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국어 질문

고1 국어 질문

작성일 2023.04.1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이번 3월 모고를 처음 쳤는데 국어가 처참해요..
목표가 2등급 이상인데 국어가 6등급 (반에서 20/23등) 이네요ㅠㅠ 과학은 1등급인데 국어 좀 잘하는 법 없을까요?..
모의고사 문제풀 때 앞부분은 거의 다 맞았는데 뒤로 갈 수록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거의 지문도 안 읽고 풀었거든요.. 국어 잘하는 법이랑 문제 빨리 푸는 법 알려주세요. 국어학원 다닐 마음은 전혀 없어요 전에 다녀봤는데 혼자하는게 더 잘나오더라구요.


#고1 국어 교과서 #고1 국어 #고1 국어 내신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문제집 추천 #고1 국어 모의고사 #고1 국어 자습서 #고1 국어 문제집 #고1 국어 기출문제 pdf #고1 국어 문법 #고1 국어 자습서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등학교 국어는 개념 잡고 기출푸셔야 문제 잘 풀리시며 점수 보장되십니다

아래 내신 국어와 모의고사 국어 순으로 자세히 답변드리니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1. 국어 내신

국어 내신은 매 단원에서 공부해야 할 풍부한 학습 내용에 대한 정리가 대단원인데 중요개념을 바탕으로 소

단원을 점검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 단원의 제목을 보며 소단원과 어떤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 보아야 합니다

단원별 총정리 문제와 학교 기출문제, 다른 학교 기출문제까지 풀어보시고, 국어 수업 잘 듣고 고난도 문제

풀이까지 병행하면 내신 성적 잘 나옵니다.

문제 풀 때 틀린 문제에서 내가 새롭게 알게 된 개념이 있다면 오답노트에 간단하게 정리하여 복습하되

국어는 지문이 길기 때문에 그밖의 별도의 오답노트를 만들기보다 시험지 자체를 모아두거나 직접 문제집

에 하고 반복적으로 보시는게 좋은 대비입니다.

많이 읽고 의미를 이해하고 풀어보면서 왜 틀렸는지 해석을 읽어보는 것도 필요하나

독해력을 길러주는 지문분석이 가장 중요합니다.

국어 내신 서술형 논술형 문제는 각 단원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지도 필요하지만 , 핵심어

키워드를 잘 찾아서 이를 바탕으로 주장과 부연설명을 써야 하므로

각 단원 뒤의 학습활동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꼼꼼하게 정리해 두는 건 기본이고 수업시간 선생님이 자주 반

복 언급한 단어를 필기해 두고 그 단어를 핵심어로 써서 서술형 답안은 작성하면 가장 쉽게 정답 답안을 완

성할 수 있습니다.

2. 국어 모의고사

국어 모의고사 공부방법은 지문 맥락을 읽는 노력과 배경지식을 넓히는것도 필요하나 지문을 정해서 매일

꾸준히 풀고 틀린부분은 해설을 통해서 지문, 문제, 정답, 오답을 찬찬히 읽으면서 내가 이 정답을 선택한 이유와 해

설에서 말하는 것들을 비교 분석해야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자신의 단점을 알게 되는데 간단히 말해 국어는 모든 인강강사의 강의가 지문분석 하는 법입

니다.

또한, 매일 연습이 되니까 시간이 빨라지고, 문제도 많이 맞추게 됩니다

되도록이면, 모의고사 문제집들이 최근 5개년 안에서 묶은 거라서 도움이 되십니다

이렇게 하시고, 개념이 부족하다면,

인강 들으면서 자신이 아는 내용 점검하고 모르는 내용 확인해서

공부하면서 계속 그 부분을 보강해야 합니다.

그리고, EBS와 연계, 고난이도 풀면 등급 1까지 잘 나옵니다.

국어 고난이도 지문은 주어진 시간 내에 제시된 글을 신속 정확하게 읽고 이해되지 않는 문장은 전반적인

지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구조화하는 것도 중요하나

시간을 아끼려면 정의, 부연 등등 개념과 중심문장 위주로 풀고, 반복과 예시, 사례 등등은 빨리 읽거나 아

니면 패스해서 골라 읽습니다.

많은 분들이 국어를 문제만 많이 풀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닙니다. 양치기로 많이 풀면서 공부법과 질이 더욱 중요합니다

비문학은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경제, 법, 철학 지문은 보통 나왔던 내용이 또 나오고 또 나오십니다

한 번 출제되었던 개념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다음에 비슷한 지문을 마주쳤을 때 더 풀기 쉽습니다

그래서 따로 노트에 경제,법,철학 지문을 다 풀고 나서 문단별로 내용 정리를 해놓는 것이 유리하십니다

국어 기출 문제집은

기출- 총만국, 이동글, 홀수 ,마더텅. 자이스토리. 씨리얼.

