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볼용어 영어단어좀 알려주세요 ~~내공50

풋볼용어 영어단어좀 알려주세요 ~~내공50

작성일 2005.03.19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미국에사는데

풋볼부를들라고하거든요

근데 제가 영어가 좀부족해요

더욱이 풋볼단어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죠 ㅋㅋ

경기규칙이랑은 대충 인터넷찾아보고 여기서 티비좀보니까

알겠더라구요

근데 이제곧 풋볼시즌이어서 풋볼해야대는데

감독님 말씀이랑 잘못알아드르면 안될꺼같아서...

풋볼포지션 줄임말도좀알려주시고.. 저는참고로 리시버할껀데..

아무튼..

풋볼용어랑 풋볼에관련된영어단어좀알려주세요^^

내공정말마니드릴꼐요
그럼즐거운하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기방법] 1팀 11명씩이 타원형의 볼을 가지고 상대편 골을 공략하여 득점을 겨

룬다. 야구처럼 공격·방어가 분명히 나누어져 있으며 공격팀은 볼을 가지고 주어

진 4회 연속공격을 통해 10yd 이상 전진하면 그 지점에서 다시 4회의 연속공격권

이 주어진다. 4회의 공격으로 10yd를 전진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상대팀에게 공격

권을 넘겨주어야 한다. 이것을 되풀이하여 상대편의 엔드존에 볼을 가지고 들어가

면 터치다운이 된다. 득점은 터치다운이 6점, 그 뒤 상대편 3yd지점에서 석세스풀

트라이 권리가 주어지며, 이것으로 터치다운했을 때에는 2점, 필드골 또는 세이프

티 경우에는 1점이 추가된다. 이 밖에 필드플레이에서의 필드골은 3점, 세이프티

는 2점이다. 경기시간은 60분이며, 이는 각 15분씩 4개의 쿼터로 나뉘어 있고, 제

1·제 2 쿼터를 전반, 제3·제 4 쿼터를 후반으로 하고, 전후반 사이에 15분간의

하프타임이 있다. 양 팀에 전반·후반 각 3회, 매회 1분 30초의 타임아웃이 주어

진다. 시합시작 3분 전에 코인을 던져 킥 또는 리시브 선택권을 정한다. 킥은 자

기 진영 40yd지점에서 상대편 진영으로 차며, 이로써 시합이 시작된다. 이 볼을

잡은 리시브팀 선수는 태클당할 때까지 전진하고, 태클당한 지점에서 연속 4회의

공격권이 주어진다. 각회의 공격은 센터의 스냅으로 시작된다. 스냅을 할 때 양팀

의 라인은 볼을 가운데에 놓고 가로로 늘어서서 마주본다. 이때 공격팀은 7명 이

상의 선수를 스크리미지라인에 배치한다. 스크리미지란 스냅으로 시작되는 두 팀

의 공방을 말한다. 스냅한 볼을 받은 백은 상대팀 진영으로 돌진하거나 앞쪽에 있

는 자기팀 선수에게 포워드패스하거나 킥하여 지역적 전진을 꾀한다. 이 경우 런

·패스·킥 중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는 스크리미지에 앞선 허들 때 쿼터백이 지

시한다. 킥을 제외하고, 러너가 태클을 받거나 경기장 밖으로 나갔을 경우에 볼

은 데드가 되고, 그 지점에서 다음 스크리미지가 시작된다. 포워드패스가 실패했

을 때에는 그 전의 지점에서 스크리미지를 한다. 필드골 이외의 스크리미지킥은 4

회 공격으로 필수전진거리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대팀에게 공격권

을 건네주는 대신, 상대쪽 진영 깊숙이 볼을 차넣어 적의 공격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공격팀은 스크리미지를 되풀이하면서 임기응변의 플레이로 볼

을 전진시키고, 방어팀은 이를 저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격렬한 육탄전이 벌어진

다. 반칙에 대한 벌칙은 거리로 부과된다. 즉 반칙을 범한 팀에는 그 종류에 따

라 5∼15yd를 자기 진영 쪽으로 후퇴하는 벌칙이 가해지며, 그 지점에서 다음 스

크리미지가 계속된다. 선수 교체는 자유이며, 최근에는 공격과 방어 두 팀을 준비

하여, 공방이 바뀔 때마다 전원을 교체하는 투플러툰시스템이 자주 사용된다.





[용어〕

그래스핑페이스마스크 grasping face mask 태클이나 블로킹을 할 때, 상대편 페이스마스크를 잡는 반칙 행위

다운 down 4회 공격의 각 회를 다운이라고 한다. 즉 제1다운·제2다운·제3다운·제4다운이다.

백워드패스 backward pass 자기 진영 엔드라인 방향, 또는 엔드 라인과 평행하여 보내는 패스로, 패스 횟수는 제한이 없다.

블로킹 blocking 몸을 상대편에 접촉시켜 방해하는 행위. 단, 공격측은 볼을 가지고 있는 선수 이외는 손을 사용할 수 없다.

세이프티 safety 수비쪽 책임으로 엔드존 안에서 볼이 데드가 되었을 경우인데, 공격측은 2점을 얻는다.

스냅 snap 공격측의 센터가 양다리 사이로 볼을 백에게 건네는 것, 이것으로써 플레이가 시작된다.

스피어링 spearing 고의적으로 머리로 받는 반칙 행위

오프태클 off tackle 태클과 엔드 사이를 볼 캐리어가 돌파하는 플레이

컴플리티드패스 completed pass 포워드 패스가 성공한 경우를 말한다.

터치백 touch back 엔드존 안에서 볼이 데드가 되거나, 아웃오브바운즈가 되었을 때, 그 책임이 공격측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팀에어리어 team area 양팀의 교체 선수가 대기하는 장소. 해당 팀의 코치, 트레이너 및 팀관계자 이외에는 출입이 금지된다.

포워드패스 forward pass 쿼터백이 뉴트럴존 뒤쪽에서 앞쪽에 있는 자기편에게 볼을 패스하는 것

필드골 field goal 공격 중 스크리미지 앞에서 드롭킥 또는 플레이스킥으로 상대편 골의 크로스바를 넘었을 경우인데, 3점을 얻는다.

허들 huddle 스크리미지 뒤쪽에서 공격팀 선수가 다음 플레이의 지시를 받기 위해 모이는 것. 지시는 주로 쿼터백이 한다.



































정의...................................................................


제 1 장 공인판정 및 심판의 신호


제1조

a. 공인판정(Approved Ruling, 이하 A.R.이라 칭함.)이란 일어날수 있는 상황에 대한 공식적인 판례이며, 본 규칙의 정신과 적용방법을 명확히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규칙과 공인판정과의 관계는 법령과 대법원의 판례와의 관계와 비슷한 것이다. 만일 규칙과 해설서에 있는 공인판정이 서로 상반되는 경우에는 규칙이 우선한다.

b. 심판의 신호 [S]란 미식축구 공식신호 1-47을 가리킨다.


제 2 장 라이브볼, 데드볼, 루즈볼


제1조 라이브볼

라이브볼이란 경기중에 있는 볼을 지칭한다. 지면에 닿기 전의 패스, 킥, 펌블은 공중에 있는 라이브볼이다.


제2조 데드볼

데드볼이란 경기중에 있지 않은 상태의 볼을 지칭한다.


