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전국시대 - 제가백가의 종류와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춘추전국시대 - 제가백가의 종류와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6.11.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춘추전국시대 - 제가백가의 종류와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내용은 많을수록 좋아요^^

 

내공 많이 드릴께요!!ㅋ


#춘추전국시대 지도 #춘추전국시대 뜻 #춘추전국시대 정리 #춘추전국시대 인물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 진나라 #춘추전국시대 영어로 #춘추전국시대 혼란 #춘추전국시대 연표 #춘추전국시대 위촉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靑陽 長坪中學校 敎師인 金國會 선생님의 논문 '諸子百家 思想 槪論'을 보면 춘추전국시대의 여러 사상가와 그들의 주장을 잘 정리해 놓았습니다. 여기 그 일부를 소개합니다.

 

 

 

 

 

諸子百家의 登場


諸子百家란, 중국 春秋戰國時代(B.C. 5세기∼B.C. 3세기)에 활약한 학자와 학파의 총칭으로, 諸子는 제 선생이란 뜻이고, 百家란 수많은 학파를 의미한다.


諸子百家 또는 百家爭鳴이라는 말처럼, 춘추전국시대는 중국 思想史上 드물게 그 활동이 활발했던 시대였다. 정치적·사회적 변동을 배경으로 하여, 어떻게 하면 질서를 회복할 수 있는가를 각자가 자기의 소신에 따라 적극적으로 발언하였기 때문이다.


周王朝의 家族制가 崩壞되어, 혈연의 일족에게 수호되어오던 領主가, 농민과 경지를 확보하여 실력을 지니고 있는 新興 地主階層에게 권력을 빼앗겨 가는 사회적 혼란 속에서, 시대는 도리어 實力 本位의 자유로운 활력에 넘친 有能한 人才의 發興을 촉구하였다. 諸子百家의 대부분은 그러한 상황하에서 태어난 것으로, 수십 대의 수레를 이어놓고 諸侯에게 遊說한 孟子와 같은 대규모 집단으로부터, 형제가 농구를 메고 유랑하는 자까지 그 생태는 가지가지였다.


이러한 다양한 思想의 발전을 이룩하는 데 기반을 조성한 것이 稷下之學이었다. 戰國時代에는 각국의 유력한 王侯들이 많은 학자와 遊說家들을 고용하여 文運이 크게 일었으며, 이에 따라 諸子百家의 장관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전국 七雄의 하나인 제나라에서는 威王과 宣王 때부터 襄王 때에 걸쳐서(B.C. 4세기 중엽∼B.C. 3세기 중엽), 때로는 수백 명에 이르는 諸子가 모여들어 서로 論陳을 폈기 때문에, 그 당시 문화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들이 토론하던 곳이 직문 옆의 學宮이었으므로 稷下之學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이곳에는 孟子를 비롯하여 騶衍·순우곤·愼到·전변·騶奭 등 각국의 선비들이 출입하였으며, 모두 上大夫의 녹을 받았다고 한다. 또 荀卿도 직하지학의 長老였다.

 

『漢書』의「藝文志」에는, 그 제자의 파별을 儒家·道家·陰陽家·法家·名家·墨家·縱橫家·雜家·農家·小說家로 나누어 10가로 분류하였다.
孔子·孟子·순자 등의 儒家는 孝悌·仁義·禮를 바탕으로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묵자를 비조로 하는 墨家는 가족이나 국가의 경제를 초월한 兼愛의 정신을 역설하였으며, 商鞅·韓非子와 같은 法家는 법의 일원적 지배, 군주권력의 절대화에 의하여 富國强兵의 실현을 정치의 목표로 삼았다. 그러한 정치에 기대를 거는 제 학파에 대하여, 문화생활을 부정하고 皆農主義를 주장하는 農家나, 인위적 정치도덕의 폐기를 주창하는 老子·莊子 등의 道家도 있었다. 그러나 이같이 활발하던 思想활동도 진·한 제국의 성립을 전후하여 내면적으로는 법치주의의 기초 확립과 표면적으로는 유가의 인의정치가 정통사상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으나, 역사 이면에 諸子百家의 思想은 連綿히 이어져왔다.




