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분사형용사/현재분사

동명사/분사형용사/현재분사

작성일 2015.12.0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갑자기 엄청난 헷갈림이 왔네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꾸벅

 

1. 동명사

동명사+the명사

 

2.현재분사

the+ving+명사 (ving 현재분사가 뒤에 명사를 수식해줌)

 

3.분사형용사

the명사+ 분사형용사 + the명사 (분사형용사+the명사가 앞에 명사를 수식해줌)

ex) the manual detailing the regulations.

 

질문1. 제가 아는것은 분사형용사 안에 현재분사(능동),과거분사(수동)이렇게 포함되어있는게 맞나요?

아니면 분사형용사랑 현재분사,과거분사 다른것으로 봐야하나요?

 

질문2. 분사형용사가 현재분사가 맞다는 전제로하면,

관/부/형/명 규칙으로 위에 3번 구조는 분사형용사로 보면안되고

동명사 + the명사로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런데 공부하는 책에는 현재분사라고 나와있고...

그런데, 또 동명사로 보면(동명사의 역할, 주어/목적어/보어) 형용사적 역할이 없어서 안되고....

갑자기 어디가 엉킨것같은데 뭔지 모르겠습니다

 

분사형용사 다음에 어떻게 the 명사가 올 수 있는지요

분사형용사는 형용사이나 태생이 동사이라서 명사가 올 수 있는데

그러면 현재분사랑 말이 안되는게 아닌가요?

 

질문 이해하기 힘드시겠지만 답변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영어에서 가장 까다로운 분야가 바로 분사입니다. 그러나 알고나면 아주 재미있는 분야입니다. 아시다 싶이 동사를 동사가 아니 다른 품사로 쓰이는 것을 준동사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to 부정사, 동명사, 분사가 있지요? 그런데 님은 분사를 주로 물의셨으니, 이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현재분사 과거분사는 동사원형에 ing나 ed(pp)를 붙여 동사를 형용사나(이것을 저는 동형사라고 함) 부사(이것을 저는 동부사라고함) 로 쓰는 것이지요? 님은 여기서 동형사를 물의셨으니 동부사의 설명은 약합니다.
그런데 아시다싶이 형용사가 하는 기능은 명사수식과 보어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님은 동형사를  물으셨으니 이것만 답드리며 또 사실 동부사까지 설명하기엔 지면이 부족합니다.
이상의 개략적인 것을 아신 후 이제 제가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예문과 함께 저의 저서 중에서 인용하여 드릴 테니 한번 보시면 앞으로는 이 부분에 대해 자신을 가지시게 될 것입니다.
------------------------------

{2} 동형사( - 혼보, 명수)

A. 동형사의 의미와 기능

동명사가 동사를 명사로 만들어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동형사란 동사의 원형에 ing를 붙이거나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형용사처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공식2 - 혼보, 명수)에 의하면 형용사는 두 가지 기능을 하는 바, 동사를 형용사로 전용하여 쓰는 동형사도 형용사가 하는 기능, 즉 명사를 수식하거나 혼자서 보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B. 명사 수식

# 요령37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요소들의 해석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기능을 하는 단어, 형용사구, 형용사절 등의 모든 경우에

, , 를 붙여서 해석합니다.

() 현재분사(~ ing)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예문250) The singing boys came from Korea.

(문장분석) - 모든 영어문장은 주부의 주어로부터 시작하는데, 먼저 정관사 the가 나왔으니 <공식6>에 의하여 명사 boys가 왔고, 이것이 주어입니다. 그런데 그 관사와 명사 사이에 올 수 있는 단어는 형용사뿐이므로, singing은 형용사로ㅁㅊ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영어에서는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 나와야 하니 came이 동사, 전치사 from이 왔으니 <공식4>에 의하여 명사가 나와야 하므로, Korea가 와서 전명구가 됐고, 앞중가까동이어서 부사구이고(#요령2,) 전체는 제 1형식입니다.

그 노래하고 있는(자동사의 현재분사는 진행으로 해석) 소년들은 한국에서 왔다.

