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작성일 2019.02.0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차이점을 말해주세요.내공 3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원리로 푸는 영어() (), 원리로 푸는 영작(부제 유학, 어학연수 오지마세요, 이책 보기전에는)의 저자 강샘의 답글입니다.


---------------------------------------

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차이점을 말해주세요.점수 30

-----------------------------------

1) 형용사가 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아시죠? 복습해봅니다.  

 

{2} 공식2 <형 - 혼보, 명수> 

(해설) 용사는 자, 즉 뒤에 아무 것도 없거나 명사 이외의 품사가 있으면 어가 되고, 뒤에 명사(대명사가 아니고 순수한 명사여야 합니다)가 있으면 그 사를 식하는 기능을 합니다. 

 

# 여기서 형용사가 혼자 있다는 것은 다른 것을 수식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존재한다는 뜻이며, 또한, 그 형용사는 단어 한 개인 경우도 있으나 두 마디 이상이 되는 구나 절인 경우도 있습니다. 보어가 될 때의 형용사는 그 해석이 동사에 따라서 매우 다양해 지지만, 명사를 수식 할때는 “---ㄴ(---은---는),---ㄹ(---을,---를),---의”로 해석 됩니다. 

(예를 들면) happy라는 형용사가  

(1) He is happy. 에서는 형용사 뒤에 명사가 없으니 (혼자만 있으니), is라는 동사의 보어가 된 것이고 - 이를 서술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2) He is a happy boy. 에서는 happy라는 형용사 뒤에 boy라는 명사가 있으니, 그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한정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이와같이 똑같은 happy라는 형용사가 혼자만 있느냐 또는 뒤에 명사가 있느냐에 따라서 그 기능이 달라집니다. 

 

# 주의1 형용사는 대명사를 직접 수식하지 못합니다. 

 

우리 말과는 달리 영어에서는 형용사는 대명사를 직접 수식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말의 “행복한 그 남자”라는 말을 영어로 happy he(him)이라고는 못 합니다. 

 


2) 명사의 기능도 복습해봅니다.

-----------------------------------

 

{1} 공식1 <명 - 주, 보, 목, 전목> 

(해설) 명사란 책, 사람, 고양이등 사물의 이름을 말하며, 명사가 문장중에서 하는 기능은 어, 어, 적어 그리고 치사의 적어가  됩니다. 

 

# 품사의 기능에 있어서 명사와 대명사는 원칙적으로 동일하게 취급되나, 여기에는 5가지 예외가 있니다(#주의52에서 후술). 

(예를 들면) 

book이라는 명사가This book is black.에서는 주어로 쓰였고, This is a book.에서는 보어로, I like this book. 에서는 동사 like의 목적어로 그리고 I found the word in the book.에서는 book이 전치사 in의 목적어로 쓰인 것입니다. 이때 전치사의 목적어 book을 “목적어라고 하는 것은 전치사의 목적어에는 목적격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을 위하여 = for they나 for their가 아니라 for them인데, 이때 them은 목적격입니다.). 

이상은 명사 book이라는 단어가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것만 예로 들었지만, 단어가 아니라 좀 더 긴 명사구(phrase)나 명사절(clause)도 같은 기능을 하며, 이에 대한 예를 지금 들면 이해가 안 갈 것이므로 뒤에서 상세하게 다룰 것입니다. 그러나 다 아는 것 같고 쉬워 보이는 이 공식이 공식이라고 할 것도 없다고 생각지 모르지만, 뒤에 보면 굉장히 중요한 기본공식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3) 구란 무엇인가요

---------------------------------

마디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본래의 품사 기능을 잃어버리고 전혀 새로운 하나의 품사가 되는 것 인데 영어에는 총 5개의 구가 있으며 우리가 지금까지 공부한 전명구, to 부정사구, 동명사구, 동형사구, 동부사구 들이 그것들입니다.


4) 따라서 명사구란

명사 기능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 을 하는 구입니다.

다음 3가지가 잇습니다.


ㄱ) 부정사구 - 설명과 예문을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합니다.


(예문33) To learnEnglish by Formula English is easy. 

# 문장 분석의 예8 - to부정사구가 주어로 쓰인 예문의 분석 

 

(1) to 부정사구의 발견 

 

# 구별의 방법4 - 전명구와의 구별 

 

영어문장은 주부 주어로부터 시작하는바, 주어가 있는 낱말의 품사는 명사나 대명사여야 하며, 문장의 처음에 나오는 명사나 대명사가 주어가 되는데, to라는 전치사가 나왔습니다. 공식4 의하면 전치사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나와야 하는데, 명사가 나오지 않고 learn이라는 동사가, 그것도 원형이 나왔습니다. 바로 여기서 많은 전치사 가운데 오직 to라는 전치사가 뒤에 명사가 왔으면 보통의 전명구이지만, 명사가 아니고 동사, 그것도 원형이 오면, 이것이 바로 부정사가 되므로, 단순한 전명구와 부정사구를 구별 있습니다.  