儒家


儒家는 孔子를 開祖로 하여 발전해 온 중국의 대표적 철학사상이라 하겠다.


孔子는 春秋時代를 거치면서 周의 宗法制度가 解體된 현실에서 復禮를 주장하였고,


孟子는 전국시대에서 주를 중심으로 한 종법제도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周가 아니더라도 어떤 나라든지 王道를 실현할 수 있는 主體가 곧 천하 종주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革命論을 주장하였고,


荀子는 실질적으로 힘의 원리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현실에 중점을 두고, 통일된 체제의 통치술로 禮制를 주장하였던 것은 아닌가?


孔·孟이 각각이 처한 시대의 가장 현실적인 고민에서 출발하였듯이, 荀子의 예치주의는 道德天命의 淵源이 아닌 後王의 禮法으로 실질적인 당시체제를 감당하기 위한 새 논리로 이해한다면? 法家는 다시 그러한 荀子의 理論을 진,한 통일 왕조 통치기반으로서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드러낸 그의 주장이 法治를 주장하였다고 본다면, 荀子의 禮治는 곧 다음 시대의 요청에 따라 입각한 法家(漢代 統治道具로서의 儒家)의 基礎가 되었던 것이다.

 

墨家


중국 戰國時代 초기의 사상가 墨子를 계승하는 학파. 그 사상과 학설은 『묵자』 53編에서 찾아볼 수 있다. 尙賢·尙同·兼愛·非攻·節用·節葬·天志·非樂·明鬼·非命 등 10論의 주장은 그 하나하나가 매우 이색적이고, 전국시대의 세상에서 중앙집권적 체제지향과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주장하여 儒家와 대립한 유력 학파였다. 이 집단은 巨子를 지도자로 하여 강력한 단결을 자랑하였으며, 그 기반은 지연공동체적인 농촌에 있었다. 묵가의 事績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대의 거자로서 禽滑釐·孟勝·田襄子 등의 이름이 전한다.


墨家學派의 創始者 墨子(기원전 468∼376)는 魯나라 사람으로 스스로 자신을 하층계급(「農與工肆之人」)이라고 칭했다. 따라서 儒家의 관점으로 보면 당연히 평민계급이자 이른바 '小人'에 속하는 부류이다. 墨子가 창립한 墨家는 출발점부터 孔子의 儒家와 대립하기 시작하여 당시의 兩大 "顯學"을 이루었으며, 墨家와 儒家가 서로 상대방을 痛駁하면서 소위 "百家爭鳴"의 서막을 올리게 된다.

 

 

 道家
中國思想의 여명기인 先秦時代 이래 儒家와 함께 중국 철학의 두 주류를 이루었던 학파이다. 道家라는 일컬음은 이 사상의 開祖라 할 수 있는 老子가 우주 본체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道와 德의 개념에서 비롯되어, 도덕을 논하는 일련의 학자들을 道德家라고 호칭하다가 뒤에 이를 약하여 道家로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칭도 선진시대부터 나타난 것은 아니며, 前漢代 劉歆과 司馬談부자가 중국사상의 來源을 설명하는 가운데 九家 또는 六家로 분류한 데서 일반화되었다.

 

道家라고 할 때, 넓은 뜻으로는 노자를 敎祖로 하여 뒤에 성립하는 종교형태인 도교(道敎:Taoism)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도교와 구별하여 노자·莊子·列子·關尹 등이 중심이 되는 철학파를 가리키며, 좁은 뜻으로는 老莊哲學을 가리키기도 한다. 시대적으로 보면 노자와 장자, 楊朱·열자를 중심으로 한 先秦道家뿐만 아니라 魏晉時代의 王弼과 向秀·郭象 등을 주로 하는 玄學派와 名理學派도 道家에 속한다.