(예문251) The boys singing in The Opera House came from Korea.

 

# 문장분석의 예21 - 현재분사로 된 동형사구가 명사를 수식하는 예문

 

 

위의 예문을 물음에 답하면서 분석해 봅니다.

(# 질문10)의 답에서 보았듯이 영어에는 ~ing가 오는 경우가 5가지가 있으니, 여기에서 singing는 그중 어느 것인지 고찰해 봅니다.

(물음1) singing은 동사 sing ing가 붙은 것인데, 진행형인가요

<> 진행형이란 동사 원형에 ing가 붙은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앞에 be 동사가 있어야 하므로(시제 부분 참고), 진행형이 아닙니다.

(물음2) singing은 동명사인가요

<> 아닙니다. 그 이유는 동명사란 동사를 명사로 쓰는 것인데, 만약 singing이 동명사라면 <공식1>에 의하여 명사가 하는 기능,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중의 하나로 사용돼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 문장의 주어는 boys로 이미 나왔고, 보어는 동사의 앞에 올 수 없고(동사는 건널 수 없는 강 #주의3) 동사 뒤에 나와야 하므로 보어는 아니고, 본동사인 came이 자동사여서 목적어를 가질 수 없으니 목적어도 될 수 없습니다. 동명사로서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려면 앞에 어떤 전치사가 와야 하는데, 앞에 전치사가 없으니 전치사의 목적어도 될 수 없습니다.

즉 동명사로서의 기능 -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기능 중 어느 것도 할 수 없으니 동명사가 아닙니다.

(물음3) singing verbal noun인가요

<> verbal noun은 동명사가 완전히 명사화한 것인데(#도표5 참고), 위의 동명사에서처럼 명사로서 쓰일 자리가 없으니 verbal도 아닙니다.

# 동부사는 아직 안 배웠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그러므로 (#질문 10)에서 ing가 오는 경우 5가지 중 4가지 , 동명사, verbal noun, 동부사 , 여기 singing는 나머지 한 가지 경우인 동형사입니다.

(물음4) 동형사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질문5(부정사구의 한계)에서 봤듯이, 동사가 변형돼서 다른 품사가 되는 to 부정사, 동명사, 동형사 그리고 후술하는 동부사에 있어서도 동사가 기본이 돼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동사가 하나면 되기 때문에 여기 동형사의 한계도 첫 번째 동사가 singing(이는 물론 기능은 동명사지만 본질은 동사므로, 이것을 첫 번째 동사로 봅니다.) 두 번째 동사(이 문장에서는 came)가 나오기 전인 singing in The Opera House까지입니다.

(물음5) singing이 여기서는 동형사라면

보어인가요 아니면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인가요

<> singing이 동형사 라면 <공식2 - 혼보, 명수>에 의하여, 보어로 쓰이던지 명사를 수식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보어는 동사 뒤에 와야 하는데 동사가 아직 나오지 않았으니, 보어는 아니고 그렇다면 명사를 수식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식할만한 명사는 boys뿐이며 실제로 이것을 수식합니다.

(물음6) 아주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예문250) (예문251)를 비교해 보면 두 문장 모두에서 sing이라는 동사에 ing가 붙어서 그 기능이 동사에서 형용사가 돼서 명사 boys를 수식합니다. 그런데 동형사 singing이 똑같은 명사 boys를 수식하는데, (예문250)에서는 boys 앞에서 수식하고, (예문251)에서는 boys 뒤에서 수식할까요

<> (예문250)에서는 singing이 단지 한 개의 단어이므로 boys 앞에서 수식한 것이고, (예문 251)에서는 singing in The Opera House라는 전명구를 가져서 singing in The Opera House 전체가 하나의 구가 됐기 때문에 boys 뒤에서 수식한 것입니다. 이것이 무슨 공식인가요? 바로 장미공식입니다. 앞단, 뒤구절

(물음7) singing in The Opera House는 무슨 구인가요

<> 두 마디 이상의 단어가 (여기서는 5단어) 모여서 본래의 품사( singing은 동사, in은 전치사, The는 관사로서 형용사의 일종, Opera House는 명사)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전혀 새로운 하나의 품사(여기서는 형용사)가 된 것이어서, 여기서는 동형사구가 된 것입니다(구와 절의 개념 참고).