(2) 부정사구의 한계 

# 질문5 따라서 to learn으로 시작하는 부정사구의 한계(범위) 번째 동사가 나오기 직전까지이므로, 번째 동사가 learn, 번째 동사가 is이니, is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까지가 됩니다. 만약 번째 동사가 없으면 어떤 문장부호 , . ? ! 등이 있을 때까지입니다. 

(3) 부정사구 자체의 분석  

부정사구를 이루는 동사도 원형이 왔을 동사이므로, 문의 5형식 중에 어느 형식을 취할 것이고 동사 있는 곳에 5형식 있다 - (#요령16), 일단 동사가 나오면 어느 경우나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를 판단해야 하므로(#요령10, #구별방법1), learn 에다 “을, 를”을 붙여보니 - 수영을 배우다, 운전을 배우다 - 말이 되므로 learn 타동사입니다.  

따라서 목적어를 요하며, 목적어가 있는 낱말은 명사나 대명사여야 하므로(공식9), learn 바로 뒤에 명사가 나와야 테고, 과연 명사 English 나왔으니 목적어가 English입니다. 다음에 by라는 전치사가 나왔고 뒤에는 명사가 나와야 것이므로(공식4), 과연 Formula English(공식영어) 와서 by Formula English 전명구가 (#요령2) 의하여 - 구의 끝부분에 있는 전명구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구가 되므로, learn 수식하는 부사구가 됩니다. 

(4) 본동사 찾기 

#요령17에 따라서 주어가 길고 복잡하여 찾기가 쉽지 않으므로, 본동사를 찾으니 is입니다. 왜냐하면  

(a) is 원형은 be인데 주어가 3인칭, 단수, 현재이기 때문에 is 것이며  

(b) 영어문장에는 반드시 동사가 있어야 하고, 문장에서 동사는 learn is 있는데, learn 앞에 to 와서 부정사가 으니 본동사가 없고, 결국 나머지 동사 is 본동사임을 있습니다. 

(5) 부정사구의 기능 판단     

위에서 문장의 본동사가 is 라는 것을 알았는데, #요령8 의하면 be동사는 1형식 아니면 2형식 뿐입니다. 1, 2형식 어느 것인가 하는 것은 바로 뒤에 보어가 될만한 것이 있느냐 없느냐를 보면 알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어가 있는 낱말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이며, 바로 뒤에 있는 easy 형용사이고 뒤에 명사가 없이 혼자만 있으니, 공식9 의하여 is 보어가 되고, 따라서 문장은 2형식 문장이 되겠습니다.  

런데 부정사구인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어떤 자리에 놓여 있나요? 바로 is라는 동사의 앞에 있으며, 이는 바로 주어 자리니다(주어는 동사의 앞에 있어야 하므로). 그런데 주어가 있는 낱말의 품사는 무엇인가요? 공식1 의하여 명사입니다.  

여기서 논리적으로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주어가 있는 단어의 품사는 명사여야 하며, 주어의 자리에 어떤 구가 놓여 있다면, 구는 명사구일 것입니다. 따라서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라는 부정사구는 명사구로 쓰였습니다.  

(6) 부정사구의 기능을 따지는 실익 

런데 이렇게 어떤 부정사구가 나왔을 그것이 명사구인지, 형용사구인지, 부사구인지를 따지는 실익은 무엇인가요? 그것은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입니다. 여기서도 부정사구가 명사구임을 알았으므로 , 붙여서 해석해야 하며, 또한 이것이 주어이므로 주어의 토씨 , , , 붙여서 해석해야 합니다.  

(7) (예문33) 해석순서 

먼저 문장 전체를 개관하면 문장 전체는 2형식이고, 문장의 주어는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이며, 동사는 is, 보어는 easy입니다. #요령5 의하여 먼저 주어를 해석하려고 보니, 주어인 부정사구,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에서 To learn 이끄는 구는 동사 있는 곳에 문장 5형식이 있으니, learn이라는 동사의 주어가 있다고 가정하면 - 3형식의 구가 되서  

다시 3형식 문장의 해석순서에 의해 해석하여야 하며, 이 3형식 문장을 해석함에 있어서 맨 먼저 주어를 해석해야 되는데, learn이라는 동사의 주어는 없으니 해석할 필요가 없고, 다음이 learn 목적어인 English 1- 영어  

이것이 적어도 부정사구 안에서는 목적어이니 토씨 “을, 를”을 붙여 - 영어 - 되고, 다음에 동사를 하려고 보니 수식어인 부사구 by Formula English 있어서 그것을 먼저 해석하니(#요령52) - 영어를 공식영어에 의하여 -, 다음이 부정사구의 동사 learn 해석하는데, 부정사구가 명사구로 쓰였으므로 “것, 기”를 붙여야 하고 영어를 공식영어에 의하여 배우(배우는 ) - , 부정사구 전체가 주어로 쓰였으니 주어에 붙이는 토씨, ”은, , , 가”중에서 적당한 것을 고르니 “은”이 되서 -  영어를 공식영어에 의하여 배우기(배우는 ) ,다음이 보어 easy, 막으로 본동사 is이니 쉬운이다 쉽다.  

