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한문 질문: 與의 '의심하다' 용례

한자/한문 질문: 與의 '의심하다' 용례

작성일 2024.05.1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與의 뜻을 확인해보면 13번에 '의심하다'라는 뜻이 있는데요,

이 與가 '의심하다'의 용례로 쓰인 글이나 단어를 있는대로 알고 싶습니다.

혹시라도 알고 계신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부 與否

1. 그러함과 그러하지 아니함.

2. 틀리거나 의심할 여지.

1개 밖에 못써서 미안합니다..

그래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요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3. (의심할여) 큰 자전에는 (무엇이냐여*何也)로 나와 있습니다.

何與(하여): 누구냐? = 孰與(숙여)

史記(사기)의 須羽紀(수우기)에 孰與君少長 이란 기록이 있음

근거 ; 교학 대한한사전 P2692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한자의 자원이나 대표적인 뜻과 너무 동떨어진 풀이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것들은 대개 아주 오래된 문장에서 나오는 경우이고, 사람마다 해석(풀이)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할 때 왜 질문하는지도 상세히 밝혀 보세요. 그래야 맞추어 원하는 답변을 받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2. 與에 의심하다라는 풀이는 강희자전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어떤 자료(: Daum 사전)에 다음과 같은 풀이가 있습니다.

- : 의심하는 모양. 與乎其觚而不堅也<莊子>

그런데 이것이 장자에 나오고 진인(眞人)이라는 존재에 대해 묘사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與는 의심하는 모양(疑貌)라는 풀이가 있는 자료가 있기는 한데, 그런 곳에서도 與乎其觚而不堅也의 해석에 대해서는 무슨 의심의 뜻이 들어간 풀이를 하지 않습니다. 觚의 해석도 여러 주장들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하나의 풀이만 보고 그냥 받아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與乎를 침착하고 여유가 있는 모양이라고 풀이하는 자료도 있습니다.

3. 결론: 옥편의 與의 항목 중에 의심하다라는 항목은 의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翰軠]

한자 4급을 따려고 합니다

... 자 그럼 질문. 1) 친구말로는 시험 종류가... 疑(의심할 의) 儀(거동 의) 二(두 이) 以(써 이) 耳(귀 이) 移(옮길... 핸섬북이나,한구한자한문 능력 개발원을 이용하세요!!!!ㅋ

한자능력검정시험 3급 질문

...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에서 4급을땄는데요... 여) (줄 여) 餘(남을 여) 輿(수레 여) 亦(또 역) 役(부릴 역) 易... 疑(의심할 의) 儀(거동 의) 醫(의원 의) 議(의논할 의) 二(두 이)...

일본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일본 서기에 따르면裴世청나라가 지닌 책에는 "황제問倭皇"( "황제倭皇에 질문 ㅎ")와있다. 이에 대한 답장은 "동 천황敬白서쪽 황제"( 「동쪽의 천황 서쪽의 황제 엎드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