(물음8) singing in The Opera House에서 전명구 in The Opera House는 무슨 구인가요

<> <공식4 - 전반명 ––- >에 의하여 형용사구나 부사구 둘 중 하나인데, #요령2에 의하여 동형사구인 singing in The Opera House의 끝 부분에 있으니, 앞을 중심으로 가장 가까운 동사인 singing을 수식하는 부사구가 됩니다(다음 #주의24 참조).

 

(해석) 오페라 하우스에서 노래하고 있는 소년들은 한국에서 왔습니다.

 

() 과거분사(~ed)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예문252) The summoned witness was the defendant’s friend.

(분석) 정관사 The가 왔으니 명사 witness가 왔고, 관사와 명사 사이에 온 summoned는 형용사가 돼서 주어인 명사 witness를 수식하고(공식6), 주어 다음엔 동사가 와야 하니 was가 동사, 보어가 friend

소환된(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으로 해석) 증인은 피고인의 친구였다.

(예문253) The witness summoned by the tribunal was the defendant’ friend.

 

# 문장분석의 예(22) - 과거분사로 된 동형사구가 명사를 수식하는 예문

 

 

위의 예문을 다음의 질문과 물음에 답하면서 분석해 봅니다.

# 질문11 - 문장이나 절에서 본동사로 쓰이는 동사의 형태는 어떤 것이 있나요

 

 

모든 동사는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의 3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 중에서 본동사로 쓰일 수 있는 것은 현재형과 과거형뿐입니다. 즉 과거분사는 그 자체가 혼자서는 본동사로서 쓰일 수가 없습니다.

 

# 질문12 - 과거분사가 문장 중에 쓰이는 경우는

 

 

A. 본동사로 쓰이는 경우

과거분사 자체는 혼자서는 본동사로 쓰일 수 없지만

(1) 수동에서 BE 동사와 결합하여 <BE + PP (과거분사) >형태로

(2) 완료에서 HAVE와 결합하여 <HAVE + PP(과거분사)> 형태로는 쓰일 수 있습니다.

B. 본동사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과거분사가 문장 중에 쓰이는 경우

과거분사 자체가 be 동사나 have 동사가 없이, 즉 본동사가 아니면서 문장 중에 쓰이는 경우는 (1) 동형사 (2)동부사, 이렇게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 (예문253)의 분석

공식6에 의해 정관사 The가 나왔으니 명사가 와야 하고, 이는 문장 중 맨 먼저 나온 명사이니 witness가 주어,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 와야 하는데, 동사가 summoned was 이렇게 2개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동사는 한 문장에 1개만 나와야 하는바,

# 그렇다면 summoned was 중에 어느 것이 본동사일까요

Summoned는 규칙동사로서 원형 summon ed가 붙어서 과거와 과거분사가 같은 형태로서 두 가지 경우가 다 가능한 데 대하여, was be 동사의 과거형으로서 과거분사는 been입니다. , was는 과거형뿐입니다. 그런데 (#질문11)에서 보았듯이 본동사로 쓰일 수 있는 것은 현재나 과거형뿐이므로, 이 문장에서 본동사가 될 수 있는 것은 was라고 봐야하고 summoned는 과거 분사라고 봐야 합니다.