이상을 종합하면 - 영어를 공식영어에 의하여 배우기는 쉽다. 

 

# 요령18 - 영어의 모든 구나 , 문장 3인칭 단수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예문33) 주어에 부정사구가 왔으므로 동사가 is 것입니다. 

그러나 선행사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은 the things which - 의 의미일 때는 복수로 취급합니다. 

 

# 요령19 - 가주어 it 

 

예문33과같이 주어가 구나 절이 와서 때는, it 가주어로서 내세우고 진주어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문장의 뒤로 보내며, 이때 가주어 it 해석하지 않습니다. 예문33 가주어를 써서 다시 쓰면 

- It is easy to learn English by Formula English. 됩니다. 

 


ㄴ) 동명사구 - 설명과 예문을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합니다.

(예문116) Consuming food in public is illegal. 

 

# 문장분석의 예(20) - 동명사구가 주어가 된 예문의 분석 예문116의 분석 

 

위 예문을 물음에 답해 가면서 분석해 봅니다. 

(물음1) Consuming 진행형인가요? 

진행형은 동사에 ing 붙이면 되는 것이 아니고, 앞에 be동사가 있어야 합니다. 뒤에 is 있기는 하지만 ing붙은 동사 앞에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진행형이 아닙니다. 

(물음2) Consuming 명령문인가요? 

영어에서 주어가 없이 동사가 먼저 나올 있는 경우는 명령문뿐이고, Consuming 주어가 없이 바로 동사가 나왔으니 명령문처럼 보이지, 명령문은 원형동사를 써야하며(#질문3), “진행 명령” 따위는 없습니다. 따라서 Consuming 명령문이 아닙니다.  

# 동명사구입니다. 

(a) Consuming consume라는 동사에 ing 붙었지만, 물음 1, 2에서 봤듯이 진행형도, 명령문도 아닙니다. 보통의 문장에서는 주어로부터 문장이 시작 되며 주어가 될 수 있는 단어의 품사는 명사나 대명사여야 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동사 consume이 변형서 나와 있기에 주어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b) 이와같이 주어를 찾기가 쉽지 않을 때는 (#요령17) 의하여 먼저 본동사를 찾는 것이 좋은 요령입니다. 왜냐하면 본동사는 주어의 성, 수, 인칭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동사를 찾는 것은 주어를 찾는 것보다는 쉽기 때문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is 본동사이고 be동사는 1,2형식만 구성할 수 있고, 뒤에 보어가 될만한 것이 있으면 제 2형식이 될 것인데, 뒤에 형용사 illegal 혼자만 있으니 보어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의 주어는 동사 is 앞에 있을 것입니다.  

(c) 그런데 주어가 있는 낱말은 명사나 대명사여야 므로, 동사 is 앞에서 주어가 될만한 명사나 대명사를 찾아 봅니다. public 명사이긴 하지만 앞에 전치사 in 있으니, 전치사의 목적어가 것이며, 주어는 없고 전명구가 됩니다(공식4). food 명사여서 주어로 보려고 하니, 앞에 동사 consume ing 붙은 consuming 있고, 비록 ing 붙었더라도 본질은 동사일 것입니다.  

(d) 그런데 동사 있는 곳에 5형식이 있으므로(#요령16), 동사가 나오면 항상 최소한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요령10). Consuming 타동사여서 목적어를 요하고, 목적어는 동사의 바로 다음에 와야 하며 그것이 food입니다. 따라서 food consuming 목적어가 되고 주어가 없기 때문에, 결국 주어가 될만한 순수한 명사는 없습니다.  

(e) 러나 영어에서는 명령문 외에는 주어가 없는 문장은 없으므로, 주어가 있긴 있어야 것입니다. 여기서 consuming consume라는 동사에 ing 붙여서 동사를 명사로 쓰는 “동명사구”라는 것을 습니다.  

(물음3) 이 동명사구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동명사구의 한계도 to 부정사구에서처럼 번째 동사가 나오기 직전까지이며(#질문5 - 부정사구, 동명사구 , <phrase> 만들기 위해서는 동사가 개면 충분하므로), 번째 동사가 consuming, 번째 동사가 is이므로, is 앞인 Consuming food in public 전체가 is 주어가 것임을 있습니다.  

