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차이를 알려주세요 ㅠㅠ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차이를 알려주세요 ㅠㅠ

작성일 2024.05.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구분법이 아직도 이해가 안 돼요.....

용언과 용언이 결합, 연결 어미 생략
도대체 이게 뭐죠? ㅠㅠ


#비통사적 합성어 패드립 #비통사적 합성어 예시 #비통사적 합성어 유형 #비통사적 합성어 구분 #비통사적 합성어 한자어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문제 #비통사적 합성어 부사 #비통사적 합성어 명사 #비통사적 합성어 어린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합성어를 이루는 두 어근의 배열 방식이

문장에 존재하는(통사적인) 구성이면 통사적 합성어

그렇지 않은 구성이면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두 어근의 문법적 정체(품사, 형태소 정보)를 잘 알아야 하고

그런 유형의 배열이 우리말 문장에 존재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디딜방아'를 예를 들면,

먼저 '디딜+방아'로 구성된 합성어임을 알아야 하고,

'디딜'이 '디디다'란 동사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형태라는 걸 알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용언의 관형사형 다음에 명사가 오는 배열 구성이

우리말에 존재하는지를 떠올려서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형태소, 단어, 품사, 문장성분 관련한 다양한 문법지식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를 실제 텍스트에서 예를 찾아보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합성어 예시

어근 분석

문장에서의 예

판정

판정

책-상, 별-빛, 비-구름

명사+명사

1 시골 소년, 가게 주인, 현대 문명

명사+명사 배열은 우리말 문장에 흔하게 존재하는 구성임

통사적 합성어

디딜-방아, 먹을-거리, 지은-이, 젊은-이

용언의 관형사형+명사

2 나쁜 길, 성실한 면모

관형사형이 체언을 꾸미는 구성도 아주 자연스러운 구성임

통사적 합성어

접-칼, 덮-밥

용언어간+명사

없음

용언이 어미 없이 문장에 쓰일 수 없음

비통사적 합성어

올라-가다, 돌아-오다

용언의 연결형+용언

3 착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려 애쓴다, 들어가야 해, 공부하고 싶은

우리말에서 너무도 흔한 구성

통사적 합성어

검-붉다, 오르-내리다

용언어간+용언

없음

용언이 어미 없이 문장에 쓰일 수 없음

비통사적 합성어

수남이, 자전거를 훔치다 

 자전거 도둑의 주인공인 수남이는 일자리를 찾아 공부를 중단하고 무작정 상경한 1시골 소년이다. 그래도 2나쁜 길로 빠지지 않고 어엿한 가게 점원이라도 된 것을 스스로 뿌듯해하며, 3착하고 성실하게 3살아가려 애쓴다. 시골에서 상경한 수남이가 지닌 이러한 순수하고 2성실한 면모는 청순한 얼굴빛으로 묘사된다. 삭막하고 이기적인 도시의 분위기와 대조되는 시골의 정서, 자연의 정서를 대변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런 수남이와 대조되는 인물은 1가게 주인 아저씨다. 그는 수남이의 후원자임을 자처하면서 수남이의 노동을 착취하는 탐욕스러운 고용주이다. “내년 봄에 시험 봐서 3들어가야 해. 야학이라도 일류로…” 그는 겉으로는 3공부하고 싶은 수남이의 꿈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사탕발림 말로 수남이를 더 많은 노동을 하게 만드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녔다. 도시의 정서, 1현대 문명의 삭막한 정서를 대변하는 인물이다.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차이를...

... ㅠㅠ 합성어를 이루는 두 어근의 배열 방식이 문장에 존재하는(통사적인) 구성이면 통사적 합성어 그렇지 않은 구성이면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두 어근의 문법적 정체...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쉽게 구별하는...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쉽게 구별하는 법 알려주세요 '통사적'이란 말은 '문법적'이라는 의미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통사적 합성어'는 그 합성어를 이루고 있는 부분들이...

통사적 합성어비통사적 합성어...

... 도와주세요ㅠㅠ 통사적 합성어비통사적 합성어의 예시를 봐도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 둘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명확하게 구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통사적 합성어비통사적 합성어차이...

... 통사적 합성어비통사적 합성어의 기준은 두 어근의 배열방식이 문장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배열(어순)과 같은지 다른지입니다. 같으면 통사적 합성어, 다르면 비통사적...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질문

... +또 비통사적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분할 수 있는 쉬운 방법도 알려주세요 1. 통사적 합성어비통사적 합성어 '돌아 + 가다'와 '오르고 + 내리다'를 비교해 보면 이해가 쉬울...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 부분이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무슨 말인가요? 1. 금지(명사) + 곡(명사)이니까 통사적 합성어 2. 꺾(어간) + 쇠(명사)이니까 어미 누락의 비통사적 합성어 단일어가 아닌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