# 만약 summoned를 과거형으로 본다면 (2) 완료에서 HAVE와 결합하여 <HAVE + PP(과거분사)> 형태로는 쓰일 수 있습니다.

B. 본동사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과거분사가 문장 중에 쓰이는 경우

과거분사 자체가 be 동사나 have 동사가 없이, 즉 본동사가 아니면서 문장 중에 쓰이는 경우는 (1) 동형사 (2)동부사, 이렇게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 (예문253)의 분석

공식6에 의해 정관사 The가 나왔으니 명사가 와야 하고, 이는 문장 중 맨 먼저 나온 명사이니 witness가 주어, 주어 다음에는 동사가 와야 하는데, 동사가 summoned was 이렇게 2개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동사는 한 문장에 1개만 나와야 하는바,

# 그렇다면 summoned was 중에 어느 것이 본동사일까요

Summoned는 규칙동사로서 원형 summon ed가 붙어서 과거와 과거분사가 같은 형태로서 두 가지 경우가 다 가능한 데 대하여, was be 동사의 단수의 과거형으로서 과거분사는 been입니다. , was는 과거형뿐입니다. 그런데 (#질문11)에서 보았듯이 본동사로 쓰일 수 있는 것은 현재나 과거형뿐이므로, 이 문장에서 본동사가 될 수 있는 것은 was라고 봐야 하고 summoned는 과거 분사라고 봐야 합니다.

# 만약 summoned를 과거형으로 본다면

과거형은 본동사로 쓰여야 하므로 summoned도 본동사가 돼서, 한 개의 문장에는 한 개의 본동사만 올 수 있다는 원칙(#요령3 참고)에 반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의 본동사는 was이고 summoned는 본동사가 아니니, 과거형은 될 수 없고 과거분사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질문12)에서 봤듯이, 본동사가 아닌 summoned가 하는 기능은 동형사 아니면 동부사인데, 동부사는 아직 다뤄지지 않았으니 동형사일 것입니다.

# 동형사란 동사를 형용사로 쓰는 것이어서

(공식2 - 명수)에 의하여 형용사가 하는 기능을 해야 할 것입니다.

(물음1) 먼저 보어일 수 있을까요

동사는 건널 수 없는 강이어서(#주의2) 동사 앞에 보어가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런데 아직 동사도 안 나왔는데 보어가 나올 리가 없겠지요?

그렇다면 나머지 기능, 즉 명사 수식일 것입니다. 무엇을 수식할까요? 수식을 받을만한 명사를 앞 뒤에서 찾아보니 witness뿐입니다. 따라서 바로 앞에 있는 witness를 수식한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summoned로 시작하는 동형사구의 한계는 두 번째 동사(was)가 나오기 직전까지이니 summoned by the tribunal까지이며, 본동사는 was, the defendant’ friend가 보어입니다.

 

(물음2) (예문252) (예문253)를 비교하면

똑같은 동사 summoned가 똑같은 명사 witness를 수식하는데, (예문252)에서는 witness 앞에서 수식하며, (예문253)에서는 뒤에서 수식할까요

<> 이것도 역시 장미공식에 의하여 (예문252)에서는 summoned 단어 1개이므로 앞에서 수식하고, (예문253)에서는 summoned by the tribunal 구가 돼서 witness를 뒤에서 수식한 것입니다.

(예문253)의 해석

주어 The witness를 해석하기 전에, 그 수식어부터 해야 하므로, summoned by the tribunal을 먼저 해야 하고, 거기서도 수식어인 by the tribunal을 먼저 해야 하니 받은(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으로 해석하며,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니 을 붙임), 다음이 주어 the witness 증인은, 다음이 보어 the defendant’ friend 피고인의 친구. 마지막으로 본동사 was, -였다.

법정으로부터 소환받은 증인은 피고인의 친구였다.

() 연습문제

 

--------------------------------

C. 보어로 쓰인 경우

동형사란 동사가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돼서 형용사 기능을 하는 것인데, 형용사가 하는 기능은 보어나, 명사를 수식하는 것인 바(공식2), 지금까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를 보았으니 이제 보어로 쓰이는 경우를 봅니다. 그런데 보어는 제 2형식의 주격보어와 제 5형식의 목적격 보어가 있으며, 각각의 보어에 동사 원형에 ing가 붙은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모두 올 수 있을 것입니다.

() 주격보어

(a) 현재분사가 주격보어로 쓰인 경우

(예문258) His discourtesy was embarrassing to me.

(cf.) He was embarrassing me with questions about my antecedents.

 

# 문장분석의 예24 - 현재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주격보어가 된 예문의 분석

다음의 질문에 답하면서 위 예문들을 분석해 봅니다.

