而不悲 들어가는 사자성어

而不悲 들어가는 사자성어

작성일 2020.01.2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而不悲

들어가는 사자성어

앞에 한자가 한가지 더 들어가는데

혹시 어떤게 있는지 ㅠㅠ

사자성어 뜻이랑 풀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애이불비(哀而不悲)---속으로는 슬프면서 겉으로는 슬프지 않은 체함.

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哀而不悲(애이불비)

【자 해】 哀슬플 애,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悲슬플 비

【뜻】 ①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슬프나 슬퍼하지 않으려 함. 반어적 표현.

②슬프기는 하나 지나치게 슬퍼하지 않음.=애이불상(哀而不傷)

【출 전】『삼국사기』신라 본기 진흥왕조

【고 사】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한 우륵은 국원성, 곧 지금의 충주에 정착하면서 제자를 키우고 작곡을 하는 등 음악 활동에 몰두했다.

그는 상가라도, 하가라도, 달기, 거열 등 12곡의 가야고 곡을 지어 그의 제자인 법지와 계고, 만덕 등 세 사람에게 들려주었다. 스승의 작품 12곡을 들은 제자들은 그 음악이 "번거롭고도 음란(淫亂)하다[繁且淫]"고 평하며 다섯 곡으로 압축하여 뜯어 고쳤다.

이 같은 사실에 우륵은 대단히 진노했다. 그러나 제자들이 개작한 음악을 거듭해 듣고 생각이 달라졌다 오히려 청출어람이라고나 할까, 제자들이 고친 음악이 한결 좋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즐겁되 막되지 않고 슬프되 비탄스럽지 않다[樂而不流 哀而不悲]"고 감탄하며 가히 바르고 훌륭한 '정악(正樂)'이라고 칭찬했다.

우륵이 이야기한 '낙이불류 애이불비'라는 말은 '논어'에서 공자가 말한 '樂而不淫 哀而不傷'에서 마지막 글자들만을 바꾸어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자를 수입해서 이두문자까지 만들어 썼던 신라이고 보면 우륵이 이처럼 논어의 용어를 빌어서 음악을 언급한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이러한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는 우리 전통 시가의 한 맥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가시리', '서경별곡', '아리랑' 등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이 시의 제목이자 중심 소재인 '진달래꽃'은 서정적 자아의 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된다. 진달래꽃을 임의 가는 길에 뿌리는 행위는 비록 자신을 떠나가는 임일지라도 사랑과 정성, 희생을 다하겠다는 화자의 심정을 상징하는 것이다. 서정적 자아는 '죽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반어적 의지, 애이불비(哀而不悲)의 태도, 억제된 슬픔의 정조로써 이별의 슬픔을 고귀하게 승화시키고 있다.

-----------------------

Non but thanks-men can employ leisure and peace well.

감사하는 자들만이 여가와 평화를 잘 이용한다

<OOOO>

Thanks makes the heart grow gentler

감사하면 정이 더욱 다정해진다

<OOO>

All excellent things which exist are the fruits of thanks.

현존하는 모든 우수한 것들은 감사함의 결실이다

<OOO>

By thanking we come at the pleasure.

감사함으로서 우리는 기쁨에 도달한다

<OOO>

Thanks are very important. Like a fragrance, it is cultivated virtue by use.

감사는 대단히 중요하다

향기같이 사용함으로서

덕화된다

<OO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