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국어문제 질문~

중학교 국어문제 질문~

작성일 2006.11.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문]

 

우리문자의 완성

훈민정음 완성되다
---------------
28자의 자모음체계 누구나 쉽게 문자혜택
일주지식인들 반대 상소.. 전면보급에는 시일 걸릴듯
-------------------------------------------

1446년 9월, 우리도 우리말을 정확히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비로소 가지게 되었다.
지난 1443년 세종의 주도로 만들어졌던 우리 글자 훈민정음이 3년간의검토과정을 거쳐
전국에 반포된 것이다. 28자의 자모음 체계로 구성된 훈민정음은 우리말을 가장자연스럽게
표현할수있는과학적인문자이다. 이새문자는소리나는대로 쓸수있기때문에 한문보다 익히기가
훨씬쉬워 많은 백성들이 문자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세종은 훈민정음 서문을 통히 "나라말이 중구고가 달라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이를딱하게 여겨 새로 28자를 만들었다.
라고 훈민정음 차엦의 취지를 밝혔다.조정은 현재 시가와 각종경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백성들에게보급중인데 특히 여성층과 서민들의 호응도가 높은것으로 알려지고있다.
그러나 최만리 김문등 상당수관리들은 "중국과 다른 문자를 만드는 것은 사대의 예에 어긋나며, 스스로
오랑캐가 되는것이라며 훈민정음의 보급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고있어 전면적인 보급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 이와 같은 글의 형식으로 알맞은것은?
1. '전문'은 빠져도 무방하다.
2. '본문'은 간결하고 짧게 써야 한다.
3. '표제'는 기사의 제목을 짧게 요약한 것이다.
4. '해설'은 글쓴이의 비평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5. '부제'는 기사의 큰 제목으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어야 한다.

 

정답 4번

--------

어떤게 전문 본문 표제 해설 부제 인지 알려주시구요 왜 해설은 글쓴이의 비평부분일까요
긍정적인 생각으로 말할수도 있잖아요.... 그리고 각각이 왜 아닌지 알려주세요

 

 

*이글을 작성원칙에 따라 정리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것은?


여기서 누가 : 세종대왕이 이 문장이 맞는것인데
집현전 학자가 아닌가요????

 


#중학교 국어문제집 추천 #중학교 국어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기사문의 형식에 따른 내용분석                

표제(큰제목)       훈민정음 완성되다.

부제(작은제목)    28자의 자모음 체계,~보급에는 시일 걸릴듯

전문(요약)          1446년 9월, ~반포된 것이다. 

본문                28자의 자모음 체계로~창제의 취지를 밝혔다.

해설                    조정은 현재~따를 것으로 보인다.

 

(1) 훈민정음 완성되다

 

(1)---> 표제 : 기사문의 큰 제목



(2) 28자의 자모음체계 누구나 쉽게 문자혜택
일주들 반대 상소.. 전면보급에는 시일 걸릴듯

 

(2)---> 부제 : 큰 제목을 조금 상세히 보여주는 작은 제목
-

 

(3) 1446년 9월, 우리도 우리말을 정확히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비로소 가지게 되었다.
지난 1443년 세종의 주도로 만들어졌던 우리 글자 훈민정음이 3년간의검토과정을 거쳐
전국에 반포된 것이다.

 

(3)---> 전문 : 이 기사문을 요약한 부분

 

 

 

 

(4) 28자의 자모음 체계로 구성된 훈민정음은 우리말을 가장자연스럽게 표현할수있는과학적인문자이다. 이새문자는소리나는대로 쓸수있기때문에 한문보다 익히기가 훨씬쉬워 많은 백성들이 문자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세종은 훈민정음 서문을 통히 "나라말이 중국어와 달라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이를딱하게 여겨 새로 28자를 만들었다. 라고 훈민정음 차엦의 취지를 밝혔다.

