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문 문제들인데 답과 풀이좀 해주세요. 아니 급하니 답만이라도 ㅜㅜ...

생활한문 문제들인데 답과 풀이좀 해주세요. 아니 급하니 답만이라도 ㅜㅜ...

작성일 2012.03.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오늘안이 아니면 의미가 없습니다. 정말 부탁드립니다!!!!!!

 

1.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結繩이란 끈에 매듭을 묶어 기억을 돕는 것을 말한다.

② 한자의 기원을 말할 때 河圖를 예로 드는 경우가 많다. 河圖란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뼈에 글자를 새긴 것을 말한다.

③ 한자는 표의 문자로서 ‘형, 음, 의’ 세 요소를 갖추고 있다.

④ 옛날 창힐이란 사람이 새의 발자국 등을 본떠 한자를 만들었다는 전설도 있다.

 

2. 다음 중 한자와 그 한자를 만든 원리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二 - 상형자

② 雨 - 회의자

③ 江 - 형성자

④ 樂 - 지사자

 

3. 다음은 한자의 성조 중 하나를 설명한 것이다. 무엇인가?

 *짧게 발음하면서 촉급하게 닫는 소리.

 *받침에 [p][t][k]가 들어간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이미 사라졌지만 우리의 한자어 독음에는 살아있는 소리다.

① 평성

② 상성

③ 거성

④ 입성

 

4. 한자의 부수에 대해 잘못 말한 것은?

① 하나의 한자 전체가 부수가 되는 글자를 ‘제부수자’라고 한다.

② 江의 경우와 같이 글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를 ‘변’이라고 부른다.

③ 聞자의 부수는 ‘門’이다.

④ 글자의 위쪽에 있는 부수를 ‘머리’라고 한다.

 

5. 다음 중 한자성어의 활용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철수는 콩나물 사러 시장에 가서는 咸興差使다.

② 영희는 和而不同할 줄 아는 아이야. 친한 친구들이 수업을 빠지고 영화 보러 갔다고 무턱대고 따라가지는 않았구나.

③ 명절 때 일손은 多多益善이지. 그 음식 다 만들려면 일할 사람이 많을수록 좋지.

④ 민수는 스스로 노력해서 자신의 일을 이루어내는 사람이니 守株待兎인 격이지.

 

6. 다음 중 한자성어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① 同苦同樂 -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② 狐假虎威 -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

③ 漁父之利 -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 제삼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을 보다.

④ 難兄難弟 - 형과 동생이라 부르며 사이좋게 지내다.

 

*(7-8)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喜弟康聞之,  

                乃酒挾琴造焉.  

                籍大悅,  

                乃見(    Ⓐ    )

                由是禮法之士

                疾Ⓑ之若讐  

7. 괄호 안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① 靑眼

② 白眼

③ 靑白眼

④ 淸百眼

 

8. Ⓑ之 가 가리키는 말을 위 본문 중에서 찾는다면 무엇인가?

① 康

② 酒

③ 籍

④ 士

 

9. 근체시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한나라 때에 민간의 노래를 수집하여 문자로 옮긴 시를 말한다.

② 형식이 정형화된 시다.

③ 한자의 네 가지 성조 중에서 ‘평성’만이 근체시의 운자(韻字)로 쓰일 수 있다.

④ 근체시의 내용과 형식을 진정한 의미에서 완성한 사람은 바로 詩聖 두보이다.

 

10.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江碧鳥逾白,

                山靑花欲然.

                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

 

① 당나라 때 유명한 시인 두보의 시다.

② 운자는 두 번째, 네 번째 구의 마지막 글자인 然, 年이다.

③ 이 시의 형식은 오언절구이다.

④ 시의 형식이 자유로운 고체시다.

 

(11-12)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臣某言

                古之列國

                亦各置史官

                以記事

                Ⓐ故孟子曰

                晋之乘

                楚之檮

                魯之春秋

                一也

                惟此海東三國

                歷年長久

                宜其事實著在方策

 

11. 乘, 檮, 春秋, 海東三國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2. Ⓐ故의 의미는 무엇인가?

 

 

 

(13-14)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乃命老臣

                (  Ⓐ  )之編集

                自顧缺爾

                不知所爲

                中謝

        伏惟聖上陛下

                Ⓑ性唐高之文思 

                體夏禹之勤儉

                宵旰餘閒

                博覽前古  

 

13. (  Ⓐ  )에 들어갈 말로 ‘시키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를 다음 보기 중에서 찾으시오.