제3조 루즈볼

루즈볼이란 아래와 같은 경우의, 어떤 선수의 확보하에도 있지 않은 라이브볼을 지칭한다.

a. 런닝플레이중.

b. 확보, 재확보, 또는 규칙에 의해서 데드되기 전까지의 스크리미지킥이나 프리킥.

c. 정당한 포워드패스가 이루어지고나서 그 패스가 터치되거나 또는 성공, 실패, 또는 인터셉트되기 전까지 기간중. 주 - 이 기간이란 포워드패스플레이 중을 말하며, 이 경우 볼은 유자격선수에 의해서 어느 방향으로나 배팅될 수 있다.

d. 모든 선수는 펌블(예외: 규칙7-2-2-b-2)이나 백워드패스에서 루즈된 볼을 접촉 또는 리카버할 수 있다. 그러나 킥에서 루즈된 볼을 접촉할수 있는 자격은 킥규칙 (제6편) 에 의하며, 포워드패스를 접촉할수 있는 자격은 패스규칙 (제7편) 에 의한다.


제4조 레디포플레이 상태의 볼

아래와 같은 경우의 데드볼은 레디포플레이 상태의 볼이다.

a. 계시중일 때 레퍼리가 휘슬을 불고 레디포플레이 신호를 할 때.

b. 계시가 중지시에는 레퍼리가 휘슬을 불고 레디포플레이 신호나 계시시작 신호를 할 때. [예외: 규칙3-3-3-f-4-(c)와 (f)] (A.R.4-1-4-I,II).


제5조 확보

"확보"란 라이브볼이나 프리킥할 볼을 소유 또는 제어함을 말한다.

a. 선수의 "확보"란, 그 선수가 볼을 소유 또는 제어하고 있음을 말한다.

b. 팀의 "확보"란, 그 팀의 한 선수가 "확보"중이거나, 펀트나 드롭킥, 또는 플레이스킥을 시도중이거나, 그 팀의 한 선수에 의해서 던져진 포워드패스가 날아가고 있는 중이거나, 루즈볼중에 최후로 볼을 확보한 상태를 말한다.


제6조 소속

"확보"에 대비하여 "소속"이란, 데드볼을 일시적으로 소유함을 의미한다. 그 경우를 총괄하는 규칙에 따라, 볼이 경기에 옮겨져야만하므로, 이 소유의 정당성은 어디까지나 형식적인 것이다.


제7조 캐치, 인터셉트, 리카버

캐치란 공중에 떠있는 라이브볼을 선수가 확보하는 행위를 말한다.

a. 상대방의 펌블이나 패스를 캐치하는 것을 인터셉트라 한다.

b. 라이브볼이 지면에 접촉된 후 선수가 그 볼을 확보하는 것을 리카버라 한다.

c. 캐치, 인터셉트, 리카버가 성립되기 위하여는, 캐치, 인터셉트 또는 리카버하기 위하여 점프한 선수가 최초로 착지하거나, 규칙4-1-3-a에 있는 데드볼의 조항이 적용되는 상태로 되었을 때에 볼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A.R. 2-2-7-1-V)

1. 볼을 확보, 제어하고 있는 리시버의 한쪽 발이 최초에 인바운드로 착지하면, 비록 다음의 스텝이나 착지에 의해서 리시버가 아웃오브바운드되더라도, 그것은 캐치나 인터셉트이다.

2. 리시버가 착지와 동시에 볼을 놓치는 경우는 캐치나 인터셉트, 또는 리카버가 아니다.

d. 인바운드내의 선수가 무릎을 땅에 대고 캐치해도, 그것은 캐치나 인터셉트이다 (규칙7-3-1,2) (규칙7-3-6,7).

e. 의심스러운 때는 캐치, 리카버, 인터셉트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본다.


제8조 동시캐치나 리카버

동시캐치나 리카버란 상대방 선수들이 라이브볼을 동시에 캐치나 리카버하는 것을 말한다 (A.R. 7-3-6-II,III).



제 3 장 블로킹


제1조 정당한 블록

a. 블로킹이란, 블로커가 신체의 어느 부분이라도 상대방에게 접촉시켜 상대방을 방해하는 행위이다.

b. 푸싱이란 손을 편채로 상대에게 하는 블로킹이다.


제2조 허리아래 블록

a. 허리아래 블로킹이란, 런너이외의 상대방에 대한 블로킹으로서, 블로커 신체의 어느 부분이라도 최초 접촉이 상대의 허리아래부분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규칙9-1-2-e)

b. 허리아래 블로킹은 한쪽 또는 양쪽 발이 지면에 있는 상대에 대한 최초 접촉에만 적용된다. 최초의 접촉이 허리보다 위였으나 그 후 허리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만일 블로커가 최초로 상대선수의 허리나 허리보다 위에 있는 손에 접촉했다면, 그것은 정당한 허리위 블로킹이다. (규칙9-1-2-e)

c. 스냅시의 볼의 위치란 (규칙9-1-2-e) 사이드라인과 평행하고 볼을 관통한 양 엔드라인사이의 가상의 선을 말하며, 뉴트랄존과는 직교하고 있다. (A.R.9-1-2-IV-XI)


제3조 쁼 블록

a. 쁼 블록이란 블로커와 같은 팀의 다른 선수(첫번째 블로커)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 ?접촉으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동작중에 있는 상태 또는 ?떨어져 나왔지만 처음에 블록을 했던 선수와 아직도 대결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상대선수(예외:러너)에 대하여 넓적다리나 그 아래에 행하여지는 지연블록이다. 팀동료가 상대와 접촉한 후 1초 이상 경과한 후의 쁼블록은 지연된 것이다(예외: 런너). 의문시 접촉은 넓적다리나 그 아래라고 본다.
b. 바로 옆에 있지 않은 2명의 라인멘에 의하여 조직적으로 상하(high and low)에 동시에 행하여지는 블록이다. 이 경우 블록 시간의 지연과는 상관이 없다.

c. 다음은 쁼 블록에 대한 몇가지 예이다.

1.포워드 패스 플레이에서 규칙 2-3-3-a에서 설명을 한 상황과 같이 한선수와 블록킹을 하고 있는 상대 선수에게 허리아래로 지연된 블록을 하는 경우.

2.러닝 플레이에서 규칙 2-3-3-a에서 설명을 한 상황과 같이 한선수와 블록킹을 하고 있는 상대 선수에게 등쪽으로 허리아래로 지연된 블록을 하는 경우.

3.러닝 플레이에서 규칙 2-3-3-a에서 설명을 한 상황과 같이 한선수와 블록킹을 하고 있는 상대 선수에게, 플레이는 이미 다른 곳으로 옮겨 졌으나 허리아래로 지연된 블록을 하는 경우.(1997년추가 삽입 개정)

제4조 등에 대한 블록

a. 등에 대한 블록이란 상대에 대한 최초의 접촉이 허리위의 등에 대하여 일어난 접촉이다 (예외:런너) (규칙9-3-3-c) (A.R.9-3-3-VII).

b. 블로커의 머리나 다리부분의 위치가 필히 최초의 접촉지점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제5조 신체의 프레임

상대방의 신체의 프레임이란 등쪽을 제외한 어깨나 그 아래의 부분을 말한다. [(규칙 9-3-3-a-1-(c) 예외]



제 4 장 크리핑

제1조

a. 크리핑이란 런너를 제외한 상대선수에 대한 최초의 접촉하는 힘이 허리나 그 아래의 배후로부터 행해지는 블록이다 (예외:런너) (규칙9-1-2-d)

b. 블로커의 머리나 다리부분의 위치가 필히 최초의 접촉지점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제 5 장 데드볼을 전진시킴


제1조

"데드볼을 전진시킴"이란 런너의 손이나 발이외의 신체의 일부분이 지면에 접촉된 후에 볼을 전진시키려는 시도이다. (예외:규칙4-1-3-b)



제 6 장 다운, 다운과 다운 사이

제1조

다운이란, 레디포플레이후 정당한 스냅이나 정당한 프리킥에 의해서 시작되며 볼이 데드되었을 때에 종료되는, 경기의 단위이다. 다운과 다운사이란 볼이 데드되어있는 시간동안을 말한다.



