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경

조선시대 여경

작성일 2023.11.0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조선시대에 “다모(茶母)”라고 불리는 여경이 있었잖아욥
茶母가 들어간 한문 자료 좀 찾아 주세요 ㅠㅠㅠ 세종실록 이런 것 처럼 역사에 남은 자료로요!! 급해요 ㅠㅡ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금 질문은 출처나 문헌들을 묻는 것인데, 아래 제시된 링크들을 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하는 개인적인 생각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모(茶母)는 관청의 식모 노릇을 하는 천비(賤婢)이었습니다. 의녀(醫女)가 다모가 되기도 했는데, 잠시 그런 일이 일어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의녀도 대부분 상당히 천한 역할을 했으며, 그런 면에서는 다모와 비슷합니다. 조선시대에 종들이 전쟁에 나가기도 하고, 반란 같은 일에서 공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이런저런 공을 세운 명단에 종들이 들어간 예는 많습니다. 의녀와 다모 같은 이들도 소속은 관()이었기 때문에 관에서 일어나는 이런저런 일들에 관여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의녀도 다모도 필요하면 성접대도 하는 기생 역할도 다수 수행했습니다. 다모는 포도청에도 소속되었는데, 필요한 경우 수사에도 동원되기도 한 것으로 보입니다. 관에서 동원할 수 있는 여성이기에 필요에 따라 그렇게 한 것입니다. 의녀도 수사, 수색 같은 것에 동원된 적이 있습니다. 나로서는 다모를 조선시대의 여경 운운하는 것은, 조선시대 종들이 전쟁에 나간 적이 있다 해서 조선시대 군인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것을 가지고 퓨젼 사극 같은 만화나 드라마를 만들어서 다모를 사건을 해결하는 열혈 여경이나 형사반장인 양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좋은데, 거기서 멈추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31717 이런 곳을 보면

《숙종실록》 35권 숙종 27년(1701년) 10월 20일 기사에 보면 “다모(茶母)는 원래 혜민국(惠民局)에 소속되어 있는 관비(官婢)다. 다달이 치르는 성적이 나쁜 여의(女醫)에게 혜민국 다모를 하도록 했는데, 뒤에 포도청 등에 소속되어 여성 범죄를 담당하기도 하였다.”라고 설명해놓았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는데, 실제 그 기사를 보면 ‘포도청의 다모간(茶母間)’이란 말만 나오고, 위에 나온 내용은 그것을 번역한 사람들의 설명일 뿐입니다. 그 설명이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라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하여간, ‘다모는 몇몇 문헌에서 언급되고 있는데,

http://m.gyeongsangtoday.com/view.php?idx=128371&referer=

이런 것을 보면 주로 조선왕조실록에 나온 몇몇 구절들을 가지고 행간을 나름대로 해석해서 범죄 담당등의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다모가 범죄 수사에서 역할을 하는 것은 야담인 다모전에서 상세히 묘사되어 있습니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804100052

다모전은 소설이지만, 소설이라는 것이 대개는 실제의 내용을 극적으로 꾸미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남자인 관원이 범죄 수사에서 다모가 여성인 점을 이용해서 자신이 할 수 없는 역할을 시키는 것이 잘 그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다모가 적극적으로 수사를 하는 관원이 아니라 단지 관원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입니다. 어떤 작은 측면들을 크게 확대하면 이와는 다른 모습이 그려질 수도 있겠지만, 과연 실제 어땠을지를 깊이 살펴보아야 할 것이고, 보통 사람들은 하기 어려운 일이라 학자들이 고찰해야 할 문제일 것입니다. [翰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식모’(食母), ‘침모’(針母)와 더불어 관가나 사대부 집의 허드렛일을 도맡아 하던 천민 신분의 사람에게, 그것도 여성에게‘수사권’이라는 직업적인 책임을 부여했다고 합니다.

그 '다모’라는 여성들은 규방 사건의 수사, 염탐과 탐문을 통한 정보 수집, 여성 피의자 수색 등 잡다한 수사 권한을 가졌음은 물론 톡톡히 제 몫을 해냈다고 하며, 나아가 궁궐에서 일했던 ‘다모’는 역모 사건의 해결에 일조를 하기도 했다고합니니다.

결국 다모란 조선시대 관가등에서 차심부름을 했던 시종을 말하며, 이들이 포도청으로 특채되서 요즈음의 여형사로 활약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시대여경이있을까

조선시대여경이있을까 주제선정한이유좀5줄정도만적어주세요 간단해도됩니다 최근 여성의 지위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가 뜨겁다. 이런 현재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조선시대...

옛날에도 여경이 존재했나요?

... 존재했으면 언제부터 였는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제발빨리요 ㅜㅜ 네 예날의 여경을 다모라고 했습니다 " 다모 " 여자경찰의 유래 조선시대 개국 초에는 `순군만호부`라는...

일제시대에도 여경이 있었나요?

... 그때에는 아무리 일제시대였더라도 조선시대나 마찬가지로 여성과 남성의 차별은 심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여경이 있었다는 가능성도 있었을지 모름니다(제가...

질문이요!!!조선시대의 궁중계급에대한...

조선시대에는 뭐 왕 다음이 누구고 세자도 중전이낳은 세자랑 첩이낳은 세자는 계... 하였고 여경역할이나 대소연회에서 춤을 추는 무희의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궁중언어와...

현재 오늘날과 과거 조선시대의 인권 비교

... ex)옛 조선시대에는 ~~~ 현대에는 ~~~ 옛날 조선시대에는 철저한 신분사회라서 평민들은... 하지만 오늘날은 여성의 가치를 인정받아 공무원, 여경, 과학자등 여성이 할수있는...

여자무사 실존 / 급함

조선시대 때 여자 무사가 있었나요 ? 사극에 가끔 나오는데 실존여부가 궁금하네요 그 다모라는 여경이 있었다는건 아는데 여경말고 호위무사같은 여자 .. 모르겠네요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