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포지교 해석 질문드립니다.

관포지교 해석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21.05.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관포지교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해석본말고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으로 문장을 분석해주세요.



포숙불이아위탐
지아빈야
오상위포숙모사이갱공군

에 대한 분석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 문장들을 포함해서 관포지교에 있는 다른 문장들도 분석하신걸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管仲曰 吾始困時 嘗與鮑叔賈 分財利 多自與, 鮑叔不以我爲貪 知我貧也.

(관중왈 오시곤시 상여포숙고 분재리 다자여 포숙 불이아위탐 지아빈야)

管: 피리 관, 仲: 버금 중, 曰: 가로 왈, 吾: 나 오, 始: 처음 시, 困: 곤궁할 곤, 時: 때 시, 嘗: 일찍이 상, 與: 더불 여, 鮑: 절인고기 포, 叔: 아저씨 숙, 賈: 장사 고, 分: 나눌 분, 財: 재물 재, 利: 이로울 리, 多: 많을 다, 自: 스스로 자, 與: 주다 여, 鮑: 절인고기 포, 叔: 아저씨 숙, 不: 아니 불, 以: 써 이, 我: 나 아, 爲: 여기다 위, 貪: 탐할 탐, 知: 알다 지, 我: 나 아, 貧: 가난할 빈, 也: 어조사 야.

管仲曰: 관중이 말했다.

吾始困時: 내가 처음 곤궁했을 때

嘗與鮑叔賈: 일찍이 포숙과 더불어 장사를 했는데(여기서 與는 ~와 더불어)

分財利: 재물의 이익을 나눌 때

多自與: 나에게 많이 주었다.(여기서 與는 주다)

鮑叔不以我爲貪: 포숙은 나를 탐욕스럽다고 여기지 않았다.(以A爲B: A를 B라고 여기다)

知我貧也: 내가 가난한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吾嘗爲鮑叔 謨事而更窮困, 鮑叔不以我爲愚 知時有利不利也.

(오상위포숙 모사이갱궁곤 포숙 불이아위우 지시유리불리야)

吾: 나 오, 嘗: 일찍이 상, 爲: 위하여 위, 鮑: 절인고기 포, 叔: 아저씨 숙, 謨: 도모할 모, 事: 일 사, 而: 말이을 이, 更: 다시 갱(부사), 고칠 경(동사), 窮: 궁할 궁, 困: 곤할 곤, 鮑: 절인고기 포, 叔: 아저씨 숙, 不: 아니 불, 以: 써 이, 我: 나 아, 爲: 여기다 위, 愚: 어리석을 우, 知: 알다 지, 時: 때 시, 有: 있을 유, 利: 이로울 리, 不: 아니 불, 利: 이로울 리. 也: 어조사 야.

吾嘗爲鮑叔: 내가 일찍이 포숙을 위하여

謨事而更窮困: 일을 도모하다가 다시 곤궁해졌다. (而: 여기서는 역접, 更은 부사로 풀이)

鮑叔不以我爲愚: 포숙은 나를 어리석다고 여기지 않았다.

知時有利不利也: 때가 이로울 때도 있고 불리할 때도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吾嘗三仕 三見逐於君, 鮑叔不以我爲不肖 知我不遭時也.

(오상삼사 삼견축어견 포숙 불이아위불초 지아불조시야)

仕: 벼슬할 사, 見: 당할 견(피동형), 逐: 쫒겨날 축, 於: 어조사 어(~에게), 君: 임금 군, 肖: 닮을 초(不肖: 어버이를 닮지 못해 어리석다는 의미), 遭: 만날 조

吾嘗三仕: 내가 일찍이 세 번 벼슬할 때

三見逐於君: 세 번이나 임금에게 쫒겨남을 당하였다.

鮑叔不以我爲不肖: 포숙은 나를 못났다고 여기지 않았다.

知我不遭時也: 내가 때를 만나지 못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吾嘗三戰三走, 鮑叔不以我爲怯 知我有老母也.

(오상삼전불주 포숙불이아위겁 지아유노모야)

戰: 싸울 전, 走: 달아날 주, 怯: 겁낼 겁, 老: 늙을 로, 母: 어머니 모

吾嘗三戰三走: 내가 일찍이 세 번 싸워서 세 번 달아날 때

鮑叔不以我爲怯: 포숙은 나를 겁이 많다고 여기지 않았다.

知我有老母也: 나는 노모가 있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公子糾敗 召忽死之 吾幽囚受辱, 鮑叔不以我爲無恥 知我不羞小節而恥功名不顯於天下也.