제 7 장 페어캐치


제1조 페어캐치

a. 스크리미지킥시의 페어캐치란, 뉴트랄존을 넘어선 지점에서 접촉되지 않은 킥을, 유효한 신호를 한 B팀의 선수가 뉴트랄존을 넘어선 지점에서 캐치하는 것이다.

b. 프리킥시의 페어캐치란, 접촉되지 않은 프리킥을, 유효한 또는 부당하지만 유효한 신호를 한 B팀의 선수가 캐치하는 것이다.

c. 유효한, 무효한 또는 부정한 페어캐치의 신호는 리시브팀으로부터 볼을 전진시킬 기회를 박탈하고, 볼은 캐치나 리카버된 지점이나 또는 캐치가 신호를 한 지점보다 앞이라면 반칙이 있은 지점에서 데드가 선언된다.

d. 리시버가 햇빛을 막기 위하여 손으로 가리는 경우 볼은 라이브상태이고 전진될 수 있다.


제2조 유효한 신호

유효한 신호란 B팀의 선수가 똑똑히 알수 있도록 한손만을 머리보다 높이 올려 1회이상 신체의 끝에서 끝으로 크게 흔들어 캐치할 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3조 부정한 신호

a. 부정한 신호란 스크리미지킥이 행해졌으나 규칙에 따라 페어캐치가 성립되지 않은 것같은 경우에, 뉴트랄존을 넘어선 지점에서 B팀 선수에 의해서 행해진 유효한 또는 무효한 신호를 말한다. (A.R.6-5-3-IV,V)

b. 부정한 신호란 프리킥이 행해졌으나 규칙에 따라 페어캐치가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B팀의 선수에 의해서 행해진 유효한 또는 무효한 신호를 말한다 (A.R. 6-5-1-I, 6-5-3-III).


제4조 무효신호

무효신호란 B팀의 선수에 의한, 유효한 신호로써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모든 신호를 말한다.



제 8 장 포워드, 비연드, 포워드프로그레스


제1조 포워드, 비연드

포워드(forward), 비연드(beyond) 또는 전방(in advance of)이라 함은 양쪽 팀에 대하여 모두 적용되는데, 상대방 엔드라인에 대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역으로는 백워드(backward) 나 비하인드(behind)가 있다.


제2조 포워드프로그레스 (전진 최선단)

포워드프로그레스라함은 런너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된 끝을 의미하거나 볼이 아웃오브바운드로서 데드된 경우의 위치에 적용된다 (규칙4-1-3-a,b와 4-2-1,4) (A.R.5-1-3-I-V).



제 9 장 반칙과 바이오레이션

제1조

반칙이란 벌칙이 규정되어있는 규칙위반을 말한다. 바이오레이션이란 거리벌칙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규칙위반이고 반칙의 벌칙과는 상쇄될 수 없다.



제 10 장 펌블, 머프, 터치, 배팅, 킥의 블로킹


제1조 펌블

펌블이란 패스, 킥, 또는 성공적인 수도이외의 행위로 인해 선수가 볼확보를 잃는 일이다 (A.R.7-2-2-I).


제2조 머프

머프란 캐치 또는 리카버하려고 볼을 터치했으나 캐치 또는 리키버가 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제3조 배팅

볼의 배팅이란 손 또는 팔로, 고의로 볼을 친다거나 고의로 그 방향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


제4조 터치

선수의 확보하에 있지않은 볼을 제외한 모든 볼에 닿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터치는 의사의 유무에 상관없이 터치이며 항상 볼의 확보나 콘트롤에 앞서는 것이다. 킥이나 포워드패스시 의문스러우면 볼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예외: 규칙6-1-4-a,b 및 6-3-4-a,b)


제5조 스크리미지킥의 블록

스크리미지킥의 블록이란 볼이 킥된 부근 또는 뉴트랄존의 후방에서 볼이 터치된 경우이다 (규칙 6-3-1-b).



제 11 장 라 인


제1조 골라인

골라인이란 볼이 터치된 때나 선수에게 확보된 때에 필드오브플레이에서 엔드존을 구별하는 수직면이다. 수직면은 사이드라인 앞까지 연장된다 (예외: 규칙 4-2-4-e). 팀의 골라인이란 그 팀이 방어하고 있는 쪽의 골라인을 말한다 (A.R.2-11-2-I).


제2조 제한선

제한선이란 볼이 캐치된다든지 선수에게 확보된 경우의 수직면의 부분이다. 수직면은 사이드라인 앞까지 연장된다 (A.R.2-11-1-I).


제3조 야드라인

야드라인은 엔드라인과 평행한 필드오브플레이의 모든 라인을 말한다. 팀의 야드라인은 표시되어있거나 표시되어있지 않아도 그 팀의 골라인으로부터 50야드라인까지 연속적인 번호가 붙여져 있다.


제4조 인바운드라인 (해시마크)

양 사이드라인으로부터 안쪽으로 60피트 (약 18m)되는 장소에 두개의 인바운드라인을 마련한다. 인바운드라인에 연결된 짧은 야드라인의 길이는 24인치가 되어야 한다.


제5조 아웃오브바운드 라인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인바운드이며,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의 폭을 포함한 주변의 지역을 아웃오브바운드라고 한다.


제6조 9야드 표시

인바운드라인에서 사이드라인쪽으로 9야드지점에는 매 10야드마다 길이가 12인치인 9야드인 표시를 해야한다. 필드가 규칙1-2-1-i 에 따라 번호가 매겨졌으면 9야드 표시를 할 필요가 없다.



제 12 장 볼의 수도


제1조

a. 볼의 수도라함은 볼을 던지거나, 펌블하거나, 킥하지 않고 선수의 볼확보를 자기팀의 다른 선수에게 옮기는 것을 말한다.

b. 규칙으로 인정된 경우이외에 볼을 전방으로 수도하는 것은 부정이다.

c. 수도시도의 실패에 의한 확보의 상실이, 펌블이다 [예외: 스냅 (규칙 2-23-1-c)].

d. 후방으로 볼을 수도하는 것은 볼이 런너가 있는 야드라인을 넘기 전에 런너가 볼을 내어 줄때에 일어난다.



제 13 장 허 들


제1조

허들이란 스냅 또는 프리킥 전에 2명이상의 선수가 모이는 것이다.



제 14 장 허 들 링


제1조

a. 허들링이란 아직 넘어지지 않은 선수의 위를 한발, 양손 또는 무릎을 앞으로 내밀고 넘어서는 행위이다.

b. "아직 넘어지지 않음"이란 발이외의 몸부분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음을 말한다.

c. 스냅전에 공격측 선수를 허들링하는 것은 데드볼 반칙이다. 이 경우 공격측 선수란 3점 또는 4점 스탠스를 한 선수를 포함한다.