 

(4)---> 본문 : 기사문의 핵심 내용

 

 

(5) 조정은 현재 시가와 각종경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백성들에게보급중인데 특히 여성층과 서민들의 호응도가 높은것으로 알려지고있다.
그러나 최만리 김문등 상당수관리들은 "중국과 다른 문자를 만드는 것은 사대의 예에 어긋나며, 스스로 오랑캐가 되는것이라며 훈민정음의 보급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고있어 전면적인 보급에는 다소의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5)---> 해설 : 기사 작성자의 생각, 비평

 

 

비평이라는 말은 비난하는 말이 아닙니다.   1학기 때 화가 이중섭 배우셨죠?  그 작품에도 글쓴이가 인물에 대한 비평을 하지요. 하지만 님 말씀처럼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됩니다.  따라서 비평이란 글쓴이가 어떠한 인물이나 사실들에 대한 생각이나 의견을 적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위 훈민정음 기사문에서 사대부들이 사대주의에 빠져 한자 익히기에만 골몰하고 있기

때문에 글쓴이는 훈민정음의 보급이 어려울 거라고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이지요.

 

 

육하원칙에 따른 내용분석

누가          세종이(세종을 비롯한 집현전 학자들과)

 

세종대왕만 만든 것이 아니라 집현전 학자들도 함께 참여 했다고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언제          1446년 9월에(최종적으로 세상에 내 놓은 반포일을 말합니다. 1443년은 한글을 만든 창제 연도니까 헷갈리지 마세요)

 

어디서       집현전에서 (위 기사문에는 빠져 있는 내용입니다.)

 

무엇을       훈민정음을

 

어떻게       3년간의 검토 과정을 거쳐 전국에 반포함.

 

왜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이 이를 딱하게 여겨서

 

이상입니다.

 

열심히 하세요^^

해당 글은 지식스폰서가 활동 기간 (04년~08년 6월 종료)중에 작성한 글 입니다.
  • 지식스폰서가 작성한 답변은 본문 내 자기소개 및 출처란의 실명, 상호명, URL표시를 허용합니다.
  • 출처란에 표시된 정보가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음란성, 불법성, 청소년 유해사이트 등으로 변질된 경우는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지식스폰서란

중학교 국어 문제 질문

... 근데 저는 이문제는 잘못됐다고 생각하거든요? 답지에 ㄱ이 맞는 이유를 보면 "가난한 생활 형편 때문에 환자를 꾸러 읍내로 가는 홍부의 모습에서 조선 후기 백성들의...

중학교 국어문제 질문

풀어주세용 정답만! 12. 'ㅅ'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이며, 입안이나 목청 사이를 좁혀서 생긴 틈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중학교 국어 문제 질문좀요

국어 문제집에보면요 (가) 산촌에 눈이 오니 돌길이 묻혔구나. 시비를 열지 마라, 날... 이 문제인데요 문제에 보기가 이해가안되네요... 음수율 음보율 3(4).4조 이런말도...

중학교 국어문제 질문합니다!

... 관련되는 질문을 만들어본다 5글의소재가시대적으로가치가있는지평가해본다 2번4번은 이해가가는데요 13번은 왜 맞고 5번은 틀린가요? 정답은5번이에요 님이 제시한 문제는...

중학교 국어문제 질문

... 비유는 은유와 직유 대유,의인법등이 있는데 학생께서 날카롭게 보셨다면 이런 질문을 하실 겁니다. 햇빛과 별들이 은유법이라고 치면 원관념은 어디에 있죠? 원래 은유법은...

중학교 국어문제 질문~

[지문] 우리문자의 완성 훈민정음 완성되다 --------------- 28자의 자모음체계 누구나 쉽게 문자혜택 일주지식인들 반대 상소.. 전면보급에는 시일 걸릴듯...

중학교 국어 문제 질문좀요~

... 아무튼 질문하신 분도 고여있는 물보단 흐르는 물이 되셨으면...^^ ※ 강물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흐르지 않는 강물 = 변화나 개혁하려는 마음이 없음 = 발전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