(공자규패 소홀사지 오유수수욕 포숙불이아위무치 지아불수이치공명불현어천하야)

公: 공자 공, 子: 사람 자, 糾: 얽을 규, 敗: 패할 패, 召: 부를 소, 忽: 갑자기 홀, 死: 죽을 사, 之: 그것 지, 幽: 그윽할 유, 囚: 가둘 수, 受: 받을 수, 辱: 욕될 욕,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 羞: 부끄러울 수, 小: 작을 소, 節: 절개 절, 而: 말이을 이, 恥: 부끄러울 치, 功: 공적 공, 名: 이름 명, 顯: 드러낼 현, 於: 어조사 어(~에), 天: 하늘 천, 下: 아래 하.

公子糾敗: 공자 규가 패하자(제나라 환공의 동생이 내란이 일어나 노나라로 갔는데 관중은 규를 섬기고 있었음)

召忽死之: 소홀이 그를 위해 죽었는데(소홀도 공자 규를 섬겼는데 소홀은 그를 위해 죽었다)

吾幽囚受辱: 나는 감옥에 감금되어 욕됨을 받았다.(옛날에는 섬기던 주군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이 진정한 충성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관중은 목숨을 부지하여 욕을 먹었음)

鮑叔不以我爲無恥: 포숙은 나를 부끄럼이 없다고 여기지 않았다.(포숙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관중을 꼭 살려서 등용해야 한다고 간언을 함. 개인적으로 반역을 일으키려 했던 공자 규를 섬긴 관중을 등용한 제환공도 대단하다고 생각함)

知我不羞小節而恥功名不顯於天下也: 나는 작은 절개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공명(공적과 유명세)을 천하에 드러내지 못하는 것을 부끄러워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生我者父母 知我者鮑子也

(생아자부모 지아자포자야)

生我者父母: 나를 낳아준 사람은 부모지만

知我者鮑子也: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史記, 管晏列傳》: 사기 관안열전

*총평: 관중열전의 아주 유명한 글귀다. 특히, 마지막 부분은 관포지교라는 성어가 만들어진 계기가 된 글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체적인 글은 비슷한 문구를 반복해서 사용하면서 포숙아의 품행, 성품, 우정 등을 나열하여 자신의 평생의 벗을 설명하고 있다. 문법적으로 설명하기에는 도치도 많고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어순들이 당시 문법상 정석적으로 나열되지 않아 문장성분을 분석하며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역사서를 볼 때는 글의 내용, 사실, 정보들을 문장의 의미에 맞게 맞추어 가면서 풀이하는 것이 사기열전의 묘미가 아닐까 싶다.

관포지교 해석 질문드립니다.

관포지교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해석본말고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으로 문장을 분석해주세요. 포숙불이아위탐 지아빈야 오상위포숙모사이갱공군 에 대한 분석...

한문해석을 해야되는데부탁합니다

... 유명한 <관포지교(管鮑之交)의 원문으로, 이중 질문하신 부분(밑줄친 부분)을 아래와같이 해석드립니다. 내가 일찍이 포숙을 위하여 일을 도모[꾀]하다가 도리어 곤궁해...

[내공] 친구관련 한문 질문!

... 지란지교 , 관포지교 , 문경지교 죽마고우 , 금석지교 , 회심지우 뜻풀이 부탁드립니다. 음도 써주시면 감사하고요 ~_~ 아그리고 지란지교는 해석순서도 같이 해주세요 ! 지음...

[급함][내공100]사자성어 해석하는 순서...

예) 관포지교 [管鮑之交] -1234 ---------------------------------------꼭부탁드립니다. 국사무쌍 [國士無雙] - 군웅할거... 1:1질문까지 주시니 고맙기가 짝이 없습니다(感謝無雙)...

향천님 답변에대한추가질문입니다

... 부탁드립니다 전에도 말씀 드린 것처럼 6자로 줄이면 타인은 모릅니다. 예를 들어 '管鮑之交(관포지교)'라는... 나중에 해석이 달려 모두가 알 수 있는 것 과 같습니다. 6자로...

고사성어...

... 도와주세요~ 이런거와 관계없는 글을 적어주시면 신고 들어가요~>_< ㅎㅎ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고사성어는 이미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쉽습니다. 일53문항은 해석을...

속수무책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 부탁드립니다. 제가 질문 하는 것은 "속수무책의 유래... 이라고 해석되고, 古事成語는 흔히 故事成語와 혼용되나... 관포지교(管鮑之交)와 등하불명(燈下不明)을 예로...

한자 성어 조사

... 예) 一石二鳥 음,뜻: 해석: 의미: 유의어: 이런식으로요.... 부탁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다시 질문... 돈독한 우정을 나타냄 03.管鮑之交(관포지교) 관중과...

충 과 효,우정에 대한 고사성어에...

... 혹시라도 궁금한 점이 있으면 1:1질문 등록바라며, 좋은 답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충성 강개지심... 우정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의 사귐과 같은...

고사성어 50개좀 알려주세요..

... 부탁드립니다. 1. 개과천선 改過遷善 -지난 허물을 고치고 착하게 됨. 진 혜제때... 관포지교 管鮑之交 중국의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 같은 친교라는 뜻으로, 시세(時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