지 실패하기 위하여 열심히 공부했다.

이유, 원인 -그는 단지 실패했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했다.

이상의 각 경우 중에서 눈치로 판단해보니 양보, 이유, 원인 등 여러 경우가 있을 것 같지만, 결과가 적당함을 다음에 보겠습니다.

# 요령31 - 결과표시의 부사구 임을 알 수 있는 4가지 표현들

다음의 표현들이 있으면 100% 결과표시의 부사적 부정사구입니다. 주의할 점은 to부정사 앞에 다음의 것들(only, as, too, enough)이 없이 단순히 (to+RV)만 나와도 결과표시일 수 있습니다.

(1) only to + RV(root verb - 원형동사) ~ 한 결과 단지 ~ 할 뿐이다

(2) as to + RV ~하여 그 결과 ~ 하다

(3) too ~ to + RV 너무 ~ 하여 그 결과 ~ 할 수 없다

(4) enough to + RV 충분히 ~ 하여 ~ 하다, ~ 하기에 충분히 ~ 하다

# 요령32 - 결과표시 부사구의 해석순서 - #요령5의 예외

(#요령5)의 유일한 예외가 있으니 - 결과표시의 to 부정사구를 해석할 때는, 부정사를 이루는 to를 중심으로, 앞뒤로 나눠서 앞에서부터 계속적으로 해석하며, to는 뒷부분에 속합니다. 물론 앞뒤 각 부분은 일반원칙에 따릅니다.

(예문74)의 해석

결과표시 부사구이므로 앞 뒤로 나눠서 계속적으로(즉, 앞에서부터) 해석하니, 먼저 앞부분He studied hard 을 해석하고[only는 요령31의 (1)에서 only to + RV에 속한다고 봐야함], - 그는 열심히 공부하였는데(하였으나) -, 다음 only to fail을 하니 - (그 결과) 실패했을 뿐이었다.

종합하면 - 그는 열심히 공부하였으나 (그 결과) 실패했을 뿐이었다.

(예문 75) He grew up to be a great inventor.

- 그는 자라서 훌륭한 발명가가 되었다.

(예문 76) She was too weak toliftsuchamachine.

- 그여자는 너무도 연약하여 그런 기계를 들어 올릴 수 없었다.

(예문 77) This avocado is soft enough toeat.

- 이 아보카도(과일의 일종)는 충분히 연하여 먹을 수 있다(먹기에 충분히 연하다).

# 주의8 enough가 부사로서 형용사(soft)를 수식할 때는 enough가 단어 한 개지만 뒤에서 수식합니다(장미공식의 예외).

(예문 78) He got up early as togetagoodseat.

- 그는 일찍 일어나서 좋은 자리를 잡았다.

* up은 원래 전치사지만, #요령25에 의하여 부사가 되서 got를 수식.

# 여기서 (라)는 결과입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12강.to부정사의 시제(예문79-86)제108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마) 시간

(예문 79) I was pleased to receive his letter.

(1) 나는 그의 편지를 받고 기뻤다(이유).

(2) 나는 그의 편지를 받았을 때 기뻤다(시간).

# 요령33 - 부사구를 해석할 때는 눈치(#요령28)외에 전후 관계도 고려해야 합니다.

위 예문79는 이유와 시간의 두 가지 모두 가능한 해석이지만, 그중에서 어느 것이 바른가는 전후 관계를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이 문장에서 이유와 시간 중 어느것이 바른 해석인가는 이 문장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으며, 앞뒤에 다른 문장이 있어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바) 양보

(예문 80) To study hard, he could not complete the course.

- 열심히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과정을 이수할 수 없었다.

to부정사 용법에 관하여

... [to부정사]라는 부정사있는데, to부정사는 주로 어떤 경우에 쓰입니까? 영어문법 지식 많이 아시는 분들의 알찬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to 부정사를 알찬 답변으로...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배우고 있는데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배우고 있는데요 be동사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잖아요 근데 문제중에 주어+be동사+(to or 동명사) 뭐 이렇게 be동사 뒤에 to부정사가 오는지 동명사가...

to 부정사 용법 알려주세요ㅜㅜ

to 부정사 배우고 있는데 감도 안잡히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것습니다ㅜㅜ 알려주세요 예시로 위 사진 문제들도 알려주세요 ㅡㅜㅜ to 부정사...

to 부정사를 사용하여 목표 작성하기

제가 이번에 영어 시험이 있는데 파파고 번역기를 쓰면서 to 부정사를 사용해서 영어로 1년간 목표 작성하기를 해야하는데 will try to win first place in kendo...

To부정사 to부정사를 배우고 있는데

To부정사 to부정사를 배우고 있는데 명사적 용법인지 형용사적 용법인지 부사적 용법인지 구분이 좀 어려운데 잘 구분하는법좀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실분 ㅠㅠ...

it cost 사람 시간 to부정사

it cost 사람 시간 to 부정사 가 ~가 ~하는데 시간이 들다 로 알고 있는데 it cost 시간 for 사람 to 부정사 로 써도 같은 의미가 되나요? 추가로 it...

to부정사 2개

... 이라는 문장이 있는데 to부정사to find,to realized 해서 총 2개 잖아요 근데 to부정사가 2개일때는 to realized 를 to를 빼서 realized로 고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