제 15 장 킥


제1조 정당한 킥과 부정한 킥

볼의 킥이란 무릎, 다리아래 또는 발을 사용하여 고의로 볼을 차는 행위이다. 의문시 볼은 고의적으로 차인게 아니고 우연히 차인 것으로 본다.

a. 정당한 킥이란 팀의 확보가 바뀌기 전에 규칙에 따라 A팀의 선수에 의해 행하여진 펀트, 드롭킥 또는 플레이스킥을 말한다. 다른 방법에 의한 킥은 모두 부정이다 (A.R. 6-1-2-1)

b. 모든 프리킥, 스크리미지킥은 선수에 의해 캐치, 리카버될 때까지 또는 볼데드될 때까지이다.

c. 리턴킥은 부정한 킥이다.


제2조 펀트

펀트란 선수가 볼을 떨어뜨려 그 볼이 지면에 닿기 전에 다시 다리나 발로 차는 행위이다.


제3조 드롭킥

드롭킥이란 선수가 볼을 떨어뜨려 볼이 지면에 닿은 직후에 차는 킥을 말한다.


제4조 플레이스킥

a. 필드골 플레이스킥이란 볼을 확보하고 있는 팀의 선수가, 팀동료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된 볼을 차는 킥을 말한다.

b. 프리킥플레이스킥이란 볼을 확보하고 있는 팀의 선수가, 팀동료에 의해서 지면 또는 티의 일부분에 고정된 볼을 차는 킥을 말한다.

c. 티란 킥을 목적으로 볼을 높이는 기구이다. 티를 사용하는 경우 볼의 최하단이 지면에서 2인치(약 5cm)를 넘어서는 안된다 (A.R. 2-15-4-I).


제5조 프리킥

볼을 확보하고 있는 팀의 선수가 규칙6-1-1 과 6-1-2에 의해서 행하는 킥이다.


제6조 킥오프

킥오프란 각 하프시작때와 트라이 또는 필드골의 뒤에 행해지는 프리킥이다. 이것은 플레이스킥이나 드롭킥에 의하여 행해져야 한다.


제7조 스크리미지킥

스크리미지킥이란 팀의 볼확보가 바뀌기 전의 스크리미지다운에 있어서 A팀에 의해 뉴트랄존이나 뒤에서 행하여 질때 정당하다. 스크리미지킥이 뉴트랄존을 넘어선 지면, 선수, 심판, 기타 어느 것에든 닿았을 때 뉴트랄존을 넘었다고 본다 (A.R.6-3-1-I-V).


제8조 리턴킥

리턴킥이란 다운중에 볼의 팀확보가 바뀐 후, 볼을 확보하고 있는 팀의 선수에 의해 행해지는 킥으로써 부정한 킥이다. 리턴킥은 라이브볼반칙이며 볼은 데드가 된다.


제9조 필드골의 시도

필드골의 시도란 스크리미지로부터의 플레이스킥 또는 드롭킥에 의한 모든 킥을 말한다.


제10조 스크리미지킥포메이션

스크리미지킥포메이션이란 적어도 1명이상의 선수가 뉴트랄존으로부터 7야드이상 떨어져있고 또한 스내퍼의 양다리 사이로 넘겨져서 스냅을 받아 쥘 위치에 선수가 없는 포메이션을 말한다(A.R.1-4-2-1).



제 16 장 다운의 상실


제1조

다운의 상실이란 그 다운을 다시 할 수 있는 권리를 상실하는 것을 말한다.



제 17 장 뉴트랄존


제1조

뉴트랄존이란 사이드라인까지 연장되어있는 2개의 스크리미지라인간의 공간이며 볼의 장축의 길이와 같다. 볼이 레디포플레이로 된때에 형성되는데, 볼이 지면에 놓여있을 때에는 장축이 스크리미지라인과 직교하고 사이드라인과는 평행하여야 한다.



제 18 장 인크로치먼트와 오프사이드


제1조 인크로치먼트

a. 인크로치먼트란 스내퍼가 스냅전에 볼을 터치 또는 터치를 하는척하고, 공격측의 선수가 뉴트랄존에 또는 그것을 넘어서 침입한 경우를 말한다. (예외: 스내퍼는 볼이 플레이에 옮겨질 때 뉴트랄존 안에 있드라도 인크로치먼트가 아니다.)

b. 인크로치먼트란 정당한 프리킥때 킥측의 선수가 제한선 후방에 있지 않을때 일어난다. (예외: 키커나 홀더는, 볼이 플레이에 옮겨질때 자기편 제한선을 넘어서 있어도 인크로치먼트가 아니다.)


제2조 오프사이드

레디포플레이 신호 후, 오프사이드란 수비측 선수가 볼이 스냅된 때에 뉴트랄존이나 그것을 넘어서 침입한 경우에 일어나는데, 볼이 스냅되기 전에 뉴트랄존을 넘어 침입하여 상대 선수나 볼에 부정하게 접촉하거나 공격 라인맨이 즉각 반응하게 위협하는 행위 및 볼이 프리킥될 때 제한선 안에 없는 경우를 말한다.



제 19 장 패 스


제1조 패스

볼을 패스한다함은 볼을 던지는 것이다. 패스는 볼이 선수에 의해서 캐치나 인터셉트될 때까지 또는 데드로 될 때까지를 말한다.


제2조 포워드패스, 백워드패스

a. 포워드패스란 볼이 지면, 선수, 심판, 기타의 것에 맞은 지점이 패스가 행하여진 지점보다 앞일때 결정된다. 뉴트랄존 뒤나 내에서 던져진 볼이 의문스러우면 백워드패스가 아닌 포워드패스로 본다.

b. A팀 선수가 볼을 확보하고 있고 뉴트랄존을 향하여 포워드패스를 할 때, 그 선수의 팔이 전방에서 의도적으로 움직이면 모두 포워드패스가 시작된 것으로 본다.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시작된 후, B팀의 선수가 패서나 볼에 접촉하여 볼이 패서의 손에서 떨어진 경우, 볼이 지면이나 선수에게 닿았을 때도 포워드패스규칙이 적용된다 (A.R.2-19-2-1).

c. 포워드패스시도인지 아닌지 의심스러운 때에는 펌블이 아니고 포워드패스로 취급된다.

d. 스내퍼가 볼을 떠나보낼 때 스냅은 백워드패스가 된다.


제3조 뉴트랄존을 넘어갈 때의 경우

a. 정당한 포워드패스가 최초로 터치된 곳이, 뉴트랄존을 넘어선 위치의 지면, 선수, 심판, 기타의 것일 경우에는 그 패스가 뉴트랄존을 넘었다고 본다. 최초로 터치된 곳이 뉴트란존이나 그 뒷쪽의 지면, 선수, 심판, 기타일 경우 뉴트랄존을 넘지 않았다고 본다.

b. 볼이 던져질 때, 패서의 몸 어느 한 부분이라도 뉴트랄존을 넘는 경우, 패서는 뉴트랄존을 넘었다고 본다.

c. 정당한 포워드패스가 뉴트랄존을 넘었는가 아닌가는, 사이드라인을 가로지른 지점에서 결정된다.


