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세종어제훈민정음&소학언해

중세국어 세종어제훈민정음&소학언해

작성일 2023.12.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현재 중세국어를 처음 배운 고1입니다.



   1. 소학언해에서 '부모끠'는 문장성분이 뭔가요? '즙'이라는 객체높임선어말어미가 부모를 높인다는데 왜 '부모'가 객체인지 잘 이해가 안가요. '부모끠 받자온'이라는 '것'을 수식하는 관형절의 주어 아닌가요? 


2. '갈아샤디'에서 -(으)샤 + -아디 에서 모음어미 앞에서 모음어미의 탈락이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이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3. 소학언해의 '효도의'라는 부분에서 왜 '효도'는 무정명사인데 관형격조사 'ㅅ'을 사용하지 않고 유정명사일때 사용하는 '의'를 쓰나요? 


컴퓨터에선 아래아, 합용병서 등이 표기가 잘 안돼서 이렇게 남겨요 ㅠㅠ 원문 보시고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소학언해에서 '부모끠'는 문장성분이 뭔가요? '즙'이라는 객체높임선어말어미가 부모를 높인다는데 왜 '부모'가 객체인지 잘 이해가 안가요. '부모끠 받자온'이라는 '것'을 수식하는 관형절의 주어 아닌가요?

>>>

'부모ㅅ긔'는 '부모'와 높임 부사격 조사인 'ㅅ긔'가 붙은 형태입니다.

따라서 '부모ㅅ긔'는 부사어가 되겠습니다.

>>>

현대 국어에선 특수 어휘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중세 국어에는 객체 높임에서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였습니다.

여기서 객체 높임이란 서술의 객체(목적어나 부사어가 가리키는 대상)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몸이며 얼굴이며 머리털이며 ㆍㄹㅎㆍㄴ 부모ㅅ긔 받ㅈ온 거시라' 에서 내가 형체와 털을 받아온 대상은 부모이므로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 'ㅈㅸ'을 사용한 것이 되겠습니다. (순경음 비읍의 소실로 '받ㅈㆍㄴ' 대신 '받ㅈㆍ온'이 되었습니다.)

2. '갈아샤디'에서 -(으)샤 + -아디 에서 모음어미 앞에서 모음어미의 탈락이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이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갈ㅇㆍ샤ㄷㆍㅣ'는 '갈+ㅇㆍ샤+오ㄷㆍㅣ' 의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ㅇㆍ샤' 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인 '오ㄷㆍㅣ' 가 만나 모음 'ㅗ' 가 탈락되어 '갈ㅇㆍ샤ㄷㆍㅣ'의 형태를 갖게 된 것입니다.

3. 소학언해의 '효도의'라는 부분에서 왜 '효도'는 무정명사인데 관형격조사 'ㅅ'을 사용하지 않고 유정명사일때 사용하는 '의'를 쓰나요?

>>>

소학언해는 16세기에 지어졌으며 <세종어제훈민정음>과 약 130년의 시차를 띄고 있습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부 중세 국어 문법에 혼란이 오게 되었습니다.

이 문법 혼란이 '효도ㅇㆍㅣ' 에서 '효도'가 무정 명사임에도 'ㅅ'이 붙지 않은 까닭입니다.

도움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려요.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보내주세요.

고1 중세 국어 훈민정음, 소학언해

... 중세 국어에서는 모음조화가 현대국어에서보다 모음조화가 엄격히 지켜졌다고... 훈민정음, 소학언해 1. 첫줄 세종어제 훈민정음 원문 부분에서 '어' 초성 부분에서는 왜...

세종어제 훈민정음, 소학언해...

중세국어 문제를 풀다가 세종어제 훈민정음, 소학언해, 용비어천가 중 7종성법도 있었다고 하더라고요 그럼 여기 세개 중에서 7종성법인건 뭐고 8종성법인건 무엇이죠??...

세종어제훈민정음소학언해의...

... 국어 문화의 중요성: 세종어제훈민정음소학언해는 언어와 국어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차이점: 1. 목적...

질문좀 할게요 ㅠ ㅠ훈민정음/소학언해

... 훈민정음때는 모음조화가 잘이루어진다 되어있고 소학언해에서는 혼란스럽다고 선생님이 말씀하셨는데 지금도 혼란스러운건가요? [나는] 이라는단어에서는 현대국어인데...

국어(하) 중세국어, 훈민정음소학언해.

중세국어 복습을 하려고 문제를 푸는데 모르는 문제가 많네요..ㅜㅜ 그중에서 정말... 보기 2,3,4번을 잘 모르겠어요ㅜㅜ 훈민정음소학언해에 나타난 표기 방식의 변천을...

세종어제 훈민정음, 소학 언해

둘의 차이점으로 세종어제 훈민정음은 형식적인 받침 표기 소학 언해는 형식적인 받침 표기 사라짐 이렇게 나와있는데 여기서 형식적인 받침이라는 것이 순경음ㅂ 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