    之   俾    備    比   惟    

 

14. 밑줄 친 Ⓑ性唐高之文思 體夏禹之勤儉를 바르게 해석하시오.

 

 

 

 

15. 다음 문장을 읽고, 임금이 무엇 때문에 매우 한탄스럽다(甚可歎)라고 말했는지 그 이유를 쓰시오.

以謂今之學士大夫 其於五經諸子之書 秦漢歷代之史 或有淹通而詳說之者 至於吾邦之事 却茫然不知其始末 甚可歎也

 

 

 

 

 

 

 

16. 밑줄 친 부분의 뜻을 쓰시오.

                (ⓐ是以 :       )君后之善惡

                臣子之忠邪

                邦業之安危

                人民(ⓑ之 :       )理亂

                (Ⓒ皆 :      )不得發露以垂勸戒

 

 

 

 

(17-20)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臣之學術

                蹇淺Ⓐ如

                而前言往事

                幽昧如彼

                Ⓑ是故疲精竭力

                僅得成編

                訖無可觀

                祗自媿Ⓒ耳

                伏望聖上陛下

                Ⓓ諒狂簡之裁

                赦妄作之罪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之醬

                區區妄意

                天日照臨

17.Ⓐ如의 뜻은 무엇인가?

 

 

18. 밑줄 친 Ⓑ是故疲精竭力 僅得成編을 해석하시오.

 

 

 

 

 

19. Ⓒ耳의 뜻은 무엇인가?

 

 

 

 

20. Ⓓ諒狂簡之裁  赦妄作之罪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之醬 의 문장을 정확하게 해석하시오.

 

 

 

 

어느정도는 풀었는데 너무 힘드네요. ㅠㅠㅠ 지식인님들의 도움을 절실하게 구하고있습니다.

제발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는 대로 할게요^^

 

1.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結繩이란 끈에 매듭을 묶어 기억을 돕는 것을 말한다. : 結맺을 결, 繩새끼줄, 노끈 승. (0)

② 한자의 기원을 말할 때 河圖를 예로 드는 경우가 많다. 河圖란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뼈에 글자를 새긴 것을 말한다.(x) : 갑골문임.

③ 한자는 표의 문자로서 ‘형(形), 음(音), 의(義)’ 세 요소를 갖추고 있다.(0)

④ 옛날 창힐이란 사람이 새의 발자국 등을 본떠 한자를 만들었다는 전설도 있다.(0)

 

2. 다음 중 한자와 그 한자를 만든 원리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二 - 상형자(x) : 지사자 . 두 손가락을 펴거나 나무 젓가락 둘을 가리킴. 

② 雨 - 회의자(x) : 상형자

③ 江 - 형성자 : (0) : 水: 뜻 + 工 : 소리 = 형성자

④ 樂 - 지사자 : (x) : 상형자

 

3. 다음은 한자의 성조 중 하나를 설명한 것이다. 무엇인가? (문제 불충분 ;;;^^)

 *짧게 발음하면서 촉급하게 닫는 소리.

 *받침에 [p][t][k]가 들어간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이미 사라졌지만 우리의 한자어 독음에는 살아있는 소리다.

① 평성

② 상성

③ 거성

④ 입성

 

4. 한자의 부수에 대해 잘못 말한 것은?

① 하나의 한자 전체가 부수가 되는 글자를 ‘제부수자’라고 한다.(0)

② 江의 경우와 같이 글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를 ‘변’이라고 부른다. (0)

③ 聞자의 부수는 ‘門’이다.(x) : 부수는 耳임.

④ 글자의 위쪽에 있는 부수를 ‘머리’라고 한다.(0)

 

5. 다음 중 한자성어의 활용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철수는 콩나물 사러 시장에 가서는 咸興差使다.

② 영희는 和而不同할 줄 아는 아이야. 친한 친구들이 수업을 빠지고 영화 보러 갔다고 무턱대고 따라가지는 않았구나.

③ 명절 때 일손은 多多益善이지. 그 음식 다 만들려면 일할 사람이 많을수록 좋지.

④ 민수는 스스로 노력해서 자신의 일을 이루어내는 사람이니 守株待兎인 격이지.(x) : 수주대토 : 융통성이 없거나 고지식함.