제4조 캐치가능한 포워드패스

캐치가능한 포워드패스란 뉴트랄존을 넘어서고 접촉되지않은 정당한 포워드패스를 말하며 A팀의 유자격선수는 볼을 캐치할 합리적인 기회를 갖는다. 의심스러운 경우, 정당한 포워드패스는 캐치가 가능하다고 본다.



제 20 장 벌 칙


제1조

벌칙이란 반칙을 행한 팀에 대하여 규칙에 따라 가해지는 야드의 손실이고 다운의 상실을 포함할 때도 있다 (예외: 규칙 7-3-4 야드손실이 없는 벌칙).


제 21 장 스크리미지


제1조 스크리미지

스크리미지란 스냅에 따라 플레이가 시작되는 다운중에, 양팀이 상대하는 행위이다.


제2조 스크리미지라인

a. 각팀의 스크리미지라인이란 야드라인으로서 각팀의 골라인에 가장 가까운, 볼의 최선단을 통과하는 수직면이다.

b. A팀의 선수가 스냅시에 골라인에 대한 양 어깨선이 대략 그것에 평행해 있고, 머리가 스내퍼의 허리선을 통하는 수직면보다 앞에 있는 경우, 이 선수는 스크리미지라인상에 있다고 한다.


제3조 백필드라인

A팀의 선수가 백필드에 정당하게 위치하려면, 그 머리가 가장 가까운 스크리미지라인상의 선수 (단 스내퍼 제외)의 발, 다리를 제외한 최후방의 지점을 통과하는 수직면보다 뒷쪽에 있어야 한다 (A.R.2-21-3-1).



제 22 장 쉬 프 트


제1조

쉬프트란 스크리미지를 위해 볼이 레디포플레이된후 다음 스냅이 이루어지기 전에 공격측의 선수가 2명이상 동시에 포지션을 바꾸는 일이다 (A.R.7-1-3-II 과 A.R.7-1-5-1-IV).



제 23 장 볼의 스냅


제1조

a. 정당한 볼스냅은 한손 또는 두손을 써서 신속하고 연속적인 동작으로 지면위의 지점에서 볼을 뒷쪽으로 넘겨주거나 패스하는 것으로써, 이 동작으로 볼은 실제로 손에서 떨어진다.

b. 스냅은 볼이 정당하게 움직여진 시점에서 시작되고 스내퍼의 손을 떠나면 종료된다 (A.R.7-1-4-I-II).

c. 레디포플레이가 선언되었고 볼이 후방에 스냅될 때 스내퍼의 손에서 미끄러져서 백워드패스가 되면 플레이 그것은 스냅이고 플레이는 계속된다 (규칙4-1-1).

d. 볼이 그라운드에 있는 스냅전의 상태에서는 볼의 장축은 스크리미지라인상에 직각이어야 한다 (규칙 7-1-3-a-1).

e. 볼의 후방에로의 움직임이 없으면 정당한 스냅의 개시라고는 볼수 없다. 같은 입장에서 볼의 최초의 움직임이 앞방향 또는 윗방향의 경우에는 정당한 스냅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f. 정당한 스냅이 B팀에 의해서 터치되면 데드로 되고, B팀에 벌칙이 가해진다. 부당한 스냅이 B팀에 의해 터치된 경우 볼은 데드로 되고 A팀에 반칙이 가해 진다 (A.R. 7-1-4-I-II).

g. 스냅은 스내퍼의 양다리 사이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지만 신속하고도 연속적인 동작이 아니고서는 정당한 스냅이라고는 볼 수 없다.

h. 볼은 양 인바운드라인 안에서 스냅되어야 한다



제 24 장 스페아링


제1조

스페아링이란 상대를 상처입힐 목적으로 헬맷을 고의로 사용하는 것이다.



제 25 장 지 점


제1조 시행지점

시행지점이란 그 곳에서 반칙에 대한 벌칙이나 바이오레이션이 가해지는 지점이다.


제2조 프리비어스지점

프리비어스지점이란 전에 볼이 플레이에 옮겨졌던 지점이다.


제3조 썩시딩 지점

썩시딩지점이란 볼이 다음 플레이에 옮겨질 지점이다 (예외: 규칙10-2-2-g)


제4조 데드볼 지점

데드볼지점이란 볼이 데드로 된 지점이다.


제5조 반칙지점

반칙지점이란 반칙이 발생한 지점이다. 골라인사이의 아웃오브바운드에서 반칙이 일어난 경우의반칙지점은 가까운 쪽의 인바운드라인과 반칙이 일어난 지점을 통과하는 야드라인과의 교차점이된다. 골라인과 엔드라인사이나 엔드라인의 뒷쪽의 아웃오브바운드에서의 반칙은 엔드존에서의 반칙이다.


제6조 아웃오브바운드 지점

아웃오브바운드지점이란 볼이 아웃오브바운드로 나가거나 아웃오브바운드라고 선언되어, 규칙에의해 볼이 데드된 지점이다.


제7조 인바운드 지점

인바운드지점이란 가까운 인바운드라인과 데드볼지점을 통과하는 야드라인과의 교차점이거나, 벌칙에 의해 볼이 놓여진 지점이 사이드존인 경우는 그 지점을 통과하는 야드라인과의 교차점이다.


제8조 런엔드 지점

런엔드지점이란 다음과 같은 지점이다.

a. 규칙에 의해 선수의 확보하에 있는 볼이 데드로 선언된 지점.

b. 펌블에 의해 선수의 볼확보가 상실된 지점.

c. 정당한 (또는 부정한) 볼의 수도가 일어난 지점.

d. 부정한 포워드패스가 던져진 지점.

e. 백워드패스가 던져진 지점.


제9조 킥엔드 지점

뉴트랄존을 넘어선 스크리미지킥은 확보, 재확보 또는 규칙에 의해 볼이 데드로 선언된 지점에서종료된다.

예외: 1. B팀의 엔드존에서 킥엔드로 된 경우 시행기점은 B팀의 20야드라인이다.

2. 필드골의 시도가 실패하고 뉴트랄존을 넘은 지점에서 B팀이 터치하지 않은 경우 시행기점은 프리비어스지점이다. 단 프리비어스지점이 B팀의 20야드라인과 골라인사이에 있고 실패한 필드골이 뉴트랄존 뒷쪽에서 B팀에 의해 터치되지 않은 경우의 킥엔드는 20야드라인이다.

3. 규칙6-3-11이 유효하면 스크리미지후 지점은 20야드라인이다.


제10조 시행기점

런닝플레이, 정당한 패스플레이, 정당한 킥플레이중의 반칙은, 벌칙시행중 시행기점이 명시되었다면 시행기점에서 시행한다. 시행기점 후방에서 공격팀의 반칙이 있으면 반칙지점에서 벌칙을시행한다. 아래는 런닝플레이, 포워드패스플레이, 정당한 킥플레이에 대한 벌칙시행을 위한 시행기점이다.

a. 런엔드가 뉴트랄존을 넘어선 런닝플레이중의 시행기점은 그 런의 런엔드지점이고, 공격팀의 반칙이 시행기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경우의 시행기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2-30-4와 10-2-2-c-1).

b. 런엔드가 뉴트랄존을 넘지 못한 런닝플레이중의 시행기점은 프리비어스지점이고, 공격팀의 반칙이 시행기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경우의 시행기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2-30-4와 10-2-2-c-2).

c. 뉴트랄존이 없는 경우 (인터셉트후 런백, 킥후 런백, 펌블에 의한 전진등)의 런닝플레이의 시행기점은 그 런의 런엔드지점이고, 볼을 확보하고 있는 팀의 반칙이 시행기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경우의 시행기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2-30-4 와 10-2-2-c-3) (예외:규칙8-5-1 예외).

d. 정당한 포워드패스플레이중의 시행기점은 프리비어스지점이고, 공격하고 팀의 반칙이 시행기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경우의 시행기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2-30-1 과 10-2-2-d).

