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질문 언어와매체

국어문법질문 언어와매체

작성일 2024.04.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나무에 물을 주다
돼지에게 먹이를 주다
여기에서 나무에 랑 돼지에게 품사가 어케되나용
부사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무에'와 '돼지에게'는 한 단어가 아닙니다.

'나무, 돼지'는 명사이고 '에, 에게'는 조사입니다.

두 단어인 거죠.

만약 한 단어라면 사전에 '나무에'나 '돼지에게'가 통째로 실려야 합니다.

그럴까요?

아마도 품사와 문장성분을 헷갈리신 거 같아요.

'에'와 '에게'는 조사 중에서도 부사격조사입니다.

그래서 '나무에'와 '돼지에게'의 문장성분은 부사어입니다.

국어문법질문 언어와매체

나무에 물을 주다 돼지에게 먹이를 주다 여기에서 나무에 랑 돼지에게 품사가 어케되나용 부사인가요? '나무에'와 '돼지에게'는 한 단어가 아닙니다. '나무, 돼지'는 명사이고...

언어와 매체 국어문법 질문

국어 문법중에서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른 부분들 있잖아요 몇가지 정도만 알려주실 수 있나요 서술격조사 '이다'의 정체 보어의 개념 보조용언의 범위 종속절과 부사절의 구별...

국어 문법 질문(언어와 매체)

정답은 2번이고 다섯 선지 모두 틀린 이유/ 맞는 이유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형어가 되는 단위에는 a 관형사 b 체언+관형격조사 c 체언(또는 명사절) d 관형절 2의...

국어 문법 질문 언어와 매체 문장

1. 새파란 모자를 쓴 아이가 있다 -> 홑문장? 겹문장? 2. ‘새파란 모자’를 절으로 볼 수 있나요? 1. 관형형 어미가 붙은 말은 관형절로 보면 됩니다. (1) 예문에서는 '새파란 모자...

국어문법질문언어와매체

넓더라에서 [널떠라] 라고 바뀌는 과정에서 받침 ㄹㅂ이랑 예사소리 ㄷ 이 만나 된소리되기가 적용되서 [넓떠라]가 된 다음에 자음군 단순화로 인해 ㄹㅂ중 ㅂ이 탈락한건가요?...