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법의 대하여

수사법의 대하여

작성일 2006.03.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올해 남중에 입학햇음돠

 

근데 국어 선생님이 어제 3월4일날 숙제를 내주셧거든요

 

수사법에 알아오라 ... 수사법이 도데채 뭐죠

 

아시는분 간단하고 정확하게 해주세요

 

간단 안해도 좋으니까 정확하게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수  사  법-



1. 표현 기법의 원칙

    (1) 참신한 표현:진부하고 상투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새롭고 창의적인 표현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명확한 의미의 강조:표현법의 사용은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미사 여구의 나열이나 우회적인 표현 등으로 의미 전달을 모호하게 해서는 안 된다.

    (3) 변화 있는 문장:효과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형식적인 틀에 얽매인 표현보다도 표현의 변화를 꾀하여 생생한 느낌을 살릴 수 있어야 한다.

2.수사법

    넓은 의미의 수사법은 작문 전반에 걸쳐 말과 글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말한다. 본문에서의 표현 기법은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으로 분류되는 표현 기교를 의미한다.

  - 비유법: 어떤 것을 다른 것에 견주는 방법

  - 강조법: 문장의 뜻을 강하게 높이는 방법

  - 변화법: 문장의 단조로움을 덜기 위해 변화를 주는 방법


  3.비유법

   (1) 비유의 목적

        표현하려는 사물을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그 자체의 성질, 모양 등을 뚜렷하고 선명하게 하여 공감의 폭을 넓게 하고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2) 비유의 요소

      원관념: 원래 표현하고 싶었던 관념(표현하고자 하는 대상)

      보조 관념: 원관념을 표현하기 위해서 차용한 관념

   (3) 비유의 원리

      1) 유사성의 원리: 원관념과 보조 관념이 비슷하거나 닮았다는 점을 이용하여 두 관념을 연결하는 원리

                     쟁반같이 둥근 달 (쟁반과 달의 둥글다는 유사성)

      2) 인접성의 원리: 원관념과 보조 관념이 서로 부분과 전체의 관계이거나 가까이 있음으로 해서 연결하는 원리

                       약주나 한 잔 하지요.(술의 부분)

  (4) 비유법의 종류

   1) 직유법(直喩法):비유법 중 가장 명료하며 초보적인 방법으로 유사성을 지닌 두 사물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A의 형태)

     ① 특징: 비유법 중에서 가장 소박한 방법으로, 두 가지 유사한 인상을 직접 대응시켜 비유하는 방법.  ‘~처럼’, ‘~같이’, ‘~듯이’ 등의 표현.

     ② 유의점: 직유는 손쉬운 비유법이기는 하나, 너무 보편적인 보조 관념에 빗대어 비유하게 되면 진부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참신한 보조 관념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예)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산 속의 아침 나절은 졸고 있는 짐승같이 막막은 하나

         정신이 은화(銀貨)처럼 맑다.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2) 은유법(隱喩法): 고도화되고 세련된 비유의 방법으로 원관념과 보조 관념이 부사, 어미, 조사의 도움 없이 연결되어 한데 포함됨으로써 의미의 전이(轉移)와 새로운 의미를 환기시키는 시적(詩的)인 비유법이다.(A=B의 형태)

      ① 특징: 매개어의 개입이 없이 결합되어, 그 결합의 밀도는 직유보다 훨씬 강력하고 긴밀하다.     파도 같은 군중(직유) 군중의 파도(은유)

      ② 유의점: 은유는 직유보다 더 인상적인 표현을 할 수 있지만 은유를 남용하면 문맥이 어지럽고 문장의 뜻이 모호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 봄은 천지(天地)의 소녀, 소녀는 인생의 봄

          여름의 해수욕장은 어지러운 꽃밭이었다.

          구름 가네 구름 가네, 구름 속에 선녀 가네.(달)


    3) 의인법(擬人法)과 활유법(活喩法)

      ① 의인법: 인격이 없는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여 인간인 것처럼 그려 내는 표현법으로, 친밀감이나 정겨움을 더해 준다.

        ㉠ 특징: 의인화는 비유에 쓰는 언어의 한 쪽이 숨겨져 버리니 그것이 비유되는 대상과 동일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은유의 허물어진 형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은유와 같이 시적(詩的) 표현에 더 적절하다. 사람은 언제나 외계의 사물을 자기 중심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여기서 의인법이 발생한다. ‘산 허리’, ‘책상 다리’ 등은 이미 사비유(死比喩)가 되었지만 이것도 인간 중심의 이해에서 발생한 의인법이다.