 

6. 다음 중 한자성어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① 同苦同樂 -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 

동고동락(同苦同樂) : “괴로움도 함께하고 즐거움도 함께함”

② 狐假虎威 -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 :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범의 위세를 빌어 다른 짐승을 위협함” 즉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에 비유.

③ 漁父之利 -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 제삼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을 보다.(0)

④ 難兄難弟 - 형과 동생이라 부르며 사이좋게 지내다. : 

♣ 난형난제(難兄難弟) : “누가 형인지 아우인지 분간하기 어려움” 즉 ‘실력이 어금버금함’

 

*(7-8)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喜弟康聞之,  

                乃酒挾琴造焉.  

                籍大悅,  

                乃見(    Ⓐ    )

                由是禮法之士

                疾Ⓑ之若讐  

7. 괄호 안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① 靑眼視 : 청안시 :  상대를 존경하거나 친근하게 봄. 

② 白眼視 : 백안시 : 상대를 무시하면서 차갑게 대함.

③ 靑白眼: 이런 성어는 없음.

④ 淸百眼: 이런 성어는 없음.

 

8. Ⓑ之 가 가리키는 말을 위 본문 중에서 찾는다면 무엇인가?

① 康

② 酒

③ 籍

④ 士

***之는 대명사이므로, 앞에 나온 명사를 잘 찾아보셔요^^

 

9. 근체시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한나라 때에 민간의 노래를 수집하여 문자로 옮긴 시를 말한다.(x)

② 형식이 정형화된 시다.(0)

③ 한자의 네 가지 성조 중에서 ‘평성’만이 근체시의 운자(韻字)로 쓰일 수 있다.(0)

④ 근체시의 내용과 형식을 진정한 의미에서 완성한 사람은 바로 詩聖 두보이다.(0)

 

10. 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江碧鳥逾白,

                山靑花欲然.

                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

 

① 당나라 때 유명한 시인 두보의 시다.

② 운자는 두 번째, 네 번째 구의 마지막 글자인 然, 年이다.

③ 이 시의 형식은 오언절구이다.

④ 시의 형식이 자유로운 고체시다.(x)

 

(11-12)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進三國史記表1

,

,

,

.

 

 

 

 

 

 

, 김부식이 말씀을 드립니다. 옛날의 열국 또한 각각 사관을 두어 이로써 일어난 일들을 기록하도록 하였습니다.

,

,

,

,

.

 

 

 

 

 

고로 맹자가 이르기를, 진나라의 『승』과 초나라의 『도올』과 노나라의 『춘추』가 같다고 하였습니다.

,

,

,

.

 

 

 

 

이에 생각하옵건대, 해동의 삼국(신라, 고구려, 백제)도 지내온 세월이 오래되었으니 마땅히 그 사실이 책에 나타나 있을 것입니다.

,

,

,

.

 

 

 

 

 

 

 

 

이에 노신에게 그것을 편집하라 명하셨으나, 스스로를 돌아보건대 모자라니. 해야 할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 돌아보다 () /:  그러하다, 같이, 가깝다 ()

,

,

,

 

 

 

 

 

삼가 생각하옵건대, 성상 폐하께서는 당요의 문사를 바탕으로 하고 하우의 근검을 본받아  

,

.

 

 

 

 

 

 

 

 

 

 

 

 

 

 

 

 

 

 

 

 

 

 

 

 

 

 

밤낮으로 여가에 옛 책들을 많이 읽으셨습니다.

: 남다, 나머지 () /: 넓다 () /: 두루 보다 ()

博覽 : 많은 책을 읽음, 사물을 멀리 봄

,

 

 

 

 

 

 

 

 

 

 

그리하여 말씀하시길, “ 지금의 학문하는 사대부들은 오경과 제자의 책,  

,

,

 

 

 

 

 

 

 

 

 

 

 

 

진한 역대의 역사에는 혹 널리 통하고 그것을 상세히 설명하는 사람이 있지만,

,

,

.

 

 

 

 

 

우리 나라의 일에 이르러서는 도리어 아득하여 그 시작과 끝을 알지 못하니 몹시 탄식할 만한 일이다.

,

,

,

,

 

 

 

 

 

 

 

 

하물며 신라, 고구려, 백제는 나라를 세워 삼자가 솥발과 같이 서로 대립하며

:() / 鼎峙 : 삼자(三者)가 솥의 발과 같이 우뚝 서 서로 대립함 = 정립(鼎立)

.