이때 in public 구의 부분에 있는 전명구므로, 동사 consuming 꾸미는 부사구가 될 것입니다(#요령2). comsuming 기능은 명사지만, 본질은 동사므로, 동사 consuming 수식하는 in public 부사구가 됩니다.  

(예문116) 해석  

전체는 2형식이며 주어 Consuming food in public 먼저 해석해야 하는데, 이것이 3형식이므로, 제3형식문의 해석 순서가 되고 안에 주어는 없으니, 목적어를 먼저 해석해야 합니다.  

그런데 동사 consuming 수식하는 부사구 in public 목적어 food보다 어서 in public 먼저 해석하(#요령21) 공중 앞에서(공공장소에서), 다음이 목적어 food 음식을, 다음이 동사 consuming 소비하는 (먹는 ), 명사 기능을 하니 ”을 붙였고, 주어이니 , , , 가”를 붙였음, 다음이 보어 illegal 비합법적(위법), 막으로 is - 이다. * 호주의 한 병원 안에 붙은 경고문. 

종합하면 공중 앞에서(공공장소에서) 음식을 먹는 것은 위법이다. 

# 가주어 사용 

to 부정사에서 주어가 길때는 가주어 it 썼듯이, 동명사에서도 주어가 길때는 가주어 it 사용할 있으며, 모든 경우에 가주어나 가목적어로는 it 쓰입니다. 가주어나 가목적어를 쓰는 경우에는 진주어나 진목적어는 본문의 부분에 옵니다. (예문116) 가주어를 써서 다시 쓰면 - It is illegal consuming food in public. 됩니다. 

 

# 문장전환 1 - 기본원칙 - 품사적 기능이 같으면 문장전환이 가능합니다. 

 

# 문장전환 2 - 동명사구를 to 부정사구로 

 

(예문116) Consuming food in public is illegal. 

영어에서 품사적 기능이 같으면 문장전환이 가능하므로(#문장전환1), 예문116 동사 consume ing 붙여 동명사로 만들어 명사로 것이지만, 이같이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방법에는 to 부정사도 있으니, 명사로 쓰이는 점에서는 to 부정사나 동명사나 기능이 같으므로 116 to 부정사로 바꾸면 ing대신 to 붙이면 될 것입니다.  

- To consume food in public is illegal. 가주어를 쓰면 

It is illegal to consume food in public. 바꿀 있습니다. 



5) 형용사구란 형용사 기능 - 명사 수식, 보어 - 을 하는 구입니다

이에는 부정사구와 분사의 형용사 기능을 하는 동형사가 잇습니다.


ㄱ) 부정사는 보어가 되는 경우 모두 명사구로 보며 형용사구로 보는 경우는 <be to용법> 뿐입니다.

be to는 일종의 조동사로 보며,  관용적 용법으로 저의 저서 중에서 여기에 인용합니다. 

---------------------------- 

<비투  –   예의운필가능>이라고 암기하세요.   

(1) 예정   

He is to buy that book. –  미래의 예정   

그는 그 책을 살 예정이다.   

He was to buy that book. –  과거의 예정   

그는 그 책을 살 예정이었다.   

  

(2) 의무   

You are to pay taxes for selling and buying this building .   

이 건물을 팔고 사는 데는 세금을 내야한다.   

  

  

(3) 운명   

He was never to see his  homeland again.   

그는 그의 고향을 다시 볼 수 없는 운명이었다.   

    He     was     never     to     return  to       his   fatherland   again.   

( 그는 결코 다시는 그의  고국에   돌아가지 못할   운명이었다   .)   

  

(4) 필요   

What  is to be prepared?   

무엇이 준비 되야 합니까?   

  

(5) 가정   

If I were   to offer more money, would you sell it?   

만약 돈을 더 드리면 파시겠어요?    

  

(6) 능력   

Nothing is to be done .   

될 일이 아무것도 없다.   

He was nowhere to be found.   

그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ㄴ)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구인 부정사

I have a book to read.

to read가 앞의 명사 book을 수식합니다.



ㄷ) 동형사가 명사를 수식


(가) 현재분사(~ ing)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예문250) The singing boys came from Korea. 

(문장분석) - 모든 영어문장은 주부의 주어로부터 시작하는데, 먼저 정관사 the가 나왔으니 <공식6>에 의하여 명사 boys가 왔고, 이것이 주어입니다. 그런데 그 관사와 명사 사이에 올 수 있는 단어는 형용사뿐이므로, singing은 형용사로 쓰일 수밖에 없니다. 그리고 영어에서는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 나와야 하니 came이 동사, 전치사 from이 왔으니 <공식4>에 의하여 명사가 나와야 하므로, Korea가 와서 전명구가 됐고, 앞중가까동이어서 부사구이고(#요령2,) 전체는 1형식입니다. 