        ㉡ 유의점: 인격적 요소란 인간이가진 모든 것으로서 무생물과 구별되는 일체의 것이다. 곧 감정, 사상, 의지, 육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추상적 개념에 인격적 속성을 넣어서 표현한 것도 의인법이 된다. ‘희망의 손짓’, ‘역사의 눈’, ‘민주주의의 발걸음’ 등.

          예) 바람아, 네 팔에 나를 안아 다오.

              꽃은 웃고 버들은 손짓한다.


    ② 활유법: 생명력이 없는 무생물을 생명이 있는 것처럼 그려 내는 표현법으로, 주로 생동감을 더하기 위해 사용한다.

        ㉠ 특징: 사람 아닌 것에 인격을 부여하면 의인화가 되고 무생물을 동물인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가 된다.

             예) 전신줄에 목을 매어다는 밤바람의 비명이 들릴 뿐.

                파도가 밀려와 산산이 부서진다. 으르렁 짖으며 하얗게 부서진다.


   4) 대유법(代喩法): 원관념에서 연상되는 어떤 일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제유법(提喩法)과 환유법(換喩法)이 있다.

       ① 제유법: 양적인 관계에 있어서 작은 개념(부분)으로써 큰 개념(전체)을 나타내는 표현법

          예)  사람은 빵(식량,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생존 조건)만으로는 살 수 없다.

               나는 그 노인을 찾아가 추탕에 탁주(값싼 음식과 술)라도 대접하며 진심으로 사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② 환유법- 소유물로써 소유주를 나타내거나, 사물의 속성으로써 그 사물 전체를 대신 나타내는 표현법

            - 한 사물에 관계 있는 다른 사물을 빌려 나타내거나, 기호로써 실체를 대신하거나, 특징적인 것으로 전체를 대신하는 등의 기법.

           예) 금테(신사)가 짚신(시골뜨기)을 깔본다.

             사람을 바지저고리로 아느냐?(바지저고리=못난 사람)

             백의 민족의 전통을 계승하자.(백의 민족=한민족)

       ③ 특징:  제유는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 자체의 전체를 드러내고, 환유는 사물의 일부 속성으로써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과 관계되는 사물의 전체를 나타낸다. 이런 점에서 이 둘은 상사(相似)의 비유가 아니라, 인접(隣接)의 비유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환유의 원관념과 보조 관념과의 관계는 제유의 그것에 비해서 긴밀하지 못하다.

   5) 풍유법(諷喩法): 격언, 속담, 우화 등의 보조 관념만으로 원관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풍자적, 암시적 효과가 있다.

       ① 특징: 넌지시 비유하는 점에서는 은유와 비슷하나 은유보다 복잡하고 교훈적이어서 깊이 생각해야 그 뜻을 알 수 있다. 풍유는 주로 교훈적, 우의적(寓意的)인 문장에 많이 쓰이는데 속담과 우화가 대표적이다. 풍유는 새롭고 기발한 착상이 요구된다.

       ② 유의점: 우화의 경우 보조 관념은 전부가 비인격적(非人格的)인 것이다. 보조 관념이 전부 인격적인 것으로 채워지는 의인법과 반대이다. 우화를 구성하는 보조 관념은 동물이나 식물의 생활 풍습이며, 그것이 인간의 생활 풍습을 암시한다. 그러나 단순한 동물 이야기는 우화가 아니다.(파브르의 곤충기)

           예)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익숙하게 잘하는 사람도 간혹 실수를 하는 수가 있다.)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백설 충신, 구름 간신, 악의 무리)


4. 강조법 - 문장의 뜻을 강하게 높이는 방법


   (1) 과장법(誇張法): 실제보다 과장되게 표현함

     1) 向大誇張(향대과장)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통곡도 다 못 하여 하늘은 멍들어도

     2) 向小誇張(향소과장)

         이제는 아득한 산꼭대기에 겨우 싸래기만큼이나 햇볕이 남아 있어

   (2) 영탄법(詠嘆法): 슬픔,기쁨, 감동 등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방법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어머나, 저렇게 많아! 참 기막히게 아름답구나!

   (3) 반복법(反復法)동일어나 유사어의 반복

        고향으로 돌아가자,나의 고향으로 돌아가자.        아씨 아씨 큰 아씨,마오 마오 그리 마오

   (4) 열거법(列擧法):문장 성분상 같은 자리에,유사한 성질의 여러 사실이나 현상을 늘어 놓는 방법

                 비애, 눈물, 애수, 울분, 탄식, 절망 등이 그 당시의 정서의 목록이다.                