道家의 창시자로 老子를 들 수 있는데, 그는 성이 李요, 자가 聃, 이름은 耳이며, 老聃이라고도 한다. 楚나라 苦縣(河南省鹿邑縣) 출생으로 春秋時代 말기 周나라의 守藏室史(장서실 관리인)였다. 그는 주나라의 쇠퇴를 한탄하고 은퇴할 것을 결심한 후 西方으로 떠났다. 그 도중 관문지기의 요청으로 上下 2편의 책을 써 주었다고 한다. 이것을 『노자』라고 하며 『道德經』(2권)이라고도 하는데, 도가사상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이 전기에는 의문이 많아, 노자의 생존을 孔子보다 100년 후로 보는 설이 있는가 하면, 그 실재 자체를 부정하는 설도 있다.

 

莊子는 老子와 마찬가지로 道를 천지만물의 근본원리라고 본다. 道는 一이며 大全이므로 그의 대상이 없다. 道는 어떤 대상에게 要求하거나 私有하지 않으므로 無爲하다. 도는 스스로 자기존재를 성립시키며 절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自然하다. 도는 있지 않은 곳이 없다. 거미·가라지·기왓장·똥·오줌 속에도 있다. 이는 일종의 汎神論이다. 도가 개별적 사물들에 전개된 것을 德이라고 한다. 도가 천지만물의 공통된 본성이라면 덕은 개별적인 사물들의 본성이다.
인간의 본성도 덕이다. 이러한 덕을 회복하려면 습성에 의하여 물들은 心性을 닦아야 한다. 이를 性脩反德이라고 한다. 장자는 그 방법으로 心齋와 坐忘을 들었다. 덕을 회복하게 되면 도와 간격 없이 만날 수 있다. 도와 일체가 되면 도의 관점에서 사물들을 볼 수 있다. 이를 以道觀之라고 한다.

 

 

 

法家
법치주의를 제창한 중국의 정치 사상가. 전국시대 諸子百家의 한 유파로 그 계통을 이은 一群의 정치 사상가에 대한 총칭이다. 특히 儒家 사상과의 대립·항쟁 과정에서 발달하였으며, 전국시대의 전제적 지배를 지향한 군주에게 채용되어, 秦·漢나라의 통일제국 성립을 뒷받침한 중요한 사상이 되었다. 『漢書』「藝文志」에 의하면, 信賞必罰의 질서 있는 정치를 주장한 장점이 있고, 오로지 刑法에 의거하여 때로는 肉親의 情까지도 저버린 것이 短點이라는 평도 있다.
魏나라의 文侯를 받들어 부국강병의 실적을 올린 이리(李리 B.C. 455?∼B.C. 395?), 秦나라의 재상으로 국내개혁을 달성한 상앙(商鞅:?∼B.C. 338), 저서를 통하여 秦始皇을 감탄시킨 한비자(韓非子:?∼B.C. 233), 秦 통일제국의 기초를 구축한 이사(李斯:?∼B.C. 210), 前漢의 중앙집권화에 힘쓴 조조(?∼B.C. 154), 武帝 때의 유능한 경제관료 상홍양(桑弘羊:?∼ B.C. 80) 등이 법가의 대표자들이다. 현대에 와서 중국은 유가들이 노예주인 귀족층의 세습적 권리를 옹호한 것에 대하여, 법가들은 새로운 봉건 지주계급을 대표하여 국내 통일에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한다.