– 그 노래하고 있는(자동사의 현분사는 진행으로 해석) 소년들은 한국에서 왔다.  

(예251) The boys singing in The Opera House came from Korea. 

 

# 문장분석의 예21 - 현재분사로 된 동형사구가 명사를 수식하는 예문 

 

위의 예문을 물음에 답하면서 분석해 봅니다. 

(# 질문10)의 답에서 보았듯이 영어에는 ~ing가 오는 경우가 5가지가 있으니, 여기에서 singing는 그중 어느 것인지 고찰해 봅니다. 

(물음1) singing은 동사 sing에 ing가 붙은 것인데, 진행형인가요? 

<답> 진행형이란 동사 원형에 ing가 붙은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앞에 be 동사가 있어야 하므로(시제 부분 참고), 진행형이 아닙니다. 

(물음2) singing은 동명사인가요? 

<답> 아닙니다. 그 이유는 동명사란 동사를 명사로 쓰는 것인데, 만약 singing이 동명사라면 <공식1>에 의하여 명사가 하는 기능, 즉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중의 하나로 사용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 문장의 주어는 boys로 이미 나왔고, 보어는 동사의 앞에 올 수 없고(동사는 건널 수 없는 강 #주의3) 동사 뒤에 나와야 하므로 보어는 아니고, 본동사인 came이 자동사여서 목적어를 가질 수 없으니 목적어도 될 수 없습니다. 동명사로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려면 앞에 어떤 전치사가 와야 하는데, 앞에 전치사가 없으니 전치사의 목적어도 될 수 없니다.  

즉 동명사로서 기능 – 명사로서의 기능 -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기능 중 어느 것도 할 수 없으니 동명사가 아닙니다. 

(물음3) singing은 verbal noun인가요? 

<답> verbal noun은 동명사가 완전히 명사화한 것인데(#도표5 참고), 위의 동명사에서처럼 명사로서 쓰일 자리가 없으니 verbal도 아닙니다. 

# 동부사는 아직 안 배웠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그러므로 (#질문 10)에서 ing가 오는 경우 5가지 중 4가지 – 진행형, 동명사, verbal noun, 동부사 니니, 여기 singing는 나머지 한 가지 경우인 동형사입니다. 

(물음4) 동형사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질문5(부정사구의 한계)에서 봤듯이, 동사가 변형돼서 다른 품사가 되는 to 부정사, 동명사, 동형사 그리고 후술하는 동부사에 있어서도 동사가 기본이 돼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동사가 하나면 되기 때문에 여기 동형사의 한계도 첫 번째 동사가 singing(이는 물론 기능은 동명사지만 본질은 동사므로, 이것을 첫 번째 동사로 봅니다.) 두 번째 동사(이 문장에서는 came)가 나오기 전인 singing in The Opera House까지입니다. 

(물음5) singing이 여기서는 동형사라면  

보어인가요 아니면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인가요? 

<답> singing이 동형사 라면 <공식2 – 형 - 혼보, 명수>에 의하여, 보어로 쓰이던지 명사를 수식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보어는 동사 뒤에 와야 하는데 동사가 아직 나오지 않았으니, 보어는 아니고 그렇다면 명사를 수식해야 합니다. 리고 수식할만한 명사는 boys뿐이며 실제로 이것을 수식합니다.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26강-2/3.명사수식 현재분사 동형사(예문251)>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물음6) 아주 중요한 질문이 있니다.  

(예문250)(예문251)비교해보면두 문장 모두에서sing이라는 동사에 ing가 붙어서 그 기능이 동사에서 형용사가 서 명사 boys를 수식합니다.그런데 동형사 singing이 똑같은 명사boys를 수식하는데, 왜 (예문250)- The singingboys came from Korea.- 에서는 boys앞에서 수식하고, (예문251)에서는 boys뒤에서 수식할까요? 

<답> (예문250)에서는 singing이 단지 개의 단어이므로 boys 앞에서 수식한 것이고, (예문 251)에서는 singing이 in The Opera House라는 전명구를 가져서 singing in The Opera House 전체가 하나의 구가 기 때문에 boys 뒤에서 수식한 것입니다. 이것이 무슨 공식인가요? 바로 ‘장미공식’입니다. – 앞단, 뒤구절 

(물음7) singing in The Opera House는 무슨 구인가요? 

<답> 두 마디 이상의 단어가 (여기서는 5단어) 모여서 본래의 품사( singing은 동사, in은 전치사, The는 관사로서 형용사의 일종, Opera House는 명사)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전혀 새로운 하나의 품사(여기서는 형용사)가 된 것이어서, 여기서는 동형사구가 된 것입니다(구와 절의 개념 참고). 

(물음8) singing in The Opera House서 전명구 in The Opera House는 무슨 구인가요? 