                 우리의 국토는 그대로 우리의 역사이며, 철학이며, 시이며, 정신입니다.

   (5) 점층법(漸層法): 작은 것, 약한 것에서 큰 것, 강한 것으로 표현을 확대하는 방법

                 예)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머리를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 구석을 하나하나 씻어 낸다.    

   (6) 점강법(漸降法): 큰 것, 강한 것에서 작은 것 약한 것으로 표현을 확대하는 방법

                     예) 기쁨의 속삭임이 하늘과 땅, 나무와 나무, 풀잎과 풀잎 사이에서 은밀히 授受되고

   (7) 억양법(抑揚法): 먼저 추켰다가 낮추거나, 낮추었다가 추켜 올리는 방법

                  예) 네 아무리 기골이 장대하고 위풍이 있다 하나 언변이 없고 의사 부족하니

                     金石盟約을 食하얐다 하여 일본의 無信을 죄하려 아니 한다.

   (8) 대조법(對照法): 상반되는 사물을 대조, 비교하여,그 차이에 의하여 강력하게 표현하려는 수법

                  예) 고전주의가 객관적, 정적인 존재 양식이라면, 낭만주의는 주관적, 동적인 생산 양식이다.

                   산이 푸르니 꽃 빛이 불 붙는 것 같다.

   (9) 미화법(美化法): 추한 것을 아름답게, 평법한 것을 뛰어나게, 불완전한 것을 완전하게 표현하는 수법

                  예) 아아, 나에게 위안을 주고 원조를 주는 천사여!        梁上君子, 白衣天使

  (10) 연쇄법(連鎖法): 앞 文의 끝과 뒷 文의 처음이 동일한 말로 이어지는 글을 써 나가는 방법

              예) 고인도 날 몯 보고 나도 고인 몯 뵈,

                  고인을 몯 뵈도 녀던 길 알 잇.

                  녀던 길 알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11) 현재법(現在法): 과거나 미래의 일을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여 생동감을 주는 표현

                  예) 보살들이 영법의 명상에 잠긴 석가여래를 둘러선다.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이때마다 뻐국새가 운다.

  (12) 비교법(比較法):둘 이상의 모양이나 성질을 비교하는 법

                  예)  너의 넋은 수녀보다도 외롭구나.!

  (13) 명령법(命令法):고조된 격한 감정의 표현

                  예)  보게나, 저 외로운 하일랜드 아가씨를

  (14) 거례법(擧例法):추상적 주장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구체적 예를 들어 보이는 방법

                  예) 석굴암의 석가상을 보라. 거기 어디서 그런 소극적인 것, 더구나 애상의 흔적을 볼 수 있단 말인가.

 

5. 변화법

   변화법이란 문장이 단조롭고 평범하게 흘러가지 않도록 표현 방법에 변화를 주어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글의 뜻을 인상 깊게 하기 위한 수사법이다. 이 수사법은 도치, 인용, 설의, 반어, 역설, 문답, 생략, 현재, 돈호, 명령 등으로 세분된다.


   (1) 반어법(反語法;irony)

     1)개념-   일상적인 담화나 글에서 실제와는 반대되는 뜻의 말을 함으로써 청자나 독자의 관심을 끌면서 표현 효과를 높이는 표현 기법.

           -   상황과 언어 사이에 모순이 생기게 된다.

           -   문장 그 자체만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앞뒤 문맥에 의해 반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2)특징-   말하고자 하는 참뜻과는 반대되는 말로써 표현하므로, 말하고자 하는 참뜻은 언제나 이면에 숨어 있다.

           - 비꼼과 다소의 풍자가 내포된다.

           - 해학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효과가 있다.

     3)유의점-  엄숙한 것을 웃으면서 말하는 데 유머의 본질이 있다면, 똑같이 안팎의 반대 관계가 있다할지라도 반어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면을 찌르면서 엄숙한 것을 엄숙한 것으로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 유머는 부정(否定)이 약하고 부드러우나, 반어는 부정이 날카롭고 온정(溫情)이 결여되어 있다(냉소적이다). 그러나 풍자보다는 공격적 파괴성이 약하다.