예외: 1. 수비측의 패스인터피어런스는 시행기점은 반칙 지점이 될수 있다.

2. 포워드패스가 성공하고 그 런이 뉴트랄존 앞에 서 종료되었고 팀확보의 변경이 없으면, 러핑더 패써의 벌칙은 런엔드에서 시행한다.

3. 부당한 터치는 프리비어스지점에서 시행.

e. 확보가 바뀌기 전의 정당한 킥플레이의 시행기점은 프리비어스지점이고, 공격팀의 반칙이 시행기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경우의 시행기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2-30-2와 10-2-2-e) (예외:스크리미지킥의 경우 규칙9-1-3-b).


제11조 스크리미지후의 킥지점

스크리미지후의 킥지점이란 킥엔드 지점이다. B팀은 스크리미지후 킥지점으로부터의 벌칙이 시행된 후에 볼의 소유권을 갖는다. 스크리미지후 킥지점의 뒷쪽에서 일어난 B팀 반칙의 시행지점은 반칙지점이다 (규칙 10-2-2-e-5).


제12조 가장 유리한 지점

가장 유리한 지점이란 라이브볼 반칙의 시행시 피반칙팀이 선택하는 지점이다. 이들은 프리비어스지점이나 런엔드 또는 킥엔드지점이다 (규칙9-1-4-a와 9-2-2와 10-2-1).



제 26 장 태 클


제1조

태클링이란 손이나 팔을 사용하여 상대선수를 붙잡든지 껴안는 것이다.



제 27 장 팀 및 선수의 호칭


제1조 A팀과 B팀

A팀이란 볼을 플레이에 옮기는 팀을 말하며 그 호칭은 다음 레디포플레이가 선언될 때까지 유효하다. B팀이란 그 상대 팀을 말한다.


제2조 공격팀과 수비팀

공격팀이란 볼을 확보하고있는 팀 또는 볼이 소속되어있는 팀이다. 수비팀이란 그 상대팀을 말한다.


제3조 키커와 홀더

a. 키커란 펀트, 드롭킥 또는 플레이스킥을 규칙에 따라 행하는 선수이며, 키커는 킥후에 신체의 균형이 원상태으로 돌아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키커이다.

b. 홀더란 지면 위나 티 위에서 볼을 조절하는 선수이다. 스크리미지킥에서 키커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홀더이고, 볼이 킥된 때는 키커는 킥후에 신체의 균형이 원상태으로 돌아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홀더이다.


제4조 라인맨과 백

a. 라인맨이란 볼이 스냅될때 정당하게 자기편 스크리미지라인상에 있는 선수를 말한다. A팀의 "자기편 스크리미지 라인상에 있는" 무자격리시버란 스냅시 상대의 골라인을 마주 보며 그의 어깨가 골라인과 평행하며 머리가 스내퍼의 허리선상면을 통과하여야 한다. A팀의 "자기편 스크리미지 라인상에 있는" 패스 유자격자는 스냅시 상대편 골라인을 마주 보며 어깨가 골라인과 대체로 평행하며 볼스냅시 머리가 스내퍼의 허리선상면을 통과하여야 한다. 스내퍼가 볼에 접촉하거나 접촉하는척 할때에 머리가 스내퍼의 허리선상면을 통과하고 있는 선수는 A팀의 라인맨이다 (예외: 7-1-3-b).

b. 백이란 볼이 스냅될 때 가장 가까운 A팀의 스크리미지라인상의 선수(단 스내퍼 제외)의 발 또는 다리를 제외한 최후 끝부분의 지점을 통과하는 수직면보다 뒤에 있는 선수이다. 라인맨이 스냅전에 움직여 정당한 백필드에 가서 정지하면 백이 된다 (A.R.2-27-4-1)


제5조 패써

패써란 정당한 패스를 던지는 선수이다. 패써는 볼을 던지고나서 패스가 성공, 실패 또는 인터셉트될 때까지 또는 그 플레이에서 다른 임무에 참여할 때까지 패써이다.


제6조 플레이어

a. 플레이어란 교체선수, 피교체선수이외의 경기참가자중의 한명이며, 인바운드에 있건 아웃오브바운드에 있건 규칙에 따라야 한다.

b. 공중에 떠있는 플레이어란 지면과 접촉하고 있지않은 플레이어이다.


제7조 런너

런너란 라이브볼을 확보하고 있는 선수 또는 라이브볼을 확보한 것같이 보이게 하는 선수이다. 규칙4-1-3-a, b와 p는 라이브볼을 확보하고 있는 런너에게만 적용된다.


제8조 스내퍼

스내퍼란 볼을 스냅하는 선수를 말한다.


제9조 교체선수

a. 정당한 교체선수란 다운과 다운사이에서 플레이어와 교체하거나 플레이어 부족을 보충하는 선수를 말한다.

b. 정당하게 교체한 교체선수는 필드에 들어가 자기팀이나 심판과 대화했을 때, 허들에 들어간때, 공격포메이션에 위치했을 때, 공격이나 수비플레이에 참가했을 때에 플레이어가 된다.


제10조 피교체선수

피교체선수란 전다운에서는 플레이에 참가했으나, 교체선수와 교체된한 선수이며 엔드존이나 필드오브플레이를 떠난 선수를 말한다.


제11조 플레이어부족

플레이어부족은 경기중 팀의 플레이어가 11명보다 적을때 생긴다.


제12조 자격을 몰수당한 선수

자격을 몰수당한 선수란 그 경기에 더 이상 참가할 자격이 없다고 선언된 선수를 말한다.



제 28 장 트 리 핑


제1조

트리핑이란 무릎아래 또는 발을 사용하여 상대선수(런너 제외)의 무릎이하를 방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제 29 장 계시장치


제1조 경기용 시계

경기용 시계란, 심판의 감독하에서 60분의 경기를 계측할수 있는 모든 종류의 시계를 말한다.


제2조 25초용 시계

레디퍼플레이 신호에서 볼이 경기에 옮겨질때 까지 특정한 심판의 감독하에서 계속하는 모든종류의 시계를 말한다.



제 30 장 플레이의 종류


제1조 포워드패스 플레이

정당한 포워드패스 플레이란 볼이 스냅된 후에서 부터 정당한 패스 플레이가 성공, 실패 또는 인터셉트될때 까지를 말한다.


제2조 프리킥 플레이

프리킥 플레이란 볼이 정당하게 킥이 된 후부터 볼을 선수가 확보하거나 또는 규칙에 의해 데드로 선언될 때까지를 말한다.


제3조 스크리미지킥 플레이와 필드골 플레이

스크리미지킥 플레이 또는 필드골 플레이란 볼이 스냅된후 스크리미지킥된 볼을 선수가 확보하거나 규칙에 의해 볼이 데드로 선언될 때까지를 말한다.