<답> <공식4 - 전반명 – 전명구 형부 - 종>에 의하여 형용사구나 부사구 둘 중 하나인데, #요령2에 의하여 동형사구인 singing in The Opera House의 끝 부분에 있으니,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인 singing을 수식하는 부사구가 됩니다(다음 #주의24 참조). 

 

# 주의24 - 거시적, 미시적 고찰 

 

singing in The Opera House 전체는 현재분사 singing 이끄는 ‘동형사’구로서, 기능은 앞의 boys를 수식하는 형용사구가 되지만, singing의 본질은 동사이므로 그 동사를 수식하는 in The Opera House는 부사구가 됩니다. 이는 동사를 변형시켜 구가 되는 to 부정사구, 동명사구, 동형사구, 뒤에서 다루는 동부사구 등 모든 경우에 공통입니다. , 거시적으로 보면 기능상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등이 되며 각각 다르지만, 각 구의 내부에서는 동사가 변형되어 구가 되긴 했지만 변형된 동사의 본질은 동사이므로, 그 구의 끝 부분에 있는 전명구는 – 앞중가까동 에 의하여 부사구가 된다는 것입니다(미시적 고찰). 

(예문251)의 해석 - #요령5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전체는 2형식이고 주어 The boys를 해석하기 전에 수식어를 먼저 해석해야 하는데, 수식어 singing을 수식하는 식어 in The Opera House를 먼저 해석하고 – 오페라 하우스에서, 다음이 singing – 노래하고 있는(자동사의 현재분사는 진행으로 해석, 은 #요령37), 주어 The boys를 수식하는 singing in The Opera House를 해석했으니, 이제 주어인 The boys – 그 소년들은, 다음이 동사 came을 해석해야 하는데, 수식어부터 해야 하므로, from Korea – 한국에서, 마막으로 본동사 came - 왔니다. 

(해석) 오페라 하우스에서 노래하고 있는 소년들은 한국에서 왔니다.   

 

# 문장전환 (4) - 분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동형사로 쓰일 때의 문장전환   

 

이하에 설명드릴 내용은 그대로 유튜브에서 <원리로 푸는 영어(상)[강Sam영어]제26강-3/3.명사수식 과거분사 동형사(예문252-253)제186쪽> 을 검색하셔서 함께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보시고 구독/subscribe을 눌러 주시면 더 좋은 동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위에서 singing in The Opera House는 the boys를 수식하는 형용사구입니다. 그런데 #문장전환 1에 의하여 품사적 기능이 같으면 문장전환이 가능하므로, 같은 형용사적 기능을 하는 다른 구나 절로 바꿔 쓸 수 있니다(문장전환). 그런데 형용사 기능을 하는 것에는 to 부정사구가 있고, 관계사가 있니다. 사는 아직 다루지 않았으니, to 부정사구로 바꾸면.  

to 부정사구란 동사 원형에 to를 붙이는 것이므로, 기존의singing에서 현재분사형 동형사였기에 필요했던 ing를 지우고 대신 앞에다 to를 붙이니 to sing in The Opera House가 되고, 이 구가 boys를 수식하며, 구가 어떤 단어(여기서는 boys) 수식할 때는 장미공식에 의하여 뒤에서 앞으로 수식하니   

– The boys to sing in The Opera House came from Korea.이 됩니다.  

이론상으로는 이렇게 고칠 수 있지만  

 

# 주의25 주어를 수식하는 to 부정사는 미래의 의미가 있을 때만 사용합니다. 

 

To 부정사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에서 to 부정사가 주어를 수식할 때는, 미래의 의미가 있을 때만 사용합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came이 미래가 아니므로 쓸 수 없니다. 그러나 만약 본문의 시제가 will come으로 미래시제라면 쓸 수 있니다. 따라서 The boys to sing in The Opera House came from Korea.는 엄격히 말하면 틀린 문장이지만, 이론상 그렇게 고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예로 든 것입니다.  

 

(나) 과거분사(~ed)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생략


ㄹ) 동형사가 보어로


(가) 주격보어 

 

(a) 현분사가 주격보어로 쓰인 경우 

 

(예문258) His discourtesy was embarrassing to me. 

(cf.) He was embarrassing me with questions about my antecedents. 

 

# 문장분석의 예24 - 현재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주격보어가 된 예문의 분석 

 

다음의 질문에 답하면서 위 예문들을 분석해 봅니다. 

# 질문13 예문258에서 embarrassing은 왜 본동사가 아니고 현재분사인가요? 

 

즉, (예문258) 에서 was embarrassing은 <be +동사원형(embarrass) + ing> 로서 진행형이 아닌가요? 

<답> 형식상 진행형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보고 해석을 해보면 –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 무안하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 – 가 서 말이 좀 이상합니다.  

한편 embarrassing을 동사가 아닌 형용사로 보고 해석하면 –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는 무안했다. – 가 훨씬 좋습니다.  