     4) 예

       예뻐 죽겠다.(속뜻: 매우 밉다.)     아주 얄밉다.(속뜻: 아주 귀엽다)     참 좋은 일 했구나!(속뜻: 나쁜 짓을 했다)

       잘 했다.(속뜻: 잘못했다)           참 많이도 준다. (인색하다)         ‘자네’라고? 말씀 좀 낮추시지. (왜 낮추어 부르느냐.)

         그분인가. 경이는 또 이 동네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정도로 불량 소년이다. 경이는 아침에 일어나 밥을 먹고 나면, 어느 새 뛰쳐나와서는 이웃집을 쏘다닌다. 어떤 집에 가서는 밥을 내라 해서 먹고, 어떤 집에 가서는 남의 자명종을 낱낱이 해부해 놓고, 또 어떤 집에 가서는 남의 색시의 분갑, 크림 병을 둘러엎어 놓고 부숴 놓곤 한다.

  (2) 역설법(paradox)

      1) 개념-   이치에 어긋나거나 모순되는 진술(모순 형용)을 통해 진실을 표현하는 방법

             - 표면상으로는 불합리하고 모순되는 듯하나 그 속에 절실한 뜻이 담기도록 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극적인 긴장감을 조성하며 미묘한 정서적 반응을 일깨우는 효과가 있다.

            - 모순되는 두 말을 연결하는 방법(모순 어법)에 의한 역설과 문장 속에서 드러나는 역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특징-   일반적인 생각과는 반대되는 말로써 표현하여 일견 진리가 아닌 듯하나 실은 진리를 말하는 것이다.

            -   주어나 주제어 또는 전제가 되는 구절과 그것을 풀이하는 부분이 의미상 어긋나는듯이 보이나, 깊이 생각해 보면, 더 높은 진리를 찌르는 것이 역설법의 구조다. 일종의 모순 어법(矛盾語法)이다.

            - 모순되고 당착된 진술을 통하여 마음 속에 극적인 긴장감을 조성하며, 미묘한 정서적 반응을 일깨우는 효과가 있다.

      3)유의점- 일반적으로 반어(irony)와 역설(paradox)이 혼동되어 쓰이고 있으나 그 개념 파악을 분명히 하여야 할 것이다.

              - 역설은 일상적인 언어로 나타내기 어려운 진리를 표현할 때, 언어의 논리적 구조를 깨뜨려 진리를 포착하는 방법으로 쓰인다.

      4) 예

        시를 쓰면 이미 시가 아니다.         눈 뜬 장님         도를 도라고 하면 도가 아니다.

        아아,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용서한다는 것은 최대의 악덕이다.       도적에게 있어서 이 마을은 도적의 도심(盜心)을 도적맞기 쉬운 위험한 지대이리라.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는 것이다.)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참고: 반어와 역설

1.같은 점:  모순되는 두 가지 의미를 표현한다는 복합성이 있고, 그 외면적 모순을 통해 진리나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

2.다른 점: 반어는 그 표현 자체가 모순이 없으며, 다만 표현된 의미가 지시하는 대상이나 숨겨진 의미 사이에 모순이 암시된다. 그러나 역설은 표면적으로 두 가지 의미 모순을 한꺼번에 드러내는 것이다.

3.예

      참 잘 한다(못한다의 경우):이 표현에는 아무런 모순이 없다. 다만 표현 주체가 ‘참으로 못했다’는 숨겨진 의도를 가지고 그렇게 표현하고, 또 독자가 글의 문맥을 통해 그것을 알 수 있는 반어이다. 물론, 실제로 잘한 경우에 쓰이면 반어가 아니다.

      죽기 위해서 태어났다:모순이 표현 자체에 드러나 있고, 그 속에 진실이 숨어 있는 역설이다.

      제가 그렇게 쉬운 것을 어찌 감히 알겠습니까?:반어와 역설이 뚜렷이 구분되지 않고 함께 섞이어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다.


   (3) 대구법(對句法): 가락(tone)이 비슷한 구절을 나란히 늘어 놓아 병행의 미와 대립의 흥미를 주어 문장을 변화 있게 하는 방법

                     예) 이성은 투명하되 얼음과 같으며,  지혜는 날카로우나 갑 속에 든 칼이다.

   (4) 설의법(設疑法): 일부러 묻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독자의 판단을 촉구하여 독자 스스로 결론을 내리게 하는 방법

                     예) 꽃 피고 새 우는 봄날의 천지는 얼마나 기쁘고 얼마나 아름다우냐.

