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미의 기능

한국어 어미의 기능

작성일 2008.05.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한국어 어미의 종류 #한국어 어미의 분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용언의 어미의 기능]

 

1. 용언의 활용

 용언이 일정한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 끝을 여러 가지로 바꾸는 현상을 활용이라 하고,  변하는 부분을 어미라고 이른다.

 

2. 활용의 갈래
1) 종결형

 (1) 평서형: 문장의 내용을 평범하게 진술하는 활용 형태

     [예] 갑돌이가 일은 한다.

 (2) 감탄형: 어떤 사실에 대해 느낌을 나타내는 활용 형태

    [예] 갑돌이가 일을 하는구나!

 (3) 의문형: 답을 요구하는 물음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활용

    [예] 갑돌이가 일을 하느냐?

 (4) 명령형: 어떤 행동을 시킴을 나타내는 활용

    [예] 갑돌아, 밥을 먹어라.

 (5) 청유형: 상대방에게 행동을 같이 하고자 권유하여 이끎을 뜻하는 활용

    [예] 갑돌아, 밥을 먹자.

  

2) 연결형

 (1) 대등적 연결형: 뒤에 오는 말과 서로 맞섬의 성격을 나타내게 하는 활용형, 이 때 어말 어미를

                           대등적 연결 어미라 한다.

   [예] 갑돌이는 미덥고, 갑순이는 착하다.

 (2) 종속적 연결형: 두 문장을 주종 관계로 연결한 형태(종속족 연결 어미)

   [예] 봄이 오면, 진달래가 핀다.

 (3) 보조적 연결형: 뒤따라는 보조 용언과 어울려 하나의 서술어가 되게 하는 형태(보조적 연결

                          어미)

   [예] 아이들에게 재미있게 놀게 하여라.

 

3) 전성형: 문장의 자격을 바꿔 주는 활용 형태로, 관형사형과 명사형이 있음
  ① 명사형; 문장에서 체언처럼 쓰이게 만드는 활용으로, '∼음, ∼기'가 있음
     [예] 먹음, 먹기, 봄, 보기 등
  ② 관형사형; 문장에서 수식어(관형어)로 쓰이게 만드는 기능.
    ㉠ 과거; '∼(으)ㄴ' [예] 하다>한 
    ㉡ 현재; ∼(으)는'  [예] 하다>하는
    ㉢ 미래; ∼(으)ㄹ'  [예] 하다>할
     *형용사에는 '은'이 주로 쓰이고 '는'은 주로 동사에 쓰임

한국어 어미의 기능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용언의 어미의 기능] 1. 용언의 활용 용언이 일정한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 끝을 여러 가지로 바꾸는 현상을 활용이라 하고, 변하는 부분을...

한국어 어미 개수

... 한국어어미는 문법적으로 기능은 동일하지만, 상황에 따라 어미를 다르게 쓰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어미가 존재한다.

한국어 어미 둘 이상 가능한가요?

... 선어말어미한국어에 저 세 종류 밖에 없나요? 높임+시제+추측 류.. 어미라는 게... ex) 예쁜(예쁘-+-ㄴ) 꽃('-ㄴ'은 '예쁘다'라는 용언(형용사)를 '꽃'을 꾸미는 관형어로 기능하...

한국어 조사, 어미의 의미적 차이는?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ㄹ지라도'와 'ㄹ수록'은 둘다 조사이며, 어미로써 기능합니다. 두 개념이 혼동되는 이유는 분류의 기준을 정확하게 세우지 않으셨기 때문으로...

한국어에서 조사와 어미의 공통점과...

... 전성 어미: 용언의 서술 기능을 또 다른 기능으로 바꾸어 주는 어미-는, 기, 게 ①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 ② 명사형 어미: -기, -(으)ㅁ ③ 부사형 어미: -게...

어미의 종류

... 예문) 1)문장 (6)에서는 ‘-(으)ㅁ’과 ‘-기’가 종결 어미기능하는데, 이러한... (→후행문) 5)의향법은 한국어 문법에서 서법, 문체법 등으로도 기술되어 왔으며, 문장을...

낯섦에서 ㅁ은 왜 어미로만 기능하나요

낯섦에서 ㅁ은 왜 어미로만 기능하나요?? 즉, "그에게서 낯섦을 느꼈다"라는 문장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낯섦, 낯설음'을 모두 명사로 다루지 않고 있고, 한국어대사전에서...

국어 연결어미 질문

... 이 문장에서 설탕이요의 ‘요’가 왜 연결어미인가요? 어미가 되려면 어간 뒤에... 이는 한국어에서 조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2. 높임법 표현: ‘요’는...

연결어미 -고, -아서/어서

... 한국어 연결어미 '-고'와 '-아서/어서'는 절을 서로 연결하는 통사적 기능은 비슷하지만 의미론적 특징은 다릅니다. '-고'는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나는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