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어(구) 부사어(구) 보어 차이

수식어(구) 부사어(구) 보어 차이

작성일 2013.02.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식어랑 부사어랑 보어랑 차이가 뭐죠
예문을 활용해서 보여주세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수식어구와 부사는 같은 것입니다.

부사에는 종류가 분립사/공립사/부가사가 있는데 문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게 부가사입니다.adjunct라고 하는 것인데 관계사절과 축약현관계사절도 여기에 포함되므로 수식어는 모두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들은 모두 문장에서 보어가 아닙니다.

수식어는 보어가 아니다.

그럼 보어는 무엇이냐.

보어(補語.complement)

1.보어(補語.complement)는 서술어와 거의 같은 말이다. 한국어 사전, The Korean Monolingual Dictionary (c) 1996, Microsoft Corporation. Licensed from Mr. Jae Soo Cho.

2.보어로 오는 단어의 품사는 명사/형용사/동사입니다.

이 품사들이 보어로 쓰일 때 주어/목적어와의 관계는

 명사는 주어(목적격보어의 의미상 주어는 목적어임)identify(정체성, 신분, 자격, 신원 등). ☞ 명사인데 주어/목적어와 동격이 아니면 목적어object가 됨.

 형용사는 state (현상, 상태, 형편; 모양, 양상; 사태, 사정, 형세).

 동사는 주술관계의 act (동작, 몸짓, 행위, 소행, 운동, 이동)입니다.

보어가 아닌 •부()사는 시간, 장소, 이유, 원인, 목적, 결과, 수단, 방법이 됩니다.

보어가 필요한 불완전동사(Incomplete Verbs)

I. 불완전자동사 (Incomplete Intransitive Verbs)

연결동사 (linking or copulative verbs) 는 불완전한 서술의 동사입니다. 불완전자동사 (Incomplete intransitive Verbs) 로 학교문법에서는 2형식동사입니다. 연결동사는 단순히 실제 서술동사가 뒤에 온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실제의 서술어인 보어로 오는 중요한 단어는 보통 형용사 또는 준동사류이며 명사도 옵니다. -ly형 양태부사(quickly, angrily)는 연결동사와 함께 쓰이지는 않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연결동사는 appear, to be, become, (become 의미의) get, go, look, remain, seem 등입니다. 또한 지각동사(feel, taste, smell, sound)등도 있습니다.

보어는 영어로 Predicative 또는 complement 입니다.

Predicative 로 보면 보어는 주어를 서술하는 서술사이고 우리말로는 용언에 해당되며, complement로 보면 불완전한 문장에 보충하여 완전한 문장을 만드는 요소로 우리말로는 보족어입니다.

학교영문법에서는 보어인 complement 에 해당하는 표현이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이며, 현대문법에서는 학교영문법의 보어는 없고, complement 는 술어동사가 범주선택하는 내적논항을 말하므로, 학교문법의 모든 보어와 목적어가 complement 입니다. 현대문법과 학교문법에서 보어를 조망하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은 어느 한쪽의 개념이 불완전하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고, 현실이 되어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게 됩니다.

보어에 해당되는 통사론에서의 보문에서 불완전자동사의 Predicative와 불완전타동사의 보문의 동사(the verb of complements)는 원래 형용사와 서술동사의 몫입니다. 국어의 용언과 아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명사는 통상to be 가 생략된 형태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보어는 주로 형용사와 준동사가 되는데 be 의 경우에는 이들 준동사가 보어 위치에 오면 진행형, 수동태, be to 용법의 본동사(main verb/lexical verb) 로 바뀌기 때문에 이들은 보어가 아닙니다. 단 감정동사의 분사는 분사가 되면 바로 형용사로 품사가 바뀌어 be 의 보어로 쓰이는데 우리나라 거의 모든 사람이 이걸 동사인 수동태/진행형으로 해석하느라고 애먹고 있죠.

학교문법에서 보어라고 설명하는 진행형과 수동태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본동사로 쓰이고, be to용법의 부정사도 본동사로 쓰인 겁니다. 진행형과 수동태(have완료형도)be조동사는 기본조동사로 아무런 의미가 없고, be to용법은 법조동사 modal auxiliary verb입니다. have to 가 유사조동사인데 be to는 엄연한 사전적 법조동사입니다. 이걸 본동사라고 우겨대시는 선생님들……

사전에 백 년 전 또는 수십 년 전에 올라와 있는 내용인데 기적같이 우리나라에서는 보어라고 가르칩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들은 명백한 본동사로 구글의 예문들을 보십시오.

그래서 동사be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to부정사를 보어로 쓰지 못하는데 단, 대부분의 감정동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바로 형용사화하여 보어로 쓰입니다.love, like 같은 감정동사의 분사들은 형용사로 바뀌지 않습니다.

Surprise.amaze.astonish.frighten.astound.alarm.terrify.horrify

Please.delight.satisfy.amuse.content.lmpress

Embarrase.bewi.der.puzzle.conguse.perplex.confuse.

Dissapoint.discoourage.dismay.