사설- 이감과 상상, 바탕, 리트 (실전 감각 익힐 것)

영어 기출 문제집은

독해는 자이스토리 (기본-완성-실전) - 세듀 빈칸백서나 셀파 독해 완성편-메가스터디 n제 고난도 순서

수능영단어책은 베스트셀러인 영포자 1등급 만들기 수능영단어 보세요. EBS 유명강사/ 서울대 강사들 / 일타학원

선생님들이 최고라고 호평하며 가르치는 교재입니다.

적중률 높은 정리와 도해식구성으로 암기가 잘되서 영어 등급 올리기 가장 좋으며, 영포자 1등급만들기 한 권으로

고3 수능까지 완전히 끝내는 건 기본이고, 한글독음/ mp3 지원으로 듣기 만점은 덤으로 얻습니다.

수능/모의고사/수능특강.수능완성/각종기출 100% 연계율 핵심 출제된 숙어, 유의어, 반의어, 파생어, 다의어, 빈출

어 체계적 정리와 수능년도 총망라 기출 표기(27년)로 1등급 만점으로 올리기 뛰어나서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의대, 경찰대, 사관학교 학생들 합격 위해 유명 학원과 고등학교 선생님들은 부교재로 답변확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교재처럼 수능기출문장, 반의어, 파생어, 발음기호 콘텐츠 있는지 YES24, 교보, 알라딘 미리보기 확인해 보세

요. (이런 퀄리티 콘텐츠도 없는데 있다고 속이고, EBS 강사 사칭, 리뷰 블로그 광고하고, 수능에 출제도 안되는 성인

용 숙어와 예문 잡동사니로 수천개 붙여놓은 교재들도 있으니 잘 살펴보세요)

내신 및 수능, 모고는 최근 기출단어가 다시 반복해서 출제되므로 허위광고하는 개정판 없는 교재말고 영포자 1등급

만들기로 N회독 하는게 성적 가장 잘 나오는 지름길입니다.

https://youtu.be/WtjUgMZ2_G4

https://blog.naver.com/insiderpower/223052531970

보시면 도움됩니다.

영어 EBS연계 공부는

[ebsi 연계] 수특+영독+수완+오르비 션티의 kiss ebs+오르비 마스터피스

사설은 씨뮬, 엘리트 모의고사

듣기는 마더텅이 속도가 약간빨라 실전에서 효과큽니다

수학 기출 문제집은

(수학 공통등급 기출문제집) 자이스토리, 마더텅

(수학 1-2등급용 기출문제집) 이동훈 기출 문제집, 문해전, 크포, 드릴

(수학 2-3등급용 기출문제집) 수학의 명작, 한완수(강추)

(수학 사설 기출 문제집) : 이해원 N제, 일격필살 N제, 샤인미 N제

탐구 기출 문제집은

인강+ 딸린교재+ 완자로 개념잡고 기출은 자이스토리, 마더텅

한국사 기출 문제집은

별별 한국사

내신 및 모의고사와 수능의 경우, 문제 번호에 따라 나오는 유형들이 정형화되어 있습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자기만의 풀이 전략과 체계화도 필요하지만 꾸준히 실천하는게 중요합니다.

영어는 숙어, 어휘(단어)를, 국어는 출제 경향을 체계화 시키세요.

국어 및 전과목 고득점 확보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어를 잘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많은 독서와 어휘력 증진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국어 공부를 도와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독서

독서는 국어 능력 향상에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어보고, 읽고 난 후에는 그 내용에 대해 생각하고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좋은 책은 어휘력을 향상시켜주고,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휘력 향상

어휘력이 높으면 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문장을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생소한 단어나 표현을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해보세요. 또한, 영어단어나 한자어를 꾸준히 공부하면 어휘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문장 구조 이해

국어 시험에서는 긴 문장이 많이 출제됩니다. 이러한 긴 문장을 잘 이해하려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의 주어와 서술어를 파악하고, 문장 내부의 접속사나 조사를 이해해보세요.

문제 빨리 푸는 법

국어 시험에서 시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빨리 푸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읽을 때 먼저 핵심 내용을 파악하고, 꼭 필요한 내용만 읽어보세요. 문제를 보고 답을 떠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문제 내용을 그림이나 도표로 나타내어 머리속에서 정리해보세요.