반면에 (cf.) 문장은 – 그는 나의 경력에 관한 질문으로 나를 무안하게하고 있었다. – 가 서 진행형입니다. 

이와같이 어떤 문장이 진행형이 되느냐 여부는 최후에는 해석을 해보고 판단하게 되지만, 처음부터 해석에 의존하지 말고 문법적, 형식적으로 다 따져본 다음에 해석은 최후라는 점에 대하여는 이미 (#주의14)  

(가) 주격보어 

 

(a) 현분사가 주격보어로 쓰인 경우 

 

(예문258) His discourtesy was embarrassing to me. 

(cf.) He was embarrassing me with questions about my antecedents. 

 

# 문장분석의 예24 - 현재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주격보어가 된 예문의 분석 

 

다음의 질문에 답하면서 위 예문들을 분석해 봅니다. 

# 질문13 예문258에서 embarrassing은 왜 본동사가 아니고 현재분사인가요? 

 

즉, (예문258) 에서 was embarrassing은 <be +동사원형(embarrass) + ing> 로서 진행형이 아닌가요? 

<답> 형식상 진행형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보고 해석을 해보면 –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 무안하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 – 가 서 말이 좀 이상합니다.  

한편 embarrassing을 동사가 아닌 형용사로 보고 해석하면 –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는 무안했다. – 가 훨씬 좋습니다.  

반면에 (cf.) 문장은 – 그는 나의 경력에 관한 질문으로 나를 무안하게하고 있었다. – 가 서 진행형입니다. 

이와같이 어떤 문장이 진행형이 되느냐 여부는 최후에는 해석을 해보고 판단하게 되지만, 처음부터 해석에 의존하지 말고 문법적, 형식적으로 다 따져본 다음에 해석은 최후라는 점에 대하여는 이미 (#주의14)  (예문119) His occupation is composing music. 

(cf.) He is composing music. 에서 설명한 바 있습니다. 

 

# 질문14 - 현재분사 embarrassing은 왜 보어로 쓰였다고 봐야 하나요? 

 

즉, (예문258)에서 embarrassing을 동사 embarrass에 ing가 붙어서 be 동사와 결합 진행형인 본동사가 아니고 현재분사로서 형용사로 쓰였다면 형용사가 하는 기능 – (공식2 – 형 – 혼보, 명수) 중 어떤 기능을 하나요? 

<답> 우선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려고 하면, “장미공식”에 의하여 embarrassing의 앞이나 뒤에 수식을 받을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하는데, 앞의 was는 동사요 뒤에는 아무 단어도 없습니다. 즉 수식할 명사나 대명사가 없습니다. 따라서 명사수식 기능을 할 수 없고, 형용사의 나머지 한 가지 기능인 보어기능을 할 것입니다. 그런데 바로 전형적인 2형식 동사인 was의 보어 자리에 embarrassing이 놓여 있어서 보어가 된 것입니다. 



(b) 과거분사가 주격보어로 쓰인 예


생략


(나) 목적격 보어 

 

보어에는 제 2형식의 주격보어와 제 5형식의 목적격보어가 있는바, 동사의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형용사로 쓰인다면, 형용사의 2가지 기능 중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이미 보았고, 또 주격보어가 되는 것도 보았으니, 이제 마지막으로 목적격보어가 되는 경우를 봅니다.       

 

(a) 현분사가 오는 경우 – 진행의 뜻 

 

목적격 보어에 현재분사가 오는 경우는 진행의 뜻이 있습니다. 

#요령22에서 제 5형식의 목적보어에 to 부정사가 오면 목적어를 “~을, ~를”을 붙여서 해석하지 않고 주어처럼 해석하는 것이 한 요령이라고 했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제 목적보어에 to 부정사뿐 아니라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오는 경우도 목적어를 주어처럼 은, 는, 이, 가를 붙여서 해석한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때의 목적어는 보어인 준동사(to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문267) <ㄱ> I saw him drive the car. 

        <ㄴ> I saw him driving the car. 

 

# 문장분석의 예26 - 현재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목적보어가 된 예문의 분석 

 

다음의 물음에 답하면서 위 예문을 분석해 봅니다. 

(물음1) 위의 <ㄱ>과 <ㄴ> 두 문장을 비교해 보세요. 

(답) 위 <ㄱ>문장은 saw가 지각동사여서 목적보어에 to가 없는 부정사 drive가 온 경우이며, <ㄴ>문장은 현재분사 driving 동형사가 서 목적보어가 된 것입니다. 

<ㄱ>문장은 – 나는 그 차를 운전하는 것을 보았다. – 이지만,  

<ㄴ>문장에서는 현재분사driving에 진행의 뜻이 있으니 – 나는 그 차를 운전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 는 뜻이 됩니다. 