# 질문13 예문258에서 embarrassing은 왜 본동사가 아니고 현재분사인가요?

, (예문258) 에서 was embarrassing <be +동사원형(embarrass) + ing> 로서 진행형이 아닌가요?

<> 형식상 진행형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보고 해석을 해보면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 무안하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 가 돼서 말이 좀 이상합니다.

한편 embarrassing을 동사가 아닌 형용사로 보고 해석하면 그의 무례한 언행은 내게는 무안했다. 가 돼서 훨씬 좋습니다.

반면에 (cf.) 문장은 그는 나의 경력에 관한 질문으로 나를 무안하게 하고 있었다. 가 돼서 진행형입니다.

이와같이 어떤 문장이 진행형이 되느냐 여부는 최후에는 해석을 해보고 판단하게 되지만, 처음부터 해석에 의존하지 말고 문법적, 형식적으로 다 따져본 다음에 해석은 최후라는 점에 대하여는 이미 (#주의14)

(예문119) His occupation is composing music.

(cf.) He is composing music. 에서 설명한 바 있습니다.

 

# 질문14 - 현재분사 embarrassing은 왜 보어로 쓰였다고 봐야 하나요?

, (예문258)에서 embarrassing을 동사 embarrass ing가 붙어서 be 동사와 결합해 진행형인 본동사가 아니고 현재분사로서 형용사로 쓰였다면 형용사가 하는 기능 (공식2 혼보, 명수) 중 어떤 기능을 하나요?

<> 우선 이미 설명한 바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려고 하면, “장미공식에 의하여 embarrassing의 앞이나 뒤에 수식을 받을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하는데, 앞의 was는 동사요 뒤에는 아무 단어도 없습니다. 즉 수식할 명사나 대명사가 없습니다. 따라서 명사수식 기능을 할 수 없고, 형용사의 나머지 한 가지 기능인 보어기능을 할 것입니다. 그런데 바로 전형적인 2형식 동사인 was의 보어 자리에 embarrassing이 놓여 있어서 보어가 된 것입니다.

 

# 주의28 - 이미 형용사화해버린 현재분사, 과거분사들

현재분사가 동형사로서 보어가 될 수 있지만, 이 경우 본서에서 예로 든 대부분의 현재분사는 사전에 보면 완전히 형용사화해버린 것들이 많습니다. ing 붙은 형태의 형용사(embarrassing, surprising, amazing )가 많이 있지만, 이것들이 원래는 동형사에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예문259) His result of the examination was amazing.

(해설) 여기서도 was는 진행형을 이루는 be 동사이고 amazing을 본동사로 보아 진행형으로 보고 해석을 해보니 그의 시험결과는 놀라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 가 돼서 말이 안 됩니다. 이번에는 was를 본동사로 보고 amazing을 현재분사로 보어가 됐다고 보고 해석을 하니 그의 시험 결과(성적)는 놀라웠다. - 말이 됩니다. 따라서 amazing은 현재분사로서 보어가 된 것입니다.

 

(b) 과거분사가 주격보어로 쓰인 예

(예문260) He seems astonished.

 

# 문장분석의 예25 - 과거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주격보어가 된 예문

다음의 물음에 답하면서 위 예문을 분석해 봅니다.

(물음1) 이 문장의 본동사는 무엇인가요?

<> 이 문장에서는 동사가 seems astonished 두 개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seems seem s가 붙은 걸로 봐서 현재형으로 봐야 하며, 주어 <여기서는 He>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일 때 동사의 원형에 s를 붙이므로, 따라서 이 문장의 본동사는 seems입니다.

(물음2) astonished는 왜 보어인가요?

() 위에서 보았듯이 이 문장의 본동사는 seems이고, 어떤 문장에서 주어를 받는 본동사는 한 문장에 하나만 있어야 하므로, astonished는 본동사가 될 수 없습니다. 본동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은 astonished는 규칙변화를 하는 동사여서 과거와 과거분사가 같은 형태지만, 과거가 아니고 과거분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과거라면 본동사가 돼야 할 것이므로 #질문11). 따라서 과거분사가 본동사가 아니면서 쓰인 경우에 해당하며, 이렇게 쓰이는 경우는 동형사와 동부사가 있습니다(#질문12).