국어학원에 다니지 않고도 국어 공부를 할 수 있으니, 위의 방법을 참고하여 꾸준하게 공부해보세요. 더불어 국어 시험의 출제 경향과 유형을 분석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노력과 시간을 들여 국어 실력을 향상시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국영수는 하루 아침에 성적이 오르기 않죠

꾸준히 공부해 놓아야합니다

배경지식 많이 쌓고

임계점에 도달하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2등급 이상 실력만 되도 잘 떨어지지도않죠

수능 공부법만 알려드릴게요

국어의 경우 시험만 80분 보는데 2시간 이상 앉아서 공부하는 습관부터 길러야 합니다

화작의 경우 단권화 작업 한번만 해보세요 그러면 다시 안봐도 됩니다

기출 10년거 정리해 보면 나오는 부분이 뻔하거든요

반드시 12~15분정도에 한개 정도 틀릴 정도로 평소에 공부해 놓아야합니다

문학의 경우도 평소에 충분히 대비가 가능합니다

현대시 현대소설 극수필 고전산문 고전운문 다섯 분야에서 출제되니까요

17문제를 20~25분안에 한두개 정도 틀리게 준비가 되어 있어야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제가 시간을 정해드렸죠 두분야를 합쳐보면 32~40분입니다

답안지 마킹시간 5분을 더합니다 37~45 나머지 시간은 독서 부분에 할애해야합니다

모의고사 보셨겠지만 지문이 장난 아니게 깁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평소에 인문 사회 문화 경제 과학 역사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글들을 요약하면서 읽는 연습과 신문사설 1개이상 매일 분석하면서 읽는 습관을 들이셨다면 그렇게 어려운 난이도는 아닙니다 35~40분 동안 독서부분 17문제니까 최소한 한번은 읽어 보고 풀 수 있는 시간은 됩니다

이런식으로 시간을 재가면서 공부해 보세요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문학+독서(비문학) 34문제 언매나 화작 중 선택과복 11문제 45문제를 80분 안에 풀어야하지요

선택과목은 무조건 12~15분 안에 풀 수 있게 연습이 평소에 되어 있어야 합니다

단권화된 책들도 많고 기출 10년거 분석해 보시면 나오는 곳이 뻔하므로 대비가 가능합니다

문학의 경우도 현대시 현대소설 극수필 고전산문 고전운문 다섯 부분만 정리해 놓으시면 되니까 비교적 범위가 명확해서 대비가 가능합니다 17문제를 20~25분안에 풀 수 있게 역시 대비가 되어 있어야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독서의 경우 인문 사회 문화 과학 경제 역사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글들이 출제되므로 평소에 이러한 글들을 요약하면서 읽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신문 사설 1개이상 3개이하를 분석하면서 읽는 연습도 해놓으셔야하구요

문제 풀어봐서 아시겠지만 비문학의 경우 한번 읽어 보고 풀어보면 거의 맞을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7문제를 35분 정도 확보해서 풀 수 있다면 그렇게 많이는 안틀릴거에요

25+15 40분이면 40분이 나오는데 왜 35분에 풀으라고 했냐면

답안마킹시간 5분이 있어서에요

많은 학생들이 간과하는게 답안마킹시간을 계산하지 않고 시험시간을 잰다는 것이에요

마킹도 긴장하면 실수 할 수 있으니까 5분 정도는 시간을 투자해야합니다

이런 식으로 열공하시고 원하시는 결과 얻으시길 바래요

고1 국어품사 질문

나(1인칭대명사)는(보조사) 행복한(관형사) 꿈(명사)을(목적격) 꾸었다(동사) 맞나요?? 아닙니다. ‘행복한’의 품사와 문장성분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나는 행복한 꿈을 꾸었다...

고1 국어 문법 질문

동생이 칭찬을 들었다. 이 문장은 피동문으로 바꿀 수 없다고 하는데 '쿵' 하는 소리를 들었다 >'쿵' 하는 소리가 들렸다 이렇게는 바꿀 수 있을까요? 이유도 설명해주세요....

고1 국어 문제집 질문

고1 국어 부분 별로 문제집 추천해주세용 총정리 해서 추천해주시면 더 좋아용... 그리고 전국연합학력평가가 다가올 때는 <자이스토리 전국연합모의고사 고1 국어>를 활용해...

고1 국어 질문이요

고1 국어 질문이요 물이 쏟아졌어요. 에서 쏟아졌어요는 왜 피동사가 안되나요? 물이 누군가에 의해 쏟아진거면 피동사가 맞지 않나요..? 먼저 <물이 쏟아졌다>에서 부사어가...

고1국어 질문

고1 국어책에 허생전이 나오는데 허생전의 내용이 허생이 사대부를 비판하는데 허생도... 질문에서 조심할 것은 모든 사대부들을 비판한 것은 아니겠지요. 부정적 사대부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