 

 

 

 

 

 

 

 

 

 

 

 

 

 

 

 

 

 

 

 

 

 

 

 

 

 

 

 

 

능히 예로써 중국과 통하였다.

,

,

,

,

 

 

 

 

그러므로 범엽의 한서, 송기의 당서에 모두 (삼국에 관한) 열전이 있으나 국내의 일은 상세히 하고 외국의 일은 간략히 하여

: 빛나다 ()

.

 

 

 

 

 

 

 

 

 

 

 

 

 

 

 

 

 

 

 

 

 

 

 

 

 

 

 

 

 

 

 

 

 

 

 

자세히 갖추어지지는 않았다.

:  싣다, 타다, 오르다 ()

,

,

.

 

 

 

 

 

 

 

 

 

 

 

 

 

 

 

 

 

또한 (우리 나라에 전해오는) 옛 기록은 문자가 거칠고 사적이 빠져 없어졌으므로

: 거칠다, 어지럽다 () /: 서툴다, 옹졸하다 () /: 대궐, 이지러지다,()

,

,

,

 

 

 

 

 

 

 

이로써 임금의 착함과 악함, 신하의 충직함과 간사함, 나라의 평안함 위태함,

,

,

.

 

 

 

 

 

 

 

 

 

 

 

 

 

백성들의 다스려짐과 어지러워짐을 모두 드러내어 권장하고 경계할 수 없게 되었다.

,

,

,

 

 

 

 

 

 

 

 

 

마땅히 삼장의 재주를 얻어 능히 일가의 역사를 이루고 이를 만세에 전하여

.

 

 

 

 

 

 

 

 

 

 

 

 

 

 

 

 

 

 

 

 

 

 

 

 

 

 

 

 

 

 

 

 

 

 

해와 달과 같이 빛나게 하고 싶다 고 하셨습니다.

,

,

,

,

 

 

 

 

 

 

 

 

 

 

신과 같은 사람은 본래 삼장의 재가 아니며, 또 깊은 학식도 없사옵고 노년 무렵에 미치자

: 더디다, 굼뜨다, 늦다, 무렵 ()

.

 

 

 

 

 

 

 

 

 

 

 

 

 

 

 

 

 

 

 

 

 

 

 

 

 

 

 

 

 

 

 

 

 

 

 

날이 더할수록 정신이 어두워져,

: 어둡다 ()

,

.

,

.

 

 

 

 

 

 

 

 

독서는 비록 부지런히 하지만 책을 덮으면 곧 잊어버리고, 붓을 쥐어도 필력이 없어 종이를 대해도 쓰기가 어려워졌습니다.

: 숨기다, 닫다 () /: 잡다, 쥐다, 부리다 () /: 임하다, 쓰다, 그리다 ()

,

,

,

.

 

 

 

 

 

 

신의 학술이란 이처럼 얕고 굼뜬데, 옛 사람들이 남긴 말은 그처럼 어둡고 그윽합니다.

: 굼뜨다, 고생하다 () /: 얕다, 고루하다, 견문이 좁다 ()

,

,

,

媿

.

 

 

 

 

이런 까닭으로 정신이 고달프고 온 힘을 다하여 겨우 편찬을 완성시켰으나 마침내 가히 볼만한 것이 없어 경의을 표하기엔 스스로 부끄럽습니다. 

:  다하다 () / : 이르다 (), 마치다, 마침내 () / 媿 : 창피주다, 부끄러워하다 ()

,

,

,

 

 

 

 

 

 

 

 

 

삼가 성상 폐하께서는 소인이 경망하게 지은 것을 살피시고 함부로 지은 죄를 용서해주시길 바라오며,

: 마르다, 결단하다, 헤아리다, 부별하다 () /: 용서하다, 사면 () 

,

使

.

 

 

 

 

 

 

 

 

 

 

 

 

 

 

비록 이것을 명산에 보관하지는 못할지라도 장독의 장식으로는 사용하지 말아주시옵소서.

: 감추다, 숨다, 곳집 () /: 된장, 간장 등의 장 () / : 작은 항아리 ()

,

 

 

 

 

 

 

 

 

 

 

 

 

 

 

 

 

 

 

 

 

 

 

 

 

 

 

 

변변치 못한 신의 뜻은 하늘의 해가 비추고 있습니다.