그런데 동부사는 아직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동형사일 것이며, 이는 동사를 형용사로 쓰는 것이어서 형용사가 하는 기능인 보어나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 중에서 한 가지 기능을 할 것입니다(공식2 - 혼보, 명수).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으로 보자니 수식을 받을만한 명사가 앞이나 뒤에 없기 때문에(장미공식), 이는 보어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마침 seems 2형식 동사여서 보어를 요하는 바, 바로 보어 자리에 있는 astonished는 동사가 과거분사 형태가 돼서 형용사로 쓰인 예입니다.

(예문260)의 해석

그는 깜짝 놀라진(타동사 astonish의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가 있으니) 것처럼 보였다. - 그는 깜짝 놀란 것처럼 보였다. - 그는 깜짝 놀란 것 같았다.

 

() 목적격 보어

보어에는 제 2형식의 주격보어와 제 5형식의 목적격보어가 있는바, 동사의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형용사로써 쓰인다면, 형용사의 2가지 기능 중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이미 보았고, 또 주격보어가 되는 것도 보았으니, 이제 마지막으로 목적격보어가 되는 경우를 봅니다.

(a) 현재분사가 오는 경우 진행의 뜻

목적격 보어에 현재분사가 오는 경우는 진행의 뜻이 있습니다.

#요령22에서 제 5형식의 목적보어에 to 부정사가 오면 목적어를 “~, ~을 붙여서 해석하지 않고 주어처럼 해석하는 것이 한 요령이라고 했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제 목적보어에 to 부정사뿐 아니라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오는 경우도 목적어를 주어처럼 , , , 를 붙여서 해석한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때의 목적어는 보어인 준동사(to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문267) <> I saw him drivethecar.

<> I saw him driving the car.

 

# 문장분석의 예26 - 현재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목적보어가 된 예문의 분석

다음의 물음에 답하면서 위 예문을 분석해 봅니다.

(물음1) 위의 <> <> 두 문장을 비교해 보세요.

() <>문장은 saw가 지각동사여서 목적보어에 to가 없는 부정사 drive가 온 경우이며, <>문장은 현재분사 driving이 동형사가 돼서 목적보어가 된 것입니다.

<>문장은 나는 그 차를 운전하는 것을 보았다. 이지만,

<>문장에서는 현재분사driving에 진행의 뜻이 있으니 나는 그 차를 운전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는 뜻이 됩니다.

(물음2) <>문장에서 목적보어가 된 driving을 동사로 보지 말고 동사로 볼 수는 없나요?

()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식10 - , , )에 의하여, 동명사도 명사로서 보어가 될 수 있고 동형사도 형용사로서 보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각 경우에 동명사인지 동형사인지의 구별은 곤란합니다. 다만 , 등으로 해석되는 경우는 일견 동명사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 문법책에 그 구별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는 것은 양자 구별의 실익이 없다고 보기 때문일 것입니다.

(물음3) driving the car를 동형사로 보되, 보어가 아니라 him을 수식하는 동형사로 볼 수는 없을까요?

()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1) 만약 driving the car 보어로본다면<> I saw him driving the car는 제 5형식이 되고 해석은 나는 차를 운전하는 것을보았다. 가 될 것이며,

(2) 반면에 driving the car him을 수식하는 동형사로 본다면 제 3형식이 되고 해석은 나는 차를운전하는그보았다. 가 될 것입니다.

그럼 어느 것이 맞는 해석일까요?

둘 다 맞는 해석입니다. 다만 전후 관계로 봐서 맞는 해석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b) 과거분사가 오는 경우 피동(수동)의 뜻

5형식의 목적보어에 과거분사가 오는 경우는 수동(피동)의 뜻이 있습니다.

(예문270) <> I saw the stableman whipping his horse.