제4조 런닝 플레이

런닝 플레이란 프리킥 플레이, 스크리미지킥 플레이, 또는 정당한 포워드패스 플레이에서 다시 볼의 확보가 성립될 때까지의 사이를 제외한 모든 라이브볼의 움직임을 말한다.

a. 런닝 플레이는 런엔드지점을 포함하며, 계속하여 펌블, 백워드패스, 부당한 패스가 있는 경우에는 런엔드 때부터 볼의 확보, 재확보 또는 규칙에 의해 볼이 데드가 선언되었을 때까지를 포함한다.

1. 뉴트럴존을 넘어선 위치에서 선수가 볼을 확보하거나 재확보했을 경우 한번의 다운 중에는 두번 이상의 런 닝플레이가 있을 수 있다.

2. 뉴트럴존을 넘지않고 팀의 확보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 았다면 두번 이상의 런닝플레이가 될 수 없다. 이런 경우 시행기점은 프리비어스 지점이다 (규칙 10-2-2-c-2).

b. "런"이란 선수가 볼의 확보를 상실하기 전까지의 런닝플레이의 일부분이다.



제 31 장 필드에어리어


제1조 필드

필드란 리미트라인과 리미트라인사이의 지역과, 리미트라인및 팀에어리어를 포함한 지역과 공간을 말한다 (예외: 경기장지붕).


제2조 필드오브플레이

필드오브플레이는 엔드존을 제외한 경계선의 안쪽을 말한다.


제3조 엔드존

엔드존은 필드의 양끝 부분에 있는 엔드라인사이에 있는 10야드 폭의 구역이다. 여기에 골라인과 골파이론은 엔드존에 포함되며 한 팀의 엔드존은 그 팀이 방어하고 있는 지역이다.


제4조 경기장 표면

경기장 표면이란 경기장내의 물체 및 물질의 표면을 말한다.


제5조 경기장 담

경기장 담이란 스타디움, 돔, 스탠드, 담장 및 기타 구조물에 의하여 둘러 싸인곳을 말한다. (예외: 득점판은 경기장 담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제 32 장 싸 움


제1조

싸움이란 선수, 코치, 유니폼을 입은 일단의 사람들이 볼과는 상관없이 상대를 싸우려는 태도로 치려는 시도를 말한다. 그러한 행위는 아래의 행위를 포함하나, 아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 상대를 팔이나 손, 다리나 발, 또는 신체의 어느 부위를 사용하여 치려는 시도로써 접촉 여부에 상관없다.

b. 싸움에 의한 상대의 보복을 유발하게 하는 스포츠맨답지 않은 행위. (규칙 9-2-1-a 와 9-5-1-a-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번째 쓰신분.. 축구로 착각하셨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뉴저지 하이스쿨 풋볼팀 에서 놀고 있는

 

학생인데요.... 제 포지션은 RB, WR 이렇게 2개를 하고 있어요..

 

러닝백하고, 와이드리시버 이렇게 2개요.. 일단 용어란

 

뭐를 질문드리는지 ? 풋볼 작전을 짤때 쓰는용어를 질문드리는건가요?

 

뭐.. 예를 들자면... 포스트,치타,힛치 등등이 있는데요...

 

포스트는 5발자국 정도 갔다가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꺾는건데요..

 

그래서 라잇포스트, 레프트 포스트 로 나눠지고

 

치타는 리시버라면 꼭 해야하는거죠... 빠르게 일자로 쭈욱

 

가는거에요.. 그리고 힛치는 5발자국 갔다가 360도 턴을

 

해가지고 공을 잡고.. 뗘가야죠.. 이상이 리시버 한테 필요한

 

용어들입니다... 제가 리시버기때문에.. 그리고 나머지 러닝백들은

 

주로 다이브,드라이브 이렇게 2개가 있거든요..

 

드라이브는 달려가는거죠.. 라인맨을 통과하여 앞으로 뗘가는거고요

 

다이브는 야드가 2야드나 1야드 정도 남았을때 다이브를 하여서

 

First Down 을 만들어내는거에요.... 한국말을 잘 표현 못해서.. 죄송..

 

혹시 더 물어보실꺼 있으시면 메일 주세요... 제가 알고 있는 리시버

 

용어들 다 적어서 보내드릴께요...풋볼 꼭 성공하세요.. ^^ 동양애들

 

무시하는 경향이 있쬬.... 전 우리학교 풋볼팀 달리기 1등이에요...

 

엄청난 노력덕분에... 님 키가 6FT 넘거나 몸무게 180 이상 돼시면

 

러닝백도 추천드려요... 리시버보단 잼있어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엣분이 자세하게 적어주셨네요 . 그에대해서는 더이상 할말이 없을 듯 하구요

다만 너무 기본적인것에대해 너무 장황하게 설명하셨군요 - ㅁ- ;;

저는 필수기본적 용어들이나

포지션 줄임말 같은것좀 알려드릴게요 .

GK - 골리(골키퍼) , SW(스위퍼) , DL(왼쪽수비수) , DR(우측수비수)

, DC(수비수센터(중앙)) , DML(좌측 수비미드필더) ,

, DMR(우측 수비미드필더) , DMC(수비미드필더 센터) ,

ML(좌측 미드필더) , MR(우측 미드필더) , MC(미드필더 센터) ,

AML(좌측 공격미드필더) , AMC(공격미드필더 센터)

, AMR(우측 공격미드필더) ,

FL(좌측 포워드) , FC(포워드 센터) , FR(우측 포워드 , SC(스트라이커)

..............

------SC--SC--SC
- FL--FC--FC--FC--FR
- AML-AMC-AMC-AMC-AMR
- ML--MC--MC--MC--MR
- DML-DMC-DMC-DMC-DMR
- DL--DC--DC--DC--DR
- SW--SW--SW--SW--SW

=======================


! 우선 SW(스위퍼) 의 경우에는 좌측 스위퍼 우측스위퍼 등의 기준이 없습니다 .
좌측에 배치하던 우측에 배치하던 그냥 스위퍼라고 부릅니다 .

! SC(스트라이커) 와 FC(포워드) 와의 차이는 우선 포워드는 조금 처진
스트라이커 입니다 . 공격미들까지 내려오는 포워드 들을 말하는거죠 .
SC(스트라이커) 는 최전방 스트라이커 로 주로 헤딩이나 받아먹기(타깃)
선수로 지정되는 선수들이죠 .
대표적인 타겟선수 로는 트레제겟 , 케즈만 , 모리엔테스 등이 있죠

=======================

그리고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술 용어들로는

오버랩핑 , 타깃 , 플레이메이커 , 마크맨 , 프리롤 이 있습니다

이 용어들은 전술같은것을 짤때 절대 빠지지 않는 것들인데요 .

차례차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

! 오버랩핑 - 자신의 포지션을 다소 벗어나서 드리블돌파 를 하던지 패스를 한 후
다시 자신의 위치로 오는것을 말합니다 .
대표적인 선수로 : 이영표 , 카를로스 , 제라드 : 등이 있습니다 .

이영표 , 카를로스 는 좌측 수비수 입니다 . 그러나
이들의 축구경기를 보면 최전방 까지 올라와 크로스(센터링) 를 올려주거나
직접 슛팅 등을 하곤 하죠 . 대표적인 선수들입니다 .

