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뜻과 유래좀 가르쳐 주세요

고사성어 뜻과 유래좀 가르쳐 주세요

작성일 2006.11.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一石二鳥(일석이조)

朝三募四(조삼모사)

九死一生(구사일생)

千辛萬苦(천신만고)

咸興差使(함흥차사)

鷄卵有骨(계란유골)

이 6개의 고사성어의 뜻과 유래를 자세하게좀 가르쳐 주세요


#고사성어 뜻과 유래 #고사성어 와신상담 뜻과 유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석이조(一石二鳥) [한 일/돌 석/두 이/ 새 조]

☞'돌 하나를 던져서 새 두 마리를 잡는다.'

  하나의 행위로 두 가지 이상의 효과를 거둔다는 뜻이다.

[출전, 유래]['일석이조(一石二鳥)'는 동양의 고사성어가 아니고 영어문화권의 성어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을 그대로 한문으로 바꾼 것입니다.]


[참고]비슷한 유래가 있는 한자성어는 '일거양득(一擧兩得)'입니다.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일/들 거/두 양/얻을 득]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뜻.

[출전, 유래]['진서(晉書)'의 '속석전(束晳傳)' 등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의 혜제 때 저작랑을 지냈으며, 진사를 편찬한 속석이 농업 정책에 관하여 진언하였는데 “위(魏)나라 때의 개척지인 양평(陽平) 지방으로 들어가 살게 했던 백성들을 다시 서쪽으로 이주시키자.”고 제의하고 그 성과를 다음과 같이 들었다. “백성들을 서주(西州)로 이주시킴으로써 변방 지역을 보충하고, 10년 동안 부세를 면제해 줌으로써 이주시킨 일을 위로합니다. 이렇게 하면 밖으로는 실제적인 이익이 있게 되고, 안으로는 관용을 베푸는 일이 되어 일거양득이 됩니다.”라는 고사에서 유래함.]


조삼모사(朝三暮四)[아침 조/석 삼/저물 모/넉 사]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 준다.

①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②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이고 농락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유래][장자(莊子)의 우화로, 어떤 원숭이 기르는 사람이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주되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을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들이 성을 내므로, 말을 바꾸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준다고 하니 좋아하더라는 이야기에서 유래함.]


구사일생(九死一生)[아홉 구/죽을 사/한 일/날 생]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간신히 목숨을 건짐.

[출전, 유래]['사기(史記)'의 '굴원열전(屈原列傳)'에 나오는 말로, '문선(文選)'을 편찬한 유량주(劉良注)가 말한 “아홉은 수의 끝이다. 충성과 신의와 곧음과 깨끗함이 내 마음의 선하고자 하는 바와 같으니, 이 해(害)를 만남으로써 아홉 번 죽어서 한 번을 살아남지 못한다 할지라도 아직 후회하고 원한을 품기에는 족하지 못하다.”라고 말한 고사에서 유래함.]


천신만고(千辛萬苦)[일천 천/매울 신/일만 만/쓸 고]

☞천 가지 매움과 만 가지 괴로움이란 소리.

  마음과 몸을 온 가지로 수고롭게 하고 애쓰다.

[출전, 유래]['둔황문헌(敦煌文獻)'에 나오는 말로, "전해 내려오는 경문에 이르기를, 부모가 자식을 낳아 돌보고 기르는 것이 천신만고이니, 추위도 애가 우는 소리도 결코 꺼리지 않는다는 말에서 유래함.]


함흥차사(咸興差使)[다 함/일어날 흥/어긋날 차/사신 사]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이 없거나 더디 오다.

  감감 무소식.

[출전, 유래][태조 이성계가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고향인 함흥에 은거하고 있었다. 그 후 형제를 무참히 살해하면서까지 왕위를 차지한 태종의 행위에 분노한 태조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함흥으로 차사를 보냈으나 그 차사들을 죽이거나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은 데서 유래한 말.]


계란유골(鷄卵有骨)[닭 계/알 란/있을 유/뼈 골]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일이 공교롭게 틀어짐을 뜻한다.

  운이 나쁜 사람은 모처럼의 좋은 기회가 와도 무엇 하나 뜻대로 되는 일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출전, 유래]['송남잡지(松南雜識)'에 나오는 말로, 조선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황희(黃喜)는 어질고 검소한 생활을 하였는데 임금이 도와줄 방법을 생각하다가 "내일 아침 일찍 남대문을 열었을 때부터 문을 닫을 때까지 문 안으로 들어오는 물건을 다 사서 황 정승에게 주겠노라"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날은 새벽부터 몰아친 폭풍우가 종일토록 멈추지 않아 문을 드나드는 장사치가 한 명도 없었는데 어두워져 문을 닫으려 할 때 한 시골 영감이 달걀 한 꾸러미를 들고 들어오는 것이었다. 왕은 약속대로 이 달걀을 사서 황희에게 주었다. 그런데 황희가 달걀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삶아 먹으려고 하자 달걀마다 뼈가 들어 있어서 한 알도 먹을 수가 없었다는 고사에서 유래]

고사성어 뜻과 유래좀 가르쳐 주세요

... 6개의 고사성어뜻과 유래를 자세하게좀 가르쳐 주세요 일석이조(一石二鳥) [한 일... 얻는다는 . [출전, 유래]['진서(晉書)'의 '속석전(束晳傳)' 등에 나오는 말로...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유래 가르쳐...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유래 가르쳐 주세요 각주구검 어리석고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다는 각주구검 [刻舟求劍] [고사성어 ‘각주구검’의 ] 배에 새겨 칼을...

고사성어 유래좀 가르쳐주세요

고사성어 유래 좀 가르쳐주세요 ^ ^ 결초보은, 난형난제, 새옹지마, 청출어참, 극기봉공 말고요 유래 갈켜주세요. 복 받으실꺼예요 ^ ^ ★각주구검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고사성어 '' 하고 '유래' 좀 가르쳐주세...

구시화문(口是禍門)이라는 고사성어 '' 하고 '유래' 좀 가르쳐주세요. 내용은 3줄정도 유래 3줄 정도 해주시면 돼요. ‘구시화문(口是禍門)’[입 구/옳을 시/재화(불행) 화/문...

고사성어 천고마비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고사성어 천고마비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천고마비(天高馬肥) <天 하늘 천. 高 높을 고.... 肥 살찔 비.> 직역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 의역 ① 하늘이 맑고 오곡 백과...

고사성어 와신상담 뜻과 유래 가르쳐...

고사성어 와신상담 뜻과 유래 가르쳐 주세요 臥薪嘗膽 와신상담 [장단음] 와ː신-상담 [주제별] 위기 臥 누울 와 薪 섶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섶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는...

고사성어 개과천선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고사성어 개과천선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개과천선 / 改過遷善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사귐이라는 속뜻 : 두 사람간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고사성어 청출어람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고사성어 청출어람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靑出於藍 청출어람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고사성어 금상첨화 뜻과 유래 가르쳐...

고사성어 금상첨화 뜻과 유래 가르쳐 주세요 錦上添花 금상첨화 [장단음] 금ː상-첨화 [주제별] 출중 錦 비단 금 上 윗 상 添 더할 첨 花 꽃 화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한다」는...

고사성어 대기만성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고사성어 대기만성 뜻과 유래 가르쳐주세요 大器晩成 대기만성 [장단음] 대ː기-만ː성 [주제별] 성공 大 클 대/큰 대, 클 태, 클 다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큰 그릇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