Interest.excite.stimulate.intrigue.fascinate.thrill.absorb.enthroll.grip.rivet.spellbound. motivated.

Bore.tire.exhaust

Annoy. Irate. Infuriate.

Charm.fascinatingattractappeal.

•감정동사의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연결동사의 보어자리에 왔을 때에는 화자의 입장에서 본 주어가 주체인지 객체인지를 봅니다. (이 경우에는 형용사화한 것으로 해석해야 함)

주체이면 주어가 감정을 느낀 것이고 이때는 과거분사가 옵니다.

객체이면 주어 때문에 그 감정이 생겼다, 입니다. 이때에는 현재분사입니다.

The speech was interesting to all of the members. 그 연설은 모든 회원에게 흥미가 있었다.

주어가 감정을 느낄 수 없는 명사라면 당연히 현재분사가 오는 것인데

The child was interesting to watch. 그 아이는 보기만 해도 재미있었다.

이렇게 사람이 와서 그 사람이 화자 입장에서 객체가 되면 역시 현재분사가 옵니다.

I am not interested in detective stories. 탐정 소설에는 흥미가 없다. I am not interested in learning how to drive.

과거분사는 항상 주체 만이 주어가 됩니다.즉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사람 만이 주어가 됩니다.

주격보어(predicative)

•보어(predicative)는 주어를 서술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He was quiet.

He seemed quiet.

He became quiet.

•동사가 거의 그 뜻을 상실한 경우

The natives go naked all the year.

He stood about six feet high.

John will act best man for me.

seem, appear, 감각 동사의 경우

Her black dress that had seemed so smart in the village now appeared almost shabby

This proved a big mistake.

That sounds promising.

The carpet feels soft.

 연결동사(copular)

•보어를 취하는 동사인 seem, remain 등이 어느 정도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널리 쓰이는 be, go, get 는 전혀 의미 없이 단순히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연결동사(linking verb, copular)라고 불립니다.

I am glad to see you.

Don't go wasting your emotion

Lay all your love on me

Don't go sharing your devotion

(팝송 Lay all your love on me 에서)

•감탄문의 경우에는 연결동사 없이 보어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He a gentleman!

She a beauty!

Of course he'll come. A sailor and afraid of the weather!(뱃사람이 날씨를 무서워할 리가 있나요!)

•감정적인 색채가 강할 때는 주어 없이 보어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Sorry, my mistake.

때로는 and가 쓰이기도 합니다.

They went away in despair, and no wonder.

Of course they died; and a good thing too.

•연결동사 없이 보어가 먼저 오고 주어가 오기도 합니다.

Awful rotters, those undergraduates!

Pretty encouragement this for a lover!

•변화의 보어(predicative of becoming): 앞의 보어는 존재를 나타내는데,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변화의 보어라 합니다.

She fell an easy prey to his power of seduction.

Their friendship was already wearing thinner.

He is growing old now.

Her cheeck went red as a rose.

 보어와 품사

•보어로 쓰일 수 있는 품사는 형용사, 명사, 동사입니다. 품사 (a part of speech) 란 영문법의 8품사를 말합니다. 명사에는 8품사에서 대명사도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아래 글에 나오는 수사 등 다른 품사는 명사류 형용사류로 포함시키면 됩니다.

형용사: She got sleepy.

대명사: That's it.

수사: They were five in number.

•명사의 경우 정관사, 부정관사를 수반한다., 물질명사의 경우 관사가 필요 없다.

He is a rascal.

There is no doubt that Brown was the thief.

These are the books you were looking for.

This is cotton, not wool.

•추상명사가 보어로 쓰일 수 있는데, 이때 ishas의 뜻을 갖는다. 이처럼 명사가 주격보어로 쓰이면서 형용사처럼 상태를 나타내는 것처럼 느껴지는 동사가 꽤 있습니다.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When I was your age I knew better.

What color are her eyes?

She turned lead-color.

She remained a layer.

•부사나 전치사구가 보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품사는 형용사입니다.

He is in good health--he is healthy.

He is at liberty--he is free.

He is in love with her--he is very fond of her.

따라서 다음과 같이 형용사와 전치사구가 등위접속사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는 통사적으로 전치사구와 형용사가 동일한 논항임을 입증합니다.

He is young and in perfect health.(형용사 + and + 전치사구)

•부정사와 분사가 오면 서술어/동사로 해석합니다.

He felt cheated.

The baby seems to be sleeping.

II.불완전타동사(Incomplete Transitive Verbs)

주요불완전타동사(학교문법5형식동사)는 학교문법에서는 다음의 다섯가지 부류로 나눕니다.

1.MakeOC상태로 이르게 하다.

 keep,leave,call,name,elect,choose,appoint,paint,set,drive

2.ThinkOC라고 생각 하다,

Belive,find,know,consider,

3.지각동사 OC하는 걸 보고 느끼다.

See,watch,hear,observe,feel,smell

4.사역동사 o에게 C를 하도록 하다.

Make,have,let, (동사가 보어로 올 때 원형부정사)

Get,cause,drive (to부정사)

5.WantOC 하길 바란다.