 

                臣某言

                古之列國

                亦各置史官

                以記事

                Ⓐ故孟子曰

                晋之乘

                楚之檮

                魯之春秋

                一也

                惟此海東三國

                歷年長久

                宜其事實著在方策

 

11. 乘, 檮, 春秋, 海東三國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乘, 檮, 春秋 : 역사서 이름.

海東三國 : 우리나라.

답 : 海東三國

 

12. Ⓐ故의 의미는 무엇인가? : '까닭으로, 그러므로?'

 

 

 

 

 

(13-14)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乃命老臣

                (  Ⓐ  )之編集

                自顧缺爾

                不知所爲

                中謝

        伏惟聖上陛下

                Ⓑ性唐高之文思 

                體夏禹之勤儉

                宵旰餘閒

                博覽前古  

 

13. (  Ⓐ  )에 들어갈 말로 ‘시키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를 다음 보기 중에서 찾으시오.

    之   俾    備    比   惟    

 

 

14. 밑줄 친 Ⓑ性唐高之文思 體夏禹之勤儉를 바르게 해석하시오.

 

 당요의 문사를 바탕으로 하고 하우의 근검을 본받아  

 

 

15. 다음 문장을 읽고, 임금이 무엇 때문에 매우 한탄스럽다(甚可歎)라고 말했는지 그 이유를 쓰시오.

以謂今之學士大夫 其於五經諸子之書 秦漢歷代之史 或有淹通而詳說之者 至於吾邦之事 却茫然不知其始末 甚可歎也

 

진한 역대의 역사에는 혹 널리 통하고 그것을 상세히 설명하는 사람이 있지만, 우리 나라의 일에 이르러서는 도리어 아득하여 그 시작과 끝을 알지 못하는 것.

 

 

 

 

 

 

16. 밑줄 친 부분의 뜻을 쓰시오.

                (ⓐ是以 :       )君后之善惡

                臣子之忠邪

                邦業之安危

                人民(ⓑ之 :       )理亂

                (Ⓒ皆 :      )不得發露以垂勸戒

 **위에 있어요^^ ***

 

 

 

(17-20)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臣之學術

                蹇淺Ⓐ如

                而前言往事

                幽昧如彼

                Ⓑ是故疲精竭力

                僅得成編

                訖無可觀

                祗自媿Ⓒ耳

                伏望聖上陛下

                Ⓓ諒狂簡之裁

                赦妄作之罪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之醬

                區區妄意

                天日照臨

17.Ⓐ如의 뜻은 무엇인가?

~같이, ~처럼

 

 

18. 밑줄 친 Ⓑ是故疲精竭力 僅得成編을 해석하시오.

 이런 까닭으로 정신이 고달프고 온 힘을 다하여 겨우 편찬을 완성시켰음.

 

 

###지시 부분이 명료하지 못한 건, 본문을 보시거 님께서 찾으셔요^^

 

 

 

 

19. Ⓒ耳의 뜻은 무엇인가?

 

 

 

 

20. Ⓓ諒狂簡之裁  赦妄作之罪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之醬 의 문장을 정확하게 해석하시오.

 

 

답과 풀이좀 해주세요. 아니 급하니...

오늘안이 아니면 의미가 없습니다. 정말 부탁드립니다!!!!!!... 다음 중 한자성어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① 同苦同樂... (문제 불충분 ;;;^^) *짧게 발음하면서 촉급하게 닫는 소리....

한문 간지 문제 알려주세요ㅜㅜ

한문 간지 문제 알려주세요ㅜㅜ 풀이도 써주세요! 1. 올해는 무술년 개띠 해이다. 2022년은 간지로 무슨 해일까? 2. 우리 어머니는 1974년생으로 호랑이띠이시다....

문제 답과 풀이좀 해주세요

... 1.も 2.の 3.に 4.で --------------------- 문제 답이랑 풀이좀 부탁드릴께요...... 1.も 2.の 3.に 4.で : ① 해석을 하면, '애니메이션 연구부(아니켄)의...

풀이좀 해주세요ㅜㅜ 답은 알아요ㅜㅜ...

오늘까지 이 3문제풀이좀 해주세요ㅜㅜ 답은 아는데 풀이를 모르겠어요ㅜ 오늘까지 해주시면 채택해드릴게요ㅜ 3번은 부정방정식인데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