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운의 변동 된소리되기

국어 음운의 변동 된소리되기

작성일 2024.04.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국어 음운변동을 공부하고 있는데요,
교과서에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 환경 중에 하나가
용언의 어간 받침 ‘ㄴ,ㅁ‘ 뒤에 ’ㄱ,ㄷ,ㅅ,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일어난다
라고 하는데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요.. 저 환경에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 예시 몇개만 알려주세요!


#국어 음운의 변동 #국어 음운의 변동 문제 #국어 음운의 체계 #국어 음운의 변동 문제 pdf #국어 음운의 변동 정리 #국어 음운의 변동 문법 #국어 음운의 변동 탈락 #국어 음운의 첨가 #고1 국어 음운의 변동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표적인 예로 '안다 [안따] / 안고 [안꼬]', '감다 [감따] / 감고 [감꼬]' 등이 있습니다.

음운변동이 자음군단순화랑 된소리되기...

없이는 음운변동이 자음군단순화랑 된소리되기인데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잘못 아셨어요. 자음군단순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자음군단순화라면 ㅄ 중 하나가 탈락해야 하는데...

국어 음운변동 된소리 되기

... 제6장 된소리되기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국밥[국빱] 깍다[깍따]...

국어 음운의 변동 된소리되기 질문

평가는 ㄱㄷㅂ ㄱㄷㅂㅅㅈ ㄴㅁ ㄱㄷㅅㅈ ㄹ ㄷㅅㅈ ㄹ ㄱㄷㅂㅅㅈ 에 포함되지 않는데 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건가요? 한자어 사이에 나타나는 사잇소리현상입니다.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