 

其他

1. 名家
中國 諸子百家 중 詭辯學派. 戰國時代에는 辯者察士로 불렸고, 前漢時代에 司馬談이 모든 학파를 분류할 때 6家 중의 하나로 명가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名家라는 명칭은, 이 학파가 명(名:槪念·表現·名目)과 실(實:內容·實體)의 일치·불일치 관계를 중시하여, 세상이 혼란한 것은 명과 실의 불일치에 그 원인이 있으므로 名實合一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서 연유하였다. 이 학파의 대표적 인물은 公孫龍·鄧析·尹文·惠施 등으로, 특히 공손룡의 白馬非馬論과 堅白論은 서양의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처럼 교묘한 詭辯論으로 유명하다. 명가의 논리는 지나친 점도 있으나 논리학 발달에 공헌한 논리학파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2. 縱橫家
중국 전국시대의 諸子百家 중 정치적 책략으로써 당시 국제외교상에서 활약한 遊說客들. 특히 蘇秦이나 張儀로 대표되는 合縱連衡의 책략이 그 중심을 이루었으므로 이 이름이 생겼다. 소진 등이 주장한 合從策이란 당시 동쪽에 있던 燕·楚·韓·魏·趙·齊의 6국이 연합하여 서방의 秦나라에 대항하려고 한 정책이며, 장의가 내세운 連衡策이란 진나라와 6국이 각각 손을 잡게 함으로써 진나라의 발전을 꾀한 책략이다. 그들의 언동을 많이 수록한 서책이 『戰國策』이다.

 

3. 陰陽家
고대 중국에서 陰陽說을 신봉하던 학파. 전국시대 諸子百家 중의 한 파로 齊나라의 鄒衍·鄒奭 등이 그 대표적 사상가이다. 『漢書』 「藝文志」에 의하면 그들의 설은 고대에 曆象을 관장하는 관직에 있던 羲氏·和氏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였다. 天體의 운행이나 四季의 推移 등 자연현상의 법칙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나, 반면 이 법칙을 人事에 관련시켜 인간생활도 이에 따르지 않으면 災害를 입게 된다는 등 미신적 요소가 강하다. 이 같은 중국의 음양설은 일찍이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 天文과 曆學을 연구하는 많은 음양가[曆官]와 음양오행설에 바탕을 두고 인간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陰陽師가 속출하였는데, 주로 음양가라 하면 후자를 지칭하는 대명사처럼 되었다. 그 대표적 인물로는 土亭 이지함을 들 수 있으며 地官 또는 日官이 묘지와 집터의 선정에서부터 年事의 길흉까지 점쳤다.

 

4. 雜家
중국 漢代에 행하여진 학문 분류의 한 流派. 한대의 史書 『漢書』 「藝文志」는 ‘諸子百家’라고 일컬어지는 고대 여러 학파의 학문을 10개파로 분류하였다. 그 중 9개유파는 각기 독자적인 주장과 체계를 갖는 학파이지만, 잡가는 문자 그대로 다른 학파의 학설을 자유롭게 답변확정하여 하나의 思想을 구성한 것으로, 이 유파를 한 유파로 간주하여 10개학파라 하였다. 이 잡가에는『尸子』『呂氏春秋』『淮南子』『東方朔』등이 포함되며, 또한 唐代의 역사서인『唐書』에는『論衡』『風俗通』『包朴子』 『玉燭寶典』 등도 잡가에 포함시킨다.

 

5. 農家
농업을 중시하고 농경에 힘써서 衣食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고대 중국의 학파. 농업경제와 농업기술에 대하여 연구한, 諸子百家 중의 일파이기도 하다. 본래 농업이 인류사회에 있어 기본적인 산업이라는 점에서 오랜 옛날부터 농업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대 중국의 문헌을 처음으로 정리하여 기록한 『漢書』 「藝文志」의 「諸子略」에는 농가에 대해서, 『神農』(20편) 『野老』(17편) 등 농가 9사람의 書 114편을 들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모두 흩어져 없어지고 단편적인 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 그밖에 陰陽家·卜筮家의 書인 「數術」 중에 『神農敎田相土耕種』(14권)『昭明子釣種生魚鼈』(8권)『種樹臧果相蠶』(13권) 등과 같은 농업기술을 기록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이 있다. 따라서 ‘農家’란 단순한 농업기술을 해설한 것이 아니라 어떤 思想的인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예문지」에 의하면, 그것은 君臣이 함께 경작에 종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孟子』에“神農의 말을 이룬 자에 許行이 있다”라고 쓰인 허행의 주장도 똑같은 설이지만, 이 사상은 秦·漢의 제국 통일 후로는 쇠퇴하였다. 후세 농가의 書로 지목되는 것은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史書의『經籍地』등에는 농사에 관련되는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잡다하고도 짜임새가 없이 허술해졌다. 이에 따라『四庫全書』의 「總目」에서는『齊民要術』『農書』『農桑輯要』등 농가에 관계된 것을 9부 68권으로 한정하여 게재하였다.