   (5) 도치법(倒置法): 성분 배열의 순서를 바꾸는 것          예)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6) 인용법(引用法): 내용의 충실, 자신의 立論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타인의 말이나, 글을 인용하는 방법

   (7) 돈호법(頓呼法): 사물이나 사람을 불러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수법         예) 동포 여러분,나 김구의 소원은 이것 하나밖에는 없다.

   (8) 경구법(警句法): 기발한 내용의 어구로써 어떤 진리나 교훈을 자극적으로 깨우쳐 주는 기교

                   예) 웅변은 銀이고 침묵은 金이다.               하루는 너의 일생이다.

   (9) 생략법(省略法): 함축성 있게 비교적  불필요한 부분을 절약하고 생략하거나, 또는 특징만을 간결하게 뽑아 내어 독자의 상상이나 추리에 맡기는 방법          예) 저렇게 淸淨無垢를 드리우고 있건만

  (10) 비약법(飛躍法): 평탕한 서술이 급격한 변화를 이루어 시, 공간적 순서를 무시하는 기법(소설의급전, 시의 이미지 변화, 잠재 의식의 변화)

                   예) 흐느적거리는 금붕어의 유영은 나른한 졸음을 가져 온다..아! 종군하고 싶다.

  (11) 냉조법(冷嘲法): 남의 약점,결점을 완곡하게 지적하여 비꼬아 냉조하는 방법

  (12) 돈강법(頓降法): 감정의 절정에서 갑자기 저조로 뚝 떨어지는 수법

                     예) 일개 사단의 병력이 투입되었다. 하늘을 비행기의 편대가 덮었다. 그리하여 그 날의 연습은 시작되었다.

수사법의 대하여

... 내주셧거든요 수사법에 알아오라 ... 수사법이 도데채 뭐죠 아시는분 간단하고... 정확하게만요 - 수 사 법- 1. 표현 기법의 원칙 (1) 참신한 표현:진부하고 상투적인 표현에서...

수사법대하여

... 국어 들어 올때마다 수사법 어쩌고 그러시는데 수사법 할때마다 종류도 다양하고... 수사법 종류하고 그 수사법의 정의좀 가르켜 주세요.. 내공 많이 드릴게요1! 수사법...

국어 모든 수사법 모든 시점 등등 부탁요..

모든수사법이랑 모든시점좀 써주시구요.. 수사법은,, 예문도 좀 써주시구요..... 사건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방식 ① 작가 관찰자 시점 : 서술자(작가)가 외부 관찰자의 위치에서...

나태주 풀꽃 이라는 시에는 어떤 수사법...

... 특히 풀꽃이라는 시에는 어떤 수사법이 있는지 궁금해용. 가능하다면 수사법... 역시 시인은 시적 대상인 인간이나 사물에 대하여 남달리 관찰하는 능력이 특별하다고...

김수영 눈 제목의 의미와 수사법...

김수영 눈 제목의 의미와 수사법 좀알려주세요 1. 수사법 눈은 살아 있다. - 반복법... 이 시에서 "눈"의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주제와 연관시켜 간단히 쓰시오. -우선 이 시의...

수사법 알려주세효

... 수사법이란 말이나 글을 다듬고 꾸며서 보다 아름답고 정연하게 하는 일을 말하기... 비교 :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물들에 대하여 그들이 지니고 있는 비슷한 점을 밝혀 내는...

대공수사법 좋은점이 뭔가요?

... 국가 기밀(국가의 안전에 대한 중대한 불이익을 피하기 위하여 한정된 인원만이 알 수 있도록 허용되고 다른 국가 또는 집단에 대하여 비밀로 할 사실·물건 또는 지식으로서...

수사학이랑 수사법이랑 다른건가요?

수사학이랑 수사법이랑 다르나요? 만약.. 수사학이랑 수사법이 다르다면 수사학이... ◈ 문제해설 ◈ 정당한 사유 없이 명시기일에 출석하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구...

수사법/형법에서 용의자 수사에 관련된...

...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았다면 그 조서나 진술서의 증거능력이 부정되는데 그치며 재판에서 피해자가 증인으로 출석하여 피고인의 행위에 대하여 증언하면 그에 따라...

면면함에 대하여 시 국어

... 빠른 답변 부탁합니다ㅠㅠㅠㅠ 면면함에 대하여(시) 1. 시어의 함축적 의미가 삭풍... (성유법)으로, 수사법(표현방법)의 한 예입니다. -이 시에 대해 좀더 많은 자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