! 타깃 - 타깃선수 또는 타겟선수 라고 하죠 . 대개 스트라이커 를 타겟선수로
지정하곤 합니다 . 의미는 간단합니다 .
미드필더 진에서 공을 몰고와서 결정적으로 타겟선수 에게 공을 연결해
주면 타겟선수가 마무리를 하는거죠 .

골 결정력 과 정확도 가 좋은선수가 타겟선수가 됩니다 .
대표적으로 : 트레제겟 , 케즈만 , 모리엔테스 : 등이 있죠

! 플레이메이커 - 우선 기본적으로 좋은 체력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
자신의 포지션과 상관없이 수비를 할때는 수비를 공격을 할때는
전방으로 나가서 공격을 하는 선수들입니다 .
예측하는 본능(?) 같은것이 좋아야 하죠 . 수비 , 공격 모두
공이 어디로 갈것이다 라는 예측력이 좋아야 하니깐요 .

골이 터지지 않을때는 해결사 역활을 해줍니다 .
대표적 선수로는 : 지단 , 제라드 : 등이 있습니다 .

! 마크맨 - 상대의 공격진중 유난히 조심해야 할 선수를 마크 하는 선수입니다 .
자신의 포지션과 상관없이 우리편 진영에서는 항상 그 선수를
마크 합니다 .
우선 몸싸움을 잘해야 겠죠 ?

! 프리롤 - 프리롤은 해당 선수에게 전술을 일임 하는것을 말합니다.
그 선수가 자신의 능력껏 활동을 하는것이죠 .
본 포지션이 수비수 인 선수도 공격을 할 수 있는겁니다 .
대표적 선수로는 : 베론 , 제라드 : 등이 있습니다 .

===========================

축구에 대해 전술에 대해 선수에 대해 잘 알고 싶으시다면
CM 2002 , CM 04 , CM 03/04 , FM5 라는 게임들을 추천합니다 .
미국에서는 쉽게 구하실 수 있을거예요 . .

제 친구가 캘리포니아 주 에 살고 있습니다만
FM5 를 한화 7만원 정도를 주고 샀습니다 .

들어보니 미국에서 살때는 수수료 였던가 많이 붙는다고 하더군요 ^^
그럼 화이팅이요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글쎄요, 터치다운만 확실하게 압니다. 그리고 페널티도요. 그냥 패스해서 상대방의 터치다운 지점에 놓는 것과 그냥 차서 상대방의 막대 사이에 들어가게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십니까.

저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아는대로 쓰겠습니다.

 

일단 포지션 부터

QB(쿼터백):공을 던지고 스크럼블(직접공을가지고 뛰는것) 때론 블로킹도 해주며

 

WR(와이드리시버):공을 캐치하고 런일때는 블락도 해줌

 

RB:두종류가 있습니다.

 

HB(하프백):일단 런위주로 가죠   예//탐린슨 (센디에이고 차져스) 여기에 소속된 간지 하프백입니다.

아주 포스가 느껴지죠 #21입니다.

 

FB(풀백):거의 블락 위주로 가죠//덩치좀 되야하고 HB도 마찬가지. 쫌 빨라야합니다.

 

TE(타이트앤드):라인과 리시버를 동시에 하는 만능플레이어 선수입니다.

블락도 잘해야하고 캐치도 잘해야합니다.

 

C(센터):쿼터백에서 볼을 스냅해주고 블락을합니다.쿼터백을 보호합니다.

 

G(가드):러닝백과 쿼터백을 보호하죠 런일때는 러닝백 보호  패스일때는 쿼터백을 보호합니다.

 

T(태클):강력한 태클을 하는사람입니다. G와 T은 L R 이 있습니다. 레프트 라이트

힘이 무척 강해야 하면 다른라인보다 쫌더

 

디펜스

CB(코너백):주로 리시버를 따라갑니다. 바짝 붙어야 하죠 예//Antonio Cromartie(안토니오크로마티:센디에이고 차져스에 소속) #31    완전 간지코너백이죠 원핸드 인셉(인터셉트 NBA같은데 보면 중간에볼을 가로채는것입니다.)

 

OLB(싸이드라인베커) 양싸이드에서 라인베커를 섭니다. 주로 러닝백이나 쿼터백을 잡죠

 

MLB(미들라인베커)센터 라인 앞에서 라인베커를 섭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주로 러닝백이나 쿼터백을 잡죠

 

S(세이프티) 이것도 두종류가있습니다. 예//브라이언도킨스(필라델피아 이글스 소속)#20

 

FS(프리세이프티)거의 뒤에서 봅니다. 크게 존디펜스

 

SS(스트롱세이프티)주로 중간 뒤에서 봅니다. 쫌 짧게 존디펜스

 

더 많은데 잘모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용어

Yard(야드):1M의 약 1.093613 입니다.

 

블락(블로킹):막아주는것.

 

인터셉트:볼을 가로채는것

 

펌블:캐치 나 런을 하다가 볼을 흘리는것

 

블릿츠:라인베커나 코너백이 쿼터백이나 러닝백을 잡으려고 들어가는것.

 

색:쿼터백이 라인,코너백,라인베커등 에게 볼을 던지기전에 잡히는것.

 

스티프암:팔을 써서 자신에게 태클을 못걸게 하는겁니다.

 

스핀:회전으로 잡아도 놓치게 하는것이죠(타이밍을 잘써야합니다.)

 

다이브:수영에서 다이빙 하듯이 하는것입니다. 하지만 다치기 때문에 거의 슬라이딩으로 합니다.

 

 

리시버가 된다고 하셨으면 일단 키크면 유리하시구요 몸무게도 어느정도 나가야하고 발도 빠르고

캐치도 되야하고 몸빵도 좋아야합니다.

 

일단 웨이트 트레이닝이랑 키크는것을 계속 하고 님팀 큐비랑 호흡도 맞추고

캐치도 연습해야합니다.

 

저도 갈수있으면 가고싶습니다.

 

어디 학교이시죠 ?

 

풋볼용어 영어단어좀 알려주세요 ~~내공50

... 풋볼용어풋볼에관련된영어단어좀알려주세요^^ 내공정말마니드릴꼐요 <333 그럼즐거운하루~ 2번째 쓰신분.. 축구로 착각하셨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뉴저지 하이스쿨...

영어 단어 50좀 알려주세요 ㅠ.ㅜ

... 제발 영어단어 50개하고 뜻 적어주세요..ㅠ.ㅜ 잘하시면 내공 30 못하시면 내공 10 그럼... term 용어, 학기 terrible 끔찍한, 무서운 theater 극장...

5학년영어단어좀...

5학년 영어단어좀 알아봐주세요.. 내공도 많이 드림 그리고 영어뜻,스펠링, 그리구 물고가는 영어로 피~시' 이렁걸로 영어단어좀 알려주세...

영어 단어좀 알려주세요

영어 단어 500개 정두 알려 주세요 ~ 내공 100... feeling 기분, 감정 50. floor 바닥, 층 51. flower 꽃... tern 용어, 학기 186. theater 극장 187. thermometer...

영어 단어 외우기

... 제발좀알려주세요 내공은35 제가 영어캠프를... 그리고, 하루에 영어단어 20~50개 정도를 외우는것이... 미국 실생활에서 많이쓰이는 용어들이 많이 수록되어있습니다....

영어단어 내공50

... 근데 영어를 읽을줄만 알고 해석을 전혀... 비슷한 단어좀 알려주세요 교과서에 많이... tern 용어, 학기 186. theater 극장 187. thermo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