 

6. 兵家
諸子百家 중의 일파로 춘추전국시대와 漢代에 많이 출현한 兵法家·兵學者의 一群. 周나라의 孫子·吳子·위료 등이 그 대표적 인물이다. 고대의 司馬職에서 나온 것이라 하며, 用兵방법을 설명하였다. {漢書} [藝文志] 兵書略에서는 이것을 兵權謀·兵形勢·兵陰陽·兵伎巧의 4종류로 분류하여, 병가의 書, 53家 790編, 圖 43권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다. 후세에는 武經七書라 하여 {孫子} {吳子} {司馬法} {위료자} {三略} {六韜} {李衛公問對}가 대표적 병서로 불리었다. 이들이 해설한 바는 儒家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단순히 전략·전술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외교 등 처세 전반에 걸친 가르침을 설명하고 있어, 병술만을 해설한 서유럽의 병서와는 그 내용이 크게 달랐다.


 

 


 

해당 글은 지식스폰서가 활동 기간 (04년~08년 6월 종료)중에 작성한 글 입니다.
  • 지식스폰서가 작성한 답변은 본문 내 자기소개 및 출처란의 실명, 상호명, URL표시를 허용합니다.
  • 출처란에 표시된 정보가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음란성, 불법성, 청소년 유해사이트 등으로 변질된 경우는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지식스폰서란

춘추전국시대 - 제가백가의 종류와 사상...

춘추전국시대 - 제가백가의 종류와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내용은 많을수록 좋아요^^ 내공 많이 드릴께요!!ㅋ 靑陽 長坪中學校 敎師인 金國會 선생님의 논문 '諸子百家 思想...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진시황제

춘추 전국시대의 시기와, 변화 그리고 제자백가의 의미, 대표적 사상 -유가, 도가, 법가에 대해 그리고 진시황제... 써주세요. 꼭 빨리 부탁드립니다 ^ ^ 짧아도 좋아요~~ 제가...

중2역사 춘추전국시대

... 뜻이죠..제가 아는 물건팔고사는 그런 시장인건가요? 6.제자백가 쉽게 알려주세요.. 7.유가랑 도가가 쉽게 뭔가요? 1. 주 왕실의 권위 약화라고 적혀있는데 춘추전국시대는...

제자백가 사상이 출현하는 춘추전국시대...

... 백가 사상이 출현하는 춘추전국시대의 변화 3.맹자와 고자의 성선론에 대한 논쟁 이 세가지 - 꼭 좀 알려주세요.... ‘수신제가치국평천하’가 군자의 조건이라고 하였다....

춘추 전국 시대

...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춘추적국시대가 드물게 중국에서 여러소국들로 갈라져서 서로 싸웠던 시기입니다 아이러니하게 분리되어있으니 서로...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들이 출연한 배경...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들이 출연한 배경 좀 알려주세요ㅠㅠ 전국시대부터 강대국의 약소국 병합이 진행됐고 이에... 자신의 사상에 대해 유세를 함으로써 그 나라의 관직에...

춘추전국시대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춘추 전국시대대해서 질문 있는데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자백가사상(중요한 5가지 사상 포함) 제발 알려주세요!!!! 1. 성립배경 : 춘추전국시대를 알기 위해선 우선...

춘추전국시대대해

... 인데 제가 사설부분을 맏게되었습니다 사설의 주제를 말하자면 춘추전국시대 혼란의 원인과 해결책인데요 이 해결책에대한 공자와 노자의 견해를 좀 적어주세요 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