Wish,like,order,ask,allow,compel,force,enable,persuade,

통사론의 입장에서는 이 문형은 우선 보문의 형태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를 한 다음, 분류된 유형의 동사별로 다시 보문의 형태를 선택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prefer.prefer,desire,want,like,hate,wish..

believe.

인식동사;believe,suppose,consider,find,assume,think,guess,understand,know,perceive,....

지각 동사;see,hear,feel,watch,behold,notice,look at....

사역 동사;make,have,let,get,cause,name,call,christen,elect,appoint,choose....

force.

(!) force,challenge,compel,dare,oblige,allow,permit...

(!!) commend,oder,bid,require,request,beg,urge,.....

(!!!) advise,persuade,teach,tell,warn,promise,perfition....

이렇게 나눈 다음에 각 유형별 동사별로 보어로 오는 품사를 공부해야 합니다.

빠르게 훑어 보아도 svoc문형은 상당히 난해하다는 느낌이 들것이고, 현실이 됩니다. 그래서 저도 자세한 내용을 다루지 못합니다.

다행한 일은 목적 보어로 오는 것은 사전에 있는 그대로의 명사/형용사/동사(분사,부정사) 만이며, 이 품사들이 다른 품사로 쓰이면 보어가 아닙니다. 다시 말해 명사는 명사로 만, 형용사는 형용사로 만, 동사는 동사로 만 쓰이지 품사를 바꾸면 그것은 부사나 수식어가 됩니다. 이 사실은 본인이 발견해 낸 것입니다.

그리고 지각 동사 몇은 to be 를 수반하면 인식 동사가 된다. 현재분사인지 과거분사인지에 따라 의미가 달라 진다든지 그런 경우도 생깁니다.

대표적인 불완전타동사인 사역동사와 지각동사는 원형부정사를 보어로 선택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사역동사는 수동적 관계일 때는 과거분사가 목적격 보어가 됩니다. 사역동사로는 make, have, let이 있습니다.

I made [had] the man repair my car. (=I got the man to repair my car.)

I made [had] my car repaired by the man.

I let the boy take one of the candies.

(=I allowed the boy to take one of the candies.)

사역동사 have의 경우에는 상황이 목적어가 동작을 행하는 능동상황이면 현재분사도 목적격 보어로 가능합니다.

I had him doing that. (=I let him do that)

지각동사는 신체의 감각과 관계 있는 불완전타동사입니다.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와 유사합니다.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가 오는 경우에 TO를 삭제하는 것입니다.

I felt something crash against me.

(나는 무언가가 나에게 부딪치는 것을 느꼈다)

Did you see some little birds flying about in the air?

(너는 작은 새 몇 마리들이 공중에 날아다니는 것을 보았니?)

I heard my name called.

(내 이름이 불리는: 내 이름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

불완전동사의 설명을 마무리합니다.

 

영문법)부사 부사어 부사구의 차이가...

영문법에서 부사 부사어 부사구의 차이가 뭔가요? 특히 부사어가 정확히 뭔지 잘... 목적어, 보어 등이고 부속성분 또는 수식성분은 형용어, 부사어를 나타냅니다. 즉 부사어는...

수식어(구) 부사어(구) 보어 차이

수식어부사어보어차이가 뭐죠 예문을 활용해서 보여주세용 수식어구와 부사는 같은 것입니다. 부사에는 종류가 분립사/공립사/부가사가...

보어와 부사구의 차이(내공 100)

보어와 부사구의 차이가 뭔가요? 성실한 답변... 일단 * 라는 것은 주어+동사의 형식을 갖지 *않는... 형용사와 같이 *수식어란 얘깁니다. This book is easy to...

부사어구의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가...

... 또한 이런 필수 부사어구를 주어, 목적어, 보어와 같은 문장의 필수 요소라고... 심지어 역사학자들 사이에도 극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영문법도 이러한 양상을...

주어 동사 전치사구보어 이 두 문장 차이

1.这次比赛/在北京/举行 주어 부사 동사 2.这次比赛/发生/在北京 주어 동사 전치사구보어 이 두 문장 차이가 뭐죵? 해석하면 1번은 이번 대회는 베이징에서 열린다 2번은 이번...

구별하는법이랑 수식어에 해당하는 ...

주어.동사.목적어.보어 구별하는법이랑 수식어에 해당하는 /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관형사는 문장 안에서 관형어가 되고, 부사는 문장 안에서 부사어가 됩니다. 관형어...

부사구가 보어역할을 할수 잇나요??

... 부사구는 문장에서 부사어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형용사구와 마찬가지로... 하지만 부사구가 보어일 경우에도 부사구로 읽는것과 해석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전명구?부사구?수식어?

... 알겠는데 수식어와 부사와 전명구의 차이가 뭔지 도대체 모르겠네요 수식어가... 형용사구로 사용될 때 보어가 됩니다. She is in her room. She feels at home. 똑같은 전명구...

보어수식어차이

... 부사어(구,절)이 동사 형용사 부사및 전체문장을 수식하는 수식어 he runs fast fast가 동사runs룰 수식 it is very good/부사very가 형용사 good을 수식 그렇다면 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