<> I saw the horse whipped by the stableman.

# <>, <> 두 문장을 비교해 보세요

<> 문장은 목적보어에 현재분사 whipping이 와서 동형사가 되어 나는 그 마부 그의 말을 때리고 있는(채찍질하고 있는 현재분사이니 진행으로 해석 ) 것을 보았다. 인 데 반해

<> 에서는 목적보어에 과거분사(whipped)가 동형사가 돼서 수동으로 해석해야 하므로 나는 그 말 마부에 의하여 채찍질 당하는(수동) 것을 보았다.

(물음) 여기서 동형사 whipped the horse를 수식한다고 볼 수 없나요?

() (예문267 물음3)에서처럼 동형사 whipped를 목적보어가 된다고 보지 않고, the horse를 수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때는 3형식이 되며 해석은 나는 마부에 의하여 채찍질 당하는 말을 보았다. 가 됩니다.

(예문272) He made his mother pleased.

 

# 문장분석의 예27 - 과거분사가 동형사구가 돼서 목적보어가 된 예문

He가 주어, made가 동사, his mother가 목적어, 동사 pleased가 나왔는데, 본동사는 이미 made가 나왔으니, 이는 과거분사가 본동사가 아니면서 쓰인 경우이고, 따라서 동형사 아니면 동부사인데, 동부사는 아직 다루지 않았으니 동형사일 것입니다. 동형사란 동사에 ing ed를 붙여 형용사로 쓰는 경우이니, 형용사가 하는 기능 혼보, 명수 , 한 가지 기능을 할 것입니다.

우선 명사 수식으로 보자니 pleased가 단어 한 개라서 mother를 수식한다면, pleased mother가 돼서 앞에서 수식해야 할 것이므로 pleased mother를 수식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형용사의 다른 기능 혼보기능을 할 것이니 - 결국 made의 목적보어가 돼서 제 5형식이 된 것입니다.

(해석하면)

1번이 주어 - 그는, 동사 made가 마지막이고 그 다음은 나온 순서대로 이니 그의 어머니께서(목적어지만 주어로 해석), 다음은 목적보어 기뻐지게(과거분사이니 수동으로 해석), 마지막으로 본동사 made 만들었다.

# 종합하면

그는 그의 어머니께서 기쁘게 만들었다(했다) 그는 어머니를 기쁘게 했다.

----------------------------------

 

# 이상에서 보았듯이 영어는 단어 숙어 외에는 암기할 필요가 없이 10개의 공식과 몇 가지 원리에 의하여 영어를 마치도 수학처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에서 보셨듯이 저의 설명은 몇 가지 원리에 의해 일관

 

되게 설명됩니다. 저의 설명이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 sleeping baby 잠자는 아기 분사
A sleeping bag 잠잘용도의 백 동명사
The manual book which is detataling....
동명사는 명사를 후치 할수 없음

ing를 현재분사 / 동명사 / 형용사 로 볼때

제목그대로 Ving를 현재분사/동명사/형용사 로 볼때 차이를 정리해봤습니다. (물론 ving가 형용사가 되는 동사군들은 따로 정해져있지만..) lack 이라는 동사를 가지고...

동명사현재분사 구별

... 위 문장에서 retelling 은 현재분사(형용사구)로 사용되어 amateurs 를 수식하는 것인가요? 혹시 전치사 of 뒤에 온 동명사로 볼 수 있을까요? amateurs...

동명사 현재분사 구분하는 법

... 이러한 현재분사형용사적용법이며 이자리에는 동명사가 올 수 없으므로 이 구별은 거의 무의미합니다. 다만 5형식 가운데 특이하게 make, call, name, dub...

현재분사 동명사

현재분사형용사역할이고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하는거로 알고 있는데 구분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현재분사동명사가 꾸며주고 있는걸 보고 무엇인지 알려면 뭐가...

동명사현재분사 구별요

... 두 문장에서 처음이 현재분사, 두번째가 동명사인데 헷갈리는데 어떻게... 현재분사 현재분사형용사, be ~ing 의 현재진행형, 분사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