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록위마 유래 좀 간추려서 알려주세요 급해요ㅠㅠ

지록위마 유래 좀 간추려서 알려주세요 급해요ㅠㅠ

작성일 2020.07.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록위마 유래 #지록위마 유래 요약 #지록위마 뜻과 유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진나라의 진시황이 죽고 나서 그의 아들인 호해가 왕위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그를 보좌(?)하던 ’조고’라는 신하? 대신?이 있었는데요, 이 사람이 거의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습니다.

조고는 어느날 자신을 따르는 신하들이 누구인지를 알아내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사슴을 잡아서 왕인 호해에게 바치며 “폐하, 제가 잡은 ‘말’을 받으소서”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지록위마’의 뜻을 알 수 있는데요, 직역을 하면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칭한다’라는 뜻입니다.

이 말을 듣고 어떤 신하들은 “이것은 말이 아니라 사슴입니다”라고 말하고, 어떤 신하들은 “오, 아주 훌륭한 말이군요!”하며 감탄했습니다.

이를 통해 조고는 사슴이라며 자신의 말을 부인한 신하들을 모조리 다 죽여버립니다.

이러한 잔인하고 무참한 조고는 결국 자신도 같은 최후를 맞게 됩니다.

이것이 지록위마의 유래이고요, 그래서 이 사자성어의 뜻은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르는 짓’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유래

진()나라 시황제()가 사망하자 측근 환관()인 조고()는 거짓 조서()를 꾸며 태자() 부소()를 죽이고 어린 호해()를 세워 2세 황제()로 삼았다. 현명()한 부소()보다 용렬한 호해()가 다루기 쉬웠기 때문이다. 호해()는 천하()의 모든 쾌락()을 마음껏 즐기며 살겠다고 말했을 정도로 어리석었다고 한다. 어쨌든 조고()는 이 어리석은 호해()를 교묘()히 조종하여 경쟁자인 승상() 이사()를 비롯, 그밖에 많은 구신()들을 죽이고 승상()이 되어 조정()의 실권을 장악했다. 그러자 역심이 생긴 조고()는 중신들 가운데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해 호해()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폐하(), 말()을 바치오니 거두어 주시오소서.」 「승상()은 농담도 잘 하시오. '사슴을 가지고 말이라고 하다니(鹿)'……. 어떻소? 그대들 눈에도 말로 보이오?」 말을 마치자 호해()는 웃으며 좌우의 신하()들을 둘러보았다. 잠자코 있는 사람보다 '그렇다'고 긍정하는 사람이 많았으나 '아니다'라고 부정하는 사람도 있었다. 조고()는 부정한 사람을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죄를 씌워 죽여 버렸다. 그 후 궁중()에는 조고()의 말에 반대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천하()는 오히려 혼란()에 빠졌다. 각처에서 진()나라 타도의 반란()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그중 항우()와 유방()의 군사()가 도읍 함양()을 향해 진격()해 오자 조고()는 호해()를 죽이고 부소()의 아들 자영()()을 세워 3세 황제()로 삼았다(B.C. 207). 그러나 이번에는 조고() 자신이 죽음을 당했다.

알려주세요 내일까지라 급해요 ㅠㅠ

시대별 흐름보다는 환국정치에대해 중요내용이 더필요해요ㅠㅠ급합니다 빠른답변좀... ‘기사회생’이란 말도 기사환국에서 유래한 말이다. 3) 갑술환국 그러나 시간이 점점...

영동군의 역사좀 [급해요]

충청북도 영동군의 역사좀 알려주세요 ㅠㅠ 급합니다... 그냥 중간정도로 ㅠㅠ 간추려서 해주시면 더욱... 그밖에도 영동의 전설이나 마을의 유래 등도 살피실 수...

고사성어좀요!!!!!!!급해요

... 속뜻좀 알려주세요 ㅠㅠ 각주구검(刻舟求劍) ‘어리석고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이야기에서 유래함.] 지록위마(指鹿爲馬) 1.‘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