 

(물음2) <ㄴ>문장에서 목적보어가 된 driving 동형사로  

 

보지 말고 동명사로 볼 수는 없나요? 

 

() 그렇게 볼 수 있을 것같니다.  

왜냐하면 (공식10 – 보 - 명, 대, 형)에 의하여, 동명사도 명사로서 보어가 될 수 있고 동형사도 형용사로서 보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각 경우에 동명사인지 동형사인지의 구별은 곤란하며,  

다만 “것, 기” 등으로 해석되는 경우는 일견 동명사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한편, 동명사는 목적과 용도를 나타내는 명사적 용법이며 현재분사는 동작, 상태, 진행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용법으로 볼 수 있는데( 동형사와 동명사의 구별 - 후술.#도표9참고),위의 문장에서 는 그가 차를 운전하고있는 동작을 본 것이라서 현재분사로 봐야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물음3) driving the car를 동형사로 보되, 보어가 아니라 him을 수식하는 동형사로 볼 수는 없을까요?   

() 그렇게 볼 수 있니다.  

(1) 만약 driving the car 보어로 본다면 <ㄴ> I saw him driving the car는 제 5형식이 되고 해석은 – 나는 차를 운전하는 것을 보았다. – 가 될 것이며,  

(2) 반면에 driving the car를 him을 수식하는 동형사로 본다면 제 3형식이 되고 해석은 – 나는 차를 운전하는 그 보았다. – 가 될 것입니다. 

그럼 어느 것이 맞는 해석까요? 

– 둘 다 맞는 해석입니다. 다만 전후 관계로 봐서 맞는 해석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b) 과거분사가 오는 경우 – 피동(수동)의 뜻


이하 생략

------------------------------


6) 참고로 영어의 5구 3절의 기능을 도표화한 것을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합니다.

----------------------------------

# 12 - 5구 3절의 기능과 관계 

 

 

    만드는 법 

기능 

 

비고 

 

명사 

         형용사 

 

부사 

혼보 

명수 

5구 

전명구 

전치사+(대)명사 

X 

? 납속책 

O 

O 

 

to부정사 

TO + RV 

O 

O 

O 

O 

 

동명사 

RV + ing 

O 

X 

X 

X 

 

동형사 

RV + ing나 ed 

X 

O 

O 

X 

 

동부사 

X 

X 

X 

O 

 

3절 

명사절 

that절등5가지 

접속사+S+V 

O 

X 

X 

X 

 

형용사절 

관계사절 

 

X 

X 

O 

X 

 

부사절 

결방양시조목 

 

X 

X 

X 

O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명사구는 말그대로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는 덩어리에요.


Her hobby is playing games


playing games 가 명사 역할을 하는 명사구이죠.


마찬가지로 형용사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꾸미거나 주어 목적어 상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죠.


Car parked illegally will be towed.


parked illegally가 앞에 car를 수식해주는 형용사 구 역할을 하고 있어요.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형용사구란 형용사 구실을 하는 구 즉 형용사적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이는 단어집단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명사구란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문장 요소, 즉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수식어의 기능을 하는 단어 집단을 말합니다.


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형용사구와 명사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차이점을 말해주세요.내공 30 안녕하세요?... 동명사구 등, 구<phrase>를 만들기 위해서는 동사가 한 개면 충분하므로), 첫...

영어 형용사구 명사구

... 오류있는 부분 지적해주세요 그리고 형용사 what절에서 선행사 없어지고 명사구랑 어떡해 구별하나요? 명사구 로 쓰일때 what은 불완전 으로오고 that은 완전한...

형용사구 부사구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명사구 설명 좀 해주세여. 그리고 형용사구랑 부사구를 어떻게 구분하는지도 알려주세요 (내공 500)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는 그 자체로는 구분되지...

영어 문장 명사구 동사구 형용사구...

... 다시 보는 구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유의미한 의미를 전달하여야... delicious라는 형용사, 그리고 apple이라는 명사로 구성된 명사구 I drank apple juice....

명사구형용사구에 대해 질문좀 할께요

... 그래서 그 ''가 문장에 어찌 쓰이는냐에 따라 명사구형용사구로 나누어 지잖아요, 그리고 명사구는... 따지자면, 명사구 예문) To see is to believe 무엇무엇 하는...

명사구 형용사구

The teacher told Kate to study hard에서 to study hard는 형용사구인가요 명사구 인가요 그리고 형용사구 명사구는 어떻게 구분 하나요 명사구 형용사구 The teacher told...

명사구 부사구 형용사구

명사구 부사구 형용사구 전치사구 는 각각 무엇을 수식해야되는지 알려주세요 예룰둘어 형용사를수식하면 명사구 명사를수식하면 형용사구 동사를수식하면 부사구 젆아요...

부사구 형용사구 명사구에대해서

... 알겠는데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의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를... singing은 형용사로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영어에서는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